부주술(符咒術)

URL: https://tanma.kr/china/boojoosool.html

부주술(符咒術)

부주술은 동양 오술(五術)인 산(山),의(醫),명(命),상(相),복(卜) 중 산(山)에 해당한다.


1.부적(符籍)


잡신(雜神)과 재앙(災殃)을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몸에 지니거나 집 또는 건물에 붙이는 종이를 말하는데, 불교, 도교 등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부적은 천계(天界)의 별자리를 근거로 우주에서 율동하는 기(氣)의 흐름을 상징화한 "기(氣)의 회로도(回路圖)"이며 신(神)과 대화함으로써 천계의 기운을 수정 또는 보완하고 운로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신과의 대화 Code"라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서, 부적은 간절한 염원과 적덕(積德)을 통해 정해진 운명을 수정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으며,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신(神)들을 부리는 명령서(칙령,勅令) - 천신(天神)과 지령(地靈) 소집명령서 라는 것이다.


2.부작(符作)


부작이란 장신구(裝身具)의 형태를 띤 입체적인 부적을 의미하는데, 부적을 부작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벽조목(霹棗木, 벼락 맞은 대추나무), 호랑이 발톱, 암여우 생식기, 곡옥(曲玉 - 구부러진 옥돌), 네잎 크로버(Clover) 등등.


3.부적과 부작의 효능

* 심리적(心理的) 효능: 특정 이미지에서 얻은 에너지(Energy)로 체내(體內)에 흐르는 기(氣)를 움직여 운로(運路)를 바꾸고 일종의 암시로 정신을 자극한다- 모방주술(신장,神將을 부릴 수 있다는 천체회로도)과 감염주술(소지자가 효능을 본다는 믿음)의 복합.


* 생리적(生理的) 효능: 부적 작성에 사용되는 경면주사(鏡面朱砂),영사(靈砂),색묵(色墨),금분(金紛),은분(銀紛) 등에는 황화제2수은의 성분이 있어 거기에서 나오는 수은(음기,陰氣)과 유황(양기,陽氣)이 정신을 안정시키고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며, 그 냄새와 태울때 발생하는 탄소가 독충과 맹수를 퇴치하는 기능을 한다.


4. 부적의 종류

작용과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보명부, 호신부, 평안부, 길상부, 재리부, 진택부, 가운부, 제살부, 파액부, 광명부, 염원부, 여의부, 화합부, 인연부, 애정부, 화목부, 출산부, 소아부, 기원부.


5.제작


부적을 제작하는 사람들에 의하면, 부적(부작)은 길일(吉日)과 길시(吉時)를 택하여 일정한 절차에 따라 경건하게 정성을 들여 작성(제작)하여야 한다고 한다.


6.사용


부적의 효용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부적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1) 지갑 또는 호주머니에 넣어 몸에 지니기

(2) 집 또는 건물에 부착

(3) 단지나 그릇에 넣어 땅에 매장

(4) 베개에 넣어 베고 자기

(5) 불에 태운 후 그 재를 물에 개어(타)서 마시기

(6) 부적을 물그릇 위에 올려 놓고 그 그림자가 비친 물을 마시기.


* * *



• 길일 • 무협지 • 벽조목 • 부작 • 부적 • 부주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