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삼, 청건, 푸른 수실의 장검이라는 복장이 특징이다. 검에 매단 수실의 매듭 수로 문하제자의 등급을 나타낸다. 매듭이 하나면 일결, 매듭이 두 개면 이결이다. 일결로 시작해 장로급이 오결이다.
매듭은 입문한 순서대로 받는 것이 아니라 무공 수준으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오결검객이 끝이지만, 오결검객 2명이 펼치는 형산파 최고의 합격진인 건곤참을 단신으로 격파하면 육결 검객 호칭을 얻을 수 있다.
장문인, 장로, 문하제자 구성이다. 장로 중에서는 수석장로가 있다. 대개 형산파 최고 고수는 오결검객으로 설정되지만, 전설적인 고수인 경우에는 육결검객이 등장하기도 한다.
형산파는 타문파와는 다르게, 독특한 내가진기를 운용하여 특유의 독특한 검기를 내뿜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검술을 주로 많이 사용하는데, 가장 유명한 무공은 원숭이가 사과를 따는 모습에서 영감을 얻어서 만들어진 원고검법이다. 총 9종의 검법, 7종의 수예, 5종의 신공절학이 전해져온다 한다.
축기술(蓄氣術) : 심법(心法), 신공(神功) 등
- 광양신공(光陽神功) : 양강계열의 신공일 것으로 추정.
- 유살검기(幽煞劍氣) : 형산파만의 독특한 내가진기를 운용, 음유하고 살기 짙은 검기를 내뿜는다.
- 원영만기(猿影滿炁) : 원공검법이 절정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만이 발출할 수 있는 특출한 검기. 검기가 빠르고 은밀하여, 사방을 무섭게 휩쓸고 지나간다.
- 대유혼성검기(大幽魂魂劍氣) : 유살검기보다 훨씬 더 음유하다.
무기술(武器術) : 검법(劍法), 도법(刀法), 창법(槍法) 등
- 연혼팔검(燃魂八劍) : 형산파 아홉 종류의 검법 중 서열 1위 검법이다. 장로회의에서 통과한 인물에게만 전수된다고 한다.
- 원공검법(猿公劍法) : 형산파 대표검법으로 서열 3위 검법이다.
- 유룡십이검(遊龍十二劍) : 서열 4위 검법
- 칠살검법(七殺劍法) : 서열 5위 검법. 형산파의 검법은 물론 강호를 통틀어서도 상당히 빠르고 명문정파 답지 않은 살기가 짙은 검법.
- 청풍검결(靑風劍決) : 서열 7위 검법.
- 구주파천황(九州破天荒)
용체술(用體術) : 권장수지각법(拳掌手指脚法), 경신보법(輕身步法) 등
- 유혼십이수(幽魂十二手) : 공격이 빠르고 변화가 다채롭다.
- 서설지(瑞雪指) : 눈이 내리는 듯한 가벼운 손가락 짓에 가공할 위력.
- 월광지(月光指) : 정식 이름은 월광조산하(月光照山河). 다섯 손가락을 튕겨 네 가닥의 달빛 같은 섬광을 내뿜는다고 한다.
- 용음조(龍音爪) : 용의 울부짖음을 연상케 하는 파공음을 동반한 강력한 조법.
- 구선비응(九旋飛鷹) : 형산파 상승 신법. 익히기가 어려워서 보통의 형산파 제자는 십 년 이상 노력해야 겨우 터득할 수 있다고 한다.
- 일섬풍(一纖風): 보법으로 가볍고 민첩해서 짧은 거리에서 상대의 공격을 피하기 좋은 형산파 비전 무공.
법등술(法等術) : 진법(陳法), 전음술(傳音術), 방술(方術) 등
- 건곤참(乾坤斬): 형산파 최고의 합격진으로 강호 오대합격진. 오결검객만이 익힐 수 있는데, 그 선발부터가 수뇌부 전체 회의로 결정될 만큼 까다롭낟. 선발 후에는 오 년의 폐관수련으로 건곤참을 익히며, 장문인 허락 없이는 형산에서 100리 이상 벗어날 수 없다.
- 포원수일(包元守一): 형산파의 예전초식. 양 팔을 벌려 상대에게 예를 표하는 초식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