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웹소설시장 현황. 시장규모 403억 위안(3천억 위안 아님)

URL: https://tanma.kr/data/chinawebnovel2023.html

(1) 중국웹소설시장 규모는 3천억위안이 아닌 404억위안

중국웹소설시장 규모가 3천억 위안(60조 원)이라는 잘못 된 정보가 퍼진 상태인데, 3천억 위안이 아니라 4백억 위안이 중국웹소설시장 규모다.

중국웹소설시장에 관한 보고서는 ‘중국사회과학네트워크(中国社会科学网)’에서 발표한 ‘2023년 중국 온라인 문학 발전 연구 보고서(2023年中国网络文学发展研究报告)’다.

이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중국의 웹소설 시장은 다음과 같다.

[중국웹소설시장 현황]
- 중국 인터넷 사용자수 : 10억 7,900만 명
- 중국 온라인문학 사용자수 : 5억 3,700만 명(인터넷 인구의 49%)
- 온라인문학시장 : 404억 3천만 위안
- 온라인문학IP시장 : 2,605억 위안
- 작가 : 2,405만명
- 2023년 신규작가 : 225만 명
- 작품 수 : 3,620만 부
- 2023년 신규작품 수 : 420만 부

2023年,中国网络文学产业增长势头不减,同时受到精品化、IP转化提速、全球化等趋势推动,进一步呈络文学总体规模不断扩大现出创造性转化、创新性发展新格局,并依托多方共创华语IP的积极探索,在全球视野下将大众创作、全民阅读风潮推向新高度。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CNNIC)发布的第52次《中国互联网络发展状况统计报告》显示,截至2023年6月,我国网民规模达10.79亿人,较2022年12月增长1109万人,互联网普及率达76.4%。其中,网络文学用户规模达到5.37亿人,达到历史最高水平;较2022年12月增长3592万,占网民整体的49.0%。网络文学的社会影响力持续增强。

——网络文学总体规模不断扩大。阅读市场规模达404.3亿,同比增长3.8%,网络文学IP市场规模大幅跃升至2605亿元,同比增长近百亿;作家、作品、读者数量呈稳健增长态势,作者规模达2405万,新增作者225万,作品数量达3620万部,新增作品420万部,用户数量达5.37亿,同比增长9%。

∞ Link2023年中国网络文学发展研究报告


보고서 내용에 있는 것처럼 중국의 온라인문학시장은 404억위안(약 8조 원)이다. 이 시장을 3천억 위안으로 소개한 것은 2,605억 위안의 IP시장을 합쳐서 잘못 계산했기 때문으로 추측한다. 온라인문학IP시장은 웹소설 기반으로 제작된 TV드라마, 영화, 만화, 공연, 캐릭터, 굿즈, 여행상품 등 기타 상품을 말한다.

중국에서 온라인문학의 IP 확산은 활발한 편이다. 중국에서 2023년 제작된 영화 및 TV드라마의 60%가 온라인문학을 각색한 것이다. 텐센트비디오가 방송한 애니메이션을 비롯하여 애니메이션의 과반수 이상도 인터넷IP를 각색한 것이다.


(2) 중국웹소설시장의 특징 : 작가도 독자도 젊다

현재 중국 웹소설시장의 특징은 젊은 작가들이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2023년 신규작가의 60%는 2000년 이후 출생자고, 2023년 온라인문학작가 중 ‘12천왕’이라 불리는 사람의 80%가 1995년 이후 출생자다.

토마토(番茄, 판치에)의 자료에 의하면 계약작가의 57%가 1995년 이후 출생이고, 7고양이(七猫, 치마오)의 자료에 의하면 신규계약작가의 55%가 90년 이후 출생자다.

SF소설은 더 젊다. SF소설 계약작가중 72%가 2000년 이후 출생자고, SF독자의 70%도 30세 미만이다.

또 다른 특징은 마이크로단편드라마의 증가다. 중국의 온라인마이크로단편드라마 시장규모는 373억 9천만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7.65%나 증가했다. ‘2023년 단편 드라마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4,500개 이상의 마이크로단편드라마가 국가 광전영화TV총국에 등록되었을 정도다.


(3) 열악한 웹소설작가의 근로환경

중국웹소설작가의 근로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중국의 경우 출석상이 있는데, 매일 4천자 이상을 게시해야 출석상을 받을 수 있다. 중국의 한 글자는 한 단어에 가까우며, 한글 1글자보다 입력이 어렵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분량이라 할 수 있다. 중국어 20자를 번역하면 한글 40자 정도가 나오니 중문 4천 자는 한글로는 7~8천 자 분량이라 할 수 있다.

‘7고양이’에서 매일 4천자, 한 달에 20만자 이상을 쓰면 출석상을 받는데, 1천자 당 6위안(1,200원)을 받는다. 여기에 계약을 통한 광고수익 공유가 추가된다.

그런데 매일 4천 자면 4천자x30=12만 글자여야 하는데, 출석상은 20만 자다. 즉 실제로는 매일4천 자가 아니라, 7천 자 정도 써야 한다. 한글로 하면 1만~1만4천 자 사이 정도 분량이다.

결국 출석상을 받으려면 매일 7천자 씩 한 달에 20만 자를 써야 하는데, 1달20만자/1000자x6위안=1,200위안(24만원)에 불과하다. 월 24만원을 보장받지만 고점은 높지 않다. 하지만 중국의 열악한 경제상황에서 월 24만 원은 적은 돈이 아니라서, 취업에 실패한 많은 젊은이가 이돈을 보고 달려드는 것이다.

7고양이(七猫) 사이트에서 월1만위안(월200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작가는 겨우 565명에 불과하며, 남성향작가 중 최고 수익을 올린 작가는 월 202만위안(4억6백만원), 여성향작가 최고는 76만위안(1억5천만원)이었다. 수백만 명이 활동하는 ‘7고양이’처럼 큰 사이트에서 겨우 5백 명만 월 200만 원을 벌었다는 사실은 중국의 웹소설작가 근로환경이 얼마나 열악한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수천 명 중 1명이 월 200만 원을 버는 것이다.
(七猫中文网稿费总支出同比增长48.57%,月均稿费过万作者达565人,男频单月最高稿费202万,女频为76万.)

시장이 크기 때문에 2400만 작가 중에서 대스타작가 몇 명은 엄청난 부를 거머쥐겠지만(7고양이 Top1은 연 50억원 수입), 99%의 작가는 월 수십만 원도 못 버는 작가로 살 뿐이다. 중국의 웹소설시장 규모는 크지만 웹소설작가의 근로환경은 매우 열악한 것이다.

중국 웹소설시장에 관한 자료는 ‘중국사회과학네트워크(中国社会科学网)’에서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으니 필요하면 해당 사이트에서 발표한 원문을 참고하면 된다.


* * *



• 2023年中国网络文学发展研究报告 • 7고양이 • 七猫 • 中国社会科学网 • 番茄 • 웹소설 • 웹소설작가수입 • 작가 • 작품 • 중국사회과학네트워크 • 중국온라인문학 • 중국웹소설 • 중국웹소설IP • 중국웹소설산업 • 중국웹소설시장 • 중국웹소설작가 • 중국웹작품 • 치마오 • 토마토사이트 • 판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