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백파(長白派)

URL: https://tanma.kr/china/jangbaek.html

1. 개요


백두산에 위치한 문파로 위치 특성 상 고구려, 발해, 고려 등 한반도와 관련 깊은 문파로 나온다. 대개는 해동의 대표문파로 설정됨. 중국(중원) 문파 입장에서는 새외무림의 하나로 취급하기도 하고, 9파1방의 하나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사파 느낌으로 묘사되는 신강, 천축, 남만 쪽 문파와 달리 공명정대한 정파의 이미지로 묘사된다.


(1) 위치

길림성(吉林省) 백두산. 백두산을 중국에서는 장백산(長白山)이라고 부른다.

∞ Link


(2) 역사

장백파는 북방무예의 대표적인 문파다. 북방 무예는 백두산을 중심으로 만주벌판의 흥안령산맥과 장백산맥에 걸치고, 남으로는 마천령산맥에 이르는 지역에서 고조선 이전부터 발전된 무예를 대표하는 문파다.

수당원청 등과 싸우고도 복속되지 않은 강한 장백무예의 전통 때문에 중국 문파들도 장백파 무공에 대해 강하고 기상이 드높은 무공으로 인정하고, 장백파(長白派)는 관외제일문파(關外第一門派)라 존칭했다. 또한 소림방장(小林方丈)도 장백장문(長白掌門)을 동등한 예로써 대했다고 하며, 한국에 장백파 무예가 전승되고 있다고 하는 사람도 있으나 진위 여부는 모른다.

[조의선인 이야기]
중국에서는 서쪽 곤륜산과 함게 ‘동령(東嶺)’이라 장백산을 성산으로 추앙한다. 장백파를 이야기할 때 그 근본을 고구려의 조의선인에 두는 경우도 있다.

조의선인이란 '검은 빛깔의 조복을 입은 선인'이란 뜻으로 이들은 국가에서 급료를 받아 생활하면서 무예와 학문을 갈고 닦으며 전시에는 자체부대를 조직하고 전장에 나가 정예군으로 활동했던 무예집단이다라고 한다. 조의선인은 머리를 밀고 검은 옷을 입었으므로 고구려와 전쟁을 하였던 수, 당의 병사들은 이들을 승군으로 착각하기도 하였지만 근본은 한반도 고유종교인 선도다. 조의선인은 고구려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눈부신 활약을 보여줬는데 특히 안시성 전투가 유명하다.

이후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 일부 조의선인들이 백두산에 들어가서 장백파의 원류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3) 문화

중국에서 장백문파(長白門派)를 평하기를 ‘기이(奇異)하고 오묘한 검법(劍法)에 능하며, 선악 분별이 명확하고 공명정대(公明正大)한 군자(君子)의 기풍이 있고, 세속(世俗)일에 초연해서 작은 시비(是非)에 관여하지 않은 은자적(隱者的) 기질이 있는 참된 정대문파(正大門派)’라고 했다.


(4) 조직

장문인과 장로, 문하 제자로 된 조직.

장백파와 연계된 문파 및 주변 군소방파
- 귀수문(鬼手門)
- 무상동(無常洞)
- 생사약가(生死藥家)
- 성왕부(聖王府)
- 오검림(五劍林)
- 유장곡(幽腸谷)
- 지주궁(蜘蛛宮)
- 천지파(天池派)
- 파황부(破荒府)
- 팔황궁(八荒宮)
- 흑룡장(黑龍莊)


(5) 구조와 건물


2. 무공


장백파 역시 검술을 주로 다루는데, 중원 무림의 평가는 ‘기이하면서도 오묘한 검술’이라는 평이다. 장백파의 검술은 백두산 천지의 맑고 차가운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차갑지만 웅혼한 것이 특징이다. 추운 곳이라는 특성 때문에 전체적으로 음한한 기운이 서리는 신공과 무공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무공으로 장백신기와 은월십사검이 있다.


축기술(蓄氣術) : 심법(心法), 신공(神功) 등
- 공학신공(控鶴神功)
- 빙백생사공(氷魄生死功)
- 선천공(先天功)
- 천지무공(天地無功)
- 파황살풍공(破荒煞風功)
- 한음마공(寒陰魔功)
- 상피공(象皮功) : 코끼리피부처럼 피부를 단단하게 만드는 무공. 철포삼과 비슷한 무공이다.

무기술(武器術) : 검법(劍法), 도법(刀法), 창법(槍法) 등
- 기환쌍절검(奇幻雙絶劍)
- 빙백마검(氷魄魔劍)
- 소양검(少陽劍)
- 천환검(天環劍)
- 화염도(火焰刀)
- 낙뢰창(落雷槍) : 창술
- 사두필(蛇頭筆) : 판관필(判官筆)을 사용하는 무술이다.
- 귀편파월(鬼片破月) : 암기술(暗器術)
- 투골침(透骨針) : 암기술(暗器術)

용체술(用體術) : 권장수지각법(拳掌手指脚法), 경신보법(輕身步法) 등
- 광풍권(狂風拳)
- 백화착권(百花錯拳) : 각파 무공의 요결을 전부 모아 변형시켜 하나의 권법으로 만든 것.
- 야호권(野狐拳) : 사조영웅전에서 장백삼선(長白蔘仙) 양자옹이 펼친 권법.
- 광마장(狂魔掌)
- 독갈미혼장(毒蝎迷魂掌)
- 대력금나수(大力擒拿手)
- 옥환수(玉幻手)
- 미종각(迷踪脚) : 각법
- 한계보(寒鷄步) : 보법(步法)

법등술(法等術) : 진법(陳法), 전음술(傳音術), 방술(方術) 등
- 심음신공(心音神功) : 음공(音功)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