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사전 [하]
하북팽가(河北彭家)
-무림세가의 하나. 메이저급 무림세가 다섯 개 중 하나.
하북의 당산(唐山)에 있다.
도법의 명수를 다수 배출한 것으로 유명하며, 이름난 도객은 대부분 이 가문 출신이거나 전대 고수의 도법을 이어받는 등의 기연을 얻은 이들, 자수성가한 도객 등등이 대부분. 그만큼 도법이란 무공에 있어서는 가장 메이저한 인지도를 얻고 있는 가문.
다만 성질이 폭급해서 일을 그르치는 쪽으로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성질 더러운 정파 놈들의 대명사처럼 쓰인다.
대표무공은 오호단문도, 심법은 알려진 게 없다.
하남진가(河南眞家)
-무림세가의 하나. 하남 지방에 있다.
하북의 무림세가인 하북팽가처럼 하남에서 가장 유명한 무림세가라고 볼 수 있다. 다만 하북팽가에 비하면 인지도가 바닥을 기다 못해 심해 바닥을 박박 긁는 수준.
대표적인 무공은 크게 알려진 건 없고, 진가 태극권 정도가 이름이 있다. 큰 특징이 보이지 않고 워낙 마이너해서 다루는 소설도 조역 수준에서 잠깐 등장하고 말아서인지 정보도 없는 편. 북리, 동방세가처럼 그냥 공기 중 하나다.
하후세가(夏候世家)
-마이너와 메이저의 경계 사이에 있는 무림세가.
아이러니한 것은 이 가문 출신으로 유명한 인물로 원래 하후씨인 조조, 하후돈, 하후연 등이 있다는 것. 삼국지의 유명한 무장들이 이름을 알린 가문답지 않게 무협 소설에서의 비중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
그나마 비뢰도에서 도성 하후식 정도가 등장한 게 전부. 이름은 거론되지만 무협소설에서 큰 비중을 가지고 나오진 않는다. 무공도 정해진 것이 없고.
마이너의 숙명이다.
학령초(鶴靈草)
-식물성 극독의 한 가지. 독성이 엄청나다. 따로 묘사되는 외관적 특징 같은 것이 없다.
학정홍鶴貞紅
-학의 벼슬에서 추출한 동물석 극독의 대명사.
해동(海東)
-무협지에서 한국 지역을 지칭한다.
크게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한국무협에서는 이곳에 존재하는 세력이 있으면 매우, 엄청, 더럽게 강하게 묘사해주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게 전생검신의 십이율주 같은 것.
좌백의 천마군림에서는 홍길동 같은 캐릭터가 등장하며, 해동 구선문이란 문파가 있다고 언급되는 등 명왕유명종과의 전쟁에서 상당히 활약하는데 무공보다는 선술 같은 것에 능통하다고 한다.
보통 해동 지방에 등장하는 문파는 장백산, 즉 백두산의 장백파뿐이다. 대부분은. 해동을 대표하는 문파처럼 그려지다 보니 장백파의 무력은 중원에서 놀러온 놈들 정도는 가볍게 찜쪄먹을 정도로 강하게 묘사되는 게 보통이다.
허공답보(虛空踏步)
-최상승 경공의 하나. 다만 능공허도보다는 급이 낮다.
아무것도 없는 허공을 발로 차면서 이동하는 경공. 허공을 계단을 오르듯 걸어 올라가는 천상제, 허공에서 뛰고 눕고 걷고 온갖 행동이 가능한 능공허도와 달리 말 그대로 허공을 차고 몸을 날리는 것 이상은 하기 힘들다.
그래도 최상승 경공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걸 펼친다는 건 고수란 얘기다. 애초에 아무것도 없는 허공을 발로 찰 순 없으니까.
혁련세가(赫連世家)
-마이너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낙향문사전에서 제법 주류로 다루어진 바 있다.
소재지는 불명. 섬서로 설정되기도 하고, 다른 지방으로 비정되기도 하는 등 위치가 뒤죽박죽이다.
마이너 무림세가 대부분이 그러하듯이 무공이 정해진 것도 없고, 특징이 정해진 것도 없으며, 소재지마저 불명이라는 삼관을 충실히 따르는 세가.
이렇기 때문에 오히려 창작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혈도(穴道)
-기가 흐르는 길이 경맥이라면, 혈도는 그 경맥을 이어주는 중간 연결지점이다. 혈자리 자체는 구글링하면 나오니 그쪽을 참고.
유명한 혈도로는 점혈하면 목소리를 막아버리는 아혈(啞穴), 누르면 전신이 마비되는 마혈(痲穴), 누르면 죽는 사혈(死穴), 점혈하면 기절하는 혼혈(昏穴), 점혈당하면 잠드는 수혈(睡穴), 그리고 타격당하면 심대한 타격을 입는 명문혈(命門穴), 쇄골이 겹치는 오목한 부분의 천돌혈(天突穴), 상박근과 하박근으로 이어지는 팔꿈치 부근의 곡지혈(曲池血), 눈썹 끝과 눈 사이의 관자놀이 부근에 자리한 태양혈(太陽穴), 가슴 아래 부분의 가슴이 시작되는 지점을 가리키는 유근혈(乳根穴) 등이 있다.
태양혈의 경우 불룩하게 솟았다는 표현이 종종 등장하는데, 과거에는 고수의 지표로 쓰였다. 다만 현대 무협에 들어와서는 태양혈 위치가 알려져서 그런지 그런 표현은 등장하지 않는다.
호북유가(湖北柳家)
-호북성에 위치하고 있는 무림세가.
물론 인지도는 없다. 호북에는 무당파와 제갈세가가 있기 때문에 이 가문이 등장하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나름 검으로 일가를 세운 가문인데, 그에 대한 언급조차도 없다.
제일 운수 더러운 가문이라고 봐도 좋다.
호접표(胡蝶鏢)
-당문 비전의 암기 가운데 하나. 나비처럼 팔랑거리며 날아가 한순간 급격하게 궤도를 틀며 상대를 습격하는 기문병기. 생긴 것은 아무런 특징 없는 매미 허물만큼이나 얇고 가느다란 얇기를 자랑하는 작은 원반의 형상이며, 이것이 팔랑거리며 날아다니는 모습이 나비 같아 호접표라는 이름이 붙었다.
화골산(化骨酸)
-사람의 시신을 흔적도 없이 녹여 없앨 때 사용하는 약물. 흔히 악역들이 자주 갖고 다닌다.
환(環)
-팔목에 차는 것, 손가락에 차서 암기로 사용하는 것, 검 자체가 팔찌처럼 변해 손목에 찰 수 있는 것 등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모두 합쳐서 환이라 퉁쳐서 부른다.
무기라면 무기라고 할 수 있고, 기문병기에 속하는데, 공격적인 운용보다는 체술을 사용하는 무인의 보조를 맡는 것에 가깝다. 방어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기본이 되며 팔목이나 발목 부분에 찬 환으로 적의 공격을 막고, 환의 무게를 실어서 상대를 공격하는 식으로 운용한다.
손가락에 차는 환의 경우는 말 그대로 상대에게 쏘아내서 몸을 꿰뚫거나, 아예 환 자체에 독, 또는 폭약이 장치되어 있어서 환이 폭발하면서 주위를 날려버리는 미친 암기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활(弓)
-무협지에서 어지간해서는 안 나오는 무기. 궁귀검신 이후 이거 쓰는 주인공은 신궁 말고 본 기억이 없다.
원거리 무기의 메리트가 없는 무협 소설 특성상 나와봐야 큰 활약은 못하기 마련이나, 정말로 미친 듯이 강한 궁사는 주인공에게 위기를 가져다주기도 하는 등의 활약을 한다. 물론 그래봐야 결과는 끔살이지만.
이기어검의 경지에 해당하는 이기어시(以氣馭矢)의 경지가 있다. 물론 보통은 안 나온다.
황보세가(皇甫世家)
-무림세가의 하나. 메이저와 마이너 사이를 오가는 가문.
산동 지방의 태산(泰山)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문 사람들은 성격이 호방하고 근골이 장대하여 다른 이들보다 머리 한둘 정도는 크게 묘사되는 것이 보통이며, 그런 몸을 타고나서 그런지 검 같은 무기를 사용하는 무공보다는 권각을 사용하는 무공에 치중한다.
성격이 호탕하고 진솔하다는 묘사가 많다. 권법뿐만 아니라 검법에도 조예가 있다는 설정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무공은 천왕권, 벽력신권, 천왕삼권, 쾌활삼검법, 뇌진검법 등이 있고 심법은 수미천왕신공. 진주언가와 함께 권법으로 이름을 떨친 가문이다.
회광반조(回光返照)
-죽기 직전에 맑은 정신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가리킨다. 보통 세뇌나 조종당하던 아군이 주인공의 손에 죽기 직전의 타격을 입은 상태에서 비장한 연출을 위해 정신이 돌아오는 모습을 보여주는 장치. 죽기 직전에 원기를 잠시 되찾는 것을 가리키기 때문에 마지막 불꽃을 불사르는 듯한 모습을 보이며, 이 단어가 나왔다는 것은 그 등장인물이 곧 죽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선인(回旋刃)
-부메랑. 기문병기. 근데 보통 이게 나올 이유는 없다. 자잘한 타격을 줘봐야 결국 상대를 제압하지도 못하고 살상하지도 못하기 때문.
그렇기 때문에 등장하는 부메랑은 크기가 매우 크고, 통짜 쇠로 만들어져 있어 사람 죽이는 병기로 쓰인다. 물론 이거 주력으로 쓰는 놈은 본 적도 없고, 애초에 이거 언급된 작품은 비뢰도 말곤 본 적이 없다.
후발제인(後發制人)
-나중에 출발하여 먼저 제압한다는 뜻. 선즉제인(先卽制人)과는 반대개념이다.
보통 고수 간의 싸움에서 무기를 나중에 뽑아든 쪽이 먼저 공격해온 상대의 무공을 눌러버리거나 파훼하는 장면에서 자주 언급된다. 공격한 쪽보다 수비한 쪽의 무공 수위가 더 높다는 걸 강조하기 위한 표현이자 장치로 활용하는 것이 대부분.
이 표현이 나온 쪽은 강자라는 뜻이구나, 하고 알아먹으면 된다.
후토(后土)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흙, 땅의 신. 황제의 신하 가운데 하나로 나침반에 해당하는 지남차(指南車)를 만들었다고 한다.
* * *
• 구파일방
• 무공
• 무술
• 무협
• 무협사전
• 웹소설
• 웹소설작가
• 작가
• 중국
• 중국무협
• 탄마
• 탄마무협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