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언가(晋州彦家)

URL: https://tanma.kr/china/eonga.html

1. 개요


언가권이라는 권법으로도 유명하지만, 강시술로도 유명한 유명한 무림세가이다. 강시술 때문에 기괴하고 악랄한 가문으로 경원시되고 있는 세가다. 사파도 아니지만 정파로도 끼워주지 않는다.
그런데 원래는 강시술과 상관 없는 문파였다. 한국 무협에 정착하면서 강시술 문파로 변화되고 성씨와 위치도 변화된 문파다.


(1) 위치

하북성 진주(晋州). 김용의 [서검은구록]에 처음 등장할 때는 호남성의 진주(辰州)에 위치한 언가권이라는 무림문파로 나온다.


(2) 역사

김용선생의 1955년 작 [서검은구록]에 등장하는 가문이다. 이때는 청나라 황제 건륭제의 시위 중에 언백건이라는 인물이 있는데, 호남성의 진주(辰州)에 위치한 언가권이라는 무림문파 장문인 출신으로 나온다. 이 언백건이 구사하는 무공이 ‘언가권(言家拳)’이다.

언백건이 쓰던 권법 중에 강시권이라는 것이 있는데, 강시처럼 독특한 자세를 취하는 무공이다. 팔을 쭉 뻗고 무릎을 구부리지 않은 자세로 싸웠다고 한다.

그런데 한국에서 정착하면서 성씨가 말씀언(言)에서 선비언(彦)으로 바뀌고, 위치도 호남성의 진주(辰州)에서 하북성 진주(晋州)로 바뀐다. 그리고 강시권이라는 무공을 한다는 것이 강시를 만드는 문파로 바뀌게 된다.

이후 한국에서는 하북성 진주언가는 강시를 만드는 기괴한 문파로 인식이 된다. 이제는 김용의 소설에 나왔던 호남성 진주 언(言)가는 흔적이 없고, 하북성 진주 언(彦)가로 자리 잡았다.


(3) 문화

강시술 때문에 기괴한 세가로 설정되지만, 사람들 성품은 악하지 않아 정사지간의 문파라는 특성이 있다.


(4) 조직


(5) 구조와 건물


2. 무공

진주언가는 권법과 강시술로 유명한 세가이다. 언가권이 대표적인 권법이고, 귀영매라는 강시술이 대표적인 술법이다. 진주언가의 강시술로 만든 강시는 단단하여 도검이 잘 안 먹히는 강시로 설정된다.


축기술(蓄氣術) : 심법(心法), 신공(神功) 등

무기술(武器術) : 검법(劍法), 도법(刀法), 창법(槍法) 등
- 삼절검(三絶劍)

용체술(用體術) : 권장수지각법(拳掌手指脚法), 경신보법(輕身步法) 등
- 진주언가권(晋州彦家拳)

법등술(法等術) : 진법(陳法), 전음술(傳音術), 방술(方術) 등
- 귀영매(鬼影魅) : 강시를 부리는 술법.


* * *



• 9파1방 • TANMR.KR • 僵尸 • 僵尸術 • 晋州 • 晋州彦家 • 晋州彦家拳 • 鬼影魅 • 강시 • 강시권 • 강시술 • 구파일방 • 권법 • 귀영매 • 김용 • 무공 • 무림전도 • 무협 • 무협사전 • 문파 • 서검은구록 • 언가권 • 언백권 • 웹소설 • 중국 • 중국무협 • 진주 • 진주언가 • 진주언가권 • 탄마 • 하북성 • 호남성 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