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율이란? 유료전환율에 따른 총소득 계산

URL: https://tanma.kr/data/paidconversion_income.html

(1) 전환율은 유료첫회차 24시간 구매수/무료 마지막회차 열람수

유료전환율은 유료시작 후 24시간 이내 유료구매자 수를 말한다. 줄여서 전환율이라고 말한다. 낱말이 전환율이기 때문에 비율로 대답하는 것이 맞겠지만, 보통은 유료구매수로 말한다.

전환율=유료 첫 회차의 24시간 동안 구매 수 /무료 마지막 회차 열람수

유료 이전 회차(최신화) 무료 열람수(Vew수)를 1만 명이라 가정하고, 유료전환 이후 24시간 동안 최신화를 2000명이 구매했다면 전환율은 20%다.

그런데 전환율 20%라고 말하면 몇 명이 샀는지 알 수 없다. 1만 중 2000명이 구매해도, 100명 중 20명이 구매해도 전환율은 같은 20%다. 그러니 20% 전환율로 얼마나 돈을 벌어요라고 물어보면 대답이 불가능하다. 소득계산에 중요한 것은 비율이 아니라 몇 명이 구매했는가 하는 절대수치다.

그래서 전환율이라고 하지만, 보통은 ‘2000전환, 200전환’처럼 구매자수를 기준으로 질문하고 답변을 하기 마련이다. 그러니까 전환율이라고 써놓고 ‘2천 전환’이라고 말하면, 유료화 시작 24시간 동안 2천 명이 구매했다고 이해하면 된다.


(2) 전환수 대비 총수익

작품, 작가, 장르, 시기, 프로모션 종류, 총회차수 등등 다양한 변수가 있어서 작품마다 전환율에 따른 총수익 편차는 꽤 크지만 통상적인 계산은 아래와 같다.

총매출 : 전환수X4만원
총수익 : 전환수X2만원

예를 들어서 1천 전환을 했다면 타플 수익 포함 총매출 4천만 원에 작가수익 2천만 원이 일반적인 계산법이다. 그러나 누구는 1억을 벌 수도 있고, 누구는 몇 백 만원을 벌 수도 있다. 1천 전환을 한 이후에 150화로 완결하는 작품과 300화로 완결하는 작품은 몇 배의 수익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그외 연독, 장르, 프로모션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매출이 달라진다. 따라서 단지 1천 전환이라는 자료만 가지고 총수익을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다.

그러니 1천 전환일 경우 작가수익 2천만 원은 평범한 연독을 유지하고, 200화 완결했다고 할 경우 통상적인 평균치라고 보면 된다.

다만 이 수익은 대개 완결 후 1년 이내까지를 말하는 경우가 많다. 이후에도 구작 수입이 들어오는데, 몇 년이 지난 후 총 수익은 이보다 많아진다.

좀 더 생생한 내용은 아래 링크 자료를 참고하자.


∞ Link500전환 미만만 참고해

위글에서는 500전환 시 타플포함 매출 800만 원, 작가수익 400만 원이라고 밝히고 있다.


∞ Link전환 500 기대수익이 얼마임


댓글 대부분이 500전환 시 1천만 원이라고 적고 있다.


∞ Link최근에 1000전환 하신 분 있으신가요

댓글 보면 1천 전환 시에 평균 2천만 원 벌었다는 내용이다.


∞ Link문피아 1,000 전환시 수익

본문 보면 1천 전환 시 10개월 동안 2,200만 원이 작가수익이다.


∞ Link첫 유료 전환 작가만 참고

본문 보면 매출은 전환수X4만이라고 말하고 있다.


∞ Link전환 1000 프로모션이랑 수익 정리해드림

1천 초반 전환 시 받는 프로모션 종류 소개 및 매출. 총 3,500만 원 수익.


∞ Link아포칼립스 악덕사장 1천 전환 수익

1천 전환한 작가의 총수익 공개. 약 2,500만 원.


* * *



• 구매율 • 구매전환수 • 문피아 • 웹소설 • 웹소설매출 • 웹소설작가 • 웹소설작가수입 • 유료 • 유료수익 • 작가수익 • 전환수 • 전환율 • 총수익 • 타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