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사전-가]
가가(家家)
-자신과 친한, 나이 많은 남자를 여자가 부르는 호칭. 자신보다 나이가 좀 많다 싶으면 대가大(家라)고 부른다.
가사(袈裟)
-주로 승려가 걸치는 의복 전반을 뜻한다. 현대의 스님들이 걸치고 나오는 회색 옷 위에 덧대어 입는 것을 가사라고 칭하고, 그 안에 받쳐 입는 회색 옷은 승포僧布라고 해서 따로 분류한다.
X가장(X家莊)
-풀이하자면 X씨(X가) 성의 사람들이 사는 장원이라는 뜻.
세력은 제법 있지만 세가라고 하기는 어려운 수준의 무공을 지녀서 세가로는 불릴 수 없거나, 역사가 매우 짧아 세가라 불리기 어렵거나, 세가라고 하기에는 지닌 바 세력이나 명성이 적은 어중간한 무가(武家)를 부르는 말.
가장 유명한 것은 중원제일의 거부로 유명한 석숭의 석가장(石家莊), 양가창법으로 유명한 신창양가(구舊 양가장), 마가창법으로 유명한 마가장(馬家莊) 등등이 있다.
세가보다는 세력이 낮고 격이 떨어지지만 그래도 무가인지라 어느 정도의 무력을 갖추고 있다. 다만 세력이 약해서인지 보통 악역한테 쓸릴 때는 가장 먼저 쓸려서 흔적도 없이 사라지곤 하는 등, 취급이 안 좋다.
가전무공(家傳武功)
-말 그대로 가문에 전해 내려오는 무공이라는 뜻.
구파일방이나 문파, 방회, 연맹 같은 곳에서 전수받는 절기와는 다르게 오로지 가문의 혈족에게만 전수하는 무공을 뜻한다.
직계 혈족에게만 전수하는 것과 방계 혈족이라고 해도 전수받을 수 있는 것, 두 가지가 있으며 보통 재능이 뛰어나면 방계 혈족이라고 해도 극소수에 한해 전수를 허락하는 등의 융통성도 발휘하지만, 보통은 직계 혈족 아니면 전수 받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남궁세가 같은 메이저 세가에서도 이거 때문에 분란 나는 경우가 많다. 이거 때문에 가문이 찢어져서 싸우다가 두 조각나는 등 개판이 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각골난망(刻骨難忘)
-은혜를 입은 고마움이 뼈에 사무칠 지경으로 깊어 잊혀지지 않는다는 뜻.
각골명심(刻骨銘心)
-얻은 교훈을 뼈에 새겨 결코 잊지 않겠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각혈(咯血)
-피를 토하는 것을 뜻한다. 기침을 하다가 피를 한 사발 쏟는 등, 보통 무협에서는 병이 심해진 상태를 나타낼 때의 표현으로 등장한다.
간(鐗)
-기문병기. 사용자가 많지 않은 병기로, 네모나게 각진 몽둥이류의 무기를 간이라고 한다. 이걸 주력으로 쓰는 악역은 극소수이며, 소설 내 등장인물 중에서 이걸 쓰는 놈은 본 기억이 거의 없다.
사람 머리를 박살내는데는 충분한 위력을 발휘하며, 네모나게 각진 것은 사능철간이라고 불렀고 각진 정도를 달리함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육각, 팔각 등 다양한 각진 몽둥이가 존재한다.
간난신고(艱難辛苦)
-맵고 쓴 어려움. 지독한 어려움과 힘겨운 고통을 가리키는 말. 자주 나오는 편은 아니지만, 알아두면 좋다.
간뇌도지(肝腦塗地)
-간과 뇌장을 쏟아낸다는 의미. 나라를 위해 목숨을 돌보지 않고 힘을 다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 정도로 주군에게 충성을 바치는 이들이 긴 말이 필요하지 않을 때 인용하는 경구로도 사용한다.
감산도(撼山刀)
-대도大刀의 일종. 청룡언월도 같은 언월대도 계열이 아니라 대검에 가까운 형상을 한 것이 특징. 산을 떨게 한다는 이름처럼 일격 일격이 대단히 무거운 무기. 중병인 도刀 중에서도 무게가 꽤 나가는 무기로, 힘으로 적을 눌러 분쇄하는데 충실하다.
갑자(甲子)
-보통 무림에서 자신이 보유한 내공을 계산하는 척도.
일 갑자란 60년. 이 갑자는 120년 수위의 내공을 지녔음을 의미한다. 인플레가 심해진 현재의 무협 소설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개념이 되었지만 적이 좀 세보여야 하거나, 능력치를 좀 뻥튀기 좀 시켜줘야겠다 싶으면 등장한다.
강검(强劍)
-붕검, 패검, 중검, 둔검 등 느리지만 강력한 위력을 지닌 검공을 따로 분류해 부르는 이름. 강맹하고 위력적이며 또한 파괴력이 절륜한 것이 공통점이지만, 둔검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내공 소모가 매우 크거나 동작이 너무 커서 간파당하기 쉽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강룡십팔장(降龍十八掌), 항룡십팔장(降龍十八掌)
-개방의 비전무공 중 하나. 강룡십팔장이라고도 하고, 항룡십팔장이라고도 하는 등 작품마다 표기가 다르게 되는 무공 중 하나이다. 이 무공이 등장한 영웅문 오판에서 강룡십팔장이란 이름으로 오역했기에 강룡십팔장으로도 알려졌으나, 정확한 표기는 항룡십팔장이 맞다.
변화가 적고 단순하지만 그만큼 강력한 파괴력이 일품. 외가무공의 정수라고도 일컬어진다. 애초에 개방 자체가 독문의 심법이랄 게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묘사되는 게 많아, 강룡십팔장 역시 외가무공으로 설정된 것.
정확하게는 김용 소설에서의 외공의 개념은 현재와 달리 상대의 외부, 즉 몸을 상하게 하는 무공이었기 때문에 외공으로 분류되었다.
항룡유회(亢龍有悔), 비룡재천(飛龍在天), 용전어야(龍戰於野), 잠룡물용(潛龍勿用), 신룡파미(神龍擺尾), 돌여기래突(如基來,) 현룡재전(見龍在田), 이상빙지(履霜氷至), 혹약재연(或䠯在淵), 쌍룡취수(雙龍取水), 진량백리(震諒百里), 시승육룡(時乘六龍), 밀운불우(密雲不雨) 등, 18초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모견순(剛矛堅盾)
-굳세고 강한 창, 무엇보다도 단단하고 튼튼한 방패를 가리킨다. 어지간해서는 부서지지도, 부러지지도 않는 물건을 가리키는 비유로 쓰인다.
강시(僵尸)
-보통 무협에서의 강시는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죽은 시체를 마교나 혈교의 비법 등으로 살려내어 사용하는 경우.
둘째, 강시공을 익혀서 강시지체를 이룬 경우.
이 둘 중 어느 쪽이든 간에 몸이 도검이 박히지 않을 정도로 단단해지고 고통을 느끼지 않는다. 더구나 급소가 없어서 신체를 전부 가루로 만들지 않는 한 끊임없이 움직인다. 이 경우 대표적인 약점은 머리. 머리를 박살내면 그대로 죽는 경우가 꽤 많다.
이 외의 강시는 보통 죽은 이들의 시체를 강시로 만들어서 먼 곳에 있는 가족에게 돌려보내기 위함이다. 이 경우에는 영환도사가 인솔하며, 무릎을 굽히지 못해 껑충껑충 뛰는 것으로 묘사된다.
개방(丐幇)
-거지들로 이루어진 문파. 본거지인 총타는 개봉에 있다.
궁가방(窮家幇)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은 정의롭고 의로운 단체로 묘사되나, 찌질하거나 쫄보처럼 묘사되기도 한다. 주인공에게 툭하면 정보 뜯기는 게 일상. 보통 하오문下汚門과 함께 주인공의 정보 셔틀 노릇 말곤 비중이 없다.
개방의 장문인은 용두방주(龍頭幫主)라고 불린다. 허리의 매듭 수를 따라 지위를 구분한다.
십결(十結)은 태상호법이며, 구결은 방주, 팔결은 후개(後丐), 개방의 후계자, 즉 차기 장문인이다. 육결~칠결은 장로급, 그 아래로는 호법, 분타주, 향주, 단두, 총순찰 등이며 매듭이 없는 제자는 백의제자(白衣弟子) 또는 무결개(無結丐)라 하여 개방의 근간을 이룬다.
혈족도 없어서 방도가 죽거나 다치면 우르르 몰려가 복수를 해줄 정도로 끈끈한 결속력이 장점.
대표적인 무공은 타구봉법(打狗棒法), 항룡십팔장(降龍十八掌), 취팔선보(醉八仙步).
봉법 타구봉법(打狗棒法)
검법 규지검법(叫枝劍法)
수법 용음십이수(龍吟十二手)
권법 백결신권(百結神拳)
장법 옥룡팔장(玉龍八掌)
보법 용호풍운보(龍虎風雲步), 취팔선보(醉八仙步), 취리건곤보(醉裏乾坤步), 취팔선과천(醉八仙過踐).
심법은 옥현귀진현공(玉玄歸眞玄功), 백결연화신공(百結蓮花神功), 홍무자염신공(洪武紫焰神功), 혼천강룡신공(混天降龍神功), 혼원귀일신공(混元歸一神功) 등이 거론되지만 언급은 없다.
진법은 타구진(打狗陣), 타구대진(打狗大陣)밖에 없다.
객잔(客棧)
-주루(酒樓), 기루(妓樓)와 같이 무림에서 절대로 하면 안 될 사업 가운데 하나. 무림 어디를 가나 있고, 규모가 작은 마을이라고 하더라도 객잔 하나 정도는 있는 경우가 많다. 숙식이 되는 여관 같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무림인이 오가는 통에 애꿎은 객잔만 작살나고 수리비도 못 받는 경우가 엄청나게 많다.
오리구이, 소면, 죽엽청이 메인 메뉴. 사실상 무협지에서 이거 이상 가는 메뉴가 나오는 일이 없어서 그런 것도 크다.
거치도(鋸齒刀)
-칼날이 불규칙한 요철 형태를 이루는 톱날 형태의 검신을 지닌 검. 정파 쪽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주로 녹림이나 사파의 인물이 사용한다. 칼날이 불규칙하게 생겼기 때문에 이것에 찢기면 상처가 매우 크고, 쉽게 아물지 않는다.
건곤권(乾坤圈)
-커다란 굴렁쇠 형상의 무기. 훌라후프처럼 반들반들한 게 아니라 보통 손잡이를 중심으로 칼날을 달아놓거나, 링을 따라서 돌아가는 형태의 칼날을 달아놓은 게 보통이다. 차크람처럼 던져서 공격할 수도 있지만, 원거리 무기로 만들어진 게 아니라서 유효사거리는 훨씬 떨어진다.
건곤권은 정확하게는 월아月牙라는 칼날이 손잡이와 가까운 위치에 달린 무기를 뜻한다.
검강성환(劍罡成丸), 강환(罡丸), 검환(劍丸)
-강주(罡珠)라고 달리 표현할 수도 있다. 검강보다 상위 단계이며, 안 그래도 내공 소모가 격렬한 검강보다 내공 소모가 몇 배는 크다. 검기를 응축해 승화시키는 검강보다 검강 자체를 응축해서 구슬 형태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
다만 이 구슬의 파괴력이 엄청나서 사람 몸에 구멍을 내는 건 가뿐하고, 철판이나 사람보다 큰 선박, 건물도 문제없이 박살낼 정도로 엄청난 파괴력을 품고 있다. 보통 검환이라고 불리는 게 이 경지.
검경(劍硬)
-내공을 무기에 불어넣어 그 기운을 뿜어내는 단계. 검사로서는 가장 하위 단계에 속한다. 어느 정도 검에서 경력을 뿜어낼 수 있게 되면, 그것을 유형의 단계로 승화시키는데 주력하는데 이렇게 눈에 보일 정도의 형상을 갖추게 된 기운을 검기劍氣라고 부른다.
검경(劍經), 비급(祕笈)
-검보(劍譜)라고도 한다. 보통 무공서, 비급의 일종으로 취급되며, 여기에는 보통 검법이 적혀 있기 마련이다. ~경, ~비급 같은 식으로 작명된다. 일단 전대 고수의 무공서가 있다는 곳에는 반드시 무림인들이 모여들며,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피바람이 일어난다.
검기(劍技)
-검을 다루는 기술, 기예. 검을 다루는 기술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검기(劍氣)가 아니다.
검기성강(劍氣盛罡), 강기(罡氣)
-검기, 검사의 상위 단계. 이 경지에 이르면 박살을 못 내는 게 없다고 할 정도로 파괴력이 증가한다. 판타지로 치면 오러 블레이드에 해당한다. 현대무협에서는 거의 디폴트로 무림인들이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다만 검강이 등장하면서부터 전투 장면이 매우 단조로워지는 단점이 있다. 파괴력이 너무 강해서 그렇게 변한 것이 흠.
다만 내공소모가 검기보다 크다. 이걸 난사한다는 건 내공이 흘러넘친다는 뜻이다.
검기상인(劍氣傷人)
-검기로 외부가 아니라 적의 내부를 베어버리는 기예. 이것에 당할 경우, 몸에는 별 상처도 없는데 갑자기 피가 튀는 식으로 묘사된다. 그냥 검기 두른 칼로 냅다 칼빵 놨다고 검기상인이 아니다. 고도의 기술이기 때문에 고수의 지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요즘은 그런 거 없다.
검기성형(劍氣成形), 성형검기(成形劍氣)
-자신의 내공을 무형으로 뿜어내는 수준이 아니라, 검 전체를 두를 정도로 명확하게 형태를 띠고 드러나는 경지를 뜻한다. 즉 이 경지에 올랐다면 최소 삼류는 면했다는 뜻이며, 고수로의 앞길에 한 걸음을 내디뎠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능이 없다면 평생토록 이 경지에 머무르는 게 다반사다.
보통 내공이 뒷받침되어야하기 때문에 내공심법도 모르는 낭인 따위가 검기를 발현하면 기적이라고 할 정도다.
검기의 형상을 온전히 이루었기에 검기성형(劍氣成形)이라고 하며, 보통 검기라 줄여 부른다. 검기를 두른 검은 강도가 상당히 높아지고 절삭력도 대단해진다. 다만 보통 이런 경우 싸구려는 검이 버티지 못하고 부서진다. 주인공이 보검 따위를 사용하는 이유.
검기점혈(劍氣點穴)
-점혈보다 상위 수법. 보통 검기로 먼 거리에서 상대의 혈도를 눌러 제압하는 수법으로, 날카로운 성질을 지닌 검기로 상대를 점혈해야하기 때문에 높은 내공의 컨트롤이 요구된다. 이 역시 고도의 컨트롤이 필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고수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비슷한 것으로는 격공점혈이 있다.
검마(劍魔), 마검(魔劍)
-마교 계열의 검 잘 쓰는 고수에게 붙는 별호. 마교주를 빼면 상대할 자가 없는 괴물딱지거나, 가는 곳마다 사람 죽이고 다녀서 이런 별명을 얻었거나 둘 중 하나인 경우가 많다.
검막(劍幕)
-한 번에 108번 이상 검을 휘둘러 검기로 이루어진 반구형의 막을 시전자의 앞에 만들어내는 방어형 기예. 필연적으로 검기를 다루는 능력이 요구되며, 검막을 시전하는 자의 수준은 보통 검막에 이르러 있는 경우가 많다. 현대무협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발전형으로는 강막(罡幕)이 있는데, 호신강기(護身罡氣)를 외부로 확장시켜서 자신을 원거리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수법이다.
검사(劍絲)
-검기를 실의 형태로 형상화하는 경지. 보통 검기의 상위 단계로 여겨진다. 다만, 인플레가 심해진 현대 무협에서는 검기 다음은 무조건 강기(罡氣)이기 때문에 사장되었다. 검기의 통제력이 높아지면 검사를 검에 휘감는 식으로도 응용하지만, 현대 무협에서는 거의 등장이 없다.
작가마다 설정이 다르기도 한데, 이 검사를 검에 둘둘 감아서 이걸 한덩어리로 만들면 검강이 된다는 식으로 이야기하기도 한다. 보통은 언급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검선(劍仙)
-남녀 고수 중 도교 계열의 문파에서 배출된 검술의 최고수. 보통은 남자 고수인 경우가 많고, 나이가 많으며, 수염을 길게 기른 신선 같은 풍모로 표현되는 것이 기본. 주로 검마나 마교주와 맞서는 역할을 맡는 정파 최후의 보루 같은 위치이며, 보통 이 별호로 불리는 양반들은 대부분 무당 출신인 게 암묵적인 묵계.
검성(劍聖), 검군(劍君), 검신(劍神), 검존(劍尊), 검왕(劍王)
-정파 계열의 검 잘 쓰는 고수에게 붙는 별호. 검 쓰는 놈들이 하도 많다 보니 대부분 검객이라 어떻게든 안 겹치게 쓰려면 이런 별호 패턴을 잘 알아두는 게 좋다. 이거보다 끗발 낮은 등급의 별호로는 00검객劍客 같은 것이 있다.
검풍(劍風)
-검경으로 자신의 내공을 어느 정도 조율할 수 있게 되면, 이것을 이용해 상대에게 충격파를 날릴 수 있다. 검으로 쏘아내는 것을 검풍, 주먹과 손바닥으로 쳐내는 것을 권풍과 장풍이라고 한다. 기를 이용한 충격파에 가깝기 때문에 권풍과 장풍은 타격을 주고, 검풍은 날카롭게 베어낸다. 다만, 검기가 상용화되면서 인플레가 심해진 현대 무협에서는 사장되어 거의 나오지 않는다.
검패(劒牌)
-도박의 한 가지. 얇은 대나무 조각에 그림과 숫자를 그려놓고 그 순서나 짝의 높낮이에 따라 승부를 가리는 것이 기본적인 게임 방식. 트럼프와 같으며, 게임 방식 자체는 포커와 유사하다.
흑검(黑劍), 흑구(黑鉤), 홍검(紅劍), 홍편(紅鞭)이 각각 열 장, 왕패(王牌)가 한 장으로 총 4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왕패를 뺀 나머지 사패(四牌)에는 1~10의 숫자가 적혀 있다.
같은 숫자가 한쌍이면 쌍검(雙劍), 1, 5, 10이 같이 있으면 삼절검(三絶劍), 다섯 개의 숫자가 이어서 나오면 연환검(連環劍), 일(一)패 4장에 왕패가 나오면 오천왕(五天王)이 된다.
쌍검이 가장 낮고, 오천왕이 가장 높다.
검편(劍鞭)
-채찍에 칼날을 달아놓은 병기. 기문병기의 일종.
채찍의 공격력에 칼을 달아서 파괴력을 극대화시킨 물건. 물론 칼을 조각조각 떼어서 붙여놓은 병기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다간 자멸할 정도로 위험한 무기. 하지만 위험한 수련과정을 거치는 만큼 그 파괴력은 독특하고 또한 굉장하다.
거치도처럼 베인 상대의 상처를 회복하기 어렵게 찢어놓는 특성이 있고, 한 번 붙들리면 말 그대로 믹서기에 갈리는 것처럼 갈려버리는 등 채찍에 칼날을 달아 공격성과 파괴력을 극대화했다. 보통 이런 기문병기는 사파, 흑도 쪽에서 사용한다.
검후(劍后), 검희(劍姬)
-여성 검객 중에서 가장 강한 고수에게 붙는 별호. 남해 보타암의 주인에게 붙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검희는 검후보다 끗발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그래도 무공이 제법 고강한 여성 검객에게 붙는 호칭.
격공섭물(隔空攝物)
-허공섭물, 능공섭물로도 표현된다. 다만 격공섭물이라는 표현 자체가 사어가 된지 오래이기 때문에 허공섭물과 능공섭물이 더 자주 사용된다.
멀리 있는 물건을 내공으로 끌어당기는 것이 주된 사용처. 이것의 수발이 자유로워지면 능공섭물이 된다. 능수능란하게 물건을 당겨서 가져오거나 멀리 튕겨보내는 등의 응용이 가능하며, 이 정도로 기의 제어가 능숙하다면 이기어검을 사용할 수 있다고 봐야 한다.
격공장(隔空掌)
-거리를 벌린 상대에게 타격을 주는 장법. 무협 소설에는 허공을 격(隔)하다라는 표현이 종종 등장하는데, 그 격하다의 뜻은 격렬하다는 뜻이 아니다. 상대와 거리가 2~3m 이상이라 해도 권기나 장력을 뿜어내어 상대에게 타격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격공점혈(隔空點穴)
-검기점혈처럼 상승의 점혈법. 상대와 거리를 두고 떨어진 곳에서 지풍이나 지력을 날려 상대가 반응하기 전에 제압하는 수법을 말한다.
상대와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다고 방심할 수 없게 하는 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지만, 요즘은 그런 거 없다.
격산타우(擊山打牛)
-권법의 기예 가운데 하나. 앞에 있는 것을 쳐서 뒤에 있는 것까지 충격을 전달한다. 격공(隔空)이란 이름이 붙는 계열 무공들과 원리가 같다. 공기를 매개로 삼아 적에게 자신의 공격을 전달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만큼, 기예 또는 경지의 하나라고 봐야 한다.
발경법의 하나로 분류하기도 한다.
격장지계(激將之計)
-적의 장수를 도발하여 분노를 유발하는 계책. 보통은 도발을 고급스럽게 표현할 때 사용한다. 격장계라고도 한다.
격체전력(隔體傳力), 격체전공(隔體傳功)
-몸을 통해 내공을 전달하는 수법. 보통은 동문의 사형제지간이 아닌 이상은 내공의 기운이 천차만별이고, 서로 상이할 때가 있어 내상을 입힐 수도 있기 때문에 보통 격체전력을 시전할 때는 같거나 비슷한 계열의 심법을 익힌 자만을 대상으로 한다.
보통은 여러 사람이 한 사람에게 내공을 몰아줘서 순간적으로 내공수위를 끌어올려 강력한 적에 대항하는 식으로도 사용하기도 한다. 물론 자신의 내공을 정해진 것 이상으로 소모하진 않기 때문에 한 번에 내공이 빨려나가는 일도 없다.
다만 이걸 사용하기 위해서는 2인 이상의 협력이 필요하다. 현대무협에는 어울리지 않는 편.
구무협에서는 이걸 내공을 심어주거나 전달해서 부하의 무공을 강화하는 용도로도 사용하기도 했다.
견강무쌍(堅剛無雙)
-견고하고 단단함이 따라올 것이 없음. 그 의지나 사물의 성질이 매우 굳고 단단해서, 누군가가 선동하려 해도 흔들리지 않음.
견강부회(牽强附會)
-온당한 이치도 살피지 않고, 가당치도 않는 말을 끌어다가 자기 주장이나 조건에 맞도록 합리화하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을 일컫는다.
비슷한 말로 수석침류(漱石枕流), 아전인수(我田引水)·추주어륙(推舟於陸)·궤변(詭辯) 등이 있다.
견마지로(犬馬之勞)
-개나 말과 같은 수고로움도 아끼지 않음.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노력이나 윗사람에게 바치는 자기의 온갖 노력을 개와 말에 비유해 낮추어 하는 말. 자신의 수고로움을 겸손하게 표현할 때 사용한다. '견마지로'라고 바로 쓰거나 '개와 말의 수고로움'이라고 풀어서 쓰기도 한다.
겸(鎌<)/h3>
-낫. 기문병기. 보통 이걸 쓰는 작자들은 쇄자겸(鎖子鎌)이라고 해서 사슬낫을 더 자주 쓴다. 그냥 낫만 쓰는 경우는 좀처럼 없다. 그냥 낫을 사용할 경우는 근접전 무기로 쓰기보다는 투척용이나 일회성으로 사용하고 본래 무기를 꺼내 쓴다. 취급이 별로인 무기.
경교(景敎)
-콘스탄티노플 대주교 네스토리우스가 주장한 신학론을 중심으로 발달한 네스토리우스 학파 기독교의 중국 현지화 명칭.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제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만을 인정한다.
빛의 종교라는 의미로 경교라 불렸으며, 당나라 시대에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당대에 유입된 네스토리우스파는 불교처럼 머리는 삭발하되, 수염을 기르고 예배를 드릴 때는 목탁을 사용하는 등 현지화를 통해 중국에 스며들었다. 선교와 의료 행위를 통해서 교세를 조금씩 불렸으며, 마니교와 함께 안사의 난 이후 세력을 확장했다.
장안 서녕방에는 대진사(大秦寺)라는 경교 교회가 있었다. 다만 조로아스터교보다 낮은 대우를 받았기 때문에, 경교의 경전에서는 조로아스터교를 악마의 종교, 악마 숭배자 등으로 비난하는 구절이 많다.
이슬람 제국이 발달하면서 실크로드가 전쟁으로 단절된 통에 유입이 끊겨 쇠퇴하였고, 삼무일종의 법난에 휩쓸려 된서리를 맞은 후, 황소의 난에 크게 학살당하며 사실상 소멸되었다.
경국지색(傾國之色), 경성지미(傾城之美)
-나라를 기울게 하는 미색, 성을 기울게 할 정도의 미모라는 뜻이다. 국가나 한 성의 운명을 위태롭게 만들 정도로 아름다운 미모를 지닌 여인을 의미하는 경구. 보통 경국지색이 많이 쓰이며, 폐월수화와 침어낙안도 비슷한 빈도로 사용된다.
경사(京師)
-주로 국가의 수도를 가리키는 말. 무협에서는 어떤 도시인지 명시하는 경우는 드물고 그냥 경사로 퉁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낙양, 장안, 북경, 남경 등의 도시가 주로 손꼽힌다. 보통은 북경을 가리킨다.
경신법(輕身法)
-몸을 가볍게 하여 빨리 달릴 수 있게 하는 경공과 적의 공격을 회피하거나 자신의 공세를 수월하게 펼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보법步法이나 신법身法을 통틀어 부르는 말. 이것들을 뭉뚱그려 보신경(步身經)이라고도 이른다.
계도(戒刀)
-소림사의 승려들이 간혹 사용하는 무기. 소림을 대표하는 무기는 곤(棍)과 권장지각(拳掌指脚), 선장(仙杖)이지만 날이 없고 삼독삼의(三毒三衣)를 경계하고 그것을 끊어낸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이 계도를 무기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항마계도 따위가 이것을 사용하는 무공으로 여겨진다.
고(鼓)()h3>
-북.
음공을 펼치는 매개체로 가끔 소설에 등장하기는 하나, 무기로는 치지 않는다. 애당초 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니기도 하고, 방울처럼 제사 같은 특수한 의식에 분위기를 잡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
그래도 사기를 진작시키는 용도로 울리는 북이라던가, 진군을 알리는 북소리 등등 제법 비중이 있는 편이다.
고금(古琴)
-금. 가야금, 거문고 등등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현악기. 음공 전용 무기 가운데 하나.
퉁소, 피리와 함께 음공을 펼치는 매개체로서 인지도를 셋으로 갈라먹고 있는 메이저한 무기. 고금 자체가 이미지가 굉장히 우아하다는 느낌을 주는지, 퉁소나 피리보다 출연 횟수가 꽤 잦다.
오죽하면 금을 연주하면서 움직이는 신법인 탄금행(彈琴行)이란 것이 존재할 정도이며, 묵향에서는 만통음제가 금에 내장된 암기인 팔황장천비를 은닉하다가 음공에 섞어 상대를 암살할 용도로도 사용하기도 할 정도로 의외로 꽤 사랑받는 병기.
비뢰도의 비류연은 이걸 둔기 대신으로 썼다.
피리나 퉁소와는 음공을 펼칠 때 범위가 차원이 다른 수준으로 묘사되며, 그 위력이 절정으로 펼쳐지면 어지간한 협곡 하나는 평지로 만든다고 할 정도로 금으로 펼쳐내는 음공은 위력이 절륜하게 묘사되는 것 또한 특징.
고독(蠱毒)
-남만 특유의 독. 수십, 수백 마리의 독물을 한 항아리에 집어넣고 한 마리가 살아남을 때까지 뚜껑을 열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고독의 독기는 무척이나 강해서, 다루는데도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보통 기생충 같은 형상으로 묘사되며, 사람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 혈관 안을 기어다니거나 내장기관에 기생하며 고독을 다루는 술자가 원하는대로 피술자에게 고통을 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런 식으로 사용되는 고독과 술자 사이에는 영교靈交가 이어져 있다고 해서, 고독이 죽으면 술자도 큰 정신적인 타격을 입고 무력화되는 경우가 많다.
고루거각(高樓巨閣)
-매우 번화한 시진, 또는 황궁 내부의 풍경을 묘사할 때 사용하는 말. 높고 큰 건물이 늘어선 거리를 말한다. 이 표현이 등장했다면 일반적인 도시 수준이 아닌 대도시 수준의 성시城市일 경우가 높다.
곤(棍)
-한자 그대로 몽둥이. 날이 없어서 치명적인 살상력을 가지지는 못하지만 두들겨 잡는데는 이만한 게 없다. 편곤(鞭棍)으로부터 파생되는 종류와 육모방망이 같은 정통(?) 방망이류로 구분할 수 있다.
편곤류는 곤이라고 하기 보다는 봉에 가까운 길이를 가지고 있고, 외형도 봉에 가까운 것이 특징. 쌍절곤 같이 짧은 곤이나, 삼절곤 같이 세 마디로 나누어지고 길이가 긴 곤, 사슬로 마디를 이어서 상대의 머리 뒤를 후리는 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편곤 따위가 대표적.
그 이외의 곤류는 대부분 몽둥이라고 지칭되기 때문에 딱히 구분할 것이 없다. 그나마 이름 있는 건 육모방망이 정도.
곤륜파(崑崙派)
-소재지는 청해성 곤륜산.
무당처럼 도가 문파이며, 신강 지역, 보통 천산산맥으로 설정되는 십만대산의 마교와 맞닿아 있기 떄문에 마교에 대한 증오가 굉장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아닌 경우라고 하더라도 일반적인 도가 문파의 도사들과는 분위기가 다르게 묘사된다.
대부분은 마교와의 싸움으로 대단히 싸움에 능숙해, 일반적인 정파의 고수와는 격이 다른 경지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구나 마교와 싸워서 그런지 싸움에 능하고 공동파처럼 수단을 가리지도 않는다. 더없이 정파이면서 정파라는 개념에서 약간 엇나가 있는 문파.
마교라고 하면 눈이 뒤집어지는 것으로도 종종 표현된다. 묵향에서는 동맹관계인 마교도들에게 먼저 시비를 거는 등 불량배 같은 모습도 보여줬다.
무공이나 초식에 구름 운雲이나 용 용龍 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대표적인 무공은 경공과 검법을 겸하는 운룡대팔식(雲龍大八式)과 용봉대구식(龍鳳大九式).
검법 태허도룡검(太虛屠龍劍), 태청용형검(太淸龍形劍).
도법 용비십구도(龍飛十九刀).
편법 영사삼십육편(靈蛇三十六鞭).
조법 용호풍운조(龍虎風雲爪).
금나수법 종학금룡수(從鶴擒龍手).
수법 육양수(六陽手), 삼음수(三陰手)
권법 낙안권(落雁拳), 추운권(追雲拳).
장법 선운비뢰장(仙雲飛雷掌), 운학장(雲鶴掌), 옥룡장(玉龍掌), 태허도룡장(太虛屠龍掌).
각법 회련각(回連脚)
경공 천기신보(天機神步), 용형보(龍形步), 비룡축전(飛龍蹴電), 금안행운(金雁行雲).
심법 미타금강강기(彌陀金剛剛氣), 태청신공(太淸神功), 상청무상신공(上淸無上神功 )정도가 이름은 거론되지만, 등장하는 경우는 드물다.
진법으로는 삼원진(三元陣)과 한매검진(寒梅劍陣) 정도가 그나마 이름을 보인다.
곤철(昆鐵), 곤오철(昆吾鐵), 곤오강(昆吾鋼)
-주로 남만에서 채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광물. 작품마다 이름이 다르게 묘사되곤 하지만 곤철, 곤오철, 곤오강은 대부분 같은 광물이다.
굉장히 단단한 광물로, 만년한철을 숫돌로 써도 만년한철이 갈려나갈 정도라는 보기 드문 강도를 지닌 광물. 만년한철에 비하면 신비성이나 이름값은 다소 떨어지는 편이지만 그 단단함만큼은 만년한철을 웃돈다.
공동파(崆峒派)
-소재지는 감숙성 공동산.
도가 계열 문파이며, 문파의 시조로 광성자를 모신다. 검은 도복을 입은 것으로 묘사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검법의 명문으로도 이름이 높다.
온건한 정파라고 하기보다는 정사중간의 성격이 강한 중립적인 문파. 정파라고 하기에는 손을 쓰면 독하게 쓰고, 특히 사파나 마교를 상대로는 수단을 가리지 않기 때문에 정파로 보기에는 약간 애매한 구석이 있다. 해서 정사중간으로도 분류된다.
보통 등장하면 음험한 음모를 꾸미는 쪽이거나, 광명정대함보다는 수단 가리지 않고 사파와 마도를 척살하려는 등 정대한 정파와는 다른 면모를 보인다.
대표적인 절기는 복마검법伏魔劍法.
검법 복마대구식(伏魔大九式), 대주천복마검법(大周天伏魔劍法), 소양검(少陽劍), 통천검(通天劍), 천운검(穿雲劍), 현천검(玄天劍), 칠살검(七殺劍), 절정검(絶頂劍).
수법 구음수(九陰手), 비봉수(飛鳳手), 복마대력수(伏魔大力手).
권법 칠상권(七傷拳)
장법 복마장(伏魔掌), 현천신장(玄天神掌).
조법 개천풍운조(開天風雲爪).
지법 백사지(白蛇指), 건곤지(乾坤指).
심법으로는 육합구소신공(六合九霄神功), 천뢰복마신공(天雷伏魔神功), 혼원일기공(混元一氣功) 등이 있다.
진법으로는 탕마검진(蕩魔劍陣)과 삼절검진(三絶劍陣) 등이 있다.
공성계(空城計)
-제갈량이 선보였던 계책 중 하나. 일부러 성을 텅 비워놓고 상대를 끌어들임으로서, 아무것도 없지만 상대가 경계하여 제풀에 놀라 물러나게 만드는 계책을 말한다. 간파당하면 오히려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는 양날의 검.
공손세가(公孫世家)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인지도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되는 수준이다.
공손 씨를 쓰는 무인은 가끔 등장하지만 무림 내에서 이름이 알려진 무인은 거의 없거나, 엑스트라 중에서도 비중이 공기일 정도. 심지어 팔대세가로 확장이 되어도 이름을 올리는 꼴을 본 적이 없다.
대표적인 엑스트라 가문. 비뢰도에서는 검존 공손일취가 등장하고, 모용세가의 검성 모용정천과 그 손자 모용휘를 꺾을 요량으로 키운 손자 공손절휘가 등장하지만, 비중은 그냥 있으나마나 한 정도.
비뢰도에서 등장한 무공으로는 노사부에게 한 방에 개털린 지존검법(至尊劍法)이 있다.
공작왕모보살(孔雀王母菩薩)
-불모대공작명왕과 같은 존재. 정확하게는 인도신화의 여신, 마하마유리가 불교에 편입되면서 보살로 변한 것. 공작명왕은 남자로 그려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공작왕모보살은 여자로 나온다. 본래 하나였던 여신이 두 명의 신으로 쪼개진 독특한 경우.
관장하는 것은 비를 내리는 능력과 재액을 쫓는 능력. 공작명왕의 능력과 같다.
공청석유(空淸石油)
-종령석유(鐘靈石油)라고도 한다. 인세에서 구하기 힘든 지극히 희귀한 영약 가운데 하나. 천지간의 정기가 모인 동굴에 지정(地精)이 모여 우유빛 액체의 형상으로 고이는데, 이걸 석유라고 하고 백년에 한 방울만 맺힐 정도로 지극히 희귀하다.
무공을 모르는 일반인이 먹으면 무병장수하며, 무공을 익힌 자는 내공을 속성으로 높여주는 공능이 있다. 다른 영약과는 다르게 복용할수록 내공이 계속 증가하는 것이 특징.
과(戈)
-창의 일종.
ㄱ자로 생긴 창날을 수직으로 부착한 창으로, 찌른다는 개념보다는 찍거나 당긴다는 개념에 충실한 무기. 상대를 잡아당겨 베거나 찌르는 식으로도 사용했다.
기병전이 주축이 아닌 전차전이 벌어지던 춘추전국시대에 주력으로 기용된 무기로, 전차전에서 전차를 모는 병사를 제외한 나머지 두 명이 이것을 들고 보병과 적 전차병을 공격했다.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 전차전이 자취를 감추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진 무기가 되었다.
과천성(過天星)
-경공의 한 종류.
하늘과 별을 지난다는 이름 그대로 재빠른 신법. 다만 이렇다 할 묘사가 존재하지 않아 어떤 종류의 경공인지는 알 수 없다. 상승 경공이라는 언급이 꽤 자주 나오는 편.
관등절(觀燈節)
-석가모니의 탄생일인 음력 4월. 초파일을 뜻한다. 이 날 집집마다 지붕 위의 관두에 식구의 숫자대로 초롱을 달고 관등놀이를 하며, 나라에서 관등연 따위를 베풀곤 한다.
관외(關外), 새외(塞外), 변황(邊荒)
-장성 너머의 지역들을 가리킨다.
보통은 새외라는 표현으로 자주 등장하며, 중원무림과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쓰인다. 변황무림, 새외무림 같은 것은 중원, 즉 중국 대륙에 속하지 않은 타 대륙이나 지방의 무림사회를 통틀어 이야기 하는 것. 중화사상이 담겨 있는 지칭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악역들은 대부분 이런 새외 지방에 있기 때문에 중원에서 정사마의 삼대세력이 치고받는 동안 힘 키워서 중원을 정복하려고 한다. 그냥 클리셰로 굳어져버린 수준.
관제묘(關帝廟)
-신격화된 관우를 모시는 사당. 무후묘(武侯廟), 용왕묘와 함께 개방 거지들의 주된 주거지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물론 그럴 경우는 보통 퇴락한 사당이라는 설명이 나온다.
관제성군(關帝聖君)
-삼국지의 유명한 장수, 관우가 죽은 뒤 신격화된 것. 도교의 신 중 하나로 받들어진다. 관제묘 안에 안치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
광동진가(廣東陳家)
-마이너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이름처럼 광동성에 자리 잡은 무림세가. 다만 광동성 어디가 소재지인지는 딱히 알려진 바가 없다. 애초에 잘 등장하지도 않는 가문인지라, 인지도도 안습하다.
궁귀검신에 등장한 산동악가처럼 드물게 이름이라도 내비치는 것도 아닌지라 더더욱 안습한 편.
남방의 무림세가로서 만도(彎刀), 진가곤(陳家棍), 그리고 권법과 약학에 통달한 세가로 그려지는 게 대부분이지만, 현대 무협에서는 아예 존재 자체가 말소된 것마냥 등장하지도 않는다. 등장하더라도 엑스트라 수준에서 끝나는 경우도 많고, 비전무공도 없는 등 처지가 안습한 가문.
괴(拐)
-일종의 톤파에 가까운 형태를 한 무기. 기문병기에 해당한다.
길이에 따라 단괴와 장괴로 나뉘고, 손에 쥐고 사용하는 무기인데다가 이 무기 자체가 근접전에서 위력을 크게 발휘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하기 까다롭다. 다만 무협에서 톤파를 무기로 쓰는 놈은 보통 안 등장한다.
교룡(蛟龍)
-상상 속에 등장하는 동물의 하나. 모양이 뱀과 같고 몸의 길이가 한 길이 넘으며 넓적한 네발이 있고, 가슴은 붉고 등에는 푸른 무늬가 있으며 옆구리와 배는 비단처럼 부드럽고 눈썹으로 교미하여 알을 낳는다고 한다.
무협 소설에서는 이름만 등장할 뿐, 실물이 묘사된 적은 없다.
보통 무협 소설에서 등장할 경우는 이무기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나, 이 경우에는 이무기 망(蟒) 자를 쓰는 뱀들로 대체되곤 한다.
교룡삭(交龍索)
-교룡의 힘줄을 꼬아서 만들었다는 밧줄. 그 특성상 매우 질기고 튼튼해서 어지간한 칼로 흠집도 내기도 힘들 정도라고 한다. 풀거나 끊기도 매우 어렵다.
교병계(驕兵計)
-일부러 져주거나 패주하면서 적의 기세를 올려주는 계책. 삼국지에서 황충이 사용했었다. 일부러 적의 사기를 올려 함정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 사용한다.
구(鉤)
-갈고리. 기문병기.
끌어당기는 부분을 제외하고 그 길이가 상당히 짧으며, 손잡이 부분에 월아를 달아서 손을 보호했기 때문에 호수구라는 이름으로도 유명했다. 구의 끝부분과 월아 부분은 양끝뿐만 아니라 전체가 날카롭게 갈린 칼날로 되어 있다.
적의 무기를 낚아채거나 의복을 걸어 잡아당겨 월아로 찍거나 찌르는 식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분수자나 아미자와는 계통이 다른 근접 무기.
구겸창(鉤鎌槍)
-갈고리가 달린 창의 일종. 기문병기.
갈고리로 기병을 말 위에서 끌어내리거나 말의 다리를 찍어 말의 기동력을 상실시키고, 떨어진 병사를 당겨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무기이다.
창끝은 예리하게 갈려있어 창 본연의 찌르기 용도에 적합하고, 창날 옆으로 삐져나온 갈고리 부분이 적의 옥이나 말 다리를 걸거나 찍는 용도로 쓸 수 있도록 안으로 굽어 있다.
안쪽으로 휘어진 갈고리는 적의 갑옷을 걸어서 끌어내리거나 적을 때려 타격을 주는 용도로도 사용되었지만, 창날이 너무 깊숙이 들어가지 않도록 저지하는 저지선 역할도 했다.
구궁(九宮)
-일백(一白), 이흑(二黑), 삼벽(三碧), 사록(四綠), 오황(五黃), 육백(六白), 칠적(七赤), 팔백(八白), 구자(九紫)의 구성(九星)에 중궁(中宮)을 더하고, 다시 여기에 건, 감, 간, 진, 손, 이, 곤, 태의 후천팔괘와 휴, 사, 상, 두, 개, 경, 생, 경의 팔문을 배합한 아홉 방위의 자리를 말한다.
하도낙서에서 유래한 것으로 중국의 전통 주역이란 바로 이 구궁과 팔괘를 응용하여 천하 만물의 도리를 밝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구궁검진(九宮劍陣)
-진법의 일종.
양의검진, 삼재검진, 사상검진, 오행검진, 육합검진, 칠성검진, 팔괘검진, 구궁검진으로 이어지는 음양오행에 기반한 검진 가운데 하나. 구궁검진이라는 이름대로 보통은 아홉 명을 중심으로 해서 펼치는 검진이다. 등장하면 보통은 칠성검진과 함께 무당의 진법일 경우가 많다.
보통 어떻다는 묘사는 잘 등장하지 않고 대사로만 구궁검진을 펼쳐라! 하고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애초에 진법이 다 그렇다. 크게 신경 쓰지 말자. 이런 게 있다고 알아두면 좋다.
구배지례(九拜之禮), 배사지례(拜師之禮)
-계수(稽首),돈수(顿首),공수(空首),진공(振动),길배(吉拜),흉배(凶拜),기배(奇拜),포배(褒拜),숙배(肅拜)의 아홉 가지 예법을 이야기한다. 흔히 말하는 아홉 번 절하는 것을 구배지례라고 알고 있지만, 이는 오류.
배사지례는 사부에게 올리는 절이며, 구배지례를 대신해서 사용이 가능한 표현. 사부가 제자를 들일 때 제자로부터 받는 절을 의미한다.
구양세가(歐陽世家)
-마이너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황제의 검의 천마교의 가문 가운데 하나로 나오거나, 구무협에서도 종종 이름을 비추는 등, 아주 인지도가 없지는 않다. 다만, 현대무협에서는 찾기 힘든 세가 가운데 하나.
다만 종리세가처럼 마이너이기는 하지만 그럭저럭 자주 등장하는 편에 속한다. 메인급의 비중은 없어도 가늘고 길게 존재감을 이어가는 가문.
주요 무공은 보통 검법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무림세가가 그런 것은 함정. 다만 가문의 이름을 따라 양강(陽强)의 검법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구엽자지선란(九葉子枝仙蘭)
-구엽자지초와는 달리 난초(蘭草)의 모양을 한 영초. 구엽자지초와 비슷한 특징을 지녔지만, 선란이라는 이름이 붙은 만큼 영기가 풍부한 심산유곡에서나 발견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정말 깊고 깊은 동굴 속이나 북해의 빙지(氷地)에서나 발견할 수 있다.
구엽자지선란이 자라는 곳은 매우 따뜻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으며, 극한지 속에서도 그런 상황을 조성할 정도로 주위에 미치는 영향력이 엄청나다. 그래서 이걸 캐게 되면 주위의 식물들이 급속도로 시들어버리는 등의 변화를 미칠 정도. 사실상 최상위급 영약.
구엽자지초(九葉子枝草)
-가지 하나에 잎이 아홉 개 달린 영초. 그 외의 특징은 딱히 묘사된 적이 없다. 매우 좋은 향기를 풍기고, 먹으면 내공이 늘어나는 효과는 있다.
구유(九幽)
-구지(九地)의 땅 속. 대지의 밑. 나락. 지옥.
자주 사용되는 표현은 아니다. 구무협에서나 일부 사용되던 표현. 지금으로서는 사장된 표현이라고 보는 게 맞다.
구음절맥(九陰絶脈)
-절맥증의 한 종류. 보통 여성이 걸리기 쉽고, 선천적으로 타고난 병일 때가 많다. 삼음, 오음, 칠음, 구음으로 구분되며 뒤로 갈수록 리스크도 크지만 고쳤을 때 얻는 메리트도 크다. 보통은 양기를 지닌 영물의 내단이나 남성과의 방사로 고쳐지는 경우가 많고, 구무협 전개 상 이런 병에 걸린 히로인은 주인공의 하렘 멤버 가운데 한 명이 되거나 정실이 되는 게 일반적.
보통 절맥증에 걸려 있는 주인공 + 여주인공은 머리가 매우 좋고 외모가 엄청나게 예쁘다는 설정이 추가적으로 따라붙는다. 대신 20살에서 30살 사이에 단명한다는 디버프도 걸려 있다.
구중천(九重天)
-가장 높은 하늘. 구천. 하늘을 아홉 방위로 나누어 지칭하는 말이자, 황제가 기거하는 처소를 높여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중앙 균천, 동방 차언, 서방 호천, 남방 염천, 북방 현천, 동북방의 변천, 서북방의 유천, 서남방의 주천, 동남방의 양천을 일컬어 구중천이라 한다.
구파일방(九派一幇)
-무협 소설에서 빼놓을 수가 없는 문파 아홉, 그리고 한 개의 방(幇)을 뜻한다.
구파란 각각 소림, 무당, 화산, 아미, 청성, 점창, 종남, 곤륜, 공동, 형산, 장백, 태산, 모산, 항산, 남해 등을 가리킨다.
보통은 소림, 무당, 화산, 아미, 청성, 점창, 종남, 곤륜, 공동이나 형산 정도를 구파로 친다. 작가마다 설정이 다르기 때문에 확실하게 정해진 건 없다. 무당과 소림, 곤륜, 아미, 화산, 청성 등은 대부분 구파의 하나로 등장한다.
일방은 개방으로, 사실 무협 소설이 초기에 들어왔을 땐 천룡방이란 방파였다고 하지만 어느새 개방으로 변질되었다고 한다.
구호탄랑지계(驅虎呑狼之計)
-삼국지에서 유래한 것. 늑대를 통해 호랑이를 잡는다. 순욱이 조조에게 건의한 계책 중 하나로 유비가 원술을 칠 수밖에 없도록 만들고, 그 틈을 타 여포가 서주를 집어삼켜 두 사람의 사이를 갈라놓는데 성공한다.
구환도(九環刀)
-도검의 일종. 박도와 비슷한 생김새에 칼등에 고리 아홉 개를 달아놓은 물건. 박도처럼 투박하고 다소 짧은 칼이지만 그 덕분에 중병인 도刀 중에서도 상당한 민첩하게 상대를 공격할 수 있는 무기. 칼등에 고리가 아홉 개 달렸다는 외관적 특징 외에 병기적 특징은 설명할 것이 따로 없다.
군자산(君子散)
-내공을 쓸 수 없게 만드는 산공독의 일종. 군자처럼 다른 이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그 효과도 다른 산공독에 비하면 온유한 편이라 붙은 이름이다. 내공을 끌어올리면 극심한 고통을 주거나, 급속도로 내공이 빠져나가는 다른 산공독과 다르게 약효가 전신에 퍼지면 최소 하루 동안은 내공을 사용할 수가 없다.
궁신탄영(弓身彈影)
-몸을 활처럼 휘었다가 그 탄력을 이용해 앞으로 튀어나가는 상승의 경신법.
권(圈)
-직경 24~30cm 가량의 금속제 링 형태를 한 무기군 전반을 지칭한다. 기문병기.
생김새는 보통 금속제 링에 칼날을 덧붙이거나 손잡이를 제외한 부분의 날을 날카롭게 갈아 세워 상대를 베거나 공격을 방어하는데 사용한다. 자모원앙월 같은 무기와 마찬가지로 상대와 근접해서 싸워야 하는 이들에게 큰 효과를 발휘한다.
다만 자모원앙월처럼 원형의 링 형태에서 아주 탈피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검 같은 무기에 대한 저지력은 원앙월보다는 떨어진다.
귀두도(鬼頭刀)
-칼 손잡이 끝에 귀신 머리처럼 생긴 장식을 달고 있는 도검. 끝이 뭉툭하고 폭이 넓은 광도(廣刀)에 해당한다.
귀식대법(龜息大法)
-무협지에서 흔히 나오는 것 중 하나. 오래 잠복할 필요가 있거나 하면 종종 등장한다. 단순히 호흡을 멈추는 것뿐만 아니라 심장 박동을 느리게 하고, 체온을 내려서 인기척을 없애는 수단으로 사실상 사용하면 거의 반 시체에 가까워진다. 주로 적의 동정을 은밀하게 살피거나 할 때 사용한다.
다만 일단 사용하면 내공의 수준에 따라 깨어나는 시간만 조절할 수 있는 게 단점. 경지에 오르면 귀식대법을 사용하면서 주위의 것들을 보고 듣는 게 가능해진다고 한다.
규화보전(葵花寶典)
-황궁에 있는 무공서적 가운데 제일 기묘한 물건. 환관밖에 익힐 수 없고, 익힐수록 여성화가 심해진다. 다만 그 위력이 절륜하여 동창에 속한 환관들의 대부분은 이 규화보전을 익히는 게 통례처럼 묘사된다. 물론 그래봐야 대성한 놈은 한 명밖에 안 나온다. 그게 주인공과 적대관계면 끔살당하는 게 보통.
극(戟)
-서양의 폴암에 해당하는 고대 중국의 무기.
다만 인지도는 창에 밀려서 좀처럼 등장이 없다. 고대의 무기인 과와 창을 결합한 듯한 형태가 특징으로 당기고, 찍고, 베고, 찌르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다만 삼국시대를 거치면서 극은 창에게 밀려 그 위치를 내주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삼국지에서는 여포의 방천화극, 전위의 쌍철극, 장료가 극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제법 메이저하기는 했지만 기병의 저지에 있어 창보다 못했기에 사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정확하게는 중갑을 걸친 기병에게 유효타를 줄 수 없었기에 사장된 것.
뾰족하게 위로 솟은 창날은 첨자尖刺, 또는 자(刺), 옆에 붙은 보조날은 원(援), 또는 지(枝)라고 한다.
금강(金剛)
-소림의 직위 가운데 하나. 보통은 무공을 익히는 무승들에게 주어지는 호칭으로, 소림의 최고 정예 4인방에게 주어지는 호칭이다. 보통 사대금강이라고 한다. 청적흑백의 사색으로 구성되는 것이 기본이며, 백팔나한의 상위급 고수인 경우가 많다.
사천왕(四天王)과 함께 소림의 수위급 고수로 다루어지기도 한다.
금강궐(金剛橛)
-보파저(報罷杵)라고도 한다. 금강저의 밑에 다른 무기를 붙여서 무기로 사용하는, 말하자면 전투용 금강저라고 볼 수 있다.
금강동인(金剛銅人)
-죽기 직전에 금강불괴지신을 이루고 죽은 나한들의 몸에 대법을 베풀어 만들어낸 존재. 강시의 일종이며, 소림사를 보호하는 최후의 방어선이다.
살기에 반응하여 움직이며, 그 몸은 이미 죽기 전 금강불괴를 이루었기 때문에 도검이 박히지 않고 살아있는 것도 아니기에 수많은 독을 써도 타격을 입지 않는다. 죽지도 살지도 않은 경계에 있기 때문에 상대하기 어려운 소림사 최후의 호법신(護法神).
다만 살기에 반응하기 때문에 살기를 아예 죽여버리거나, 살심을 일으키지 않으면 공격받지 않는다.
작품에 따라 다르지만, 소림에서는 이들이 지키는 산문을 내려가는 것을 하산 의식으로 치르기도 한다.
금강불괴(金剛不壞)
-도검불침의 금강지체, 수화불침의 불괴지체를 통틀어 부르는 말. 도검과 수화가 불침한다는 것은 도검과 물, 불에 의해서 해를 거의 입지 않는다는 뜻이다. 따로 의식하지 않아도 금강석 같은 신체로 방어하고 호신강기가 저절로 일어나 자신을 지키는 경지. 다만 만독불침은 아니라서 내장부터 녹아 죽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 아래에 은강불괴나 동강불괴 같은 건 없다. 금강불괴로 끝이다.
금강수(金剛手)
-밀교(密敎) 비전의 무공. 양손에 강력한 기운을 휘감아 상대를 연달아 후려치는 무공. 이 무공을 사용하면 마치 빛의 구체가 양손에 맺히는 것처럼 휘황한 빛을 내기 때문에 알아차리기 쉽다. 수手법이기 때문에 권법, 장법, 지법, 조법 등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금강역사(金剛力士)
-불교의 수호신으로, 인왕역사仁王力士라고도 한다. 손에 금강저(金剛杵)를 지니고 있는 불교의 수호신이나 보살이다.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문의 좌우에 서서 수문신장(守門神將)의 역할을 한다.
구무협 작품 일부 중엔 힘이 강하고 체구가 크며, 강한 자를 일컬어 금강역사라고 부르기도 했다.
금나수(擒拏手)
-사로잡고 붙잡는 수법(手法)을 총칭한다. 혈도를 제압하거나 상대를 말 그대로 붙잡거나 사로잡고 제압하는 방식의 무공. 주로 노리는 위치는 손목의 혈도나 어깨의 견정혈 등, 제압하기 쉬운 곳을 노린다.
금리도천파(金鯉倒千波)
-금빛 잉어가 천 개의 물결을 넘는다는 의미의 경신법. 몸을 틀어 상대의 머리 위를 넘어가거나 공세를 아예 무위로 돌리는 등으로 응용할 여지가 있다. 몸을 틀어 그 탄력을 이용해 이동하는 무공. 구무협 시절에도 잘 안 보이던 경신법이다.
금분세수(金盆洗手)
-황금 대야에 손을 씻는다는 뜻. 늙은 고수가 무림을 떠나 여생을 보내기로 결정했음을 알리는 말이며, 사실상 명망 높은 고수라면 은퇴식을 겸해 연회가 열리는 등의 이벤트로도 사용된다. 강호의 모든 은원을 끊고, 손을 씻고 자신은 무림의 뒷자락으로 물러나겠다는, 은퇴하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금선사(金線蛇)
-몸통이 작고 몸에 금빛 줄이 그어져 있는 독사. 동물성 독물의 한 가지. 묘강이나 남만의 독곡 같은 문파에서 사용하는 독물이나 암기로도 등장한다. 현대무협에선 잘 보이지 않는다.
금전(金磚)
-벽돌. 암기, 기문병기의 일종.
금속으로 만든 벽돌 형태의 암기를 뜻하지만, 삼각추 형태나 유성추 형태로도 만들어 쓴다. 금속 뭉치를 적에게 던진다는 점에서 황충蝗蟲을 본뜬 형태를 하고 있는 당문 비전의 암기, 비황석과도 공통점이 있다.
금전표(金錢鏢)
-암기의 일종. 나한전(羅漢錢)이라고도 달리 불리는 암기.
말하자면 그냥 동전을 팔힘만으로 쏴서 상대를 죽여버리는 암기다. 가공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거나, 동전의 끝을 날카롭게 갈아서 사용하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다만 암기 자체가 그렇게 위력적인 게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량, 또는 내공 수위에 따라 위력이 천차만별. 일격에 사람을 죽일 정도의 금전표는 말 그대로 대량살상무기나 다름없는데, 사용자의 내공이 그만큼 깊거나 기량이 뛰어나다는 뜻이기 때문.
금존청(金尊淸)
-무협지에서 흔히 등장하는 비싼 술 가운데 하나. 죽엽청(竹葉淸)만 퍼먹이기 좀 그러면 가끔 등장한다. 죽엽청보다 끗발이 높은 명주.
금종조(金鐘弔)
-외공의 하나. 수련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고, 찔리면 거의 즉사하는 약점인 조문(弔門)이란 약점을 지닌 하급 외공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신체를 단단하게 단련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중수법 같이 몸 내부를 공격하는 수법에는 여지없이 파훼당한다.
금창약(金瘡藥)
-피부가 갈라지거나 외상을 입었을 때 바르는 약. 보통 칼침 맞은 자리에 바르는 것으로 회복력이 상당히 좋은지, 이거 바르고 얼마 안 가 금방 상처가 낫는 모습을 보여준다. 무림에서는 상비약 수준으로 사용되는데, 어디서 칼침 맞을 일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
지혈 효과도 있고 외상을 금방 아물게 하는 효능을 지녔다. 무슨 약재를 조합해서 만드는지는 불명.
금타(金駝)
-낙타. 만리신타 같은 이름으로도 등장하지만, 대막지방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문파라고 하더라도 이거 타고 다니는 경우 못 봤다. 개나 소나 사막에서 말 탄다. 가끔 등장해봐야 사막 건너가는 대상 집단이나 타는 경우가 태반일 정도로 취급이 좋지 않다.
급급여율령(急急如律令)
-율령과 같이 서둘러 행하라는 뜻.
도사나 무당이 사령(邪靈)을 내쫓을 때 주문의 말미에 덧붙이는 어구. 도교의 전래를 따라 한국 무속계와 일본의 음양도, 밀교에도 흡수되었다.
보통은 사령에게 빨리 물러나라고 촉구하거나, 천상의 신령에게 빨리 일을 처리해 달라 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기경팔맥(氣經八脈), 기혈(氣穴)
-기가 흐르는 경맥과 전신의 혈도를 통칭하는 말. 기가 흐르는 주 경로의 수가 여덟 개라서 기경팔맥인지 아닌지 알 길이 없다. 기혈은 이 기맥, 경맥이라 달리 불리는 것과 혈도를 통칭한다.
보통 주인공이나 적이 심각한 내상을 입었을 때 기혈이 뒤틀린다는 표현을 쓴다.
기관(機關)
-기관토목(機關土木). 무림의 하이 테크놀로지. 기관장치로 개조한 곳은 던전의 함정지대처럼 죽음의 대지로 변모한다. 물론 여기에 진법까지 더해지면 그야말로 빠져나갈 곳이 따로 없을 정도로 무서운 곳이 된다.
암기와 독 따위를 살포하는 직접 공격형 기관과 위치를 조작하거나 해서 미로를 만들어 상대를 헤매게 하는 식의 기관이 있다.
보통 이 계열의 대가는 진법과 함께 제갈세가의 주전공으로 꼽히는 경우가 많다.
기루(妓樓)
-홍등가. 창기(倡妓), 창기(娼妓). 예기(藝妓)나 또는 은퇴한 기녀들인 노류장화(路柳墻花)들이 몸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몸 파는 기녀만 있는 게 아니고 노래를 잘 부르는 기녀, 학식이 뛰어난 기녀, 또는 예도에 뛰어난 기녀 등등 다종다양한 재능을 지닌 여인들이 다수 있다. 보통 이런 곳에 속한 이들 중 뛰어난 자들은 대부분 사연이 있어 기녀가 된 것이 대부분.
물론 보통은 술 처먹고 난동부리는 무림인들 때문에 애꿎은 기루가 피보는 경우가 많은 만큼, 무림의 기피업종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기문방술奇門方術
-기문둔갑술, 주술 등등 공명정대하지 못하고 사악하고 사이한 술수. 좌도방문의 술수라고 멸시당하기 마련이다. 사람의 감각을 속이고, 혼란시키거나 사실상 마법에 가까운 효과를 발생시키는 기문진 같은 것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기문병기(奇門兵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무기가 아니라, 인지도가 낮고 운용방식이 까다롭거나 수련 방식 자체가 이질적이고 병기 자체의 생김새가 특이하여 상대하기 까다로운 병기의 총칭.
검, 도, 창, 도끼, 활 같은 메이저한 무기 이외의 대부분의 무기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이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무기의 수가 장난이 아니게 많다.
기수괴금(奇獸怪禽)
-신수이금神獸異禽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기이한 들짐승, 괴이한 날짐승이라는 뜻. 신수이금은 신령한 짐승, 기이한 날짐승이란 의미.
간단하게 말하자면 영물을 가리킨다.
기수식(起手式)
-비무를 행할 때 펼치는 첫 초식. 비공격적이지만 화려한 것이 특징이며, 상대에게 예의를 표하는 초식이기 때문에 살기가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동자배불, 선인지로 같은 것이 대표적이다.
기암괴석(奇巖怪石)
-주위를 뒤덮은 기이하게 생긴 바위, 괴상하게 생긴 암석군의 무리를 가리킨다. 보통 상황에선 잘 등장하지 않고 분지, 계곡, 절벽 등에 둘러싸인 지형이거나 제갈공명의 팔진도처럼 인위적인 조작이 가해진 진법의 축으로 등장하는 조각상 등이 나올 때 가끔 나오는 표현.
기어병(氣馭兵)
-이기어검 계통의 기예. 검과 도 등의 일부 무기를 제외한 무기들을 다루는 경지. 창과 극 같은 무기들을 사용하는 고수들을 등장시킬 경우 그들을 띄워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이기어검이나 회공어수도(回空馭手刀) 같이 별개로 구분되는 경지를 가진 무기군에 기어병이란 표현을 사용하면 안 되는 것에 주의.
기어병(氣御兵)
-무기를 완전히 자신의 통제권 안에 넣었음을 가리키는 경지. 무기를 날려보내 싸우는 어병(馭兵)의 경지를 넘어선 경지. 어검술, 신검합일과 엇비슷하다.
기의 수발이 자유로워지며, 무기가 없어도 사실상 무기를 든 것 같은 위력을 낼 수 있는 경지. 이쯤 되면 사실상 심검의 경지에 가까워졌다고 볼 수 있다.
기연(奇緣)
-주인공, 보통 어린 주인공에게 주어지는 고속성장을 위한 특별 이벤트 같은 것. 몇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절벽낙하형, 고인안배형, 영물내단형, 사부조우형, 자연지물형이 보통이고, 보통 절벽낙하형 기연이 대부분을 포괄하는 개념인 경우가 많다. 무협지에서 절벽에서 떨어지면 기연을 만난다더라는 카더라가 괜히 있는 게 아니다.
기재(奇才)
-천재, 수재보다 한 끗발 높은 표현. 그야말로 천재 중의 천재를 가리키는 단어. 무협지에서는 개나소나 기재이기 때문에, 발에 채일 정도로 굴러다녀서 그다지 큰 감흥이 없는 단어. 기재 정도로 취급하는 적이나 라이벌이 나오면 보통은 얘도 주인공의 밥이구나, 하게 된다.
수재(秀才) -> 천재(天才) -> 기재(奇才) 순으로 끗발이 높아진다.
기제병(氣制兵)
-무기를 제어하는 경지. 이기어검의 초입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창, 극, 석장 등의 무기를 사용하는 고수뿐만 아니라 그 외의 무기를 사용하는 고수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경지.
손에서 살짝 떨어진 무기를 뜻대로 부릴 수 있는 경지라고 볼 수 있다. 달리 본다면 검기를 내뿜을 정도의 경지에 이른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기진이보(奇珍異寶)
-신병이기, 신수괴금, 기화요초 등 무협지 내에서 좋다고 하는 물건들을 모조리 통틀어 칭하는 말.
기화요초(琪花瑤草)
-주위의 풍경이 아름답다는 걸 묘사하기 위한 말로 사용한다. 기화영초(琪花靈草), 기화이초(奇花異草) 등의 비슷한 단어가 존재. 뜻은 대부분 아름다운 꽃과 풀이 우거진 풍경을 가리킨다.
* * *
• 구파일방
• 무공
• 무술
• 무협
• 무협사전
• 웹소설
• 웹소설작가
• 작가
• 중국
• 중국무협
• 탄마
• 탄마무협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