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세가(司馬世家)

URL: https://tanma.kr/china/samaga.html

1. 개요


삼국지의 사마의가 시조인 무림 세가. 제갈공명의 후손 제갈세가가 정파 군사역을 많이 맡는 것처럼, 제갈량의 경쟁자인 사마의 후손인 사마세가는 사마외도 쪽 군사역을 많이 맡는 것으로 나온다.


(1) 위치

하남성 온현(溫縣). 사마의 당시에는 하내(河內)의 온현이었다.


(2) 역사

원래 하내(河內)는 천하의 중심으로 황하를 배후로 끼고 북으로는 태행에 의지하며,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이런 연유로 은상의 수도였으며 호협이 많이 있는 곳이다. 사마씨 역시 무술을 잘 했던 가문이다.
그런데 사마의(司馬懿)의 고조인 사마균(司馬鈞)이 작전 중에 잡혀 강족과 전투에서 패한 후에 투옥되자 스스로 자결하여 죽는 일이 발생한다. 이 교훈으로 사마씨는 무술을 버리고 학문을 택하기로 한다. 그런데 사마가족은 학문이 아닌 역사와 군사전략을 배운다. 바로 [한서(漢書)]를 공부하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바로 무공을 버린 것은 아니었기에 사마의와 동생 사마부(司馬孚)는 문무를 겸비한 인재로 자라게 된다.
이런 역사 때문에 제갈가문이 무공에 약한 것과 달리 사마씨 가문은 무공도 강한 가문으로 설정된다.


(3) 문화

문무에 뛰어나지만 병법에 뛰어나 연맹의 군사 역할을 자주 맡는다.


(4) 조직


(5) 구조와 건물


2. 무공

축기술(蓄氣術) : 심법(心法), 신공(神功) 등
- 뇌력심법(雷力心法)

무기술(武器術) : 검법(劍法), 도법(刀法), 창법(槍法) 등
- 뇌력검공(雷力劍功)
- 무결검법(無缺劍法)
- 심극일분도(心極一分刀)

용체술(用體術) : 권장수지각법(拳掌手指脚法), 경신보법(輕身步法) 등
- 보제천인장법(菩齊天印掌法)
- 용혈구장(龍血九掌)
- 용산무형보(龍散無影步)
- 허무변환보(虛無變幻步)


* * *



• 9파1방 • TANMR.KR • 司馬世家 • 司馬懿 • 河內 • 溫縣 • 漢書 • 구파일방 • 무공 • 무림전도 • 무협 • 무협사전 • 문파 • 사마세가 • 사마의 • 온현 • 웹소설 • 중국 • 중국무협 • 탄마 • 하내 • 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