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타문(普陀門)

URL: https://tanma.kr/china/botamoon.html

1. 개요


남해 보타암(南海 普陀庵)이라고도 부루는 문파. 비구니(여승) 문파로 나오는데, 평소에는 은둔하며 강호에 등장하지 않는 문파로 설정된다. 소림이 비구(남자승려) 문파를 대표하고, 보타문이 비구니(여자승려) 문파를 대표한다.


(1) 위치

절강성 항주만에 있는 주산 군도 중의 한 작은 섬인 보타산. 보타산은 오대산, 아미산, 구화산과 더불어 중국 불교의 4대 명산이다.


(2) 역사

1,00년전, 남해 관세음이 보타산과 이웃하고 있는 작은 섬 낙가산에서 불교를 포교했다 한다. 10세기경, 일본 승려 혜악이 산서성 오대산에서 관음상을 모시고 일본으로 돌아가던 중 귀로에 배가 암초에 걸렸으나 배가 닿은 곳에 절을 짓겠노라고 빌었던 바, 배가 암초로부터 떨어져서 보타산에 당도했다. 그 땅에 불배거암을 세웠는데 그것이 지금의 보제사(普濟寺)다.
최성기에는 산 중에 대소 300여 개의 절이 있었고 3,000명의 승려들이 생활했다고 한다. 실제 역사에는 비구니 사찰 기록이 없으나 무협에서는 비구니 사찰로 설정된다. 아마도 관음보살의 성지라는 특성 때문에 비구니 문파로 설정된 것을 보인다.


(3) 문화

(4) 조직


보타암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작은 암자다. 그래서 작은 사찰로 나오기도 하지만, 검각이라는 스님 경호조직이 있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검각의 수장이 검후(劍后), 부수장이 소검후다. 물론 대부분 절세미인이다.
검후를 비롯한 검각의 무인은 긴 머리카락을 지닌 속가제자다. 혼인이 가능한 속가제자이기 때문에 검후와 주인공의 로맨스가 종종 일어난다.


(5) 구조와 건물


2. 무공


여승은 소림사처럼 불교무술을 하지만, 검각의 검후와 무인들은 검을 주로 사용하며 검법의 절정고수로 설정된다.


* * *



• 9파1방 • TANMR.KR • 劍后 • 南海 • 普濟寺 • 普陀庵 • 普陀門 • 검각 • 검후 • 구파일방 • 남해 • 무공 • 무림전도 • 무협 • 무협사전 • 문파 • 보제사 • 보타문 • 보타산 • 보타암 • 비구니 • 소검후 • 여승 • 웹소설 • 중국 • 중국무협 • 탄마 • 혜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