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혈족 사이에서 호칭, 지칭, 자칭

URL: https://tanma.kr/china/callname_family.html

무협 안에서 호칭, 지칭, 자칭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는 작가 마음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독자의 문해력을 고려해야 한다. 실제 중국에서 사용하는 호칭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질감이 크다.

예를 들어 ‘아내가, 남편이, 아버지, 어머니’라고 해야 할 호칭지칭을 ‘처자가, 노파가, 파파, 마마’라고 하면 한국 독자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무협에서 호칭은 익숙한 한국식 한자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아래 (1)무협 사용 권장 호칭은 한국식 호칭이며, (2)는 실제 실제 중국 호칭이니 참고하자. 친족 혈족에서 호칭이니, 주로 무림세가 쪽 호칭에 사용할 수 있다.

- 물음표(!)가 달린 것은 호칭이라는 뜻이다.
- [~] 안은 예문이다.
- 호칭, 지칭, 자칭을 혼동하지 말자.


(1) 무협 사용 권장 호칭


1.내 기준 직계

[조부]
▸ 조부(祖父) : 지칭. [조부께서~]
- 조부님!
▸ 조모(祖母) : 지칭. [조모께서~]
- 조모님!

▸ 소손(小孫) : 자칭. 조부에게 자기를 표현할 때. [소손이~]

[부모]
▸ 부친(父亲) : 지칭. [부친께서~]
- 아버지! 아버님! 아빠!(여자인 경우 가능)
▸ 모친(母亲) : 지칭. [모친께서~]
- 어머니! 어머님! 엄마!

▸ 양친(兩親) : 3자에게 지칭. [양친께서~]

▸ 소자(小子) : 자칭. 아들인 경우. [소자가~]
▸ 소녀(小女) : 자칭. 딸인 경우. [소녀가~]

[자녀]
▸ (이름) : 아들, 딸, 손자, 손녀 호칭 [철수야! 영희야!]
아들아! 딸아!

▸ 남아(男兒) : 3자에게 지칭 [내 남아가~]
▸ 여아(女兒) : 3자에게 지칭 [내 여아가~]

▸ 손아(孫兒) 또는 손자(孫子), 손녀(孫女) : 3자에게 지칭 [내 손자가~]

[부부]
▸ 아내 : 지칭. [아내가~]
▸ 남편 : 지칭. [남편이~]
여보! 당신! 부군(夫君)! 부인(夫人)!: 호칭. 아내나 남편이.

▸ 졸부(拙夫) : 자칭. 남편이 아내에게 자기를 가리킬 때 [졸부가~]
▸ 소처(小妻) : 자칭. 아내가 남편에게 자기를 가리킬 때 [소처가~]

[친형제자매]
▸ 자씨(姊氏) : 3자에게 지칭. [내 자씨가~]
- 누님! 누나! 자주자주(姊主)! 언니!(여자가 부를 때)
▸ 사매(舍妹), 매씨(妹氏) : 3자에게 지칭. [내 사매가~]
- 동생! 누이! 매주(妹主)!

무협에서는 혈연이 없는 여동생뻘인 여자랑 연애를 할 때 ‘가가’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아래처럼 쓰면 된다.

(이름, 또는 마지막 글자)+가가(哥哥) : 호칭. 오빠. [가가!] 또는 [광휘 가가!]

이영희가 김광휘를 좋아한다면 ‘가가!’라고 불러도 되고, ‘광휘 가가!’ ‘휘 가가!’라고 불러도 된다.


2.친가 쪽

[삼촌]
▸ 백부(伯父) : 지칭. 아버지의 형. [백부께서~]
- 백부! 백부님!
▸ 백모(伯母) : 지칭. 백부의 부인. [백모께서~]
- 백모! 백모님!

▸ 숙부(叔父) : 지칭. 아버지의 남동생. [숙부께서~]
- 숙부! 숙부님!
▸ 숙모(叔母) : 지칭. 숙부의 부인. [숙모께서~]
- 숙모! 숙모님!

▸ 조카 또는 사질(舍姪) : 삼촌 부부에게 자칭. [조카가~] [사질이~]

[고모]
▸ 고모(姑母) : 지칭. 아버지 자매. [고모께서~]
- 고모! 고모님!
▸ 고모부(姑母夫) : 지칭. 고모의 남편. [고모부께서~]
- 고모부! 고모부님!

▸ 조카 또는 가질(家姪) : 이모 부부에게 자칭. [조카가~] [가질이~]

[사촌형제자매]
▸ 종형(從兄) : 지칭. [종형이~]
▸ 아우, 종제(從弟) : 종형에게 자칭. [이 아우가~] [이 종제가~]
▸ 종제(從弟) : 지칭. [종제가~]
▸ 형, 종형 : 종제에게 자칭. [이 형이~] [이 종형이~]


3.외가 쪽

[외조부모]
▸ 외조부(外祖父) : 지칭. [외조부께서~]
- 외조부님!
▸ 외조모(外祖母) : 지칭. [외조모께서~]
- 외조모님!

▸ 외손(外孫) : 자칭. 외조부에게 자기를 표현할 때. [외손이~]

[외삼촌]
▸ 외백부(外伯父) 또는 표백(表伯) : 지칭. 엄마의 오빠. [외백부께서~]
- 외백! 외백부! 표백!
▸ 외백모(外伯母) 또는 표백모(表伯母) : 지칭 엄마 오빠의 부인. [표백모께서~]
- 외백모! 표백모!

▸ 외숙부(外叔父) 또는 표숙(表叔) : 지칭. 엄마 남동생. [외숙부께서~]
- 외숙! 외숙부! 표숙!
▸ 외숙모(外叔母) 또는 표숙모(表叔母) : 지칭. 엄마 남동생의 부인. [표숙모께서~]
- 외숙모! 표숙모!

▸ 조카 또는 생질(甥姪) : 외삼촌 부부에게 자칭. [조카가~] [생질이~]

[이모]
▸ 이모(姨母) : 지칭. 엄마 자매. [이모께서~]
- 이모! 이모님!
▸ 이모부(姨母夫) : 지칭. 엄마 자매의 남편. [이모부께서~]
- 이모부! 이모부님!

▸ 조카 또는 이질(姨姪) : 이모 부부에게 자칭. [조카가~] [이질이~]

[외사촌형제자매]
▸ 외종형(外從兄) 또는 표종형(表從兄) : 지칭. [외종형이~]
▸ 아우, 비종제 : 외종형에게 자칭. [아우가~] [비종제가~]
▸ 외종제(外從弟) 또는 표종제(表從弟) : 지칭. [외종제가~]
▸ 형, 내종형 : 외종제에게 자칭. [형이~] [내종형이~]

형제가 많은 경우에는 앞에 1, 2, 3을 붙인다. 숙부가 셋이면 일숙부 또는 일숙, 이숙부 또는 이숙, 삼숙부 또는 삼숙.


4.처가 쪽

[장인장모]
▸ 장인(丈人) : 지칭. [장인께서~]
- 장인어른!
▸ 장모(丈母) : 지칭. [장모모께서~]
- 장모님!
▸ 저, 외생(外甥) : 자칭. 장인, 장모에게 자기를 표현할 때. [제가~]

[처형제자매]
▸ 처남(妻男) : 지칭. 아내의 오빠, 남동생. [처남이~]
- 형님! 처남!
▸ 처남댁(妻男宅) : 지칭. 아내 오빠의 부인. [처남댁이~]
- 아주머니!

▸ 처형(妻兄) : 지칭. 아내의 언니. [처형이~]
- 처형!
▸ 형님, 동서(同壻) : 지칭. 아내 언니의 남편. [큰동서가~] [형님이~]
- 형님! 동서!

▸ 처제(妻弟) : 지칭. 아내의 여동생. [처제가~]
- 처제!
▸ 서방, 동서(同壻) : 지칭. 아내 여동생의 남편. [큰동서가~] [길동서방이~]
- 동서! ○서방!


(2) 실제 중국의 호칭


[내 기준 직계]
▸ 모친(母亲) : 지칭. 모친께서.
▸ 마마(妈妈) : 호칭. 엄마!
▸ 부친(父亲) : 지칭. 부친께서.
▸ 파파(爸爸) : 호칭. 아빠!
▸ 가가(哥哥) : 호칭. 오빠!
▸ 저저(姐姐) : 호칭. 누나!
▸ 제제(弟弟) : 호칭. (남)동생!
▸ 매매(妹妹) : 호칭. (여)동생!
▸ 아자(儿子) : 호칭. 아들!
▸ 여아(女儿) : 호칭. 딸!
▸ 손자(孙子) : 손자
▸ 손녀(孙女) : 손녀
▸ 외손자(外孙子) : 외손자
▸ 외손녀(外孙女) : 외손녀
▸ 증손자(曾孙子) : 증손자
▸ 증손녀(曾孙女) : 증손녀
▸ 증손식부(曾孙媳妇) : 증손부

[조부모와 친척(亲戚)]
▸ 조부(祖父) : 조부, 할아버지
▸ 조모(祖母) : 조모, 할머니
▸ 야야(爷爷) : 할아버지!
▸ 내내(奶奶) : 할머니!
▸ 외조부(外祖父) : 외조부, 할아버지
▸ 외조모(外祖母) : 외조모, 할머니
▸ 외공(外公), 모야(姥爷) : 외할아버지!
▸ 외파(外婆), 모모(姥姥) : 외할머니!
▸ 증조부(曾祖父) : 증조할아버지
▸ 증조모(曾祖母) : 증조할머니.
▸ 고조부(高祖父) : 고조할아버지
▸ 고조모(高祖母) : 고조할머니


[부모님의 형제, 내 형제]
▸ 백부(伯父), 백백(伯伯) : 큰아버지. 아버지의 형.
▸ 백모(伯母) : 큰어머니
▸ 숙부(叔父), 숙숙(叔叔) : 작은아버지. 아버지의 남동생.
▸ 숙모(叔母) : 작은어머니
▸ 고부(姑夫) : 아버지 누나 또는 여동생의 남편.
▸ 구구(舅舅) : 엄마의 오빠, 남동생.
▸ 고마(姑妈) : 고모. 아버지의 누나.
▸ 고고(姑姑) : 고모. 아버지의 여동생. 미혼인 고모.
▸ 백모(伯母) : 아버지 형의 부인.
▸ 심심(婶婶) : 아버지 남동생의 부인
▸ 
▸ 구구(舅舅) : 외삼촌
▸ 구마(舅妈) : 외숙모
▸ 이마(姨妈) : 큰이모. 엄마의 누나.
▸ 이부(姨丈) : 이모부
▸ 아이(阿姨) : 작은이모. 엄마의 여동생.
▸ 구모(舅母) : 엄마 형제의 부인.
▸ 저부(姐夫) : 누나의 남편.
▸ 매부(妹夫) : 여동생의 남편.
▸ 수자(嫂子) : 형의 부인.
▸ 제매(弟妹) 또는 제부(弟妇) : 남동생 부인.

[사촌]
▸ 당형제저매(堂兄弟姐妹) : 친사촌형제자매
▸ 당형제(堂兄弟) : 친사촌 형제
▸ 당형(堂兄), 당가(堂哥) : 사촌형.
▸ 당제(堂弟) : 친사촌동생.
▸ 당저매(堂姐妹) : 친사촌 자매
▸ 당저(堂姐) : 사촌누나.
▸ 당매(堂妹) : 사촌여동생.

▸ 표친(表亲) : 고종사촌, 이종사촌, 외사촌.
▸ 구표친(舅表亲) : 외사촌
▸ 표가(表哥) : 외사촌형.(고종사촌형, 이종사촌형)
▸ 표제(表弟) : 외사촌동생.(고종, 이종)
▸ 표저(表姐) : 외사촌누나.(고종, 이종)
▸ 표매(表妹) : 외사촌여동생.(고종, 이종)
▸ 량이친(两姨亲), 이표친(姨表亲) : 이종사촌

▸ 표질(表侄) : 외사촌(고종사촌,이종사촌)의 아들
▸ 표질녀(表侄女) : 외사촌(고종사촌,이종사촌)의 딸

[설명1] 사촌인 경우 당(堂)이 붙으면 부계 쪽 사촌, 표(表)가 붙으면 모계 쪽 사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설명2] 표(表)가 붙은 경우 외사촌 외에 고종사촌, 이종사촌도 의미한다.

[조카]
▸ 질자(侄子) : 조카. 내 형제의 아들. 중국식.
▸ 질녀(侄女) : (여)조카. 내 형제의 딸. 중국식.
▸ 왜생(外甥) : 외조카. 내 누나, 여동생의 딸.
▸ 외생녀(外甥女) : (여)외조카. 내 누나, 여동생의 딸.
▸ 당질(堂侄) : 당질. 사촌형제의 아들
▸ 당질녀(堂侄女) : 당질녀. 사촌형제의 딸

[시가, 처가]
▸ 장부(丈夫), 노공(老公) : 남편
▸ 처자(妻子),노파(老婆) : 아내

▸ 공공(公公) : (시)아버님!
▸ 파파(婆婆) : (시)어머님!
▸ 악부(岳父) : 장인어른!
▸ 악모(岳母) : 장모님!

▸ 대백자(大伯子) : 남편의 형. 시숙, 시아주버니.
▸ 대숙자(小叔子) : 남편의 남동생. 시동생.
▸ 축리(妯娌) : 동서. 남편 형제의 아내
▸ 대고자(大姑子) : 남편의 누나. 손위 시누이.
▸ 소고자(小姑子) : 남편의 여동생. 손아래 시누이.
▸ 수수(嫂嫂) : 형수, 올케
▸ 제식(弟媳) : 제수, 올케
▸ 수자(嫂子) : 형수, 제수, 올케.(모두 사용)

▸ 저부(姐夫) : 시매부, 손위 시누이의 남편 .
▸ 매부(妹夫) : 시매부, 손아래 시누이의 남편.

▸ 구자(舅子) : 처남, 아내의 오빠, 남동생.
▸ 처구(妻舅) : 손위 처남, 아내의 오빠.
▸ 대구수(大舅嫂) : 손위 처남댁, 아내 오빠의 부인.
▸ 처제(妻弟) : 손아래 처남, 아내의 남동생.
▸ 소구수(小舅嫂) : 손아래 처남댁, 아내 남동생의 부인.
▸ 대이자(大姨子) : 처제. 아내의 여동생.
▸ 련금(连襟) : 동서. 아내 자매의 남편.
▸ 친가(亲家) : 사돈
▸ 친가공(亲家公) : 바깥사돈
▸ 친가모(亲家母) : 안사돈

[그외 친척, 혈족]
▸ 계부(继父), 후파(后爸) : 의붓아버지. 계부.
▸ 계모(继母), 후모(后妈) : 의붓어머니. 계모.
▸ 계아(继儿) : 의붓아들
▸ 계녀(继女) : 의붓딸
▸ 식부(媳妇) : 며느리
▸ 여서(女婿) : 사위

혈연이 없는 여자친구나 동기 여동생 등 친한 여자에게는 마지막글자 앞에 ‘소’를 붙여 애칭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진미정이면 ‘소정(小晶)’, 강하연이면 ‘소연’이라고 작을 소(小)를 앞에 붙여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외에도 중국에서는 남녀 안 가리고 아랫사람이나 가까운 사람을 ‘소(小) + 성(姓)’으로 부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천광휘면 ‘소천’, 강하연이면 ‘소강’이라고 친근하게 부른다.


* * *



• TANMR.KR • 고모 • 고증 • 무공 • 무림전도 • 무협 • 무협사전 • 문파 • 백부 • 부모 • 삼촌 • 생질 • 숙부 • 양친 • 외삼촌 • 웹소설 • 이모 • 조부 • 조부모 • 중국 • 중국무협 • 지칭 • 질녀 • 탄마 • 판타지 • 호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