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피아 독점과 비독점 시 수익 비교

URL: https://tanma.kr/data/novelpia_monopolize.html

사실 통계용 자료가 어느 정도 확보되려면 타플랫폼 매출 추세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관련 글은 내년에 적을 생각이었지만, 10월 하순부터 노벨피아 정산금이 대폭 변경되고 거기에 작가들이 동요하고 있어서,지금은 간단하게 참고가 될 수 있는 수준에서 작성해 본다.

[선요약 3줄]
1. 노벨피아 독점이 비독점보다 노벨피아에서 2.3배 벌 수 있지만, 비독점으로 타플랫폼 진출할 경우 노벨피아 비독점의 10배 이상을 벌 수도 있다.
2. 조아라 매출이 노벨피아 매출보다 낮지 않았다.
3. 자신의 작품 성향 분석해서 독점과 비독점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

노벨피아에서 내가 연재한 것이 성인물이라서 성인물만 해당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데, 전연령, 성인물 모두 해당되는 이야기다. 상위권이나 전연령 작품도 타플에서 더 잘 되거나 대박날 수 있다는 이야기고, 노벨피아에서는 현재 정액제로 연재되는 작품이라도, 타플에서는 편결로 판매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지금 내 작품이 그렇게 판매 중.) 편결로 가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다. 여러 이유로 이미 노벨피아에서 작품을 연재하는 5만 명 작가들이 있는데, 자신의 작품을 노벨피아 안에만 가두는 것이 최선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들에게 다른 옵션도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1) 독점은 2.3배 비독점은 10배 이상일 수도

지금까지 노벨피아는 인증조회수 당 독점 12원, 비독점 6원을 정산했다. 비독점 대비 2배로 볼 수 있겠지만, 독점을 달 경우 추가 노출 효과 20-30% 정도를 기대한다고 가정할 경우 비독점 대비 2.3배 정도 번다고 보면 적절할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독점 8원 비독점 4원으로 조정된다. 독점 작가 수익이 120만원이었다면, 같은 조회수일 경우 80만원으로 40만원이 줄어드는 것이다.

내 경우는 19금 성인용을 썼고, 스타일도 노벨피아와 거리가 멀어서 비독점으로 연재했다.

2023년 6월부터 9월까지 플랫폼별 작가 수익은 아래와 같다. 노벨피아의 경우 신작챌린지 미션금액은 제외하고 조회수 정산만 계산한 것이다.

- 노벨피아 : 106만원
- 조아라 : 188만원
- 타플(1곳만 풀림) : 290만원

노벨피아 독점일 경우 2.3배를 벌 수 있는데, 비독점으로 5.5배를 벌었다.

더 중요한 것은 타플은 겨우 원스토어 하나 풀렸다는 것이다. 이후 무툰, 리디, 알라딘 등을 비롯한 다른 플랫폼에 풀리면 타플 매출은 훨씬 커진다. 아마 10배를 넘어갈 것이라 생각한다.

더구나 노벨피아 독점 수익이 8원으로 3분의 1이 줄어들면 차이가 더 벌어진다.

일단 내 경우는 이번에 200만원 신작챌린지 이벤트만 독점 신청했고, 다른 작품은 독점이 아닌 비독점으로 진행했는데, 결과만 놓고 본다면 비독점으로 한 수익이 몇 배 더 많다.


(2) 조아라 매출이 노벨피아 매출보다 높았음.

노벨피아 매출이 106만원 일 때 조아라 매출은 188만원으로 노벨피아보다 더 많이 나왔다. 많은 사람들이 조아라는 남성향 죽어서 돈 안 된다고 하고 있을 때, 나는 조아라에서 노벨피아보다 더 많은 수익을 올렸다. 물론 조아라가 살아남으려고 조회수당 20원으로 올린 이벤트 효과이기도 하지만, 조회수 자체도 결코 낮지 않다.

[무림미녀전기]는 총조회수가 조아라 10.6만, 노벨피아 10.9만으로 비슷했고, [신체가 강화됨]은 조아라 15.3만, 노벨피아 28.1만으로 좀 차이가 난다.

조아라가 내리막길인 것은 분명하지만, 의외로 남성향 수요가 아직 남아있다는 사실을 무시할 수 없다.(내 작품은 하렘으로 극남성향)


(3) 자신의 작품 성향 분석해서 독점과 비독점 선택은 신중하게.

타플의 경우 내 작품은 현재까지 원스토어만 풀린 상태다. 아마 원스토어에 선독점으로 들어간 것 같다. 원스토어만 풀렸음에도 작가 수익은 290만원으로 노벨피아 세 배에 가깝다.

앞으로 무툰, 리디, 알라딘 등 더 많은 풀랫폼에 작품이 풀린다면 매출이 훨씬 더 증가할 것이다.

일단 원스토어 하나만 보더라도 노벨피아 독점 수익을 넘어간다.

결과적으로 내 경우는 노벨피아 독점으로 2.3배의 수익 대신, 비독점을 선택해서 10배 이상의 수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니 자신의 작품 성향과 시장을 잘 분석하고 독점과 비독점 선택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내 경우는 노벨피아 취향이 아니라서 비독점을 선택한 것이다. 만약 내 작품이 ‘Only 노벨피아 테이스트’라서 타플 수익을 기대할 수 없다면 독점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말하고자 하는 바는 노벨피아 독점만이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은 아니라는 것이다. 작가들의 작품 성향에 따라서는 비독점이 훨씬 수익에 유리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10월부터 12원에서 8원으로 떨어진다면 독점 수익은 이전 대비 3분의 1이 사라진다. 더욱 독점 선택에 신중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노벨피아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조아라, 원스토어, 무툰, 리디, 알라딘 등 다양한 시장이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 * *



• 19금성인 • 19금소설 • 노벨피아 • 독점 • 독점 수익 • 리디 • 무툰 • 비독점 • 비독점 수익 • 성인소설 • 원스토어 • 웹소설 • 웹소설시장 • 웹소설작가 • 정액제 • 정액제 시장 • 조아라 • 타플 • 타플랫폼 • 편결 •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