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 글먹의 난이도는 1만 분의 1, 유료데뷔는 1천 분의 1

URL: https://tanma.kr/data/newbie.html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질문이 1년 동안 열심히 인풋하면 글먹 가능하냐는 질문이다.

그래서 계산해보았다. 신입이 글먹 가능한 확률을.
(세세하게 모든 변수와 수치를 다 고려하고 계산하지는 않았다. 일매출 변화, 연독, 타플 등 모든 수치를 다 고려할 수는 없다. 주요 수치만 고려해서 단순하게 계산해본 것이나 수치의 변화는 크지 않을 것이다.)


글먹 조건을 월수익 300만 원으로 잡고 계산해보자. 매출은 600만 원이 나와야 한다.

유료화 난이도를 좀 더 정확하게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수정 : 2023년 08년 15일 기준)

문피아의 총 연재작은 37만 8,051편이다.
그리고 유료작은 완결 6,434편과 연재 중 936편을 합쳐서 7,370편이다.

유료화 비율은 1.94%로 2%에 못 미친다.

단순계산으로는 2012-2023년, 11년 동안 유료작 7,370편으로 한 해 700편 정도가 유료화 되었다.


최근 기준으로 계산해보자.


2022년 공모전작 참가작인 [천재의생 무신전직]의 작품번호가 314,359번이다.

2023년 공모전 참가작인 [문파만들기]의 작품번호는 362,897번이다.

문피아에 1년 사이 등록된 작품 수가 48,538편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문피아 신작베스트를 보면 60일 동안 유료화 된 작품수가 111편이다.


두 달에 111편이니, 12달에 666편 유료화 된다는 뜻이다. 대략 1년에 700편 전후로 보면 맞을 것이다.

666/48538=0.01372


유료화 작품이면 1.3% 안에 든다.

그렇다! 유료화 된 것만으로도 작품 중 상위 1~2%에 든 것이다.


이 중에서 월 매출 600만원이 몇 편이나 될까?

신작매출을 확인해보면 된다. 신작 111편 중에서 일매출 20만 원 이상(지수 2만 이상)은 14위까지다. 14/111=0.1261. 신작유료작 중에서 12%다.


1년에 시도된 작품 1천 편 중 1편 만이 월매출 600만원 클럽에 가입한다.


이제 이중에서 작연이 아닌 일반연재 비율을 곱하면 신인의 글먹지수가 나온다.

월매출 600만원 이상 14편 중에서 작연이 아닌 일연은 1편에 불과하다. 일연 비율이 14분의 1, 신인 비율은 7%다.


[정리]

(A) 유료화 확률 = 1.3% (전기간으로 보면 1.9%)

(B) 유료작중 월매출 600만원 = 12%

(C) 월매출 600만원에서 일연비율 = 7%

(D) 신인 데뷔작이 월매출 600만원일 확률 = (A) X (B) X (C) = 0.00012


[결론]

신인지망생이 첫작품으로 글먹진입 난이도는 1만 분의 1이다. 경쟁작 9,999편을 제쳐야 한다.


1년 유료작 700편 중에서 일연 비율을 10%라고 치면 신인의 데뷔작 유료는 약 70편 정도 된다. 1년에 시도된 일반연재 작품 48,538 편 중에서 겨우 70편만 데뷔작이 되는 것이다.


참고로 문피아의 작가연재 VS 일반연재+자연연재의 비율은 1:5 정도다. 작연이 200편 연재될 때 일연+자연은 1000편 정도 연재된다.


1년 48,538편 중에서 4만 편 정도가 지망생 작품이고 70편 정도가 유료로 데뷔한다. 신인의 유료화 비율은 1%도 아니고, 0.1~0.2%다.


정리하자면 글먹은 1만분의 1의 확률이고, 성적 망인 유료데뷔조차 1천 편 중에서 한 두 편에 불과하다. 유료데뷔라는 것 자체가 1천 대 1의 경쟁을 뚫어야 하는 어려운 일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결론]

신인지망생의 유료화 성공 난이도는 1천분의 1~2 수준이고, 글먹 동시 진입 난이도는 1만분의 1 수준이다.


* * *






• 글먹 • 난이도 • 소득 • 신인 • 웹소설 • 웹소설작가 • 유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