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편 후 노벨피아에서 in100, in200이면 얼마를 벌 수 있을까?

URL: https://tanma.kr/data/novelpia_2025in200income.html

노벨피아에서 연재하면 얼마를 버는지에 대한 질문글은 주기적으로 올라온다. 작바작이라 명확하게 답을 할 수는 없지만 통상적인 수준에서 감을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수익에 대해서 한 번 정리해본다.

개편 후 2025년부터는 실시간랭킹 100위까지 13원단(조회수 1회당 13원 정산), 101~300위까지 11원단, 301~ 뒤부터 8원단이다. 독점 기준이고, 비독점은 랭킹 상관없이 4원단이다.

8원단부터는 조회수가 너무 많이 내려가니, 11원단 중간인 실시간랭킹 200위 기준을 가지고 알아보자.

아래 데이터는 이해를 돕기 위한 데이터로 작가와 작품별 상황에 따라 편차가 크게 작용한다는 사실은 염두에 두자.


(1) [초능력활용법]이 in200위일 때 수치.

일단 내 작품 [초능력활용법]이 200위 안에 들어갔을 때 수치는 다음과 같다.

[초능력활용법 수치]

▸ 2월 28일까지 총연재수 : 47화
▸ 2월 28일까지 총연재일 : 28일
▸ 2월 28일까지 총선작수 : 2,326개
▸ 2월 28일까지 총조회수 : 97,993회
▸ 2월 28일까지 정산액 : 240,362원

▸ 2월 28일 최신화조회수 : 450회
▸ 2월 28일 1일조회수 : 8,441회
▸ 2월 28일 정산액 : 21,318원


(2) in200 최신화조회수 420회, 조회수당 인증 비율은 63%

[초능력활용법]이 in200일 때 최신화조회수는 450회다. 그런데 368회로 180에 든 날도 있다. 날짜시간 변수 고려할 때 370~470 사이가 in200 커트라인이고, 평균적으로는 420 정도가 in200 기준인 것으로 보인다.

[초능력활용법]은 비독점이므로 조회수당 4원을 받는다. 따라서 단순계산으로는 ‘8441회 x 4원 = 33,764원’을 받아야 한다. 그런데 실제 정산금액은 21,318원이었다. ‘21318 / 33764 = 0.631’이 나온다. 조회수의 37% 정도는 50초룰, 이벤트, 할인, 무료 등으로 정산에서 빠진다고 보면 되는 것이다.

한 달 기준으로 보면 조회수 ‘97,993회 x 4원 = 391,972원’이어야 하는데, 정산액은 240,362원이니 조회수의 61% 정도가 정산을 받는다. 작가와 작품 따라 편차는 있겠지만 내 작품 기준으로는 조회수의 3분의 2 정도인 63%가 정산비율이다.

탄마, 노벨피아, in200 수익그래프

나는 비독점 4원단이라 1일 2만 원 정도 수익이 났는데, 101~300위 독점이었다면 11원단이니, '21318 / 4 x 11 = 58,624원'을 벌었을 것이다. 물론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고, 랭킹에서 사라지는 2주 뒤에는 수익이 크게 떨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수치는 변수에 따라 변동폭이 있다. 내가 하루 조회수 8,441을 기록할 때 내 작품은 연재화수는 47화였다. 연재일은 28일차였다. 연참을 해서 28일 만에 47화를 기록한 것이었다.

최신화조회수 420으로 in200에 들었다 하더라도, 연재일, 총연재회수, 연참여부, 연독률, 성인 비성인, 선호작수 등 수익에 관련된 주요 변수 여러 개가 관여하기에 작바작으로 작품이나 작가에 따라서 수익 편차는 큰 폭으로 존재한다.

그러니 위에 적은 수치는 어디나 참고만 하기 바란다.

다른 작가 작품으로 수익을 한 번 계산해보자. in200선에 걸친 200화, 60화 작품을 골라서 계산해 보자.

(a) 작품의 경우 210일 동안 210화를 기록했는데, 총조회수는 110만이다.
(a)작품 = 총 조회수 110만 x 11원 x 0.63% / 210일 = 36,300원

(b) 작품의 경우 45일 동안 58화를 기록했는데, 총조회수는 19.5만이다.
(b)작품 = 총 조회수 19만 x 11원 x 0.63% / 45일 = 30,030원

(a)작품의 경우 하루 3.6만 원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오는데, 매 달 100만 원 수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b)작품은 아직 연재화수가 적은데, 무료분 반영을 안 해도 3만 원이니 실정산액은 3만 원 이하일 것이다. 반면 600화 이상 2년 동안 장기연재 중인 (c)작품은 2년 동안 777만 조회를 기록해, 매일 8.3만 원을 벌었다. 장기연재라는 이야기는 히트작이란 뜻이고, 일일 수익도 커진다는 이야기다.

2년 장기연재 in200과 한 달 차 in200의 수익은 3배 정도 나는 것이다.

몇 작품을 샘플로 계산해 보면 하루 3만 원, 한 달 100만 원. 이것이 in200의 평균 수익이 될 것이다.

정산조회수(인증비)는 내 경우 통계를 이용해 63%로 계산했으나, 50%가 나온다는 작품도 있고, 90%가 나온다는 작품도 있다. 커뮤니티의 게시글에 올라온 작가들 댓글에 가장 많이 언급되는 비율은 80%다. 따라서 성인이 아닌 비성인 일반 작품이라면 정산조회수를 80%로 잡고 계산하면 어느 정도 맞을 것이다.


(3) in100은 월 200만 원 정도.

in100 작품 역시 몇 화까지 연재되었느냐에 따라서 하루 수익 편차가 클 것이다. 플러스 되자마자 in100에 든 작품과 1천화 연재 중에 in100을 유지하는 작품의 하루 수익은 꽤 차이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서 in100 작품으로 110일 동안 200화 정도 연재한 (A)작품의 수익을 추정하자면 다음과 같이 된다.

(A)작품 = 총 조회수 123만 x 13원 x 0.63% / 110일 = 91,579원

(A)작품은 지난 110일 동안 매일 9만 원 정도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이 된다. (모든 변수를 다 고려하면 계산이 너무 복잡해진다. 대략 계산하자.)

(B)작품은 플러스 시작하자마자 급상승하여 45일 차에 58화인데 in100을 한 작품이다.

(B)작품 = 총 조회수 33만 x 13원 x 0.63% / 45일 = 60,060원

아직 회차가 많이 쌓이지 않아서 하루 수익은 6만 원이다. 15일 무료분을 제외하면 실정산액은 6만 원 이하일 것이다.

4년 동안 3,500만 조회수를 기록하며 지금도 연재 중인 장기연재물 (C)작품을 위 공식으로 계산하면 하루 18.7만 원, 월 600만 원이 나온다. (당연한 말이지만 4년 동안 19만원으로 매일 수평선을 그렸다는 말은 아니다. 평균선이 19만 원이라는 것이다. 실제 수익선은 급등반 완만하강의 산봉우리 모양을 그렸을 것이다. 4년 차인 지금은 일수익 10만 원 이하일 것이다.)

그러니까 같은 in100에 있다 하더라도 총누적화수와 연재기간 등 여러 변수에 따라서 하루 수익이 (A)처럼 9만원이 될 수도 있고, (B)처럼 하루 6만 원이 될 수도 있으며, (C)처럼 19만 원이 나올 수도 있다. (B)와 (C)의 편차는 3배나 난다.

(C)와 같은 작품은 드문 경우니 예외로 치고, 대개 (A)나 (B)의 형태로 연재될 텐데, 대체적으로 연재 시작한 지 1달에서 반 년 이내 작품이라면 in100의 경우 하루 6~10만 원 정도 수익이 나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회수의 3분의 2 정도가 정산되기에 in100의 월수익은 200만 원 내외가 될 것이다.


처음 말한 것처럼 예시를 보면 작바작 편차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노벨피아 실시간랭킹 in200은 월 100만 원, in100은 월 200만 원 정도가 통상 기대수익이라고 보면 된다.


* * *



• 2025년 • in100 • in200 • novelpia • 기대수익 • 노벨피아 • 노벨피아 랭킹 • 노벨피아정산금 • 노피아 • 성인웹소설 • 수익 • 신작랭킹 • 실시간랭킹 • 웹소설 • 웹소설작가 • 인100 • 인200 • 자유랭킹 • 작가수익 • 정산금개편 • 총조회수 • 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