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순화 (가)

URL: https://tanma.kr/data/soonhwa_ga.html
더 많은 다듬은 말을 국립국어원 누리집에서 찾아보세요. 국립국어원 누리집(www.korean.go.kr) → 공공언어 개선 → 다듬은 말(순화어)



가가리(누이) [縢り(縫い), かがり(ぬい)] 〖패션〗 ➜ 감치기, 감침질, 사뜨기

가가호호 [家家戶戶] 〖행정〗 ➜ 집집마다, 집집이

가각 [街角] 〖행정〗 ➜ 길모퉁이

가감 [加減] 〖생활외〗 = 더하고 빼기, 더하기 빼기

가감 [加減] 〖행정〗 ⇨ 더하고 빼기

가감승제 [加減乘除] 〖행정〗 ⇨ 덧셈‧뺄셈‧곱셈‧나눗셈, 더하기‧빼기‧곱하기‧나누기

가건물 [假建物] 〖행정〗 ➜ 임시 건물

가건축 [假建築] 〖행정〗 ➜ 임시 건축

가검물 [可檢物] 〖행정〗 ➜ 검사 대상물

가게모지 [影文字, かげもじ] 〖생활외〗 ➜ 그늘 글자

가격 [價格] 〖행정〗 = 값

가격표 [價格表] 〖행정〗 = 값표

가격 표기 [價格表記] 〖행정〗 = 값표시

가격하다 [加擊-] 〖행정〗 ➜ 치다, 때리다

가결의 [假決議] 〖행정〗 ➜ 임시 결의

가결하다 [可決-] 〖행정〗 ⇨ 통과하다, 결정하다

가계 [加計] 〖행정〗 ⇨ 곁셈

가계 [家契] 〖행정〗 ➜ 집문서

가계 [家計] 〖행정〗 = 살림, 살림살이

가계약 [假契約] 〖행정〗 ➜ 임시 계약

가계정 [假計定] 〖행정〗 ➜ 임시 계정

가고 [可考] 〖행정〗 ➜ 참고할 만함, 생각할 만함

가고 [家故] 〖행정〗 ➜ 집안일

가고 [籠子, かご] 〖행정〗 ➜ 바구니, 종다래끼

가공 [加功] 〖행정〗 ➜ 거듦

가공 [架空] 〖행정〗 ⇨ 공중에 설치된

가공삭 [架空索] 〖임업〗 ➜ 가공본줄

가공삭도 [架空索道] 〖행정〗 ➜ 하늘차, 하늘찻길

가공선 [架空線] 〖임업〗 ⇨ 가선, 가공줄, 〖행정〗 ⇨ 공중 전선

가공 인물 [架空人物] 〖행정〗 ⇨ 꾸민 인물

가공적 [架空的] 〖행정〗 ⇨ 꾸며낸

가공할 [可恐-] 〖행정〗 ➜ 두려운

가과 [假果] 〖농업〗 〖행정〗 ➜ 헛열매

가관 [可觀] 〖행정〗 = 꽤 볼 만함

가관 [歌管] 〖행정〗 ➜ 노래와 음악

가교 [假橋] 〖행정〗 ⇨ 임시 다리

가교 [架橋] 〖행정〗 ⇨ 다리 놓음, 다리 놓기

가교사 [假敎舍] 〖행정〗 ➜ 임시 교사

가교상 조직 [架橋狀組織] 〖법의학〗 ➜ 가로지른 조직 ※tissue bridge or bridge-over

가교실 [假敎室] 〖행정〗 ➜ 임시 교실

가구 [家具] 〖행정〗 = 세간

가구 [家口] 〖행정〗 = 집안 식구, 세대

가구라 〖미술〗 ➜ 짙기, 농도

가규 [家規] 〖행정〗 ⇨ 집안 규칙

가금 [家禽] 〖행정〗 = 집새

가금 [假金] 〖행정〗 ➜ 개금, 가짜금

가급 [加給] 〖행정〗 ⇨ 더 줌, 얹어 줌

가급적 [可及的] 〖행정〗 ➜ 될 수 있는 대로, 되도록이면

가기 [佳期] 〖행정〗 ➜ 좋은 철

가기 [鍵, かぎ] 〖미술〗 ➜ 열쇠

가기미리다 〖신문〗 ➜ 점낫표

가기바리 [鉤針, かぎばり] 〖패션〗 ➜ 코바늘

가기홋쿠쓰케 [かぎホックつけ] 〖패션〗 〖봉제〗 ➜ 걸(고리) 단추 (달기)

가나구 [金具, かなぐ] 〖미술〗 ➜ (테)장식 〖한국화〗

가나모노 [金物, かなもの] 〖행정〗 ➜ 금속 공구, 금속 기구

가나반 [金盤, かなばん] 〖미술〗 ➜ 쇠숫돌

가나키리 [金切, かなきり] 〖행정〗 ➜ 쇠톱

가납 [假納] 〖행정〗 ➜ 임시 납부

가내 [家內] 〖행정〗 ⇨ 집안

가내 공업 [家內工業] 〖행정〗 ⇨ 집안 공업, 가족 공업

가내 수공업 [家內手工業] 〖행정〗 ⇨ 집안 수공업, 가족 수공업

가네가타 [金型, かねがた] 〖건설〗 ➜ 금형, 쇠틀

가네자시 [矩差, かねざし] 〖행정〗 ➜ 곱자

가노코(시보리) [鹿の子絞り, かのこしぼり] 〖패션〗 ➜ 홀치기(염)

가노코아미 [鹿の子編み, かのこあみ] 〖패션〗 ➜ 멍석뜨기

가는 귀걸이 [細環耳飾] 〖고고학〗 ⇨ 가는 귀고리, 가는 귀걸이 ※earrings with thin solid ring

가능한 [可能-] 〖행정〗 = 할/될 수 있는

가능한 한 [可能-] 〖행정〗 = 될 수 있는 대로

가타로구 〖생활외〗 ➜ 모형

가담 [加擔] 〖행정〗 = 거듦, 거들어 줌

가당찮다 [可當-] 〖행정〗 = 당찮다

가도 [假渡] 〖행정〗 ➜ 임시 내줌, 임시 건넴

가도 [假道] 〖행정〗 ➜ 임시 도로, 임시 통로

가도 [街道] 〖행정〗 ⇨ 큰길, 한길

가도 [角, かど] 〖건설〗 〖미술〗 ➜ 모서리, 〖생활외〗 ➜ 모서리, 모퉁이

가도가네 [角金, かどがね] 〖건설〗 ➜ 모서리쇠, 귓쇠

가도기레 [角布, かどぎれ] 〖행정〗 ➜ 모서리천

가도집 [角-, かど-] 〖생활외〗 ➜ 모퉁잇집

가동 [稼動] 〖행정〗 = 돌림

가동성 [可動性] 〖행정〗 ⇨ 움직일 수 있는

가동 접촉편 [稼動接觸便] 〖전철〗 ⇨ 붙떨이 전기 기기

가동하다 [可動-] 〖행정〗 ⇨ 움직이게 하다

가동하다 [稼動-] 〖행정〗 = 돌리다, 움직이다

가두 [街頭] 〖행정〗 ➜ (길)거리

가두 녹음 [街頭錄音] 〖행정〗 ➜ 거리 녹음

가두 선전 [街頭宣傳] 〖행정〗 ➜ 거리 선전

가두 직업 소년 [街頭職業少年] 〖행정〗 ➜ 거리 근로 소년

가두판 [街頭版] 〖행정〗 ➜ 거리판

가두 판매 [街頭販賣] 〖행정〗 ➜ 거리 팔기, 거리 판매

가드 [guard] 〖핸드볼〗 ⇨ 수비수

가드레일 [guard rail] 〖언론〗 〖행정〗 = 보호 난간 ¶고속버스는 유조차에 들이받힌 뒤 오른쪽 가드레일을 들이받으며 뒤집혔다.

가든 [garden] 〖행정〗 ➜ 뜰, 정원

가든파티 [garden party] 〖생활외〗 ⇨ 마당잔치, 뜰잔치 ¶어제 열린 가든파티는 대성황이었다고 했다.

가등 [街燈] 〖행정〗 ⇨ 거리등

가등기 [假登記] 〖생활외〗 ⇨ 임시 등기

가디간 [カーディガン, cardigen] 〖생활외〗 ➜ 카디건

가라 [空, がら] 〖생활외〗 ➜ 가짜, 헛-

가라 [柄, から] 〖패션〗 ➜ 무늬, 〖행정〗 ➜ 무늬, 바탕

가라게 [絡げ, からげ] 〖패션〗 〖봉제〗 ➜ 휘감치기, 휘감기

가라네리 [空練り] 〖건설〗 ➜ 건비빔, 마른비빔

가라테 [唐手, 空手, からて] 〖생활외〗 ⇨ 당수

가라도 [唐戶, からど] 〖건설〗 ➜ 양판문

가라스 [ガラス, 네.glas] 〖미술〗 ➜ 유리

가라스 룩 [からす look] 〖패션〗 ➜ 까마귀풍

가라스구치 [烏口] 〖행정〗 ➜ 먹물촉, 먹물펜

가라쓰미 [空積み] 〖건설〗 ➜ 메 쌓기(토목), 건성 쌓기(건축)

가라오케 [空オケ, カラオケ,-orchestra] 〖생활외〗 ⇨ 녹음 반주 (노래방) ¶올해 들어 노래방과 가라오케집의 경쟁이 더욱 심해졌다.

가라마와리 [からまわり] 〖행정〗 ➜ 헛돌기

가라쿠 [空-, -cushion] 〖생활외〗 ➜ 민쿠션치기〖당구〗

가라쿠사 집게 [唐艸-] 〖미술〗 ➜ 덩굴 집게

가란 [カラン, 네.kraan] 〖건설〗 ➜ 수도꼭지

가람 [伽藍] 〖건축사〗 ⇨ 절 ※buddhist temple

가량 [假量] 〖행정〗 ⇨ 어림짐작, -쯤

가렴 [苛斂] 〖행정〗 ⇨ 무겁게 거둠, 가혹하게 거둠

가령 [假令] 〖행정〗 = 이를테면

가로 [街路] 〖행정〗 = 거리, 길

가로 조명 [街路照明] 〖행정〗 ⇨ 거리 비춤

가로되 〖행정〗 ⇨ 말하기를, 이르기를

가로등 [街路燈] 〖행정〗 = 거리등

가로이음 〖임업〗 ➜ 가로줄눈

가료하다 [加療-] 〖행정〗 ⇨ 치료하다, (병) 고치다

가루똥 [프.carton] 〖행정〗 ➜ 감정 접시

가루키 [カルキ, 네.kalk] 〖미술〗 ➜ 바램 가루, 표백분

가리 [仮, かり] 〖행정〗 ➜ 임시, 빌림

가리 [加里, かり ←독.Kali] 〖행정〗 ➜ 칼리

가리고야 [仮小屋] 〖행정〗 ➜ 임시 건물, 〖건설〗 ➜ 헛간

가리구미타테 [仮組立, かりくみたてあしば] 〖건설〗 ➜ 임시 조립

가리누이 [仮り縫い, かりぬい] 〖패션〗 ➜ 시침질

가리도메 [仮止] 〖행정〗 ➜ 걸막이

가리바리 [仮張り] 〖미술〗 ➜ 말림판

가리방 [がり版, かりばん] 〖생활외〗 ➜ 줄판

가리시메 [仮締め] 〖건설〗 ➜ 임시 죄기

가리시메키리 [仮締切] 〖건설〗 ➜ 임시 물막이

가리우키 [仮浮き] 〖미술〗 ➜ 중간 배접

가리즈리 [仮刷, かりずり] 〖행정〗 ➜ 애벌찍기, 애벌 인쇄

가리지쿠도 [仮築島] 〖건설〗 ➜ 축도

가리코미 [刈り込み, かりこみ] 〖생활외〗 ➜ ①깎기 ②이발사

가마 [釜, かま] 〖패션〗 〖봉제〗 ➜ 북집

가마보코 [かまぼこ] 〖행정〗 〖생활외〗 ➜ 어묵

가마치 [框, かまち] 〖건설〗 ➜ 울거미

가망 고객 [可望 顧客] 〖금융〗 ➜ 기대 고객, 될 손님

가매장 [假埋葬] 〖행정〗 〖생활외〗 ⇨ 임시 매장

가먼트 [garment] 〖패션〗 ➜ 옷, 의류

가면 [假面] 〖행정〗 = 탈

가명 [假名] 〖행정〗 ⇨ 가짜 이름

가묘 [家廟] 〖건축사〗 ⇨ 사당, 가묘 ※household shrine, family shrine

가무 [歌舞] 〖행정〗 = 노래와 춤

가문 [家門] 〖행정〗 = 집안

가미 [加味] 〖행정〗 ⇨ 더함, 맛을 더함

가미도리 [紙取り, かみどり] 〖행정〗 ➜ 실습생

가미사시 [紙差し, かみさし] 〖생활외〗 ➜ 종이 먹이기, 삽지

가미소리 [剃刀, かみそり] 〖행정〗 ➜ 면도칼, 면도기, 면도날, 면도

가미소리 브러시 [剃刀 brush, かみそり-] 〖행정〗 ➜ 면도솔

가미쓰지 [紙土, かみつち] 〖미술〗 ➜ 종이 반죽

가미하다 [加味-] 〖행정〗 ⇨ (맛을) 더하다

가바야키 [蒲燒き, かばやき] 〖식생활〗 ➜ 장어구이

가박 [假泊] 〖행정〗 ➜ 임시 정박

가벌 [家閥] 〖행정〗 ⇨ 집안 지체

가베 [壁, かべ] 〖건설〗 〖미술〗 ➜ 벽(붙이기)

가변성 [可變性] 〖행정〗 = 변할 수 있는 성질

가병 [假病] 〖생활외〗 ➜ 꾀병

가보 [家寶] 〖행정〗 = 집안 보배

가봉 [假縫, かりぬい] 〖패션〗 〖행정〗 ⇨ 시치질

가부 [可否] 〖행정〗 ⇨ 옳고 그름

가부동수 [可否同數] 〖행정〗 ⇨ 찬반 같음

가부라 [鏑, かぶら] 〖봉제〗 〖패션〗 〖생활외〗 ➜ (밭)접단, 끝접기

가부라 바지 [鏑, かぶら-] 〖패션〗 ➜ 접단 바지

가부리 [被] 〖미술〗 ➜ 마무리

가부리아쓰사 [被り厚さ] 〖건설〗 ➜ 피복/덮임 두께, 〖전기〗 ➜ 피복(被覆)

가부시키 [株式, かぶしき] 〖금융〗 〖행정〗 ➜ ①주식 ②나눠내기, 추렴

가분적 [可分的] 〖정치〗 ➜ 별개의

가불 [假拂, かりばらい] 〖행정〗 ⇨ 임시 지급

가불금 [假拂金] 〖행정〗 ➜ 우선 지급금, 미리 받은 돈, 미리 준 돈

가불 금액 [假拂-] 〖행정〗 ➜ 우선 지급 금액, 미리 받은 금액, 미리 준 금액

가사 [假使] 〖행정〗 ➜ 가령

가사 [假死] 〖행정〗 = 기절

가사 [家事] 〖행정〗 = 집(안)일

가사 [歌詞] 〖행정〗 = 노랫말

가사 [笠, かさ] 〖전기〗 ➜ 전등갓[電燈笠]

가사네기 [重ね着, かさねぎ] 〖패션〗 ➜ 겹쳐입기

가사네누이 [重ね縫い, かさねぬい] 〖패션〗 ➜ 겹쳐박기

가사네쓰기테 [重ね繼手] 〖건설〗 ➜ 겹이음〖토목〗, 겹침 이음〖건축〗

가사용 [假使用] 〖행정〗 ➜ 임시 사용

가사용 [家事用] 〖행정〗 ⇨ 가정용

가사키 [笠木, かさぎ] 〖건설〗 ➜ 두겁대

가산 [假山] 〖건축사〗 ⇨ 석가산 ※artificial stone hill in a garden

가산 [加算] 〖행정〗 ⇨ 보탬, 더함, 덧셈

가산 [家産] 〖행정〗 ⇨ 집 재산

가상 [假想] 〖행정〗 = 어림짐작

가상 [街上] 〖행정〗 ➜ 길거리 (위)

가상 경사 [假想傾斜] 〖임업〗 = 가상 물매

가상 구배 [假想勾配] 〖임업〗 ➜ 가상 물매

가상적 [假想敵] 〖행정〗 = 가상 적군

가상할 [嘉尙-] 〖행정〗 = 기특한, 갸륵한

가석방 [假釋放] 〖행정〗 ➜ 임시 석방

가선 [架線] 〖행정〗 ➜ 공중선

가선방식 [架線方式] 〖전철〗 ⇨ (공중) 전기선 방식

가선집재 [架線集材] 〖임업〗 ➜ 공중밧줄 (통)나무 모아 쌓기

가설 [加設] 〖행정〗 ⇨ 덧설치, 추가 설치

가설 무대 [假設舞臺] 〖행정〗 ➜ 임시 무대

가설인 [假設人] 〖행정〗 ➜ 내세운 이, 꾸민 이

가설하다 [架設-] 〖행정〗 ⇨ 놓다, 설치하다

가성 [假聲] 〖행정〗 ⇨ 가짜 목소리

가성소다 [苛性ソーダ, -soda] 〖생활외〗 ⇨ 양잿물, 수산화나트륨

가성조달 [苛性遭達] 〖행정〗 ➜ 양잿물, 수산화나트륨

가세 [加勢] 〖행정〗 = 힘을 보탬, 거듦, 거들기

가세 [家勢] 〖행정〗 = 집안 형편

가세 [家貰] 〖행정〗 ➜ 집세

가소롭다 [可笑-] 〖행정〗 = 우습다

가속 [加速] 〖행정〗 ⇨ 속도를 더함

가솔 [家率] 〖행정〗 ➜ 집안 식구

가솔린 (←가소린) [ガソリン, gasoline] 〖행정〗 ➜ 휘발유

가송치증 [假送致證] 〖행정〗 ➜ 임시 송치증, 임시 가둠 증서

가수 [假睡] 〖행정〗 ➜ 선졸음, 선잠

가수금 [假受金] 〖행정〗 ➜ 임시 받은 돈

가수요 [假需要] 〖행정〗 ⇨ 임시 수요

가수용 시설 [假收容施設] 〖행정〗 ➜ 임시 수용 시설

가수증 [假收證] 〖행정〗 ➜ 임시 영수증

가스가이 [鎹, かすがい] 〖건설〗 ➜ 꺾쇠

가스리 [絣, かすり] 〖패션〗 ➜ 이카트

가스 마스크 [gas mask] 〖행정〗 = 방독면

가스미 [霞, かすみ] 〖신문〗 ➜ 깔쭉이(줄)

가스 파이프 [gas pipe] 〖언론〗 ➜ 가스관 ¶이번 누출 사고는 직원이 가스 파이프를 가스통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가승계 [假承繼] 〖생활외〗 ⇨ 임시 승계

가시 [可視] 〖행정〗 ⇨ 볼 수 있음, 보임

가시 광선 [可視光線] 〖행정〗 ⇨ 보이는 광선, 뵈는 광선

가시권 [可視圈] 〖행정〗 ⇨ 보이는 범위, 볼 수 있는 범위

가시도 [可視度] 〖행정〗 ⇨ 볼 수 있는 범위

가시적 [可視的] 〖행정〗 ⇨ 보이는, 볼 수 있는

가시정 [假施錠] 〖행정〗 ➜ 임시 잠금

가시청 [可視聽] 〖행정〗 ⇨ 시청할 수 있는

가시화 [可視化] 〖행정〗 ⇨ 볼 수 있게 (함), 드러남

가식 [假植] 〖행정〗 ➜ 임시 심기, 겉심기

가식 [假飾] 〖행정〗 ➜ 거짓 꾸밈

가식상 [假植床] 〖행정〗 ➜ 임시 모판

가신 [家神] 〖민속〗 ⇨ 집지킴(이), 업

가실 [家室] 〖행정〗 ➜ 집안, 가족

가십 [gossip] 〖생활외〗 = 촌평, 〖행정〗 ➜ 소문, 뒷공론 ¶그 이야기는 이미 지난 일요신문 가십난에 났던 것이야.

가쓰라 [かつら] 〖패션〗 ➜ 가발

가압 [加壓] 〖행정〗 = 압력 높임

가압 [家鴨] 〖행정〗 ➜ 집오리

가압류 [假押留] 〖행정〗 ➜ 임시 압류

가액 [價額] 〖행정〗 ⇨ 값, 〖금융〗 ⇨ 금액

가에 [かえ] 〖신문〗 ➜ 갈아〖인쇄〗

가에다마 [かえだま] 〖연극〗 ➜ 대역

가에루마타(즈봉) [蛙股] 〖봉제〗 ➜ 개구멍 바지

가에리 [返り] 〖봉제〗 ➜ 아랫깃, 라펠(lapel)

가에리센 [返り線, かえりせん] 〖패션〗 ➜ 아랫깃선, 라펠선

가에리아나 [返り穴, かえりあな] 〖패션〗 ➜ 깃구멍, 깃눈

가에리키자미 [返り刻み, かえりきざみ] 〖봉제〗 ➜ 깃아귀

가에리하시 [返り端, かえりはし] 〖패션〗 ➜ 깃끝

가에시누이 [返し縫い] 〖봉제〗 ➜ 박음질

가에시바리 [返し針] 〖봉제〗 ➜ 되돌려박기

가에시카토 [返し cut] 〖연극〗 ➜ 반대편 찍기 〖영화〗

가연성 [可燃性] 〖행정〗 = 타는 성질

가열 [加熱] 〖행정〗 = 열 더함

가열육 [加熱肉] 〖식생활〗 ⇨ 익힘 고기, 익힌 고기

가열차게 [加熱-] 〖행정〗 ⇨ 힘차게

가영수증 [假領收證] 〖행정〗 ➜ 임시 영수증

가영치 [假領置] 〖행정〗 ➜ 임시 보관

가오 [顔, かお] 〖생활외〗 〖행정〗 ➜ 얼굴, 체면

가오다시 [顔出し] 〖생활외〗 ➜ 우두머리〖상인〗

가오 마담 [顔 madam] 〖생활외〗 ➜ 얼굴 마담

가옥 [家屋] 〖행정〗 = 집

가온 [加溫] 〖행정〗 ⇨ 데움, 덮힘

가와세 [爲替, かわせ] 〖행정〗 ➜ 환

가와스나 [川砂, かわすな] 〖건설〗 ➜ 강모래

가와시모 [川下, かわしも] 〖패션〗 ➜ 아랫(단계) 흐름

가와자리 [川砂利, かわじゃり] 〖건설〗 ➜ 강자갈

가와카미 [川上, かわかみ] 〖패션〗 ➜ 윗(단계) 흐름

가와쿠 [仮枠, かわく] 〖미술〗 ➜ 가틀

가요 철탑 [可撓鐵塔] 〖행정〗 ➜ 휠철탑, 〖전기〗 ➜ 유연 철탑(柔軟鐵塔)

가요 코드 [可撓 cord] 〖행정〗 ➜ 연한 전선

가용 [可用] 〖행정〗 ⇨ 쓸 수 있는

가용 [家用] 〖행정〗 ➜ 가정용

가용성 [可溶性] 〖행정〗 = 녹는 성질

가용 자원 [可用資源] 〖행정〗 = 쓸 수 있는 자원

가운 (←까운) [gown] 〖생활외〗 = 덧옷, 〖행정〗 = 예복, 위생복, 실습복, 〖패션〗 ⇨ 덧옷, 관의(寬衣) ¶가운을 걸친 채 마루로 나왔다.

가웅예 [假雄蕊] 〖농업〗 ➜ 헛수술

가위 [可謂] 〖행정〗 = (그야말로‧‧)라고 할 만하다

가위탁 [假委託] 〖행정〗 ➜ 임시 위탁

가이단 [階段] 〖건설〗 〖미술〗 ➜ 층계, 계단, 층층대

가이던스 [guidance] 〖행정〗 = 안내, 지도

가이드 [guide] 〖언론〗 〖행정〗 ⇨ 안내(자), 길잡이, 길라잡이 ¶해외 겨울 축제 가이드.

가이드 스폿 [guide spot] 〖볼링〗 ➜ 유도점

가이드라인 [guideline] 〖언론〗 〖정치〗 ⇨ 지침(指針), 제한선 ¶테러리스트들을 막기 위한 일련의 가이드라인을 마련 중이며….

가이드북 [guidebook] 〖언론〗 〖생활외〗 〖행정〗 ⇨ 안내서, 안내 책자 ¶‘재활용 알뜰 상점 가이드북’을 펼쳐 보니….

가이덴케이 [かいてんけい, 回轉計] 〖전기〗 ➜ 회전계(回轉計)

가이로 [かいろ] 〖전기〗 ➜ 회로(回路)

가이리 〖식생활〗 ➜ 잔멸치

가이바시라 [貝柱, かいばしら] 〖행정〗 ➜ 조개관자

가이사 [假理事] 〖행정〗 ➜ 임시 이사

가이센 (←가이셍) [回旋塔, かいせんとう] 〖생활외〗 ➜ 술래잡기

가이쇼 케이블 [がいしょう cable] 〖전기〗 ➜ 외장 케이블

가이시 [がいし] 〖전기〗 ➜ 애자(碍子), 뚱단지

가이칸 [碍管, がいかん] 〖미술〗 ➜ 사기 대롱

가이패이 서지 [かいへい surge] 〖전기〗 ➜ 개폐 서지(開閉 surge)

가인 [佳人] 〖행정〗 = 고운 사람

가인 [加印] 〖행정〗 ➜ 추가 날인

가인 [家人] 〖행정〗 ⇨ 가족, 동거인

가인조서 [加印調書] 〖정치〗 = 추가 날인 조서

가일층 [加一層] 〖행정〗 = 한층 더, 더한층

가임 [家賃] 〖행정〗 ➜ 집세

가입 [加入] 〖행정〗 = 들어감

가자 [茄子] 〖임업〗 ➜ 가지

가자과 [茄子科] 〖행정〗 ➜ 가지과

가자리 [飾り, かざり] 〖미술〗 ➜ 등갓, 〖행정〗 ➜ 꾸밈, 장식

가자리미싱 [かざりミシン] 〖봉제〗 ➜ 장식박기, 상침(上針)

가자리반도 [飾りバンド, かざりバンド] 〖패션〗 ➜ 장식대, 장식띠

가자리보당 [飾りボタン, かざりボタン] 〖패션〗 ➜ 장식단추

가작 [佳作] 〖행정〗 = 잘된 작품

가잠 [家蠶] 〖행정〗 ➜ (집) 누에

가장 [假葬] 〖행정〗 ➜ 임시 매장

가장 [假裝] 〖행정〗 = 거짓 꾸밈

가장 [家長] 〖행정〗 = 집안 어른, 남편

가장 매매 [假裝賣買] 〖행정〗 ⇨ 거짓 매매, 짬짜미 매매

가재 [家財] 〖행정〗 = 집 재물, 집 재산

가저장 [假貯藏] 〖농업〗 ➜ 임시 저장

가적 [假積] 〖행정〗 ➜ 임시 쌓기, 겉 쌓기

가적 [家籍] 〖행정〗 = 집안별 호적

가전 [加錢] 〖행정〗 ➜ 웃돈

가절 [佳節] 〖행정〗 ⇨ 좋은 철/계절

가접수 [假接受] 〖행정〗 ➜ 임시 접수

가정 배달 [家庭配達] 〖행정〗 = 집배달

가정보원 [假情報員] 〖행정〗 ⇨ 가짜 정보원

가정부 [假政府] 〖행정〗 = 임시 정부

가정 요법 [家庭療法] 〖행정〗 = 가정 치료법

가정 인입관 [家庭引入管] 〖행정〗 ➜ 가정 연결관

가정하다 [假定-] 〖행정〗 = 가령 (‧‧) 치다, (‧‧라고) 치다

가제 [加除] 〖행정〗 = 갈아 끼움, 고침, 뺌

가제 (←고즈) [ガーゼ] 〖패션〗 ➜ ①거즈 ②나, 사

가제목 [假題目] 〖행정〗 ➜ 임시 제목

가제어암 [可制御 arm] 〖전기〗 ⇨ 제어암 ※controllable arm

가조약 [假條約] 〖행정〗 ➜ 임시 조약

가조인 [假調印] 〖행정〗 ➜ 임시 조인

가주 [家主] 〖행정〗 ⇨ 집주인

가주소 [假住所] 〖행정〗 ➜ 임시 주소, 거짓 주소

가죽 패치 [- patch] 〖패션〗 ➜ 가죽 조각

가중되다/하다 [加重-] 〖행정〗 ⇨ 더 무거워지다, 더 커지다

가중위 [假中尉] 〖행정〗 ➜ 가짜 중위

가중 처벌 [加重處罰] 〖행정〗 = 더 무겁게 벌함

가즈라 [髮, かつら] 〖패션〗 ➜ 가발, 다리(머리)

가증하다 [可憎-] 〖행정〗 = 밉살스럽다

가지 [舵] 〖행정〗 ➜ 키

가지급 보험금 [假支給 保險金] 〖금융〗 ⇨ 우선 지급 보험금

(가지) 다듬기 〖행정〗 ⇨ 가지치기

가지불 [假支拂, かりしはらい] 〖금융〗 ⇨ 임시 지급

가지정 [假指定] 〖행정〗 ➜ 임시 지정

가지창 [--槍] 〖고고학〗 ⇨ 삼지창, 가지창 ※pronged spear

가집행 [假執行] 〖생활외〗 ⇨ 임시 집행

가징 [加徵] 〖행정〗 ➜ 덧거둠

가차압 [假差押, かりさしおさえ] 〖생활외〗 ➜ 임시 압류

가차없다 [假借-] 〖행정〗 = 사정없다

가찬할 [可讚-] 〖행정〗 ⇨ 칭찬할

가창 [歌唱] 〖행정〗 ⇨ 노래부르기

가책 [呵責] 〖행정〗 = 꾸지람, 찔림, 걸림

가처분 [假處分] 〖행정〗 ➜ 임시 처분

가처분 소득 [可處分 所得] 〖경제〗 ⇨ 처분 가능 소득

가첨 [加添] 〖행정〗 ⇨ 덧붙임

가청 노이즈 [可聽 noise] 〖전기〗 ➜ 소음(騷音)

가청산 [假淸算] 〖행정〗 ➜ 임시 청산

가축 [家畜] 〖행정〗 = 집짐승

가출 [假出] 〖행정〗 ➜ 임시 반출/내보냄

가출 [家出] 〖행정〗 = 집 나감, 집 나간

가출인 [家出人] 〖행정〗 = 집 나간 사람

가치장 [假置場] 〖행정〗 ➜ 임시 보관소

가친 [家親] 〖행정〗 ⇨ 아버지

가칭 [假稱] 〖행정〗 ⇨ 임시 일컬음, 거짓 일컬음

가카리 [係り] 〖생활외〗 〖행정〗 ➜ 담당자, 담당

가카토 [踵] 〖미술〗 ➜ 굽〖목공예〗

가케모치 [掛持, かけもち] 〖생활외〗 ➜ 겹치기 (상영)

가케소바([掛蕎麥, かけそば] 〖행정〗 ➜ 메밀국수

가케우동 [掛鎾飩, かけうどん] 〖식생활〗 ➜ 가락국수

가케판치 [かけ punch] 〖연극〗 ➜ 시작 표시 〖영화〗

가케표 [かけ(×)表] 〖행정〗 ➜ 가새표

가코미 [圍み] 〖신문〗 ➜ 테두리(짜기), 박스, 〖행정〗 ➜ (둘러)싸기, (에워)싸기

가코미리다 [圍み-, -leader] 〖신문〗 ➜ 점낫표

가코이 [仮圍い] 〖건설〗 ➜ 임시/가설 울타리

가쿠 [額, がく] 〖생활외〗 ➜ 틀, 액자

가쿠구로비시 [角黑菱] 〖신문〗 ➜ 마름네모

가쿠나카구로 [角中黑] 〖신문〗 ➜ 점네모

가쿠다시 [角齣し] 〖미술〗 ➜ 도림칼

가쿠목 [角木] 〖미술〗 〖행정〗 ➜ 각목, 각재(角材)

가쿠바시라 [角柱] 〖미술〗 ➜ 모기둥

가쿠부치 [額綠] 〖미술〗 ➜ 틀, 액자, 〖건설〗 ➜ 창문선

가쿠세키 [角石] 〖건설〗 ➜ 네모돌, 각석

가쿠시 [隱し] 〖봉제〗 ➜ (호)주머니

가쿠시로비시 [角白菱] 〖신문〗 ➜ 흰마름네모

가쿠시지쓰케 [隱し仕付け] 〖봉제〗 ➜ 숨김 시침질

가쿠이타 [角板] 〖미술〗 ➜ 각널(판)

가쿠자이 [角材] 〖건설〗 〖미술〗 ➜ 각재

가쿠지선 [架空(かくう)支線] 〖전기〗 ➜ 가공지선(架空支線)

가쿠파이프 [角 pipe] 〖미술〗 ➜ 각대롱, 각파이프

가키다시 [搔き齣し] 〖미술〗 ➜ 긁어내기

가타 [型, かた] 〖건설〗 〖미술〗 〖생활외〗 ➜ 틀, 형, 거푸집, 〖패션〗 ➜ 형, 모양, 본

가타 [肩, かた] 〖생활외〗 ➜ 불량배, 〖미술〗 ➜ 어깨 〖금속공예〗

가타가미 [型紙, かたがみ] 〖봉제〗 ➜ (종이) 옷본

가타가키 [肩書, かたがき] 〖생활외〗 ➜ 직함

가타구세 [肩癖] 〖봉제〗 ➜ 어깨줄임, 어깨다트

가타기리 [片切り] 〖건설〗 ➜ 외쪽깎기, 〖미술〗 ➜ 납작정

가타누이 [肩縫い] 〖봉제〗 ➜ 어깨박기

가타누이메 [肩縫目] 〖봉제〗 ➜ 어깨솔(기)

가타다마 [片玉, かたたま] 〖패션〗 ➜ 홑입술 (주머니)

가타다마부치 [片玉緣] 〖봉제〗 ➜ 홑입술 (주머니)

가타도리 [型取り, かたどり] 〖생활외〗 〖건설〗 ➜ 본뜨기

가타로구 [カタログ, catalogue] 〖미술〗 〖행정〗 ➜ 목록, 일람표, 모형, 설명서, 본(보기)책, 〖패션〗 ➜ 견본책, 본(보기) 책

가타마리 [固まり, かたまり] 〖생활외〗 ➜ 덩어리, 뭉치

가타마에 [片前, かたまえ] 〖생활외〗 〖봉제〗 ➜ 홑여밈(옷), 홑자락

가타모리 [片盛り] 〖건설〗 ➜ 외쪽돋기

가타밥 [型-] 〖생활외〗 ➜ 틀밥, 찍은밥

가타부타 [可-否-] 〖행정〗 = 옳다 그르다

가타사키 [肩先, かたさき] 〖봉제〗 〖패션〗 ➜ 어깨끝

가타센 [肩線, かたせん] 〖봉제〗 ➜ 어깨선

가타쓰케 [肩付け, 片付け, かたつけ] 〖패션〗 ➜ 어깨붙이기, 어깨박기

가타쓰케 [型付け] 〖봉제〗 ➜ 본붙이기

가타아미 [ガーター編み, ガーターあみ] 〖패션〗 ➜ 가터뜨기, 펄뜨기

가타아시바 [片足場, かたあしば] 〖건설〗 ➜ 외줄비계

가타와쿠 [型枠, かたわく] 〖미술〗 〖행정〗 ➜ 거푸집

가타와쿠이타 [型枠板, かたわくいた] 〖건설〗 ➜ 거푸집 널

가타와타 [肩綿, かたわた] 〖패션〗 ➜ 패드, 어깨심

가타이레 [型入, かたいれ] 〖봉제〗 ➜ 옷본놓기

가타이타 [型板, かたいた] 〖건설〗 ➜ 본판(本板)

가타즈케 [かたづけ] 〖행정〗 ➜ 마무리

가타카케 [肩掛け] 〖행정〗 ➜ 어깨 두르개

가타쿠리 ([片栗, かたくり粉, かたくりこ] 〖식생활〗 ➜ 얼레짓가루, 녹말 (가루), 감자 가루

가타쿠세 [肩癖, かたくせ] 〖패션〗 ➜ 어깨 줄임/다트

가타쿠즈레 [形崩れ, かたくずれ] 〖봉제〗 ➜ 모양 망가짐, 〖패션〗 ➜ 변형(變形)

가타키 [かたき] 〖연극〗 ➜ 악역〖영화〗

가타하바 [肩幅] 〖봉제〗 ➜ 어깨너비

가택 [家宅] 〖행정〗 = 집

가택 방문 [家宅訪問] 〖행정〗 = 가정 방문

가택 수색 [家宅搜索] 〖행정〗 = 집 수색

가토 [加土] 〖행정〗 ⇨ 북주기

가토 [家兎] 〖행정〗 ➜ (집)토끼

가통 [家統] 〖행정〗 ➜ 집안 내림, 집안 계통

가편 [加片] 〖행정〗 = 가외삼

가표 [可票] 〖행정〗 ➜ 찬성표

가풍 [家風] 〖행정〗 = 집안 풍습

가풍 [歌風] 〖행정〗 = 노래 맵시

가피 [痂皮] 〖법의학〗 ⇨ (부스럼) 딱지 ※crust, slough

가필 [加筆] 〖행정〗 = 고쳐 씀

가하다 [加-] 〖행정〗 ⇨ 더하다, 보태다

가하다 [可-] 〖행정〗 ⇨ 옳다

가항 [假杭] 〖행정〗 ➜ 임시 표지 막대

가해 [加害] 〖행정〗 = 해를 끼침

가해자 [加害者] 〖행정〗 = 해친 이

가해하다 [加害-] 〖행정〗 = 해를 끼치다

가호 [加護] 〖행정〗 = 돌봐줌, 도움

가환부 [假還付] 〖행정〗 ⇨ 임시 돌려줌

가후스 [カフス] 〖패션〗 ➜ 커프스, 소맷부리단

가후스보당 [カフスボタン] 〖패션〗 ➜ 소매 접단 (단추)

가후스쓰게 [カフス付け] 〖패션〗 ➜ 커프스 달기

가희 [歌姬] 〖행정〗 ➜ 여가수

각 [脚] 〖행정〗 ⇨ 다리

각개 [各個] 〖행정〗 ⇨ 따로따로, 하나하나

각개 점호 [各個點呼] 〖행정〗 = 인원 점검

각거 [角距] 〖임업〗 ➜ 각거리(角距離)

각계 [各界] 〖행정〗 ⇨ 여러 분야

각고 [刻苦] 〖행정〗 ⇨ 몹시 애씀

각광 [脚光] 〖정치〗 = 주목

각기 [各其] 〖행정〗 ⇨ 저마다

각도 [刻度] 〖행정〗 ➜ 눈금

각박하다 [刻薄-] 〖정치〗 = 메마르다

각반 [脚絆, きゃはん] 〖생활외〗 ⇨ 행전

각반병 [角班病] 〖행정〗 ⇨ 모무늬병

각별하다 [恪別-] 〖행정〗 ⇨ 깍듯하다, 특별하다

각별히 [恪別-] 〖행정〗 ⇨ 특히, 특별히, 별로

각본조 [各本條] 〖행정〗 ➜ 각 해당 조문

각부 [脚部] 〖임업〗 ➜ 삼다리 〖인삼 재배〗

각사탕 [角砂糖] 〖행정〗 ⇨ 각설탕

각서 [覺書] 〖행정〗 ⇨ 약속 문서, 다짐 글

각서징구 [覺書徵求] 〖정치〗 ⇨ 약속 문서/다짐 글/각서 요구

각설하고 [却說-] 〖행정〗 ⇨ 화제를 돌려서

각성 [覺醒] 〖행정〗 = 깨달음

각양(각색) [各樣各色] 〖행정〗 ⇨ 여러 가지

각연 [刻煙] 〖행정〗 ➜ 살담배, 썰이, 썬 담배 〖인삼 재배〗

각위 [各位] 〖행정〗 ➜ 여러분

각인 [刻印] 〖행정〗 = 도장(을) 새김

각자 [各自] 〖행정〗 = 저마다, 제각기, 제각각

각자하다 [刻字-] 〖행정〗 ⇨ 글자를 새기다

각장 [脚長] 〖행정〗 ➜ 다리 길이

각저도 [角觝圖] 〖미술사〗 ⇨ 씨름도 ※Korean wrestling scene

각종 [各種] 〖행정〗 = 여러 가지

각처 [各處] 〖행정〗 ⇨ 여러 곳, 이곳저곳

각초 [刻草] 〖행정〗 ➜ 살담배, 썰이, 썬 담배

각초설 [刻草屑] 〖농업〗 ➜ 각초 부스러기

각초 팽화 장치 [刻草澎化裝置] 〖농업〗 ➜ 각초 부풀림 장치

각축 [角逐] 〖행정〗 = 겨룸

각치 [角値] 〖행정〗 ➜ 각도

각필 [閣筆] 〖행정〗 = 붓을 놓음

각하 [却下] 〖생활외〗 ⇨ 물리침

각하되다 [却下-] 〖행정〗 = 받아들일 수 없게 되다

각호 [各戶] 〖행정〗 ➜ 집집마다

간 [干] 〖행정〗 ⇨ 절임

간 [稈] 〖행정〗 = 봉(棒)

간 [間] 〖건축〗 ⇨ 칸살 ※bay, the size of a room, interval

간간이 〖행정〗 = 이따금

간격 [間隔] 〖행정〗 = 사이, 틈

간경 [幹經] 〖행정〗 ⇨ 대지름

간경화 [肝硬化] 〖법의학〗 ⇨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간계 [奸計] 〖행정〗 = 간사한 꾀

간과하다 [看過-] 〖행정〗 = 보아 넘기다

간교 [奸巧] 〖행정〗 = 잔꾀, 간사

간구하다 [干求-] 〖행정〗 = 요구하다, 바라다

간그릇 [磨硏土器] 〖고고학〗 ⇨ 간 토기 ※polished pottery

간극 [間隙] 〖행정〗 = 틈

간급 [幹級] 〖임업〗 ➜ 수간급(樹幹級)

간기하다 [簡記-] 〖행정〗 ➜ 간단히 적다

간나 [鉋, かんな] 〖미술〗 ➜ 대패

간나케즈리키 [鉅削り機] 〖건설〗 ➜ (대패) 판깎개

간누이 [環縫い, かんぬい] 〖패션〗 ➜ 사슬뜨기

간단관수 [簡單灌水] 〖농업〗 ➜ (물) 걸러 대기

간단 없이 [間斷-] 〖행정〗 ⇨ 끊임없이

간단후쿠 [かんたんふく] 〖패션〗 ➜ 간편복

간담회 [懇談會] 〖행정〗 ⇨ 정담회(情談會), 대화 모임

간데라 [カンデラ, candela] 〖건설〗 ➜ 촉(광)

간돌검 [磨製石劍] 〖고고학〗 ⇨ 간 돌칼, 마제석검 ※polished stone dagger

간돌화촉 [磨製石鏃] 〖고고학〗 ⇨ 간 돌화살촉, 마제석촉 ※polished stone

arrowhead

간란 (←간낭) [甘藍, かんらん] 〖식생활〗 ➜ 양배추

간략히 [簡略-] 〖행정〗 = 간단히

간만 [干滿] 〖행정〗 = 썰물 밀물

간맹아 [幹萌芽] 〖임업〗 = 줄기움(돋이)

간벌 [間伐] 〖행정〗 = 솎아베기

간벌목 [間伐木] 〖임업〗 ⇨ 솎아벨/솎아벤/솎을/솎은 나무

간벽 [間壁] 〖행정〗 ➜ 중간벽, 사이벽

간부 원생 [幹部院生] 〖행정〗 ➜ 지도 원생 〖지도 관계〗

간사 회사 [幹事 會社] 〖금융〗 〖행정〗 ➜ 주관 회사, 유사 회사

간살 〖건축〗 ⇨ 칸살 ※bay, the size of a room, interval

간색 [稈色] 〖임업〗 ➜ 줄기색

간석기 [磨製石器] 〖고고학〗 ⇨ 마제석기, 간 석기 ※polished stone tool

간석지 [干潟地] 〖농업〗 〖행정〗 = 개펄, 개흙땅

간선 [幹線] 〖행정〗 = 본선

간선 도로 [幹線道路] 〖행정〗 = 중심 도로, 큰 도로

간섭 현상 [干涉 現象] 〖법의학〗 ⇨ 참견 현상 ※morphological artefact

간소복 [簡素服] 〖행정〗 = 가벼운 옷차림

간쇄 [間碎] 〖농업〗 ➜ 사이 지주

간수 [看守] 〖행정〗 ➜ 교도관

간수하다 [看守-] 〖행정〗 = 지키다

간승 [間繩] 〖임업〗 ➜ 잼줄

간식 [間植] 〖행정〗 ➜ 사이심기

간식 [間食] 〖생활외〗 ⇨ 샛밥, 새참, 군음식

간신성 증후군 [肝腎性 症候群] 〖법의학〗 ➜ 간 콩팥 증후군 ※hepatorenal syndrome

간신히 [艱辛-] 〖행정〗 = 겨우, 가까스로

간언 [間言] 〖행정〗 ➜ 이간질

간여하다 [干與-] 〖행정〗 ⇨ 상관하다, 관계하다

간음 [間音] 〖행정〗 ⇨ 사잇소리

간이 잠실 [簡易蠶室] 〖행정〗 ⇨ 간이 누엣간

간이 처리 [簡易處理] 〖행정〗 ⇨ 간단한 처리

간이한 [簡易-] 〖행정〗 ⇨ 간편한, 손쉬운

간인 [間印] 〖행정〗 = 사잇도장, 거멀도장, 걸침도장, 이음도장

간인 [間引] 〖임업〗 ➜ 솎음

간인하다 [間印-] 〖행정〗 ⇨ 사잇도장을 찍다

간작 [間作] 〖행정〗 ⇨ 사이짓기, 사이갈기

간장 [幹長] 〖행정〗 ➜ 대길이

간장 [稈長] 〖임업〗 ➜ 키

간재 [幹材] 〖행정〗 ➜ 줄기재

간재적 총 수확량 [幹材積總收穫量] 〖임업〗 ➜ 총 재적 수확량

간조 [干潮] 〖행정〗 ⇨ 썰물

간조 [勘定, かんじょう] 〖미술〗 〖행정〗 〖생활외〗 ➜ 셈, 계산, 〖건설〗 ➜ 셈, (노임) 계산, 품삯(셈)

간조키 [かんじょうき] 〖행정〗 ➜ 계산서

간종대 [肝腫大] 〖법의학〗 ➜ 간 비대 ※hepatomegaly

간주위장 [幹周圍長] 〖행정〗 ➜ 줄기 둘레

간주하다 [看做-] 〖행정〗 = 보다, 여기다, 치다

간즈메 (←간스메) [罐缶詰, かんづめ, can] 〖생활외〗 ➜ 통조림

간지 [間紙] 〖행정〗 ⇨ 사잇종이, 속장

간지 [感, かんじ] 〖생활외〗 ➜ 느낌

간지석 [間知石] 〖임업〗 ➜ 축댓돌

간찰 [簡札] 〖미술사〗 ⇨ 편지, 간찰 ※letter

간채류 [幹菜類] 〖식생활〗 ⇨ 줄기 채소

간척지 [干拓地] 〖행정〗 = 개막은 땅

간청하다 [懇請-] 〖행정〗 = 간절히 바라다

간출암 [干出岩] 〖행정〗 ➜ 썰물 바위

간취 [間取] 〖건설〗 ➜ 간살잡기

간취하다 [看取-] 〖행정〗 ➜ 알아차리다

간키리 (←깡끼리) [罐缶切り] 〖행정〗 〖식생활〗 ➜ (통조림) 따개, 깡통 따개

간태우다 [肝-] 〖행정〗 ⇨ 애태우다

간테키 [かんてき] 〖행정〗 ➜ 화덕, 풍로

간파하다 [看破-] 〖행정〗 ⇨ 알아채다, 꿰뚫어 보다

간필 [簡筆] 〖미술〗 ⇨ 편지붓

간헐적 [間歇的] 〖행정〗 = 이따금

간헐하천 [間歇河川] 〖임업〗 = 간헐천

간혹 [間或] 〖행정〗 = 이따금, 종종

갈강병 [褐彊病] 〖농업〗 ➜ 갈색굳음병

갈구 [渴求] 〖행정〗 = 애타게 바람

갈근 [葛根] 〖임업〗 〖행정〗 = 칡뿌리

갈돌대 [石棒] 〖고고학〗 ⇨ 갈돌 ※stone grinding pestle

갈래창 [戟] 〖고고학〗 ⇨ 옆가지창 ※halberd

갈망하다 [渴望-] 〖행정〗 = (몹시) 바라다, 기다리다

갈문병 [褐紋病] 〖농업〗 ➜ 갈색 무늬병

갈색 간그릇 [褐色磨硏土器] 〖고고학〗 ⇨ 갈색 간 토기 ※brown burnished pottery

갈색조 [褐色藻] 〖법의학〗 ➜ 갈색 ※brown

갈수기 [渴水期] 〖행정〗 = 가뭄 때

갈증 [渴症] 〖행정〗 = 목마름

갈취 [喝取] 〖행정〗 = 빼앗음

갈판 [石展石] 〖고고학〗 ⇨ 갈판돌 ※saddle quern

갈필 [渴筆] 〖미술사〗 ⇨ 마른 붓질, 갈필 ※dry brush

감 [感] 〖행정〗 = 느낌

감 [龕] 〖건축사〗 ⇨ 감실 ※shrine, niche in temple

감경 [減輕] 〖행정〗 ⇨ (형량) 가볍게 함, (형기) 줄임

감과앵두 [甘果櫻桃] 〖농업〗 〖식생활〗 ⇨ 단앵두

감관 [感管] 〖행정〗 ➜ 감각 기관

감귤 [柑橘] 〖행정〗 = 귤

감금 [監禁] 〖행정〗 ⇨ 가둠

감내 [堪耐] 〖행정〗 ⇨ 견딤

감능 [堪能] 〖행정〗 ➜ 견딜 수 있는 능력, 감당할 능력

감도 [感度] 〖행정〗 = 느낌새

감람 [甘藍] 〖식생활〗 ➜ 양배추

감량 [感量] 〖행정〗 ➜ 가늠치

감량 [減量] 〖행정〗 ⇨ (무게) 줄임, (부피) 줄임

감리 [監理] 〖행정〗 ⇨ 감독 관리

감모 [減耗] 〖행정〗 ➜ 줄어듦, 닳음

감모율 [減耗率] 〖행정〗 ➜ 줄어든 비율, 닳은 비율

감미 [甘味] 〖행정〗 = 단맛

감방 [監房] 〖행정〗 ➜ 수용실, 거실

감별추 [鑑別雛] 〖축산〗 ⇨ 가린 병아리

감봉 [減俸] 〖행정〗 ⇨ 봉급 깎음

감사 [監査] 〖행정〗 ⇨ (행정, 업무) 지도 검사

감산하다 [減産-] 〖행정〗 ⇨ 생산이 줄다, 생산을 줄이다

감삽 [嵌揷] 〖행정〗 ➜ 끼워 넣음

감생채 〖식생활〗 ➜ 단생채

감소하다 [減少-] 〖행정〗 = 줄다

감손되다 [減損-] 〖행정〗 ➜ 줄어들다

감쇠 [減衰] 〖행정〗 ➜ 적어짐, 줄어짐, 약해짐

감수 [減水] 〖행정〗 ➜ 물이 줆

감수 [甘受] 〖행정〗 = 달게 받음

감시 [甘柿] 〖임업〗 ⇨ 단감

감안 [勘案] 〖생활외〗 ⇨ 생각, 고려, 참작

감압 [減壓] 〖행정〗 ⇨ 압력을 줄임

감언이설 [甘言利說] 〖정치〗 = 달콤한 말, 꾐말

감염되다 [感染-] 〖행정〗 = 물들다, 옮다

감염성 심내막염 [感染性 心內膜炎] 〖법의학〗 ➜ 감염 심내막염 ※infective endocarditis

감염욕 [感染褥] 〖임업〗 ⇨ 침입자 자리, 감염요

감옥 [監獄] 〖행정〗 ➜ 교도소

감옥촉서 [甘玉蜀黍] 〖식생활〗 ➜ 단옥수수

감원 [減員] 〖행정〗 ⇨ 인원을 줄임

감입 [嵌入] 〖행정〗 ➜ 끼워넣기

감자 [減資] 〖경제〗 ⇨ 자본금 감축/감소

감자 [甘蔗] 〖농업〗 ➜ 사탕수수

감작 [減作] 〖행정〗 ➜ 수확 감소, 경작을 줄임

감저 [甘藷] 〖식생활〗 ➜ 고구마

감정 [勘定] 〖행정〗 ➜ 셈, 계산

감주 [甘酒] 〖식생활〗 ⇨ 단술

감착 [嵌着] 〖행정〗 ➜ 끼워 붙임

감찰 [鑑札] 〖행정〗 ➜ 영업패, (영업) 허가증, 등록증

감채 기금 [減債 基金] 〖금융〗 ➜ 채무 상환 기금

감축하다 [減縮-] 〖행정〗 ⇨ 줄이다

감탈 [嵌脫] 〖행정〗 ➜ 박고 뽑기

감하다 [減-] 〖행정〗 = 줄이다, 빼다

감하여 [鑑-] 〖행정〗 ➜ 비추어, 살피어

감합 [嵌合] 〖행정〗 ➜ 끼워 맞춤

감항능력 [堪航能力] 〖행정〗 ➜ 안전 항해 능력

감호 [監護] 〖행정〗 = 보호, 감독, 보호 감독

갑각 [岬角] 〖행정〗 ➜ 돌출 부분

갑내포지 [匣內包紙] 〖행정〗 ➜ 속 포장지

갑발 [匣鉢] 〖미술사〗 ⇨ 갑발, 덮개 ※sagger

갑삼 [甲蔘] 〖행정〗 ➜ 으뜸삼모

갑상선 기능 저하증 [甲狀腺機能低下症] 〖법의학〗 ➜ 갑상샘 기능 저하증 ※hypothyroidism

갑상선 기능 항진증 [甲狀腺機能亢進症] 〖법의학〗 ➜ 갑상샘 기능 항진증 ※hyperthyroidism

갑옷 [甲-] 〖고고학〗 ⇨ 갑옷과 투구 ※armour

갑을남녀 [甲乙男女] 〖행정〗 ⇨ 보통 사람들

갑종 [甲種, こうしゅ] 〖생활외〗 = 1급, 으뜸

갑주 [甲冑] 〖고고학〗 ⇨ 갑옷과 투구 ※armour

갑충 [甲蟲] 〖행정〗 ⇨ 딱정벌레

갓쇼 [合掌] 〖건설〗 ➜ ㅅ(시옷)자보

갓파 [合羽, カッパ, 스.capa] 〖생활외〗 ➜ 비옷, 덮개, 〖패션〗 ⇨ 케이프

갓와리 [カット割, カットわり, cut-] 〖행정〗 ➜ 커트 나누기

강강수월래 [强羌水越來] 〖민속〗 ➜ 강강술래

강괴 [鋼塊] 〖행정〗 ➜ 강철 덩어리

강구하다 [講究-] 〖행정〗 ⇨ (좋은 방법을) 연구/생각하다

강권하다 [强勸-] 〖행정〗 ⇨ 강제로/억지로 권하다

강급 [降級] 〖행정〗 ⇨ 계단을 내림

강대 외장 케이블 [鋼帶外裝 cable] 〖전기〗 ⇨ 철띠 (외장) 케이블 ※tape-armored cable

강두 [豇豆] 〖농업〗 ➜ 동부

강력분 [强力粉] 〖식생활〗 ⇨ 차진 밀가루

강류 [糠類] 〖행정〗 ⇨ 겨붙이

강매 [强賣] 〖행정〗 = 강제로 팖

강모 [剛毛] 〖행정〗 ⇨ 센 털

강박 [强迫] 〖행정〗 = 윽박지름

강보 [襁褓] 〖행정〗 ⇨ 포대기

강사 [江砂] 〖임업〗 ➜ 강모래

강삭 [鋼索] 〖행정〗 ⇨ 쇠줄

강상 [江上] 〖행정〗 ➜ 강 위

강선지삭 [鋼線支索] 〖행정〗 ➜ 지주 쇠밧줄

강설량 [降雪量] 〖행정〗 = 눈 온 양

강수량 [降水量] 〖행정〗 ⇨ 내린 물 양

강압 [强壓] 〖행정〗 = 억누름

강요하다 [强要-] 〖행정〗 = 억지로 요구하다

강우량 [降雨量] 〖행정〗 = 비 온 양

강임 [降任] 〖행정〗 ➜ 아랫자리 임명

강잉히 [强仍-] 〖행정〗 ➜ 부득이, 그대로

강제댐 [鋼製 dam] 〖임업〗 ⇨ 철제댐

강제로 [强制-] 〖행정〗 = 억지로

강제환우 [强制換羽] 〖축산〗 ➜ 강제 털갈이

강차 [降車] 〖행정〗 ⇨ 차에서 내림

강철권척 [鋼鐵卷尺] 〖임업〗 ➜ 쇠줄자

강축하다 [强蹴-] 〖행정〗 ➜ 세게 차다

강취방 [綱取防] 〖행정〗 ➜ 줄잡이

강타하다 [强打-] 〖행정〗 = 세게 치다

강풍 [强風] 〖전철〗 ⇨ 센 바람

강하 [降下] 〖행정〗 ⇨ 내림

강하식 [降下式] 〖행정〗 ⇨ 내림(의)식

강하하다 [降下-] 〖행정〗 ⇨ 내리다

강행적 [强行的] 〖정치〗 ➜ 강제적, 억지로

강화하다 [强化-] 〖행정〗 = 튼튼하게 하다/되다

개각하다 [改刻-] 〖행정〗 ⇨ 고쳐 새기다

개간 [開墾] 〖생활외〗 = 일굼

개간지 [開墾地] 〖행정〗 ⇨ 일군 땅

개갑 [開匣] 〖농업〗 ➜ 씨눈 깨기, 싹 틔우기

개갑광 [開匣壙] 〖농업〗 ➜ 씨눈 깨기 그릇

개개 [個個] 〖행정〗 = 낱낱

개거 [開渠] 〖전기〗 ➜ 열린 수로, 〖행정〗 ➜ 도랑, 〖임업〗 ⇨ 겉도랑

개과하다 [改過-] 〖행정〗 ⇨ 회개하다, 뉘우치다

개관 [開罐] 〖행정〗 ➜ (통조림) 따기

개관해 보면 [槪觀-] 〖행정〗 ⇨ 대충 살펴보면

개괘 중량 [皆掛重量] 〖행정〗 ➜ 총 무게

개구기 [開口器] 〖축산〗 ➜ 입 벌리개

개구리복 〖행정〗 ➜ 제대복

개구호흡 [開口呼吸] 〖축산〗 ⇨ (입) 벌려 숨쉬기

개그 [gag] 〖생활외〗 = 재담 ¶대학가의 개그는 신선해야 한다.

개그맨 [gagman] 〖행정〗 ⇨ 익살꾼

개답 [開沓] 〖행정〗 ➜ 논풀이, 신(新)풀이

개더 (←개더드) 스커트 [←gathered skirt] 〖패션〗 ⇨ 개더 치마

개략 [槪略] 〖정치〗 ⇨ 개요

개량 [改良] 〖행정〗 = 고침

개량시 [改良柿] 〖행정〗 ➜ 개량감

개량족 [改良簇] 〖임업〗 ➜ 개량섶

개량 최청법 [改良催靑法] 〖축산〗 ➜ 개량 알깨기

개런티 [guarantee] 〖생활외〗 〖언론〗 〖행정〗 ⇨ 출연료 ¶개런티 없는 연주를 요구할 정도로 음악계 사정은 최악이다.

개막 [開幕] 〖행정〗 ⇨ 막 올림

개명 [改名] 〖행정〗 ⇨ 이름을 고침

개묘하다 [改描-] 〖행정〗 ➜ 고쳐 그리다

개방성 계제 [開放性 係蹄] 〖법의학〗 ➜ 열린 올가미 ※open noose

개방성 손상 [開放性 損傷] 〖법의학〗 ➜ 열린 상처 ※open injury

개방 절선 [開放折線] 〖임업〗 ➜ 개방 트레버스

개벌 [皆伐] 〖임업〗 〖행정〗 ➜ 모두 베기

개별 [個別] 〖행정〗 = 따로

개보 [改補] 〖행정〗 ⇨ 고쳐 넣음

개비 [開扉] 〖행정〗 ➜ 문열기

개비하다 [改備-] 〖행정〗 ⇨ 갈다, 바꾸다

개비하다 [開扉-] 〖금융〗 ➜ 열다

개산 [槪算] 〖행정〗 ⇨ 어림셈, 대략 계산

개산급 [槪算給] 〖행정〗 ⇨ 어림 지급

개산하다 [槪算-] 〖행정〗 ⇨ 어림하다, 대략 셈하다

개서 [開絮] 〖농업〗 ➜ 다래벌기

개서하다 [改書-] 〖행정〗 ➜ 고쳐 쓰다/적다, 고치다

개선 [改善] 〖행정〗 = (좋게) 고침

개설 [槪說] 〖행정〗 = 대충 설명

개소 [個所] 〖생활외〗 ➜ 군데

개쇄한 [改刷-] 〖행정〗 ➜ 개정한, 고쳐 찍은 〖인쇄〗

개수로 [開水路, open-conduit] 〖전기〗 ➜ 열린 수로, 〖임업〗 ⇨ 겉도랑

개수통 [-桶] 〖식생활〗 = 설거지통

개수하다 [改修-] 〖행정〗 ⇨ 고치다

개시 [開始] 〖행정〗 ⇨ 시작

개시 [開示] 〖행정〗 ➜ 펴 보임, 드러내 보임

개식 [改植] 〖행정〗 ⇨ 다시심기

개신 [改新] 〖행정〗 ⇨ 새로 고침, 새로 바꿈

개심하다 [改心-] 〖행정〗 ⇨ 뉘우치다, 회개하다

개심형 [開心形] 〖농업〗 ➜ 깔때기꼴

개엽기 [開葉期] 〖임업〗 ⇨ 잎 필 때

개요 [槪要] 〖행정〗 = 대강, 줄거리

개의하다 [開議-] 〖행정〗 ⇨ 회의를 시작하다

개인 [改印] 〖행정〗 ⇨ 인감(印鑑)(을) 바꿈

개인계 [改印屆, かいいんとどけ] 〖행정〗 ➜ 개인 신고(서)

개임 [改任] 〖행정〗 ➜ 고쳐 임명

개입권 [介入權] 〖행정〗 ⇨ 끼어들 권리

개입하다 [介入-] 〖행정〗 ⇨ 끼어들다

개장하다 [開裝-] 〖행정〗 ➜ 포장을 풀다

개재 [介在] 〖정치〗 ⇨ 끼어듦, 끼여 있음

개전 [開田] 〖행정〗 ➜ 밭치기, 밭풀이

개전의 정 [改悛- 情] 〖행정〗 ➜ 뉘우치는 빛

개전의 정이 현저한 [-顯著-] 〖행정〗 ➜ 뉘우치는 빛이 뚜렷한

개정 [改正] 〖행정〗 ⇨ 고침

개제 [開堤] 〖임업〗 ➜ 열린 둑

개제하다 [改製-] 〖행정〗 ➜ 다시 제작하다

개조 [改造] 〖행정〗 = 고침

개조식 [箇條式] 〖행정〗 ➜ 조목 벌임

개중에 [個中-] 〖행정〗 ⇨ 여럿 가운데, 그 중(에)

개진하다 [開陳-] 〖행정〗 ⇨ (의견을) 진술하다/펴다/밝히다

개집표기 [改集標機] 〖행정〗 ⇨ 표 검사기

개착 [開鑿] 〖행정〗 ➜ 뚫음/기, 헤쳐 뚫기

개찬 [改竄] 〖행정〗 ➜ (글자 따위를) 고쳐 씀

개척종 [開拓種] 〖임업〗 ➜ 선구종

개체하다 [改替-] 〖행정〗 ➜ (고쳐) 바꾸다

개최하다 [開催-] 〖행정〗 = 열다

개축하다 [改築-] 〖행정〗 ⇨ 고쳐 짓다, 고쳐 쌓다

개측 [槪測] 〖임업〗 ➜ 개략 측량

개칭하다 [改稱-] 〖행정〗 ⇨ 이름을 바꾸다

개탄 [慨嘆] 〖정치〗 = 탄식

개토 [改土] 〖행정〗 ⇨ 흙갈이

개판 [蓋板] 〖행정〗 ➜ (통) 뚜껑

개폐 [開閉] 〖행정〗 ⇨ 여닫음

개폐기 [開閉器] 〖행정〗 = 여닫개, 스위치

개폐선 [開閉線] 〖행정〗 ⇨ 여닫이금

개폐시 [開閉時] 〖행정〗 ⇨ 여닫을 때

개표구 (←개찰구) [開票口] 〖행정〗 ⇨ 표 보이는 곳

개품 운송 [個品運送] 〖행정〗 ➜ 낱개 나르기

개피하다 [開披-] 〖행정〗 ➜ 뜯다, 열어 보다

개함 [開函] 〖정치〗 = (함을) 엶

개혁 [改革] 〖행정〗 = 새롭게 고침

개협 [開莢] 〖농업〗 ➜ 꼬투리 벌어짐

개호 [介護] 〖행정〗 ➜ 보호, 보살핌

개호(비) [介護(費)] 〖금융〗 ➜ (가정) 간병(비)

개호하다 [介護-] 〖행정〗 ➜ 보호하다, 보살피다

개화 [開花] 〖행정〗 ⇨ 꽃(이) 핌

개화기 [開花期] 〖행정〗 ⇨ 꽃 필 때

개화 호르몬 [開花 hormone] 〖임업〗 ⇨ 꽃피우기 호르몬

객관 [客館] 〖건축사〗 ⇨ 객사, 객관 ※guest house

객담 [喀痰] 〖행정〗 ➜ 가래

객장 [客場] 〖행정〗 〖금융〗 ⇨ 영업장

객토 [客土] 〖행정〗 ⇨ (새)흙넣기, 새흙

객혈 [喀血] 〖행정〗 ⇨ 피토하기

갤러리 [gallery] 〖골프〗 ➜ 관중, 구경꾼 ¶본 경기가 아님에도 수많은 갤러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김이 날린 첫 티샷은 러프(→잡초 지역)에 빠졌다. 〖미술〗 ⇨ 그림방, 화랑, 〖연극〗 ⇨ 갤러리석

갭 [gap] 〖생활외〗 ⇨ 틈, 차이, 간격 ¶선배들과 우리들 사이의 갭이 너무 크다. 〖전기〗 = 틈, 간극(間隙)

갱 [gang] 〖행정〗 ➜ ①강도, 폭력배 ②작업반 〖철도〗

갱내 [坑內] 〖행정〗 ⇨ 굴 안, 굴 속

갱목 [坑木] 〖임업〗 = 동바리, 갱도 버팀목

갱(백)미 [秔(白)米] 〖식생활〗 ➜ 멥쌀

갱생 보호회 [更生保護會] 〖행정〗 ➜ 새생활 지도소

갱생원 [更生院] 〖행정〗 ➜ 자립원

갱생하다 [更生-] 〖행정〗 ⇨ (다시) 살아나다, 새 삶을 얻다

갱신 계약 [更新 契約] 〖금융〗 ➜ (자동) 재계약

갱신지 [更新枝] 〖임업〗 ➜ 바꾼 가지

갱신하다 [更新-] 〖행정〗 ⇨ 새롭게 하다, 새로 하다

갱의실 (←경의실) [更衣室] 〖행정〗 ➜ 탈의실, 옷 갈아입는 곳

갱장 [更裝] 〖행정〗 ➜ 재포장

갱환 [更換] 〖행정〗 ➜ 다시 바꿈, 〖전철〗 ⇨ 교환/교체

갸자스커트 [ギャザースカート] 〖패션〗 ➜ 개더 치마

갸쿠 [逆, ぎゃく] 〖생활외〗 ➜ 반대치기 〖당구〗

갸쿠마쓰리 [逆まつり] 〖봉제〗 ➜ 거꾸로 감침

갸쿠아포 [逆-, 독.Apostroph] 〖신문〗 ➜ 뒤작은따옴표

갹출하다 [醵出-] 〖행정〗 ⇨ 나누어 내다, 추렴하다

거 [鋸] 〖행정〗 ➜ 톱

거가 [去家] 〖행정〗 ➜ 집 떠남

거간 [居間] 〖행정〗 ⇨ 중매인, 중간 상인

거개 [擧皆] 〖행정〗 ⇨ 거의, 대개

거국적인 [擧國的] 〖행정〗 = 온 나라의

거금 [巨金] 〖행정〗 ⇨ 큰돈

거년 [去年] 〖행정〗 ➜ 지난해

거동 [擧動] 〖행정〗 = 태도, 행동

거래선 [去來先, きょらいさき] 〖경제〗 〖금융〗 〖행정〗 ➜ 거래처

거래원 [去來員] 〖행정〗 ⇨ 증권 회원

거류 [居留] 〖행정〗 ⇨ 머물러 삶

거마비 [車馬費] 〖행정〗 ➜ 교통비, 차비

거목 [巨木] 〖행정〗 ⇨ 큰 나무

거물 [巨物] 〖행정〗 ⇨ 큰 인물

거반 [去般] 〖행정〗 ➜ 지난번

거북등 무늬 [龜甲紋] 〖고고학〗 ⇨ 거북 무늬 ※tortoise-shell design

거사 [巨事] 〖행정〗 ⇨ 큰일

거설 [鋸屑] 〖행정〗 ➜ 톱밥

거세창 [去勢瘡] 〖축산〗 ➜ 불깐 상처

거소 [居所] 〖행정〗 ➜ 사는 곳

거수자 [擧殊者] 〖행정〗 ➜ 수상한 사람

거수하다 [擧手-] 〖행정〗 ⇨ 손들다

거스 [girth] 〖패션〗 ➜ 둘레

거신 [鋸身] 〖행정〗 ➜ 톱(몸)

거싯 (←거셋) [gusset] 〖패션〗 ➜ 무

거액 [巨額] 〖행정〗 ⇨ 큰돈

거양하다 [擧揚-] 〖행정〗 ⇨ 들다, 올리다, (드)높이다

거어 [鋸魚] 〖행정〗 ➜ 큰 고기

거인양 외관 [巨人樣 外觀] 〖법의학〗 ➜ 사천왕 현상 ※giant figure appearance

거절하다 [拒絶-] 〖행정〗 = 물리치다

거점 [據點] 〖정치〗 = 근거(지)

거접 [居接] 〖임업〗 ➜ 제자리접

거주지 [居住地] 〖행정〗 = 사는 곳

거중 조정 [居中調停] 〖행정〗 ⇨ 중간 조정

거증 [擧證] 〖행정〗 ⇨ 증거 듦

거찰 [巨刹] 〖건축사〗 ⇨ 큰절, 대찰 ※the great Buddhist temple

거치 [据置] 〖행정〗 ⇨ 예치, 맡김

거치 [鋸齒] 〖행정〗 ➜ 톱날, 톱니

거치 기간 [据置期間] 〖행정〗 ⇨ 예치 기간

거치 입목 [鋸齒立目] 〖행정〗 ➜ 톱날 세우기, 톱니 세우기

거친 무늬 거울 [粗紋鏡] 〖고고학〗 ⇨ 거친 무늬, 조문경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s

거택 [居宅] 〖행정〗 ➜ 집, 댁

거터 [gutter] 〖볼링〗 ➜ 홈통

거터 볼 [gutter ball] 〖볼링〗 ⇨ 홈통 공

거트 (스트링) [gut (string)] 〖테니스〗 ⇨ (채)줄

거하 [去夏] 〖행정〗 ➜ 지난 여름

거한 [去-] 〖행정〗 ➜ 지난

거한 [巨漢] 〖행정〗 ⇨ 몸집 큰 이

거행하다 [擧行-] 〖행정〗 = 올리다, 하다

거화 신호 [炬火信號] 〖행정〗 ➜ 횃불 신호

건 [腱] 〖행정〗 ⇨ 힘줄

건가 [乾架] 〖임업〗 ➜ 말림틀

건견 [乾繭] 〖행정〗 ➜ 마른 고치, 고치 말리기

건경 [乾莖] 〖임업〗 ➜ 마른 줄기

건구상 [建具商] 〖행정〗 ⇨ 문짝 가게, 창호 가게

건구재 [建具材] 〖건설〗 ⇨ 문짝 재료

건구점 [建具店] 〖행정〗 ➜ 문짝 가게, 창호 가게

건국 [乾麴] 〖식생활〗 ➜ 마른 누룩

건널목 간수 [-看守] 〖행정〗 ➜ 건널목 안내원

건답 [乾畓] 〖행정〗 ➜ 마른논

건답직파 [乾畓直播] 〖농업〗 ⇨ 마른논 곧뿌리기

건당 [件當] 〖행정〗 ⇨ 한 건에

건마 [乾麻] 〖행정〗 ➜ 마른삼

건면 [乾麵] 〖식생활〗 ⇨ 마른 국수

건목 [乾木] 〖행정〗 ➜ 마른 나무

건묵 [乾墨] 〖미술〗 ⇨ 마른먹

건물중 [乾物重] 〖농업〗 ➜ 마른 무게

건물지 [建物址] 〖건축사〗 ⇨ 집터, 건물지 ※an ancient building site

건미역 [乾-] 〖식생활〗 ⇨ 마른 미역

건발기 [乾髮器] 〖행정〗 ➜ 머리 말리개, 머리 건조기

건빵 포켓 [- pocket] 〖패션〗 ➜ 건빵 (호)주머니

건사 [乾飼] 〖행정〗 ➜ 마른 먹이

건사용 모래 [乾沙-] 〖행정〗 ➜ 미끄럼막이 모래, 미끄럼 방지 모래

건성 익사 [乾性溺死] 〖법의학〗 ⇨ 마른 익사 ※dry drowning

건시 [乾柿] 〖식생활〗 ⇨ 곶감

건식 [建植] 〖행정〗 ➜ 설치, 세움

건어물 [乾魚物] 〖행정〗 ⇨ 마른 어물

건열 [乾裂] 〖행정〗 ➜ 말라 터짐

건엽중 [乾葉重] 〖행정〗 ➜ 마른잎 무게

건육 [乾肉] 〖식생활〗 ⇨ 마른 고기

건율 [乾栗] 〖식생활〗 ⇨ 말린 밤

건정 [鍵錠] 〖행정〗 ➜ 자물쇠

건조 [乾燥] 〖행정〗 = 말림, 마름

건조가 [乾燥架] 〖농업〗 ➜ 말림 시렁

건조 과실 [乾燥果實] 〖식생활〗 ⇨ 말린 과실

건조무 [乾燥-] 〖식생활〗 ⇨ 무말랭이

건조화 [乾燥花] 〖임업〗 ➜ 말린 꽃

건착망 [巾着網] 〖행정〗 ➜ 주머니 그물

건채 [乾菜] 〖식생활〗 ➜ 말린 나물

건체 [建替] 〖전기〗 ➜ (전봇대) 교체(交替)

건초 [乾草, 干草, ほしくさ] 〖생활외〗 = 마른풀

건토 효과 [乾土效果] 〖농업〗 ⇨ 마른흙 효과

건폐율 [建蔽率] 〖행정〗 ⇨ 대지 건평

건포도 [乾葡萄] 〖생활외〗 = 마른 포도, 말린 포도

건표고 [乾-] 〖식생활〗 ⇨ 마른 표고, 말린 표고

건할 [乾割] 〖행정〗 ➜ 말라 갈라짐

걸리 침식 [gully 浸蝕] 〖임업〗 ⇨ 구곡 침식(溝谷浸蝕)

검경 [檢鏡] 〖행정〗 ➜ 현미경 검사

검공 [檢孔] 〖행정〗 ⇨ 입력 자료 검증

검근 [檢斤] 〖행정〗 ➜ 무게 재기, 무게 검사

검끝 [鋒部] 〖고고학〗 ⇨ 칼끝, 창끝 ※point

검란기 [檢卵機] 〖행정〗 ➜ 알 검사기

검량 [檢量] 〖행정〗 ➜ 수량재기, 무게달기

검목 [檢木] 〖임업〗 ⇨ 나무 자람 조사

검몸 [劍身] 〖고고학〗 ⇨ 칼몸 ※body of dagger

검방 [檢房] 〖행정〗 ➜ 수용실 검사, 방 검사, 거실 검사

검사선 [檢査線] 〖임업〗 ➜ 조사선(照査線)

검사역 [檢査役, けんさやく] 〖생활외〗 ➜ 검사인, 검사원

검사 일할 [檢査日割] 〖행정〗 ➜ 검사 일정, 검사 날짜

검시 [檢視, けんし] 〖생활외〗 ➜ ① 사실 조사 ②시력 조사 ③시체 검사

검시 [檢屍] 〖법의학〗 ⇨ 시체 검사, 검시 ※post-mortem

검식 [檢食] 〖식생활〗 ➜ 음식 검사

검신 [檢身] 〖행정〗 ➜ 몸 검사

검안 [檢案] 〖법의학〗 ⇨ 시체 관찰, 검안 ※post-mortem inspection

검은 간토기 [黑陶] 〖고고학〗 ⇨ 검은 간 토기, 흑도 ※burnished black pottery

검인 [檢印] 〖행정〗 ⇨ 확인 도장

검자루 [劍把] 〖고고학〗 ⇨ 칼자루 ※dagger haft

검정 교잡 [檢定交雜] 〖임업〗 = 검정 교배

검증 [檢證] 〖행정〗 ⇨ 증거물 조사

검집 [劍瑟, 金具] 〖고고학〗 ⇨ 칼집 ※scabbard

검집붙이 [劍瑟附屬具] 〖고고학〗 ⇨ 칼집 장식 ※accessory of scabbard

검찰 [檢札] 〖행정〗 ⇨ 표 검사

검척 [檢尺] 〖행정〗 = 자로재기

검체 [檢體] 〖행정〗 ➜ 검사 대상물 〖농업〗

검취 [檢取] 〖행정〗 ➜ 검사, 조사

검치 [檢致] 〖행정〗 ➜ (검찰청) 송치

검침원 [檢針員] 〖행정〗 ⇨ 조사원, 계량기 조사원

검코 [劍麵] 〖고고학〗 ⇨ 칼코 ※sword guard

검토 요망 [檢討要望] 〖행정〗 = 살펴 주기 바람

겁탈하다 [劫奪-] 〖행정〗 ➜ 강제로 빼앗다

게기하다 [揭記-] 〖행정〗 ➜ 싣다, 써 붙이다, 기재하다

게꽁 [けっこん] 〖패션〗 ➜ (부부) 봉제사

게놈 (←지놈) [독.Genom] 〖언론〗 ⇨ 유전체(遺傳體) ¶일부 언론에서 게놈을 지놈으로 표기해서 헷갈리는 독자들이 많다.

게라 [ゲラ, galley] 〖신문〗 ⇨ 활자판 상자, 교정쇄

게라구미 [ゲラ組, galley-] 〖신문〗 ➜ 게라짜기

게라보 [ゲラ棒, galley-] 〖신문〗 ➜ 게라 막대

게라스리 (←게라즈리) [ゲラ刷り, galley-] 〖신문〗 ➜ 교정쇄

게릴라 [guerilla] 〖행정〗 ⇨ 유격대, 유격전

게마와시 [蹴回し] 〖봉제〗 ➜ 도련 (둘레), 밑단 (둘레)〖치마〗

게바리 [毛針, けばり] 〖생활외〗 ➜ 털낚시

게비키 [罫引き, けびき] 〖건설〗 ➜ 금쇠, 금긋개

게센 (←게셍) [げせん, でんせん] 〖전기〗 ➜ 전선(電線)

게스트 [guest] 〖생활외〗 ⇨ 손님, 특별 출연자 ¶나는 그 공연에 게스트로 참석할 것을 부탁받았다.

게쓰아가리 [けつあがり] 〖연극〗 ➜ 끝오름세〖영화〗

게쓰판치 [けつ punch] 〖연극〗 ➜ 끝표시〖영화〗

게시 [揭示] 〖행정〗 ⇨ 내붙임, 써 붙임

게시판 [揭示板] 〖행정〗 = 알림판

게시하다 [揭示-] 〖행정〗 ⇨ 내붙이다, 써 붙이다

게아게 [蹴上げ] 〖건설〗 ➜ 단 높이

게양 [揭揚] 〖생활외〗 ⇨ 닮, 올림

게이마키 [罫卷き] 〖신문〗 ➜ 무늬 테두리

게이샤 [傾斜, けいしゃ] 〖건설〗 ➜ 물매, 경사

게이지 [gauge] 〖미술〗 〖행정〗 ➜ 재개, 계기, 〖패션〗 ⇨ 기준 코단수

게이트 [gate] 〖스키〗 ➜ 기문(旗門), 〖행정〗 ➜ 문

게이트 키퍼 [gate keeper] 〖스키〗 ➜ 기문 심판

게인 [gain] 〖전기〗 ➜ 이득(利得)

게임 [game] 〖배구〗 ⇨ 경기, 겨루기, 〖행정〗 = 경기, 놀이, 내기 〖생활외〗 ⇨ 경기, 놀이, 내기 ¶우리는 이 게임을 리드하는 듯했다.

게임 (플레이) 메이커 [game (play) maker] 〖축구〗 〖생활외〗 〖언론〗 ➜ 주도 선수 ¶게임 메이커 고종수-윤정환 낙점 확실.

게임 세트 [game set] 〖생활외〗 ⇨ 경기 끝

게임 포인트 [game point] 〖테니스〗 ⇨ 게임점

게재 순위 [揭載順位] 〖정치〗 ⇨ 적는 순서/차례

게재하다 [揭載-] 〖행정〗 = 싣다

게징 (←게싱) [毛芯, けしん] 〖패션〗 ➜ 모심(毛心)

게첨 [揭添] 〖행정〗 ➜ 내붙임

게첩 [揭帖] 〖행정〗 ➜ 내붙임

게출 [揭齣] 〖전철〗 ⇨ (상황)표시, 표시 (내걸기)

게코미 [蹴込み] 〖건설〗 ➜ 챌면, 챌판

게타 [桁] 〖건설〗 ➜ 보〖토목〗, 도리〖건축〗

게타 [げた] 〖신문〗 ➜ 복자(伏字)〖인쇄〗

게팅 더 우드 [getting the wood] 〖볼링〗 ⇨ 호조(好調)

게하라이 [毛拂, けはらい] 〖패션〗 ➜ 털이솔

겐나와 [間縄, けんなわ] 〖건설〗 ➜ 승척(繩尺), 줄자, 〖미술〗 ➜ 잣줄

겐노 [玄能, げんのう] 〖건설〗 〖미술〗 ➜ 쇠메

겐노 다다키 [玄能敲き] 〖건설〗 ➜ 메다듬

겐마 [硏磨, けんま] 〖행정〗 ➜ 연마

겐바 [現場, けんば] 〖건설〗 〖미술〗 ➜ 현장

겐바우치 콘쿠리토구이 [現場打ち コンクリート杭] 〖건설〗 ➜ 현장 콘크리트 말뚝〖토목〗,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건축〗

겐바하이고 [現場配合] 〖건설〗 ➜ 현장 배합

겐보로 [劍ボロ] 〖봉제〗 ➜ 뾰족단

겐스이 가이시 [けんすい がいし] 〖전기〗 ➜ 현수 애자(懸垂碍子), 현수 뚱단지

겐세이 [牽制, けんせい] 〖생활외〗 〖행정〗 〖미술〗 ➜ 견제

겐슨 [原寸, げんすん] 〖행정〗 ➜ 원치수

겐슨이타 [原寸板] 〖건설〗 ➜ 원척본판(原尺本板)

겐슨즈 [原寸図] 〖건설〗 ➜ 원척도(原尺圖)

겐시 [犬齒, けんし] 〖행정〗 ➜ 송곳니

겐에리 (칼라) [劍襟, けんえり] 〖봉제〗 〖패션〗 ➜ 뾰족깃, 칼깃

겐와케 [けんわけ] 〖행정〗 ➜ 권 나누기

겐지료쿠 전지 (←겐시료쿠 전지) [げんしりょく電池] 〖전기〗 ➜ 원자력 전지(原子力電池)

겐치이시 [間知石, けんちいし] 〖건설〗 ➜ 축댓돌

겐칸 [玄關, げんかん] 〖건설〗 ➜ 현관, 문간

겐코 [檢學] 〖생활외〗 ➜ 징역〖은어〗

겐토 (←겐또) [見當, けんとう] 〖생활외〗 ➜ 가늠, 어림짐작

겐페이 [源平, けんぺい] 〖생활외〗 ➜ 편가르기

겔랜데 [독.Gelände] 〖스키〗 ➜ (스키) 연습장

겔랜데 스프링겐 [독.Gelände springen] 〖스키〗 ➜ 장애물 뛰어넘기

겟소구센 [結束線, けっそくせん] 〖건설〗 ➜ 결속선

격감 [激減] 〖행정〗 ⇨ 부쩍 줄어듦

격납 [格納] 〖행정〗 ➜ 넣어 둠

격년 [隔年] 〖행정〗 ⇨ 해거리

격년 결과 [隔年結果] 〖농업〗 ➜ 해거리 열기

격리 [隔離] 〖행정〗 ⇨ 떼어 놓음

격리 재배 [隔離栽培] 〖농업〗 ⇨ 따로 가꾸기

격무 [激務] 〖행정〗 = 힘든 일, 고된 일

격물 [隔物] 〖행정〗 ⇨ 떨어진 물건

격별 [格別] 〖생활외〗 ➜ 각별

격부 [格付] 〖행정〗 ➜ 매김

격상시키다 [格上-] 〖행정〗 ⇨ 격을 높이다

격세지감 [隔世之感] 〖행정〗 = 몹시 달라짐

격오지 [隔奧地] 〖정치〗 ➜ 외진 곳

격의없이 [隔意-] 〖행정〗 ⇨ 터놓고, 허물없이

격일로 [隔日-] 〖행정〗 ⇨ 하루 걸러

격자문(창) [格子門(窓)] 〖건축사〗 〖생활외〗 ⇨ 문살문, 살창 ※latticed door (window)

격자정합 [格子整合, ←lattice matching] 〖전기〗 ➜ 격자맞춤

격자틀 근고공 [格子-根固工] 〖임업〗 ➜ 격자틀 밑막이

격자(형)틀공 [格子(型)-工] 〖임업〗 ➜ 격자틀 박기, 격자틀 붙이기

격제 [隔堤] 〖임업〗 ➜ 가름둑

격증 [激增] 〖행정〗 ⇨ 갑자기 늘어남

격지 [隔地] 〖행정〗 ➜ 멀리 떨어진 곳

격지 [剝片] 〖고고학〗 ⇨ 박편 ※flake

격지자간 [隔地者間] 〖행정〗 ➜ 멀리 있는 사람 사이

격차 [隔差] 〖정치〗 = 차이

격천장 [格天障, 藻井] 〖건축사〗 ⇨ 격자 천장, 우물반자 ※coffered ceiling

격퇴하다 [擊退-] 〖행정〗 = 물리치다

격파하다 [擊破-] 〖행정〗 = 쳐부수다

격하시키다 [格下-] 〖행정〗 ⇨ 격을 낮추다

격휴교호벌채 [隔畦交互伐採] 〖행정〗 ➜ 이랑 건너 번갈아 베기

견 [繭] 〖행정〗 ➜ 고치

견갑골 [肩胛骨] 〖행정〗 ➜ 어깨뼈

견고하다 [堅固-] 〖행정〗 = 단단하다

견관절 [肩關節] 〖행정〗 ➜ 어깨 관절

견면 [繭綿] 〖행정〗 ➜ 고치솜, 풀솜

견문 [見聞] 〖행정〗 ⇨ 보고들은 것

견본 [見本] 〖행정〗 ⇨ 본(보기)

견부 [肩部] 〖미술〗 ⇨ 어깨〖도자기 공예〗

견사 [繭絲] 〖행정〗 ➜ 고치실

견습 [見習] 〖생활외〗 ➜ 수습

견습기자 [見習記者] 〖생활외〗 ➜ 수습기자

견실 제어 [堅實制御, ←robust control] 〖전기〗 ⇨ 강인 제어(强靭制御)

견실한 [堅實-] 〖행정〗 ⇨ 튼튼한, 알찬

견양 [見樣] 〖행정〗 ➜ 서식, 보기, 본(보기)

견인 [牽引] 〖행정〗 ⇨ 끎

견인삭 [牽引索] 〖임업〗 ➜ 당김줄

견인차 [牽引車] 〖행정〗 ⇨ 끌차

견인하다 [牽引-] 〖행정〗 ⇨ 끌다

견자 [見刺] 〖행정〗 ➜ 색대

견적 [見積] 〖생활외〗 ⇨ 추산(推算), 어림셈

견적서 [見積書] 〖생활외〗 ⇨ 추산서(推算書)

견적하다 [見積-] 〖행정〗 ⇨ 어림(셈)하다

견주로 [犬走路] 〖행정〗 ➜ 작업 통로 〖철도〗

견중 [繭重] 〖행정〗 ➜ 고치 무게

견지 [見地] 〖행정〗 ⇨ (살피는) 처지, 관점

견지석 [見知石] 〖임업〗 ➜ 축댓돌

견지하다 [堅持-] 〖행정〗 ⇨ 굳게 지니다

견질 어음 [見質-] 〖금융〗 ➜ 담보 어음

견질토 [堅質土] 〖행정〗 ➜ 단단한 땅, 단단한 흙

견책 [譴責] 〖행정〗 ⇨ 주의 〖법〗

견출장 [見出帳] 〖행정〗 ➜ 찾음장

견출지 [見出紙] 〖생활외〗 ➜ 찾아보기 표

견치석 [犬齒石] 〖행정〗 〖임업〗 ➜ 견칫돌, 축댓돌

견학 [見學] 〖행정〗 = 보고배우기

견형 [繭形] 〖행정〗 ➜ 고치 모양

결과 [結果] 〖농업〗 ➜ 열매(맺기)

결구 [結構] 〖건축사〗 ⇨ 짜임새, 결구 ※structure, structural system

결구 [結球] 〖행정〗 ➜ 속들이

결궤하다 [決潰-] 〖행정〗 ➜ (터져) 무너지게 하다

결근계 [缺勤屆] 〖생활외〗 ⇨ 결근 신고(서)

결렬되다 [決裂-] 〖행정〗 ⇨ 깨지다

결로 [結露] 〖임업〗 ⇨ 이슬 맺힘

결론 [結論] 〖행정〗 = 맺음말

결말 [結末] 〖행정〗 = 끝맺음, 끝장

결문 [結文] 〖행정〗 ⇨ 맺는 글

결번 [缺番] 〖행정〗 ⇨ 없는 번호, 빠진 번호

결빙 [結氷] 〖행정〗 ⇨ 얼어붙음

결석계 [缺席屆] 〖행정〗 ➜ 결석 신고

결속 [結束] 〖행정〗 = 뭉침, 묶음, 다발, 가지묶기

결속엽 [結束葉] 〖행정〗 ➜ 묶은 담배, 꼭짓잎

결속하다 [結束-] 〖행정〗 = 묶다, 뭉치다

결손 [缺損] 〖행정〗 ⇨ 모자람

결식아동 [缺食兒童] 〖행정〗 ⇨ 굶는 아이

결실 [結實] 〖행정〗 ⇨ 열매맺기, 열매맺이

결약서 [結約書] 〖금융〗 ➜ 약정서

결어 [結語] 〖행정〗 ⇨ 맺음말, 맺는 말

결여되다 [缺如-] 〖행정〗 ⇨ 모자라다

결원 [缺員] 〖행정〗 ⇨ 모자라는 인원

결의 대회 [決意大會] 〖행정〗 ⇨ 다짐 대회

결재 [決裁] 〖생활외〗 = 재가(裁可)

결절 [結節] 〖법의학〗 ➜ 매듭 ※knot

결점 [缺點] 〖행정〗 = 결점, 흠

결정립계 〖전기〗 ⇨ 결정 (입자) 경계(結晶粒子境界) ※grain boundary

결집 [結集] 〖행정〗 ⇨ (한데) 모음

결집시키다 [結集-] 〖행정〗 ⇨ 한데 모으다

결탁하다 [結託-] 〖정치〗 = (서로) 짜다

결핍 [缺乏] 〖행정〗 ⇨ 모자람

결하다 [缺-] 〖행정〗 ➜ 없다, 빠지다

결함 [缺陷] 〖행정〗 = 흠

결합 금구 [結合金具] 〖행정〗 ➜ 결합 철물

결합식 낚시 [組合式釣針] 〖고고학〗 ⇨ 조합식 낚싯바늘 ※composite fish hook

결협 [結莢] 〖농업〗 ➜ 꼬투리 맺음

결호 [缺號] 〖행정〗 ⇨ 빠진 호

겸비 [兼備] 〖행정〗 = 두루 갖춤

겸상 적혈구성 빈혈 [鎌狀 赤血球性 貧血] 〖법의학〗 ➜ 낫 적혈구 빈혈 ※sickle cell anemia

겸용 [兼用] 〖행정〗 = 두루 씀

겸유 [兼有] 〖행정〗 ⇨ 아울러 가짐/지님

겸하여 [兼-] 〖행정〗 ⇨ 아울러

겹아가리 토기 [二重口緣土器] 〖고고학〗 ⇨ 겹입술 토기 ※pottery with double mouth rim

경 [莖] 〖행정〗 ➜ 줄기

경각심 [警覺心] 〖행정〗 ⇨ 깨우침

경간 [徑間] 〖행정〗 ➜ 기둥 사이 (거리)

경감하다 [輕減-] 〖행정〗 ⇨ 덜어 주다, 가볍게 하다

경개 [更改] 〖행정〗 ⇨ 채무 변경, 채무 바꿈

경거망동 [輕擧妄動] 〖행정〗 ⇨ 경망한 행동

경경 [莖徑] 〖농업〗 ➜ 줄기 굵기

경계 [警戒] 〖행정〗 = 조심

경고 [警告] 〖행정〗 = 알립니다, 주의

경고문 [警告文] 〖행정〗 = 알리는 글

경과된 [經過-] 〖행정〗 ⇨ 지난

경과한 후에 [經過-後-] 〖행정〗 ⇨ 지난 후에

경관 [景觀, けいかん] 〖생활외〗 = (아름다운) 경치

경구투약 [經口投藥] 〖행정〗 = 먹는 약 주기

경궐련 [硬卷煙] 〖행정〗 ⇨ 된담배

경급 [徑級] 〖임업〗 ⇨ 지름 크기

경동 [傾動] 〖행정〗 ➜ 기울어짐

경락 [競落] 〖행정〗 ⇨ 경매 차지

경락인 [競落人] 〖행정〗 ⇨ 경매 차지한/붙은 이

경련 [痙攣] 〖행정〗 = 떨림

경례 [敬禮] 〖행정〗 ⇨ 인사

경료하다 [經了-] 〖행정〗 ➜ 마치다

경률 [莖率] 〖행정〗 ➜ 줄기 비율

경립종 [硬粒種] 〖농업〗 ➜ 굳음씨

경막 외출혈 [硬膜 外出血] 〖법의학〗 ⇨ 경질막 바깥 출혈 ※epidural hemorrhage

경막 하출혈 [硬膜 下出血] 〖법의학〗 ⇨ 경질막 밑 출혈 ※subdural hemorrhage

경막 하혈종 [硬膜 下血腫] 〖법의학〗 ⇨ 경질막 밑 혈종 ※subdural hematoma

경망 [敬望] 〖정치〗 ➜ (삼가) 바람

(경매에) 회부하다 [回附-] 〖행정〗 ➜ (경매에) 부치다

경목 [警牧] 〖행정〗 = 경찰 (위촉) 목사

경미한 [輕微-] 〖행정〗 ⇨ 가벼운, 대수롭지 않은

경박하다 [輕薄-] 〖행정〗 = (언행이) 가볍다

경방 [警防] 〖행정〗 ➜ 경계하여 지킴

경백미 [硬白米] 〖농업〗 ➜ 멥쌀

경봉 [警棒] 〖행정〗 ➜ 경찰봉

경부 압박 질식사 [頸部 壓迫 窒息死] 〖법의학〗 ➜ 목 졸림 질식사 ※asphyxia due to neck

compression

경부 연조직 [頸部 軟組織] 〖법의학〗 ⇨ 목 물렁 조직 ※cervical soft tissue

경부 장기 [頸部臟器] 〖법의학〗 ➜ 목 장기 ※cervical organ

경사 [經絲] 〖미술〗 ⇨ 날(실)

경사 [傾斜] 〖임업〗 = 기울기, 〖행정〗 = 물매

경사 [慶事] 〖행정〗 = 기쁜 일, 좋은 일

경사 연석 [傾斜緣石] 〖임업〗 ➜ 경사 갓돌

경사지 상전 [傾斜地桑田] 〖잠업〗 ➜ 비탈 뽕밭

경사휴재배 [傾斜畦栽培] 〖농업〗 ➜ 비탈 이랑 가꾸기

경상 [輕傷] 〖행정〗 ⇨ 조금 다침, 가벼운 상처

경상 가격 [經常價格] 〖경제〗 ⇨ 당해년/당분기 가격

경상 GNP [經常-] 〖경제〗 ⇨ 명목 GNP

경색 [梗塞] 〖행정〗 ⇨ 막힘

경석 [鏡石] 〖임업〗 ➜ 거울돌

경솔하다 [輕率-] 〖행정〗 = (언행이) 가볍다

경수 [硬水] 〖행정〗 ⇨ 센물

경수 [莖數] 〖농업〗 ➜ 줄기 수

경승 [警僧] 〖행정〗 = 경찰 (위촉) 스님

경시 [輕視] 〖생활외〗 = 얕봄, 깔봄

경시하다 [輕視-] 〖행정〗 = 쉽게 생각하다, 가볍게 보다/여기다

경식토 [輕埴土] 〖농업〗 ➜ 메진 흙

경신하다 [更新-] 〖행정〗 ⇨ 바꾸다, 고치다

경신한 나머지 [輕信-] 〖행정〗 ⇨ 경솔하게 믿은 나머지

경실종자 [硬實種子] 〖농업〗 ⇨ 딱딱한 씨앗

경심 [耕深] 〖행정〗 ⇨ 갈이깊이

경악 [驚愕] 〖행정〗 = 놀라움

경어 [敬語] 〖생활외〗 ⇨ 높임말, 존댓말

경역 [境域] 〖행정〗 ⇨ 지역, 구역

경연부동 [硬軟不同] 〖행정〗 ➜ 고름새 나쁨

경엽 [硬葉] 〖농업〗 ⇨ 굳은 잎

경운 [耕耘] 〖행정〗 ⇨ 갈이

경운심도 [耕耘深度] 〖농업〗 ➜ 갈이깊이

경운조 [耕耘爪] 〖행정〗 ➜ 갈이날

경운지 [耕耘地] 〖행정〗 ➜ 경작지

경원하다 [敬遠-] 〖행정〗 ⇨ 멀리하다

경위 [經緯] 〖행정〗 ⇨ 사리(事理)

경유하다 [經由-] 〖행정〗 ⇨ 거치다

경육 [頸肉] 〖축산〗 ➜ 목살

경이감 [驚異感] 〖행정〗 ⇨ 놀라움

경이한 [驚異-] 〖행정〗 ⇨ 가볍고 쉬운

경일 [頃日] 〖행정〗 ➜ 지난번

경작 기절 [耕作氣節] 〖행정〗 ➜ 농사철

경작하다 [耕作-] 〖행정〗 = (농사)짓다

경장 [莖長] 〖농업〗 ➜ 줄기길이

경적 [警笛] 〖행정〗 ⇨ 경계 고동, 비상 고동, 호루라기

경전 [耕田] 〖행정〗 ⇨ 밭갈이, 논갈이, 논밭갈이

경정 [更正] 〖행정〗 ⇨ 고쳐 잡음, 다시 고침

경정 [更定] 〖행정〗 ⇨ 고쳐 정함, 바로 고침

경정 [莖頂] 〖농업〗 ➜ 줄기 끝

경정 결정하다 [更正決定-] 〖행정〗 ⇨ 바로잡다

경정 조사 [更正調査] 〖행정〗 ⇨ 바로잡음 조사

경정하다 [更正-] 〖행정〗 ⇨ (다시) 고치다

경종 농업 [耕種農業] 〖농업〗 ⇨ 갈이농사

경주하다 [傾注-] 〖행정〗 ⇨ 기울이다, 쏟다, 다하다

경중 [輕重] 〖행정〗 ⇨ 가볍고 무거움

경직 [硬直] 〖생활외〗 〖행정〗 = 굳음

경직도 [耕織圖] 〖민속〗 〖미술사〗 ⇨ 농촌 생활도

경질하다 [更迭-] 〖행정〗 ⇨ 갈다, 바꾸다

경쯤 [頃-] 〖행정〗 ⇨ 무렵

경창 [競唱] 〖행정〗 ➜ 노래 자랑

경청하다 [傾聽-] 〖행정〗 = 귀여겨 듣다

경추 [頸椎] 〖금융〗 ⇨ 목등뼈, 경추

경토 [耕土] 〖행정〗 ➜ 갈이흙

경토 배양 [耕土培養] 〖행정〗 ➜ 땅힘돋우기

경품 [景品] 〖생활외〗 ⇨ 덤상품

경하 [敬賀] 〖정치〗 = 축하

경하다 [經-] 〖행정〗 ➜ 거치다

경하여 [經-] 〖행정〗 ➜ 거치어

경한 [輕-] 〖행정〗 ➜ 가벼운

경합 [競合] 〖생활외〗 ⇨ 겨룸, 견줌, 경쟁, 다툼

경합하다 [競合-] 〖행정〗 ⇨ 겨루다, 견주다

경화 [硬化] 〖행정〗 ⇨ 굳어짐, 굳히기, 〖법의학〗 ⇨ 굳음

※consolidation, curing, hardening, induration

경화병 [硬化病] 〖행정〗 ➜ 굳음병

경환하다 [更換-] 〖행정〗 ➜ 바꾸다

곁간 〖건축사〗 ⇨ 곁채, 날개채 ※side room

계 [鷄] 〖축산〗 ⇨ 닭

계간공 [溪間工] 〖임업〗 ➜ 계간 공사

계간 수로공 [溪間水路工] 〖임업〗 ➜ 계간 수로 내기, 계간 도랑 내기

계고 [戒告] 〖행정〗 ⇨ 알림

계고하다 [戒告-] 〖행정〗 ⇨ 알리다

계곡 밀도 [溪谷密度] 〖임업〗 = 곡밀도

계곡 차수 [溪谷次數] 〖임업〗 ➜ 하천 차수

계구 [戒具] 〖행정〗 ➜ 보호 기구

계근하다 [計斤-] 〖행정〗 ➜ 무게 달다

계기 [契機] 〖행정〗 ⇨ 기회

계단고 [階段高] 〖임업〗 ➜ 단높이

계단공 [階斷工] 〖임업〗 ➜ 단끊기

계단전 [階段田] 〖축산〗 ⇨ 계단밭

계단폭 [階段幅] 〖임업〗 ⇨ 단너비

계도하다 [啓導-] 〖금융〗 ⇨ 알려 주다, 일깨우다

계두 [鷄痘] 〖축산〗 ➜ 닭마마

계란 [鷄卵] 〖식생활〗 = 달걀

계란과자 [鷄卵菓子] 〖식생활〗 = 달걀과자

계란 마키 [卵卷-] 〖식생활〗 ➜ 달걀말이, 계란말이

계량하다 [計量-] 〖행정〗 ⇨ 양을 재다

계류 [繫留] 〖행정〗 ⇨ 매어 있음

계류삭 [繫留索] 〖행정〗 ➜ 정박용 밧줄, 배묶음 밧줄

계류 우사 [繫留牛舍] 〖농업〗 ➜ 외양간

계류 중 [繫留中] 〖행정〗 = 진행 중, 검토 중

계류하다 [繫留-] 〖행정〗 ⇨ (배 따위를) 매어 두다, 붙들어 매다

계리 [計理] 〖행정〗 ⇨ 경리

계목 [繫牧] 〖행정〗 ➜ 매어 기르기

계목 횟수 [繼木回數] 〖행정〗 ➜ 이음수

계몽 [啓蒙] 〖행정〗 ⇨ 깨우침

계박하다 [繫泊-] 〖행정〗 ➜ 배를 매어 두다

계발하다 [啓發-] 〖행정〗 = 일깨우다

계벽 [界壁] 〖건설〗 ➜ 경계 벽

계분 [鷄糞] 〖행정〗 ➜ 닭똥

계사 [鷄舍] 〖행정〗 ➜ 닭장

계산하다 [計算-] 〖행정〗 = 셈하다

계상 [繼箱] 〖잠업〗 ➜ 포갬 벌통

계상 [計上] 〖행정〗 ⇨ 계산

계상 정리 [溪床整理] 〖임업〗 ➜ 냇바닥 치우기

계상 침식 [溪床浸蝕] 〖임업〗 ➜ 냇바닥 침식

계상하다 [計上-] 〖금융〗 ⇨ 계산하여 반영하다, 〖행정〗 ⇨ 셈에 넣다

계선항 [繫船抗] 〖행정〗 ➜ 배말뚝

계속되다 [係屬-] 〖정치〗 ⇨ 매이다

계속성 침하 [繼續性沈下] 〖임업〗 ⇨ 지속성 침하

계속 한천일수 [繼續寒天日數] 〖행정〗 ➜ 계속 가문 날 수

계송 업무 [繼送業務] 〖행정〗 ⇨ 중계 업무

계승하다 [繼承-] 〖행정〗 = 이어받다

계역 [鷄疫] 〖축산〗 ➜ 닭 돌림병

계우 [鷄羽] 〖행정〗 ➜ 닭털

계유 [啓喩] 〖행정〗 ➜ 계도(啓導)

계육 [鷄肉] 〖식생활〗 ⇨ 닭고기

계자각 난간 [鷄子閣欄干] 〖건축사〗 ⇨ 닭벼슬 난간, 계자 난간 ※balustrade with bracket

계쟁물 [係爭物] 〖행정〗 ➜ 다툼거리

계전기 블레이드 [relay blades] 〖전기〗 ⇨ 계전기 (칼)날

계절성 하천 [季節性河川] 〖임업〗 ⇨ 일시 하천

계절풍 [季節風] 〖행정〗 = 철바람

계제 [階梯] 〖행정〗 ➜ 층계, 계단

계주 [繼柱, spliced pole] 〖전기〗 ⇨ 이음 전봇대

계주 [繼走] 〖생활외〗 ⇨ 이어달리기

계지 [係止] 〖행정〗 ➜ 걺, 걸림

계출 [屆出] 〖행정〗 ➜ 신고(申告)

계탈 [係脫] 〖행정〗 ➜ 걸거나 벗김

계통 연락 [系統連絡] 〖전기〗 ⇨ 계통 연계(系統連繫) ※system interconnection

계표 [界標] 〖행정〗 ➜ 경계 표지

계표 [計票] 〖정치〗 = (표를) 셈함

계합 [係合] 〖행정〗 ➜ 걸어 맞춤

계합 [繼合] 〖행정〗 ➜ 이어 붙임

계호 [戒護] 〖행정〗 ➜ 보호, 경계 보호

고 [go] 〖언론〗 ➜ 실행

고 더 루트 [go the route] 〖볼링〗 ➜ 회 (연속) 완투

고가 [古家] 〖건축사〗 ⇨ 옛집 ※old house

고가교 [高架橋] 〖생활외〗 ⇨ 구름다리

고가로 [高價-] 〖행정〗 ⇨ 비싼 값으로

고가의 [高架-] 〖행정〗 ⇨ 공중에 설치하는

고가차 [高架車] 〖행정〗 ⇨ 사다리차

고각 [高閣] 〖건축사〗 ⇨ 다락집, 고각 ※many-storied building

고갈 [枯渴] 〖행정〗 ⇨ 마름

고객 [顧客] 〖행정〗 = 손님, 단골 손님

고견 [高見] 〖행정〗 ⇨ 좋은 생각

고경 [枯莖] 〖행정〗 ➜ 마른 줄기

고공품 [藁工品] 〖행정〗 ➜ 짚 제품

고관절 [股關節] 〖행정〗 ➜ 넓적다리 관절

고구미데구미 [小組手組み] 〖신문〗 ➜ 쪽판짜기

고구치 [小口, こぐち] 〖건설〗 〖미술〗 ➜ 마구리

고구치쓰미 [小口積み] 〖건설〗 ➜ 마구리 쌓기

고글즈 [goggles] 〖스키〗 ➜ 보안경

고급육 [高級肉] 〖행정〗 ⇨ 좋은 고기

고깔 동기 [笠形銅器] 〖고고학〗 ⇨ 고깔 수레 장식 ※mushroom shaped instrument

고나카가이닌 [小仲買人, こなかがいん] 〖행정〗 ➜ 산매인(散賣人)

고노와타 [海鼠腸, このわた] 〖식생활〗 ➜ 해삼 창자 젓

고다다키 [小敲き] 〖건설〗 ➜ 잔다듬

고다마 [小玉, こだま] 〖행정〗 ➜ 작은 알, 작은 치

고다치 [小裁ち] 〖봉제〗 ➜ 가위 손질

고단스 [小簞笥, こだんす] 〖미술〗 ➜ 아기장

고당 [高堂] 〖정치〗 ⇨ 귀댁

고대 [古代] 〖행정〗 = 옛날

고데 플리츠 [프.godet pleats] 〖패션〗 ⇨ 고데 주름

고독상 [孤獨相] 〖임업〗 ➜ 홀로살이형, 단서형(單棲型)

고동 〖식생활〗 ➜ 고둥

고딕체 (←고싯쿠, ←gothic) 〖신문〗 ➜ 돋움체

고란 [高欄] 〖건축사〗 ⇨ 높은 난간, 고란 ※tall railing

고란 [勾欄] 〖건설〗, 〖미술〗 ➜ 난간(欄干)

고려 [考慮] 〖행정〗 = 헤아림

고려척 [高麗尺] 〖건축사〗 ⇨ 고려자, 고려척 ※Goryeo's scale

고려하다 [考慮-] 〖행정〗 ➜ 생각해 보다

고로 [故-] 〖행정〗 ⇨ 그러므로, 그런 까닭으로

고로시 [殺し] 〖봉제〗 〖패션〗 ➜ 비벼내기, 끝손질

고로케 [コロッケ, 프.croquette] 〖생활외〗 ➜ 크로켓

고리 [高利] 〖금융〗 ⇨ 비싼 변(리), 비싼 길미

고리 [行李, こうり] 〖생활외〗 ➜ 고리(짝)

고리병 [環狀甁] 〖고고학〗 ⇨ 똬리병 ※loop-shaped bottle

고리잡이 [環狀把手] 〖고고학〗 ⇨ 고리 손잡이 ※loop handle

고림 [高林] 〖임업〗 ➜ 교림, 큰(키) 나무숲

고립공 [藁立工] 〖임업〗 ➜ 짚 세우기

고마 [小間, こま] 〖임업〗 ➜ 낱장

고마루 반지 [久丸-] 〖미술〗 ➜ 볼록 반지

고마카시 [ごまかし] 〖행정〗 〖생활외〗 ➜ 속임(수)

고마타 (←고마데) [小股, こまた] 〖패션〗 〖봉제〗 ➜ 샅기장, 샅길이

고막 [鼓膜] 〖행정〗 = 귀청

고망복공 [藁網覆工] 〖임업〗 ➜ 짚망덮기

고매하다 [高邁-] 〖정치〗 = 높다, 훌륭하다

고메지루시 [米印, こめじるし] 〖신문〗 ➜ 쌀미표

고모치 [子持ち] 〖신문〗 ➜ 자매줄

고모치 가스미 [子持ち霞] 〖신문〗 ➜ 자매 깔쭉이

고목 [枯木] 〖임업〗 ⇨ 죽은 나무

고목 [高木] 〖임업〗 ➜ 교목, 큰(키) 나무

고목림 [高木林] 〖임업〗 ➜ 교목림, 큰(키) 나무숲

고목층 [高木層] 〖임업〗 ➜ 교목층, 큰(키) 나무층

고무아미 (←고무편) [ゴムあみ, ゴム編] 〖패션〗 ➜ 고무뜨기

고무하다 [鼓舞-] 〖행정〗 ⇨ 북돋우다

고묵 [枯墨] 〖미술〗 ⇨ 마른 먹

고물 [古物] 〖행정〗 = 헌 물건

고미 [古米] 〖식생활〗 ⇨ 묵은 쌀

고미 [苦味] 〖생활외〗 ➜ 쓴맛

고바 [小端] 〖미술〗 ➜ 좁은 면

고바 [小羽] 〖식생활〗 ➜ 잔멸치

고바리 [小梁] 〖건설〗 ➜ 작은 보

고바이 [勾配, こうばい] 〖행정〗 〖건설〗 〖미술〗 ➜ 물매, 기울기, 오르막, 비탈

고바코 [小箱, こばこ] 〖행정〗 ➜ 작은 상자

고박 [固縛] 〖행정〗 ➜ 뱃짐묶기, 화물묶기

고반가라 [碁盤棅, ごばんがら] 〖미술〗 ➜ 바둑판 무늬

고배 [高杯] 〖고고학〗 ⇨ 굽다리 접시, 고배 ※mounted cup

고베리 [小綠, こべり] 〖미술〗 ➜ 선

고보 [牛蒡, ごぼう] 〖식생활〗 ➜ 우엉

고복공 [藁覆工] 〖임업〗 ➜ 짚덮기

고본 [古本] 〖행정〗 ⇨ 옛책, 헌책

고부 [五分, ごぶ] 〖생활외〗 ➜ 닷푼, 반 〖미술〗 ➜ 닷푼, 15mm

고부가 가치 산업 [高附加價値産業] 〖행정〗 ⇨ 부가 가치가 높은 산업

고부가리 [五分割] 〖생활외〗 ➜ 닷푼 깎기

고부다시 [瘤出] 〖건설〗 ➜ 혹두기

고분 [古墳] 〖행정〗 = 옛무덤

고비 스티치 [ごび, stitch] 〖패션〗 ➜ 끝 스티치

고뿌 (←곳푸) [コップ, 네.kop] 〖식생활〗 ➜ 잔, 컵

고사 [古事, 故事] 〖행정〗 = 옛일

고사 [枯死] 〖임업〗 ⇨ 말라죽음

고사목 [枯死木] 〖임업〗 ⇨ 죽은 나무

고사지 [枯死枝] 〖행정〗 ➜ 죽은 가지

고사하다 [枯死-] 〖행정〗 ⇨ 말라죽다

고산 [高山] 〖행정〗 ⇨ 높은 산

고삼 [苦蔘] 〖식생활〗 ⇨ 너삼

고색 [古色] 〖행정〗 = 낡은 빛깔, 옛풍취

고서화 [古書畵] 〖행정〗 = 옛책과 옛그림

고설 [固設] 〖행정〗 ➜ 붙박이

고설온상 [高說溫床] 〖농업〗 ⇨ 높은 온상

고속 릴레이 [高速 relay] 〖전기〗 ⇨ 고속 계전기(高速繼電器)

고수부지 [高水敷地, しきち] 〖생활외〗 ➜ 둔치 (마당), 강턱

고수하다 [固守-] 〖행정〗 ⇨ 굳게 지키다

고숙기 [枯熟期] 〖임업〗 ➜ 고쇨 때

고스트 영상 [ghost 影像] 〖전기〗 ⇨ 다중 영상(多重影像)

고시 [格子] 〖미술〗 ➜ 격자, 석쇠틀

고시 [告示] 〖행정〗 = 알림

고시 [考試] 〖행정〗 = 공무원 시험

고시 [腰, こし] 〖패션〗 ➜ 허리, 엉덩이, 빳빳함, 〖생활외〗 ➜ 굽도리, 허리, 〖미술〗 ➜ 허리 〖금속공예〗

고시 [こうし] 〖생활외〗 ➜ 거쳐 찍기

고시나케 (←고시나게) [腰投げ, こしなげ] 〖생활외〗 ➜ 허리지기

고시마와리 [腰回り, こしまわり] 〖패션〗 〖봉제〗 ➜ 허리 둘레/통, 엉덩이 둘레

고시마와리센(←고시센) [腰回り線, こしまわりせん] 〖패션〗 ➜ 허리/엉덩이 둘레선

고시타케 [腰丈, こしたけ] 〖패션〗 ➜ 엉덩이 길이

고식적 [姑息的] 〖정치〗 = 임시 변통의

고쓰자이 [骨材, こつざい] 〖미술〗 ➜ 골재

고아 [孤兒] 〖행정〗 = 부모 없는 아이

고아원 [孤兒院] 〖행정〗 ➜ 보육원

고야구미 [小屋組, こやぎみ] 〖건설〗 ➜ 지붕틀

고야바리 [小屋梁, こやばり] 〖건설〗 ➜ 지붕보

고야쿠 [子役, こやく] 〖연극〗 ➜ 아역, 어린이역

고양하다 [高揚-] 〖행정〗 ⇨ 높이다

고어 [gore] 〖패션〗 = 무

고어 스커트 [gored skirt] 〖패션〗 ⇨ 무 치마, 고어 치마

고에타테 [聲立て] 〖행정〗 ➜ 앞소리 〖경매〗

고역 [苦役] 〖행정〗 ⇨ 힘든 일

고엽 [枯葉] 〖행정〗 ⇨ 마른 잎

고온장일 [高溫長日] 〖농업〗 ➜ 오래 볕 쬐기

고용 노동 [雇傭勞動] 〖행정〗 = 품일 (노동)

고용주 [雇用主] 〖행정〗 = 사업주

고유 브랜드 [固有 brand] 〖행정〗 ⇨ 고유 상표, 자기 상표

고율 보수 [高率報酬] 〖행정〗 ⇨ 높은 보수

고의로 [故意-] 〖행정〗 = 일부러

고입 [雇入] 〖행정〗 ➜ 승선 계약

고입 [古叺] 〖행정〗 ➜ 헌 가마니

고잉 아웃 [going out] 〖골프〗 ⇨ 바깥 골프장

고장 [尻長] 〖축산〗 ➜ 엉덩이 길이

고재 [古材] 〖행정〗 ➜ 폐자재

고저 [高低] 〖행정〗 ⇨ 높낮이

고저차 [高低差] 〖행정〗 ⇨ 높낮이 차이

고전압 임펄스 제너레이터 [高電壓 impulse generator] 〖전기〗 ➜ 충격 전압 발생기(衝擊電壓發生器) 장치

고접 [高接] 〖임업〗 ⇨ 줄기 높게 접하기

고정 [苦情] 〖행정〗 ➜ 불만, 괴로움

고정 계제 [固定 係蹄] 〖법의학〗 ➜ 고정 올가미 ※fixed noose

고정도 [高精度] 〖행정〗 ➜ 높은 정밀도

고정빔 [固定 beam] 〖행정〗 ➜ 고정대, 받침대

고정 (청취) [苦情] 〖행정〗 ➜ 불평 (청취), 불만 (청취)

고조 [高潮] 〖행정〗 = 높은 파도, 높이 인 파도

고조되다 [高潮-] 〖행정〗 = 높아지다

고주 [高柱] 〖건축사〗 ⇨ 높은 기둥, 고주 ※interior tall column

고죽 [苦竹] 〖행정〗 ➜ 참대

고즙 [苦汁] 〖행정〗 ➜ 간수

고지 [告知] 〖행정〗 ⇨ 알림, 알려 드림

고지 [雇止] 〖행정〗 ➜ 승선 계약 종료

고지 [高地] 〖행정〗 ⇨ 높은 땅, 높은 곳

고지대 [高地帶] 〖행정〗 ⇨ 높은 지대

고지 방송 [告知放送] 〖행정〗 ➜ 안내 방송, 알림 방송

고지 의무 [告知義務] 〖금융〗 〖행정〗 ⇨ 알릴 의무

고찰하다 [考察-] 〖행정〗 ⇨ 살펴보다

고참 [古參] 〖행정〗 ➜ 선임(자), 선참(자)

고창 [高唱] 〖정치〗 ⇨ 소리높여 외침

고초 [苦楚] 〖행정〗 ⇨ 어려움

고충 [苦衷] 〖행정〗 ⇨ 어려움

고취 [鼓吹] 〖행정〗 ⇨ 북돋움

고취식 압조 [高取式壓條] 〖임업〗 ➜ 높이 떼기

고타쓰 (←고다쓰) [こたつ] 〖생활외〗 ➜ 무릎 난로

고테 [kote, 鏝, こて] 〖전기〗 ➜ 인두(團), 인두질, 흙손, 〖건설〗 ➜ 흙손, 〖미술〗 ➜ 인두(질), 〖패션〗 ➜ 지짐 머리, (머리)인두(질)

고테다이 [鏝台, こてだい] 〖패션〗 ➜ 인두대

고테도리 [鏝取, こてどり] 〖패션〗 ➜ 인두 시종

고테아이롱 [鏝 iron, こてだい-] 〖패션〗 ➜ 머리 인두

고토 [膏土] 〖행정〗 ➜ 기름진 땅

고토 [苦土] 〖농업〗 ➜ 마그네슘

고편 도취 [苦扁 桃臭] 〖법의학〗 ➜ 살구씨 냄새 ※bitter almond

고품 [古品] 〖행정〗 ⇨ 낡은 물품, 옛물품

고풍 [古風] 〖행정〗 ⇨ 옛풍속

고하 [高下] 〖행정〗 ⇨ 위아래, 높낮이

고하다 [告-] 〖행정〗 ⇨ 알리다

고함 [告-] 〖행정〗 ⇨ 알림

고형 복합 비료 [固形複合肥料] 〖행정〗 ⇨ 덩이 복합 비료

고형 비료 [固形肥料] 〖임업〗 ⇨ 덩이 비료

고회석 [苦灰石] 〖임업〗 = 백운석

고휴재배 [高畦栽培] 〖농업〗 ➜ 높은 이랑 가꾸기

곡간 [穀稈] 〖행정〗 ➜ 짚

곡간답 [谷間沓] 〖행정〗 ➜ 골짝논, 고래실, 다랑논

곡기 비행 [曲技飛行] 〖행정〗 ➜ 곡예 비행

곡도 [曲度] 〖임업〗 ➜ 곡률

곡류 [穀類] 〖농업〗 ⇨ 곡식류

곡류 거리 [曲流距離] 〖임업〗 = 사행 거리

곡(률) 반경 [曲率半徑] 〖임업〗 ➜ 곡선 반지름

곡상충 [穀象蟲] 〖농업〗 ➜ 쌀바구미

곡선도 [曲線度] 〖임업〗 ➜ 곡률

곡선 삽입 [曲線揷入] 〖행정〗 = 곡선 끼움, 곡선 설치 〖철도〗

곡선장 [曲線長] 〖임업〗 ➜ 곡선 길이

곡성 [曲城] 〖건축사〗 ⇨ 옹성, 곡성 ※round fortress

곡실 작물 [穀實作物] 〖농업〗 ➜ 알곡 작물

곡옥 [曲玉] 〖고고학〗 ⇨ 곱은옥, 곡옥 ※comma-shaped jade

곡자 [曲子·麯子] 〖식생활〗 ➜ 누룩

곡적 [谷積] 〖임업〗 ➜ 골 쌓기

곡절되는 [曲折-] 〖행정〗 ➜ 구부러진

곡지공 [谷止工] 〖임업〗 ➜ 골막이

곡차수 [谷次數] 〖임업〗 ➜ 하천 차수

곡초 [穀草] 〖행정〗 ➜ 짚

곡축 [谷築] 〖임업〗 ➜ 골 쌓기

곡풍 [谷風] 〖임업〗 ➜ 골바람

곡하다 [曲-] 〖행정〗 ➜ (사리가) 바르지 못하다, 굽다

곤납 [梱納] 〖행정〗 ➜ 상자에 넣음, 상자넣기

곤냐쿠 (←곤약) [崑蒻, こんにゃく] 〖식생활〗 ➜ ①구약나물, 구약감자 ②우무

곤다테효 [獻立表, こんだてひょう] 〖식생활〗 ➜ 차림표, 식단표

곤돌라 [이.gondola] 〖스키〗 = 방승기(房乘機)

곤란하다 [困難-] 〖행정〗 = 어렵다

곤로 [焜爐, こんろ] 〖생활외〗 ➜ 풍로, 화로

곤부 [昆布, こんぶ] 〖식생활〗 ➜ 다시마

곤색 [紺色, こんいろ] 〖패션〗 ➜ 감색, 검남색, 진남색 ¶“… 요즘은 곤색이나 검정, 진한 회색 등을 많이 찾는 추세”라고 말했다.

곤조 [根性, こんじょう] 〖생활외〗 〖행정〗 ➜ 본성(本性), 심지, 근성

곤포 [梱包] 〖농업〗 〖임업〗 〖행정〗 ⇨ 압축 포장

곤포기 [梱包機] 〖농업〗 ➜ 상자 포장기

곧날 [直刃] 〖고고학〗 ⇨ 곧은날 ※straight edge

곧선 사람 [直立原人] 〖고고학〗 ⇨ 호모 에렉투스, 직립원인 ※homo erectus

곧은입 단지 [直口壺] 〖고고학〗 ⇨ 곧은목 단지 ※jar with vertical mouth rim

골 [骨] 〖행정〗 ⇨ 뼈

골간 [骨幹] 〖행정〗 ⇨ 뼈대

골다공증 [骨多孔症] 〖법의학〗 ⇨ 뼈 엉성증, 골다공증 ※oeteoporosis

골드 [gold] 〖패션〗 ➜ 금(색)

골드 러시 [gold rush] 〖언론〗 ➜ 노다지 열풍, 금메달 행진/바람 ¶ 모두가 현대판 골드 러시에 뒤처질세라 ― 기업과 주식 시장을 기웃거린다.

골드 지퍼 [gold zipper] 〖패션〗 ➜ 금색 지퍼

골든게이트 [golden gate] 〖볼링〗 ⇨ 대문 기둥

골든골 [golden goal] 〖언론〗 ⇨ 끝내기골 ¶단 한 점만 내면 ‘골든골’로 승리가 가려지는 10분간의 연장전에서도 비겨···.

골든 카드 [golden card] 〖야구〗 ➜ 좋은 대진(표)

골든 크로스 [golden cross] 〖언론〗 ➜ 강세 전환 지표 ¶골든 크로스가 발생하면 강세 장으로의 전환 신호로 해석된다.

골든 트라이앵글 [golden triangle] 〖언론〗 ➜ 삼각 거점 ¶인천은 물류의 허브(→중심축)로 만들어 수도권을 동북 아시아 비즈니스의 ‘골든 트라이앵글’로 만든다는 비전(→전망)을 내놓았다.

골 디퍼런스 [goal difference] 〖축구〗 ➜ 득실차

골막 하출혈 [骨膜 下出血] 〖법의학〗 ⇨ 뼈막 밑 출혈 ※subperiosteal hemorrhage

골매기 〖임업〗 ➜ 골막이

골목 [榾木] 〖행정〗 〖임업〗 ➜ 버섯나무, 버섯 재목

골바지 〖패션〗 ➜ 줄무늬 바지

골반골 [骨盤骨] 〖행정〗 ➜ 골반뼈, 엉덩뼈

골분 [骨粉] 〖행정〗 ➜ 뼛가루

골세리머니 [goal ceremony] 〖언론〗 ⇨ 득점 뒤풀이 ¶유니폼 상의를 벗어 젖히며 멋진 골 세리머니를 하고 관중들께 인사를 하였다.

골스로 [goal throw] 〖핸드볼〗 ⇨ (문지기) 던지기

골아가리 토기 [口脣刻目土器] 〖고고학〗 ⇨ 톱니 입술 토기 ※pottery with notched strip on rim

골에어리어 [goal area] 〖핸드볼〗 ➜ 문지기 지역

골에어리어 라인 [goal area line] 〖핸드볼〗 ➜ 6m선

골인 [goal in] 〖생활외〗 = 득점 ¶전반 10분만에 첫 골인을 얻었다.

골자 [骨子] 〖행정〗 ⇨ 요점, 핵심, 골갱이

골절 [骨折] 〖행정〗 ⇨ 뼈 부러짐

골조 [骨組] 〖행정〗 ⇨ 뼈대

골커버 [goal cover] 〖축구〗 ➜ 문(전) 수비

골키퍼 [goal keeper] 〖하키〗 = 문지기

골텐딩 [goal tending] 〖언론〗 〖농구〗 ➜ 득점 인정

골퍼 [golfer] 〖골프〗 ⇨ 골프인

골포스트 [goalpost] 〖언론〗 ➜ 골대 ¶산드로가 골 마우스 왼쪽에서 날린 슛이 골포스트를 맞고 나오자 뛰어들던 ○○○가 왼발로 가볍게 차 넣은 것.

골프슈즈 [golf shoes] 〖골프〗 ➜ 골프화

골프스윙 [golf swing] 〖야구〗 ⇨ 올려치기

골프스쿨 [golf school] 〖골프〗 ➜ 골프학교

골프아키텍트 [golf architect] 〖골프〗 ➜ 골프장 설계자

골프웨어 [golf wear] 〖언론〗 ➜ 골프복 ¶봄맞이 골프웨어 퓨전(→혼합) 바람 ‘솔솔’

골프투어 [golf tour] 〖골프〗 ➜ 골프 순회 경기

곰장어 〖식생활〗 ➜ 먹장어

곱은옥 [曲玉] 〖고고학〗 ⇨ 곱은옥, 곡옥 ※comma-shaped jade

곳파 [木端] 〖미술〗 ➜ 뗄밥〖조각-떼어낸 부스러기〗

공가 [公暇] 〖행정〗 ⇨ 공식 휴가

공가 [空家] 〖행정〗 ➜ 빈집

공가주 [共架柱] 〖전기〗 ➜ 공동 전봇대(共同-) ※joint pole

공간포 [空間包] 〖건축사〗 ⇨ 주간포, 공간포 ※intercolumnar bracket,

intermediate set

공고 [公告] 〖행정〗 = 알림

공고히 하다 [鞏固-] 〖행정〗 ⇨ 굳건히/굳게 하다, 튼튼히 하다

공공연하게 [公公然-] 〖행정〗 = 버젓이

공과 [公課] 〖행정〗 ⇨ 공적 부과

공과 [功過] 〖행정〗 ⇨ 잘잘못

공관 [空罐] 〖행정〗 ➜ 빈통

공구 [工區] 〖행정〗 ⇨ 공사 구역

공구리 [コンクリ-ト, ←concrete] 〖건축〗 ➜ 양회반죽, 콘크리트

공극 [孔隙] 〖임업〗 ⇨ 틈(새)

공급선 [供給先] 〖행정〗 ➜ 공급처, 공급자

공기 [空器] 〖식생활〗 = 빈그릇

공대 [空袋] 〖행정〗 ➜ 빈부대, 빈자루

공동 [空胴] 〖행정〗 ⇨ 빈구멍

공동 경작 [共同耕作] 〖행정〗 = 어울려짓기

공동목 [空洞木] 〖임업〗 ➜ 속 빈 나무

공동 정호 [共同井戶] 〖행정〗 ➜ 공동 우물

공란 [空欄] 〖행정〗 ⇨ 빈칸

공람 [供覽] 〖행정〗 ⇨ 돌려봄, 열람하게 함

공렬 토기 [孔列土器] 〖고고학〗 ⇨ 구멍 무늬 토기, 공렬 토기

※rim-perforated pottery

공로 [公路] 〖행정〗 ⇨ 공공 도로

공류 [公流] 〖행정〗 ➜ 공공 유수

공리 [公利] 〖행정〗 ⇨ 공공 복리, 공공의 이익

공명 [空鳴] 〖행정〗 ⇨ 헛울림

공명정대하게 [公明正大-] 〖행정〗 ⇨ 떳떳하게

공무소 [公務所] 〖행정〗 ➜ 관계 기관, 관공서

공백 [空白] 〖행정〗 = 빈자리

공백 필름 [空白 film] 〖행정〗 ➜ 새 필름

공병 [空甁] 〖행정〗 ➜ 빈병

공복 [公僕] 〖행정〗 ⇨ 봉사자, 심부름꾼

공복 [空腹] 〖행정〗 ⇨ 빈속

공부 [公簿] 〖행정〗 ⇨ 공용 장부

공분 [公憤] 〖정치〗 ⇨ 대중의 분노

공사다망중 [公私多忙中] 〖행정〗 ⇨ 바쁘신 가운데

공삭 [控索] 〖임업〗 ➜ 버팀줄

공상 [公傷] 〖행정〗 ➜ 공무 중 부상

공상자 [空箱子] 〖행정〗 ➜ 빈상자

공석 [空席] 〖행정〗 ⇨ 빈자리

공선 [空船] 〖행정〗 ➜ 빈배

공수 [空手] 〖행정〗 ➜ 빈손

공수표 [空手票] 〖생활외〗 = 부도 수표, 가짜 약속

공시 [公示] 〖행정〗 = 널리 알림

공시 송달 [公示送達] 〖행정〗 ⇨ 널리 알림, 알려 보냄

공시충 [供試蟲] 〖농업〗 ➜ 시험 벌레

공시하다 [公示-] 〖행정〗 = 널리 알리다

공안 [公安] 〖행정〗 ⇨ 공공 안녕

공액 복소수 [共軛複素數] 〖전기〗 ⇨ 켤레 복소수 ※conjugate complex

공언 [公言] 〖행정〗 ⇨ 공개적인 말, 공개적으로 말함

공언 [空言] 〖행정〗 ➜ 빈말

공여하다 [供與-] 〖행정〗 ⇨ 제공하다, 주다, 바치다

공연히 [空然-] 〖행정〗 = 괜히, 쓸데없이, 까닭 없이

공예 [孔刈] 〖임업〗 ➜ 둘레베기

공용 [公用] 〖행정〗 = 공무로 씀

공용 [共用] 〖행정〗 = 함께 씀, 공동 사용

공용되다 [供用-] 〖행정〗 ⇨ 제공되다, 이용되다, 쓰이다

공위 [空位] 〖전기〗 ➜ 빈격자점(-格子點)

공유 지분 [共有持分] 〖행정〗 ⇨ (함께) 차지몫

공유하다 [共有-] 〖정치〗 ⇨ 함께 갖다

공이 [敲石] 〖고고학〗 ⇨ 돌공이 ※pestle

공인 [公印] 〖행정〗 ⇨ 공무 도장

공임 [工賃, こうちん] 〖생활외〗 〖행정〗 ⇨ 품삯

공장 [工匠] 〖건축사〗 ⇨ 장인 ※artisans

공장공 [空張工] 〖임업〗 ➜ 메붙임, 메붙이기

공장도가격 [工場渡價格] 〖행정〗 ⇨ 공장값, 공장에서 내는 값

공장석 [空張石] 〖임업〗 ➜ 메붙임돌

공장수로 [空張水路] 〖임업〗 ➜ 메붙 임수로, 메붙임 도랑

공장수로공 [空張水路工] 〖임업〗 ➜ 메붙임 수로내기, 메붙임 도랑내기

공전 [公典] 〖행정〗 ⇨ 규범

공전 [空轉] 〖전철〗 ⇨ 헛돌기

공전 [空電] 〖행정〗 ➜ 전파 잡음, 전파 방해

공전하다 [空轉-] 〖행정〗 ⇨ 헛돌다, 겉돌다

공정 [工程] 〖임업〗 = 작업/공사 과정

공정 [工程] 〖행정〗 ⇨ 공사 진도

공제 [控除, こうじょ] 〖생활외〗 = 뗌, 뺌

공제하다 [控除-] 〖금융〗 ⇨ 빼다, 〖행정〗 ⇨ 빼다, 떼다

공조 [共助] 〖행정〗 ⇨ 협조, 서로 도움

공존 [共存] 〖행정〗 ⇨ 함께 살아감

공종 [工種] 〖행정〗 ➜ 공사의 종류

공중 [公衆, こうしゅう] 〖생활외〗〖행정〗 = (일반) 사람들, 일반인

공중 선주 [空中線柱] 〖행정〗 ➜ 안테나 기둥

공중 전화 교환망 [PSTN] 〖전기〗 ⇨ 공중 교환식 전화망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통신〗

공중 진화 [空中鎭火] 〖임업〗 = 항공기(로) 불 끄기

공지 [控芝] 〖임업〗 ➜ 받침떼

공지 [空地] 〖행정〗 ⇨ 빈터, 빈땅, 〖임업〗 ⇨ 빈땅

공지 사실 [公知事實] 〖행정〗 ⇨ 다 아는 사실/일

공지 사항 [公知事項] 〖행정〗 ⇨ 알리는 말씀

공차 [公差] 〖임업〗 ⇨ 허용 오차

공차 [空車] 〖행정〗 ➜ 빈차

공축 [空築] 〖임업〗 ➜ 메 쌓기

공축근고공 [空築根固工] 〖임업〗 ➜ 메 쌓기 밑막이

공축댐 [空築 dam] 〖임업〗 ➜ 메 쌓기 댐

공축보곡공 [空築保谷工] 〖임업〗 ➜ 메 쌓기 골막이

공축보안공 [空築保岸工] 〖임업〗 ➜ 메 쌓기 기슭막이

공탁하다 [供託-] 〖행정〗 ⇨ 맡기다

공투표함 [空投票函] 〖정치〗 ➜ 빈 투표함

공판 기일 [公判期日] 〖행정〗 ⇨ 공판 날짜

공판정 [公判廷] 〖행정〗 ⇨ 공판 법정

공포 [公布] 〖행정〗 ⇨ 널리 알림

공표 [公表] 〖정치〗 = (공개) 발표

공하다 [供-] 〖행정〗 ➜ (‧‧에) 사용하다/되다, 쓰이다, 제공하다, 주다, 바치다

공한 [公翰] 〖행정〗 = 공식 편지

공한지 [空閑地] 〖농업〗 ⇨ 노는 땅, 빈땅, 〖행정〗 ⇨ 노는 땅

공행낭 [空行囊] 〖행정〗 ➜ 빈 우편낭

공헌하다 [貢獻-] 〖행정〗 = 이바지하다

공협 [空莢] 〖임업〗 ➜ 빈 꼬투리

공히 [共-] 〖행정〗 ⇨ 같이, 함께, 모두

곶축 [串築] 〖임업〗 ➜ 꼬치 쌓기

과간 [顆間] 〖행정〗 ➜ 알 사이, 열매 사이

과거 [過去] 〖행정〗 = 지난날

과건습 사일로 [-silo] 〖임업〗 ⇨ 과건습 각초 저장 장치

과경 [果徑] 〖임업〗 ➜ 열매 지름

과경 [果梗] 〖임업〗 ➜ 열매 꼭지

과경부 [果梗部] 〖행정〗 ➜ 꼭지 자리

과경한 [過輕-] 〖행정〗 ➜ 너무 가벼운

과고 [果高] 〖임업〗 ➜ 열매 키

과균 비율 [顆均比率] 〖행정〗 ➜ 알고름새, 열매 고름새

과금 [課金] 〖행정〗 ➜ 요금

과금 별납 우편 [課金別納郵便 ] 〖행정〗 ➜ 요금 별납 우편

과납 [過納] 〖행정〗 ⇨ 더 냄

과년도 [過年度] 〖행정〗 ➜ 지난해

과다 [過多] 〖행정〗 ⇨ 너무 많음

과다하여 [過多-] 〖행정〗 ⇨ 너무 많아

과당 경쟁 [過當競爭] 〖행정〗 〖금융〗 = 지나친 경쟁/겨룸

과대하다 [過大-] 〖정치〗 ⇨ 지나치게 크다

과도 [果刀] 〖행정〗 = 과일칼

과도한 [過渡-] 〖행정〗 = 지나친

과목 [果木] 〖임업〗 ⇨ 과일 나무

과목 [過牧] 〖임업〗 ➜ 과잉 방목

과목 경정 [科目更正] 〖행정〗 ⇨ 과목 바꿈

(과목) 해소 [解疏] 〖행정〗 ➜ (과목) 설명, 풀이, 과목 해설

과목 해소표 [科目解疏表] 〖행정〗 ➜ 과목 설명표, 과목 해설표

과문하다 [寡聞-] 〖정치〗 ⇨ 견문이 적다

과물 [果物] 〖생활외〗 ➜ 과일

과방 [果房] 〖임업〗 ➜ 과실 송이

과번무 [過繁茂] 〖농업〗 ➜ 웃자람

과벌 [過伐] 〖임업〗 ⇨ 너무베기

과분하다 [過分-] 〖행정〗 = 분에 넘치다

과불 [過拂] 〖행정〗 ⇨ 초과 지급

과색 [果色] 〖임업〗 ➜ 열매 빛깔

과선교 [跨線橋] 〖행정〗 ➜ 구름다리

과세 [課稅] 〖행정〗 = 세금 매김

과세하다 [課稅-] 〖행정〗 ⇨ 세금을 매기다

과소비 [過消費] 〖행정〗 ⇨ 지나친 씀씀이

과수 [果穗] 〖농업〗 ➜ 열매 송이

과수 [顆數] 〖잠업〗 ➜ 고치 수

과숙 [過熟] 〖농업〗 ⇨ 농익음

과숙기 [過熟期] 〖농업〗 ⇨ 농익을 때

과숙엽 [過熟葉] 〖행정〗 ➜ 너무 익은 잎

과숙잠 [過熟蠶] 〖잠업〗 ⇨ 너무 익은 누에

과시하다 [誇示-] 〖행정〗 = 자랑하다

과실 [果實] 〖식생활〗 = 열매

과실이다 [過失] 〖행정〗 ⇨ 잘못이다

과심 [果心] 〖임업〗 ➜ 열매 속

과아 [果芽] 〖임업〗 ➜ 과실 눈

과언 [過言] 〖행정〗 ⇨ 지나친 말

과업 [課業] 〖행정〗 ⇨ 할 일

과엽충 [瓜葉蟲] 〖농업〗 ➜ 오이 잎벌레

과오 [過誤] 〖행정〗 ⇨ 잘못, 허물

과오급 [過誤給] 〖행정〗 ➜ 잘못 지급, 잘못 내줌

과오납 [過誤納] 〖행정〗 ➜ 잘못 낸 (세금/돈)

과오납금 [過誤納金] 〖행정〗 ➜ 잘못 낸 돈

과오불 [過誤拂] 〖행정〗 ➜ 잘못 지급, 잘못 내줌

과원 [寡員] 〖행정〗 ➜ 모자라는 인원, 못 채운 자리

과육 [果肉] 〖임업〗 〖식생활〗 = 열매살

과잉 [過剩] 〖행정〗 = 지나침, 초과

과장 [果長] 〖임업〗 ➜ 열매 길이

과장품 [過藏品] 〖행정〗 ➜ 초과 저장품

과장하다 [誇張-] 〖행정〗 = 너무 자랑하다, 부풀리다

과주 여유 거리 [過走餘裕距離] 〖전철〗 ⇨ 안전 (여유) 거리

과중 [果重] 〖임업〗 ➜ 열매 무게

과중하다 [過重-] 〖행정〗 ⇨ 벅차다, 힘겹다

과즙 [果汁] 〖식생활〗 = 과일즙

과징금 [過徵金] 〖행정〗 ⇨ 징수한 돈

과징하다 [過徵-] 〖행정〗 ⇨ 징수하다

과채류 [果菜類] 〖식생활〗 = 열매 채소(류)

과총 [果叢] 〖임업〗 ➜ 열매 송이/무리

과피 [果皮] 〖임업〗 ➜ 열매 껍질

과하다 [過-] 〖행정〗 ⇨ 지나치다, 넘치다

과형 [果形] 〖임업〗 ➜ 열매 모양

관 [罐] 〖행정〗 ➜ 통

관개 [灌漑] 〖행정〗 ⇨ 물대기

관개수로 [灌漑水路] 〖농업〗 ⇨ (논)물길, 물도랑

관개수심 [灌漑水深] 〖농업〗 ➜ 댄 물 깊이

관객 [觀客] 〖행정〗 = 구경꾼

관거 [管渠] 〖임업〗 ➜ 관수로, 관도랑

관건 [關鍵] 〖행정〗 ⇨ 열쇠

관견 [管見] 〖행정〗 ⇨ 의견

관계 요로에 [關係要路-] 〖행정〗 ➜ 관계 기관에

관급 [官給] 〖행정〗 ⇨ 관공서(에서) 지급

관대 [棺臺] 〖고고학〗 ⇨ 널받침 ※platform for coffin

관대하다 [寬大-] 〖행정〗 = 너그럽다

관람 [觀覽] 〖정치〗 = 구경, 살펴봄

관료배 [官僚輩] 〖행정〗 ➜ 관리들

관류 [管流] 〖임업〗 ⇨ 도랑 띄워 보내기

관리 [官吏] 〖행정〗 ⇨ 공무원

관망하다 [觀望-] 〖행정〗 ⇨ 지켜 보다

관목 [灌木] 〖임업〗 = 떨기나무

관못 [棺釘] 〖고고학〗 ⇨ 널못 ※coffin nail

관상 동맥 경화 [冠狀 動脈 硬化] 〖법의학〗 ➜ 심장 동맥 경화 ※coronary sclerosis

관상화 [管狀花] 〖행정〗 ➜ 대롱꽃

관수 [灌水] 〖행정〗 ➜ 물주기, 물대기

관수 [管守] 〖행정〗 ➜ 보관, 간수

관심 여하 [關心如何] 〖행정〗 ➜ 관심 두기에 따라

관여하다 [關與-] 〖행정〗 ⇨ 상관하다, 관계하다

관용 [官用] 〖행정〗 = 관청용

관용 [寬容] 〖행정〗 = 너그러움

관용차 [官用車] 〖행정〗 ⇨ 공무차

관인 [官印] 〖행정〗 ⇨ 기관 도장

관장 [官匠] 〖건축사〗 ⇨ 관(공)장 ※government artisans

관장하다 [管掌-] 〖금융〗 ⇨ 담당하다, 맡다, 〖행정〗 = 맡다, 맡아 보다/처리하다

관재 [棺材] 〖고고학〗 ⇨ 널감 ※coffin wood

관저 [官邸] 〖행정〗 ⇨ 관사

관정 [棺釘] 〖고고학〗 ⇨ 널못 ※coffin nail

관정 [灌井] 〖행정〗 ➜ 들샘

관제 엽서 [官製葉書] 〖행정〗 ⇨ 체신 엽서

관조 [鸛鳥] 〖행정〗 ➜ 황새

관지 [冠芝] 〖임업〗 〖행정〗 ➜ 머리떼

관직영 [官直營] 〖행정〗 ⇨ 정부 (기관) 직영

관착 [冠著] 〖행정〗 ➜ 씌워 붙이기

관철하다 [貫徹-] 〖행정〗 ⇨ (뜻을) 이루다

관측 기부 [觀測記簿] 〖행정〗 ⇨ 관측 기록부

관측 수부 [觀測手簿] 〖행정〗 ⇨ 관측 기록부

관통 [貫通] 〖행정〗 = 꿰뚫음

관통 제동기 [貫通制動機] 〖전철〗 ⇨ (공기) 자동 제어 장치

관통차량 [貫通車輛] 〖전철〗 ⇨ (공기) 제어 차량

관하고 [冠-] 〖행정〗 ➜ (덧)붙이고

관할 [管轄] 〖정치〗 = 담당

관행시비 [慣行施肥] 〖농업〗 ➜ 거름주기

관행 작벌 [官行斫伐] 〖행정〗 ➜ 관영 벌채

괄목할 [刮目-] 〖행정〗 = 놀랄 만한

괄호 [括弧] 〖행정〗 = 묶음표

광 [庫間] 〖건축사〗 ⇨ 곳간 ※store house

광견 [狂犬] 〖행정〗 ⇨ 미친개

광견병 [狂犬病] 〖행정〗 = 미친개병

광고하다 [廣告-] 〖행정〗 = 널리 알리다

광구호 [廣口壺] 〖미술〗 ➜ 큰입 항아리

광대한 [廣大-] 〖행정〗 = 넓은

광독지 [鑛毒地] 〖농업〗 ➜ 광독 흙

광발아 종자 [光發芽種子] 〖농업〗 ➜ 볕받이씨

광부 [鑛夫] 〖행정〗 = 광산 근로자

광분하다 [狂奔-] 〖행정〗 = 미쳐 날뛰다

광엽 [廣葉] 〖행정〗 ➜ 넓은 잎

광엽수 [廣葉樹] 〖임업〗 ➜ 활엽수

광엽수림 [廣葉樹林] 〖임업〗 ➜ 활엽수림

광의 [廣義] 〖행정〗 ⇨ 넓은 뜻

광재 [鑛滓] 〖행정〗 ➜ 광물 찌꺼기

광정언 [廣頂堰] 〖임업〗 ➜ 넓은 봇둑, 광정 웨어(weir)

광제잠종 [框製蠶種] 〖잠업〗 ➜ 동뱅이 누에씨

광조형 [狂躁型] 〖행정〗 ➜ 미친꼴

광채 [光彩] 〖행정〗 = 밝은 빛

괘대 [掛袋] 〖임업〗 ➜ 봉지 씌우기

괘도 [掛圖] 〖행정〗 ⇨ 거는 도표, 〖생활외〗 = 걸그림

괘불 [掛佛] 〖미술사〗 ⇨ 걸개불(화) ※Buddhist painting to hang outside

괘삽 [掛揷] 〖행정〗 ➜ 걸어 끼우기

괘지 [掛止] 〖행정〗 ➜ 걸어두기

괘환체 [掛還體] 〖행정〗 ➜ 걸고리체, 걸고리 모양

괴경 [塊莖] 〖임업〗 ➜ 덩이줄기

괴근 [塊根] 〖행정〗 ➜ 덩이뿌리

괴뢰 [傀儡] 〖행정〗 = 꼭두각시

괴리 [乖離] 〖행정〗 ⇨ 어긋남

괴사후성 간경화 [壞死後性 肝硬化] 〖법의학〗 ➜ 괴사 후 간경화증 ※postnecrotic cirrhosis

괴상 [塊狀] 〖임업〗 ➜ 덩이 꼴

괴상 유황 [塊狀硫黃] 〖행정〗 ➜ 덩이 유황

굄돌 [支石] 〖고고학〗 ⇨ 고임돌, 굄돌 ※supporting stone

교각 [矯角] 〖축산〗 ⇨ 뿔 고치기

교교하다 [皎皎-] 〖행정〗 ➜ 밝다

교다이 [鏡臺] 〖미술〗 ➜ 경대

교담 [交談] 〖행정〗 ➜ 대화

교대하다 [交代-] 〖행정〗 = 번갈다

교란 [攪亂] 〖정치〗 ⇨ 혼란스럽게 만듦, 어지럽힘

교량 [橋梁] 〖임업〗 〖행정〗 = 다리

교량 도장 [橋梁塗裝] 〖행정〗 ➜ 다리 칠

교례상 [交禮上] 〖정치〗 ⇨ 예의상

교료 [校了] 〖신문〗 ➜ 끝내기, 오케이, 〖행정〗 ➜ 오케이, 완료

교맥 [蕎麥] 〖식생활〗 ➜ 메밀

교목(성) [喬木性] 〖행정〗 ➜ 키큰 나무(성)

교미기 [交尾器] 〖임업〗 ⇨ 교미 기관

교미낭 [交尾囊] 〖축산〗 ⇨ 정받이 주머니

교반 [攪拌] 〖행정〗 ➜ (휘)저어 섞기

교반기 [攪拌機] 〖행정〗 ➜ 섞음 기계

교배대 [交配袋] 〖행정〗 ➜ 교배 주머니

교부하다 [交付-] 〖금융〗 〖행정〗 ⇨ 내주다

교사 [校舍] 〖행정〗 ⇨ 학교 건물

교사 [絞死] 〖법의학〗 ➜ 끈 졸림 ※ligature strangulation

교사하다 [敎唆-] 〖행정〗 ⇨ 부추기다

교상 [咬傷] 〖행정〗 ➜ 물린 상처

교시앙망 [敎示仰望] 〖정치〗 ⇨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교시타이 [供試體] 〖건설〗 ➜ 공시체

교시하다 [敎示-] 〖행정〗 ⇨ ①가르치다, 가르쳐 주다 ②알려 주다

교염 [絞染] 〖패션〗 ➜ 홀치기 염색

교의 [交誼] 〖행정〗 ➜ 사귐

교정스리 [校正刷, こうせいずり] 〖신문〗 ➜ 교정쇄

교정하다 [矯正-] 〖행정〗 = 바로잡다

교주 [橋柱] 〖임업〗 ➜ 교각(橋脚)

교질골 [膠質骨] 〖축산〗 ➜ 아교질 뼈

교차 [交叉] 〖행정〗 = 엇갈림

교차각 [交叉角] 〖임업〗 ➜ 교각(交角)

교차로 [交叉路] 〖행정〗 = 엇갈림길

교차 설비 [交叉設備] 〖행정〗 ⇨ 건널목 시설

교차 접합 [交叉接合] 〖임업〗 ➜ 막힌 줄눈

교착 목리 [交錯木理] 〖임업〗 ➜ 엇나뭇결

교체하다 [交替-] 〖행정〗 = 바꾸다

교통 기관 손상 [交通機關損傷] 〖법의학〗 ➜ 교통 수단 손상 ※transport facilities injury

교통 수기 [交通手旗] 〖행정〗 ➜ 교통 깃발

교합 [咬合] 〖행정〗 ➜ 맞물림

교합 손상 [咬合損傷] 〖법의학〗 ➜ 물린 상처 ※bite injury

교행 [交行] 〖행정〗 ➜ 마주 달림

교호로 [交互-] 〖전철〗 ⇨ 번갈아, 교대로

교호 벌채 [交互伐採] 〖농업〗 ➜ 번갈아 베기

교호 수준 측량 [交互水準測量] 〖임업〗 ➜ 상호 고저 측량

교호 순환 선발 [交互循環選拔] 〖임업〗 ➜ 상호 순환 선발

교호작 [交互作] 〖농업〗 ⇨ 엇갈아 짓기

교화 [膠化] 〖행정〗 ➜ 교질화

교환 [交換] 〖행정〗 = 서로 바꿈

교환 노동 [交換勞動] 〖행정〗 ➜ 품앗이

교회각 [交會角] 〖임업〗 ➜ 교각(交角)

교회하다 [敎誨-] 〖행정〗 ➜ 깨우치게 하다

교흔 [咬痕] 〖법의학〗 ➜ 물린 자국 ※bite mark

구가타 [舊型, きゅうがた] 〖행정〗 ➜ 낡은 모양

구갑적 [龜甲積] 〖임업〗 ➜ 육모 쌓기, 벌집 쌓기

구강 [口腔] 〖행정〗 ⇨ 입속, 입안

구강 질환 [口腔疾患] 〖행정〗 ⇨ 입속 질환, 입안 질환, 입안 병

구거 [溝渠] 〖행정〗 ➜ 도랑

구게키 [空隙] 〖건설〗 ➜ 빈틈, 공극

구경 [球莖] 〖임업〗 ⇨ 알줄기

구고 [球高] 〖축산〗 ➜ 알높이

구곡막이 [溝谷-] 〖임업〗 = 골막이

구공법 [溝工法] 〖임업〗 ➜ 트레치 공법

구구사정 [區區事情] 〖행정〗 ⇨ 사소한 사정

구구이 [句句-] 〖행정〗 = 구절마다

구구하다 [區區-] 〖행정〗 ⇨ (각각) 다르다, 쓸모없다

구굴 [溝掘] 〖임업〗 ➜ 트렌치 파기

구근 [球根, きゅうこん] 〖생활외〗 ⇨ 알뿌리

구금하다 [拘禁-] 〖행정〗 ➜ (잡아) 가두다

구기 [拘杞] 〖임업〗 ➜ 구기자

구기 [釘] 〖건설〗 〖미술〗 ➜ 못

구내 정보 통신망(構內 情報 通信網) 〖전기〗 ⇨ 울안 통신망 ※local area network(LAN) 〖통신〗

구내 운전 [構內運轉] 〖전철〗 ⇨ 역내 운전

구년 [舊年] 〖행정〗 ➜ 지난해

구다리 [くだり] 〖연극〗 ➜ 대목, 마디 〖영화〗

구덩식 [竪穴式] 〖고고학〗 ⇨ 구덩이식 ※vertical digging style

구덩식 돌곽 무덤 [竪穴式石槨墓] 〖고고학〗 ⇨ 구덩이식 돌덧널 무덤 ※stone chamber tomb

구도 [くどう] 〖생활외〗 ➜ 반점

구독 [購讀, こうどく] 〖생활외〗 = 사(서) 읽음

구독하다 [購讀-] 〖행정〗 = 사서 읽다

구두로 [口頭-] 〖행정〗 ⇨ 말로

구두 소명 [口頭疏明] 〖정치〗 ⇨ 구두 해명

구두 호천 [口頭互薦] 〖정치〗 ⇨ (서로) 말 추천, 구두 상호 추천

구들 [溫突] 〖건축사〗 ⇨ 온돌, 구들 ※ondol(hypocaust. underfloor heating system of a room)

구라치 [クラッチ, clutch] 〖생활외〗 ➜ 클러치

구라파 [歐羅巴] 〖행정〗 ⇨ 유럽

구락부 [俱樂部, クラブ, club] 〖생활외〗 ⇨ 단체, 클럽, 〖행정〗 ⇨ 단체

구랍 [舊臘] 〖행정〗 ➜ 지난해 섣달

구레바넷토 [クレバネット] 〖패션〗 ➜ 크래버넷, 방수개버딘

구레파스 [クレパス, crayon pastel] 〖생활외〗 ➜ 크레파스

구로 [黑, くろ] 〖패션〗 〖건설〗 〖생활외〗 ➜ 검정(색)

구로누키 [黑拔き] 〖신문〗 ➜ 양각, 양각 글자

구로도 〖생활외〗 ➜ 익수, 능수, 전문가

구로마루 [黑丸, くろまる] 〖신문〗 ➜ 검은 동그라미

구로보시 [黑星, くろぼし] 〖신문〗 ➜ 검은 별표

구로비시 [黑菱, くろびし] 〖신문〗 ➜ 검은 마름모

구로산카쿠 [黑三角] 〖신문〗 ➜ 검은 세모

구로시카쿠 [黑四角] 〖신문〗 ➜ 검은 네모

구로토 [玄人, くろうと] 〖행정〗 〖생활외〗 ➜ 익수, 능수, 전문가, 숙달자

구루마 [車, くるま] 〖생활외〗 〖건설〗 〖미술〗 ➜ 수레, 달구지

구루미 [胡, くるみ] 〖미술〗 ➜ 호두나무

구류 [拘留] 〖행정〗 = 가두어 둠

구름문 [-紋] 〖고고학〗 ⇨ 구름무늬 ※cloud design

구릉 [丘陵] 〖임업〗 〖행정〗 = 언덕

구리스 [グリース, grease] 〖생활외〗 ➜ 윤활유, 그리스

구리시 [栗石, くりいし] 〖건설〗 〖미술〗 〖행정〗 ➜ 막돌, 호박돌, 잡석

구릿푸 [クリップ, clip] 〖생활외〗 〖미술〗 ➜ 종이집게, 클립, 틀집게

구매하다 [購買-] 〖행정〗 = 사다

구멍띠 토기 [孔列土器] 〖고고학〗 ⇨ 구멍 무늬 토기, 공렬 토기

※rim-perforated pottery

구명삭 [救命索] 〖행정〗 ➜ 구명줄

구명하다 [究明-] 〖행정〗 ⇨ 밝히다

구문 [構文] 〖행정〗 ⇨ 글짜임

구문 전보 [歐文電報] 〖행정〗 ⇨ 로마자 전보

구미 [口味] 〖행정〗 = 입맛

구미 [組, くみ] 〖생활외〗 ➜ 반, 조

구미다테 [組立, くみたて] 〖건설〗 〖행정〗 ➜ 조립, 짜맞추기

구미다테 아시바 [組立足場, くみたてあしば] 〖건설〗 ➜ 조립비계, 틀비계

구미카에 [組み替え] 〖신문〗 ➜ 뒤바꿈, 다시짜기

구배 [句配] 〖전철〗 〖행정〗 ⇨ 기울기

구법 [舊法] 〖정치〗 ⇨ 옛법

구변 [口辯] 〖행정〗 = 말솜씨

구보 [驅步] 〖생활외〗 ⇨ 달리기

구봉 [口縫] 〖행정〗 ➜ 꿰맴

구분 계리하다 [區分 計理-] 〖금융〗 ➜ 구분하여 회계 처리하다

구비 [廐肥] 〖농업〗 ➜ (쇠)두엄

구비마와리 [首回り, くびまわり] 〖봉제〗 ➜ 목둘레

구비하다 [具備-] 〖행정〗 = 갖추다

구사 [構思] 〖미술〗 ➜ 구상

구사리 [腐井, くさり] 〖생활외〗 ➜ 면박, 핀잔, 꾸중

구사리누이 [鎖縫い, くさりぬい] 〖봉제〗 ➜ 사슬뜨기 ※ chain stitch

구사리(도메) [くさりどめ] 〖패션〗 ➜ 실루프 고정

구사리아나 [鎖穴, くさりあな] 〖봉제〗 ➜ 사슬 줄구멍

구사비 [楔, くさび] 〖건설〗 〖미술〗 ➜ 쐐기

구사비소데 [楔袖] 〖봉제〗 ➜ 쐐기 소매

구상하다 [構想-] 〖행정〗 = 생각하다

구상하다 [求償-] 〖행정〗 ⇨ 배상을 요구하다

구색 완비 [具色完備] 〖행정〗 ⇨ 고루 갖춤

구서 [驅鼠] 〖행정〗 ➜ 쥐잡기

구서훈증 소독증 [驅鼠燻烝消毒] 〖행정〗 ➜ 쥐잡기 가스 소독증

구세 [癖, くせ] 〖봉제〗 〖패션〗 ➜ 몸새, 다트, 군주름, 〖행정〗 ➜ 버릇, 습관

구세사키 [癖先] 〖봉제〗 ➜ 줄임끝, 다트끝

구세토리 [癖取り, くせとり] 〖패션〗 ➜ 몸새맞춤, 형태잡기, 모양잡기

구수 증서 [口授證書] 〖행정〗 ➜ 받아 쓴 (유언) 증서

구순 [口脣] 〖행정〗 ⇨ 입술

구술하다 [口述-] 〖행정〗 ⇨ 말로 하다

구스넥 [goose neck] 〖골프〗 ➜ 목 굽은 채, 거위 목 채

구습 [舊習] 〖행정〗 ⇨ 묵은 습관

구시누이 [串縫い, くしぬい] 〖패션〗 ➜ 홈질

구신 [具申] 〖행정〗 ➜ 보고(함), 알림, 낱낱이 보고함

구실 [口實] 〖행정〗 ➜ 핑계

구쓰즈레 [靴擦れ, くつずれ] 〖패션〗 ➜ 신바대

구쓰헤라 [靴篦, くつべら] 〖패션〗 ➜ 구두주걱

구아슈 (←과슈) [프.gouache] 〖미술〗 ⇨ 불투명 수채

구애 [拘礙] 〖행정〗 = 얽매임, 거리낌

구약 [蒟蒻] 〖농업〗 ➜ 구약감자

구연부 [俱緣部] 〖미술〗 ➜ 전 〖도자기 공예〗

구엽 [舊葉] 〖행정〗 ➜ 묵은 잎

구옥 [舊屋] 〖행정〗 ➜ 헌집, 옛집

구유 재산 [區有財産] 〖행정〗 ⇨ 구 소유 재산

구유하다 [具有-] 〖행정〗 ➜ 두루 갖추다

구이 [杭, くい] 〖건설〗 ➜ 말뚝

구이우치 [杭打, くいうち] 〖건설〗 ➜ 말뚝박기

구인 [拘引, こういん] 〖생활외〗 ➜ 끌어감

구인하다 [拘引-] 〖행정〗 ➜ 끌어가다

구임지 [舊任地] 〖행정〗 ➜ 전 근무지

구입 [購入, こうにゅう] 〖생활외〗 ⇨ 사들임, 사들이기

구입선 [購入先] 〖생활외〗 ➜ 구입처

구입하다 [購入-] 〖행정〗 = 사들이다

구적기 [求積器] 〖행정〗 ⇨ 넓이 재는 기구

구전 [口傳] 〖행정〗 = 말로 전함

구정편책공 [丘頂編柵工] 〖임업〗 ➜ 모래언덕 바자 얽기

구제 [驅除] 〖행정〗 ⇨ 없애기

구제하다 [驅除-] 〖행정〗 ⇨ 없애다

구조 부환 [救助浮丸] 〖행정〗 ➜ 구명 튜브

구좌 [口座] 〖경제〗 〖행정〗 ➜ 계좌

구주 지역 [歐洲地域] 〖행정〗 ⇨ 유럽 지역

구주리 [歐洲李] 〖식생활〗 ➜ 양자두

구주율 [歐洲栗] 〖식생활〗 ➜ 양밤

구주종 포도 [歐洲種葡萄] 〖식생활〗 ➜ 유럽 포도

구중 [口中] 〖행정〗 ➜ 입안

구즈 [屑] 〖생활외〗 ➜ 찌꺼기

구지라(쟈쿠) [くじらじゃく] 〖패션〗 ➜ 직선자

구지비키 [籤引くじびき] 〖생활외〗 ➜ 제비뽑기, 추첨

구지환 반지 〖미술〗 ➜ 턱반지

구치 판지 (←구찌빤찌) [口 ペンチくちペンチ, punch] 〖생활외〗 ➜ 입심, 말솜씨

구차 [溝車] 〖임업〗 ➜ 시브(sheave) (도르래)

구첩 [口貼] 〖행정〗 ➜ 봉함

구축하다 [構築-] 〖행정〗 = 쌓아 올리다, 쌓아 만들다

구충 [驅蟲] 〖행정〗 ⇨ 벌레 없애기

구치 [口] 〖미술〗 ➜ (거푸집) 아가리

구치 (←쿠치) [口くち] 〖생활외〗 ➜ 몫

구치기레 [口切] 〖봉제〗 ➜ 입술천

구치누노 [口布] 〖봉제〗 ➜ 입술감, 입술천

구치베니 [口紅, くちべに] 〖패션〗 ➜ 입술연지, 립스틱

구침 [口針] 〖임업〗 ➜ 입침

구칸쓰미 [空間積み] 〖건설〗 ➜ 공간 쌓기

구타하다 [毆打-] 〖행정〗 ⇨ 때리다

구태 [舊態] 〖행정〗 ⇨ 옛 모습

구태의연하다 [舊態依然-] 〖행정〗 ⇨ 여전하다

구토 [句讀] 〖신문〗 ➜ 반점

구풍 [颶風] 〖전철〗 ⇨ 싹쓸바람

구현하다 [具現-] 〖행정〗 = 나타내다, 밝히다, 이루다

구형 [矩形] 〖임업〗 ➜ 직사각형

구형 아접 [鉤形芽接] 〖임업〗 ➜ 갈구리 눈접

구형 웨어 [矩形 weir] 〖임업〗 ➜ 직각 봇둑, 직각 웨어

구획하다 [區劃-] 〖정치〗 ⇨ 구분하다, 분리하다

구휼 [救恤] 〖행정〗 ➜ 구호

국 [麴] 〖농업〗 ➜ 누룩

국가 유공자 자활 용사촌 〖행정〗 ➜ 국가 유공자 마을

국기 [國基] 〖행정〗 ⇨ 국가의 기초, 국가의 근본

국내외 [國內外] 〖행정〗 = 나라 안팎

국내함 [局內函] 〖행정〗 = 국 안 우체통

국대불 [局待拂] 〖행정〗 ➜ 창구 (대기) 지불

국도 [局渡] 〖행정〗 ➜ 직접 내줌

국민 생명표 [國民生命表] 〖행정〗 ➜ 국민 평균 수명표

국보 [局報] 〖행정〗 ➜ 업무 전보

국부적인 [局部的-] 〖행정〗 = 부분적인

국유림 [國有林] 〖임업〗 = 나라산

국장 [國章] 〖행정〗 ⇨ 나라 휘장

국전에 [局前-] 〖행정〗 ⇨ 국 앞에

국전함 [局前函] 〖행정〗 ➜ 국 앞 우체통

국제 반신 우표권 [國際返信郵票] 〖행정〗 ⇨ 국제 회신 우표권

국지 [局地] 〖행정〗 = 일부 지역

국채 [國債] 〖생활외〗 = 나라빚

국화 [國花] 〖행정〗 = 나라꽃

군바리 〖행정〗 ➜ 군인

군사 [群飼] 〖축산〗 ➜ 무리 기르기

군상 부분 밀식 [群像部分密植] 〖임업〗 ⇨ 무리 배게 심기

군상식재 [群像植栽] 〖임업〗 ⇨ 무리심기

군생상 [群生相] 〖임업〗 ➜ 무리살이형, 군서형

군의 [裙衣] 〖미술사〗 ⇨ 속옷, 군의

군집 [群集] 〖임업〗 = 무리

굴가마 [登窯] 〖고고학〗 ⇨ 비탈 가마 ※climbing kiln

굴기 [掘起] 〖임업〗 ➜ 땅파기, 땅긁기, 굴착

굴대투겁 [車軸頭] 〖고고학〗 ⇨ (수레) 굴대마개 ※axle fittings

굴도리 〖건축사〗 ⇨ 둥근 도리, 굴도리 ※round purlin

굴삭기 [掘削機] 〖임업〗 〖생활외〗 ➜ 굴착기

굴상 [掘床] 〖임업〗 ➜ 터파기

굴상구배 [掘床勾配] 〖임업〗 ➜ 터파기 물매

굴식 [橫穴式] 〖고고학〗 ⇨ 굴식, 횡혈식 ※tunnel entrance

굴신 [屈伸] 〖행정〗 ⇨ 굽히고 폄

굴착 (←굴삭) [掘鑿] 〖임업〗 ⇨ 땅파기, 〖행정〗 ⇨ (땅을) 팜, (굴을) 뚫음

굴착하다 [掘鑿-] 〖행정〗 ⇨ (땅을) 파다, (굴을) 뚫다

굴취 [掘取] 〖행정〗 ➜ 캐냄, 파냄

굴취하다 [掘取-] 〖행정〗 ➜ 캐내다, 파내다

굵은 귀걸이 [太環耳飾] 〖고고학〗 ⇨ 굵은 귀고리, 굵은 귀걸이 ※earring with thick hollow ring

굽다리 곧선 항아리 [臺附直口壺] 〖고고학〗 ⇨ 굽다리 곧은목 항아리 ※mounted jar with vertical neck

굽다리 긴목 항아리 [臺附長頸壺] 〖고고학〗 ⇨ 굽다리 긴목 항아리 ※mounted jar with long neck

굽다리 접시 [高杯] 〖고고학〗 ⇨ 굽다리 접시, 고배 ※mounted cup

굽혀 묻기 [屈身葬] 〖고고학〗 ⇨ 구부려 묻기 ※flexed burial

굿 사이트 [good sight] 〖야구〗 ➜ 선구안(選球眼)

굿바이 히트 [goodbye hit] 〖야구〗 ➜ 끝내기 (안타)

궁궐터 [宮闕址] 〖고고학〗 ⇨ 궁궐터, 궁터 ※palace site

궁극적으로(는) [窮極的-] 〖행정〗 = 마지막에는, 끝내는

궁륭 천정 [穹窿天井] 〖건축사〗 ⇨ 반원통 천장 ※vault

궁박한 [窮迫-] 〖행정〗 ➜ 몹시 곤궁한, 매우 어려운

궁술 [弓術] 〖행정〗 ⇨ 활쏘기, 활솜씨

궁형 정지 [弓形整枝] 〖임업〗 ➜ 활꼴 나무 다듬기

권 [卷] 〖미술사〗 ⇨ 두루마리 ※scrolls

권두언 [卷頭言] 〖행정〗 ➜ 머리말

권상기 [卷上機] 〖임업〗 ➜ 자아틀, 윈치

권승 [卷乘] 〖승마〗 ➜ 둥글게 돌기

권식정지 [拳式整枝] 〖행정〗 ➜ 주먹꼴 만들기

권원 [權原] 〖행정〗 ➜ 권리 바탕

권원 보험 [權原 保險] 〖금융〗 ➜ 부동산 권리 보험

권전 [卷揃] 〖농업〗 ➜ 궐련담기

권종별 [券種別] 〖행정〗 ➜ 우표 종류별

권종별로 [券種別-] 〖행정〗 ➜ 우표 종류별로

권착 [卷着] 〖행정〗 ➜ 감아 붙임

권척 [卷尺] 〖행정〗 ➜ 줄자

권총 알 [拳銃-] 〖미술〗 ➜ 쏠 찍개 알

권총 호치키스 [拳銃 hotchkiss] 〖미술〗 ➜ 쏠 찍개

권취 [卷取] 〖행정〗 ➜ 감기

권취식 [券取式] 〖농업〗 ➜ 두루마리식

궐석 [闕席] 〖행정〗 ⇨ 결석

궐석 재판 [闕席裁判, けっせきさいばん] 〖생활외〗 ⇨ 결석 재판

궐원 [闕員] 〖정치〗 ⇨ 결원

궐위 [闕位] 〖행정〗 ➜ 빈자리

궐위되다 [闕位-] 〖행정〗 ➜ (자리가) 비다, 공석이 되다

궤간 [軌間] 〖전철〗 ⇨ 철길폭, 레일폭

궤도 조명반 [軌道照明盤] 〖전철〗 ⇨ 열차 (운행) 상황판

궤도 회로 [軌道回路] 〖전철〗 ⇨ 철로 회로, 레일 회로

궤 쌓기 〖임업〗 ⇨ 켜 쌓기

궤전선 [軌電線] 〖행정〗 ➜ 전철용 전선

궤조 [軌條] 〖전철〗 ⇨ 철로, 레일, 철길

귀감 [龜鑑] 〖행정〗 = 본보기

귀걸이 [耳飾] 〖고고학〗 ⇨ 귀고리, 귀걸이 ※earring

귀견여하 [貴見如何] 〖행정〗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귀결 [歸結] 〖행정〗 = 끝맺음, 끝냄

귀부 [龜趺] 〖건축사〗 ⇨ 거북 받침대, 귀부 ※tortoise-shaped pedestal

귀석 [貴石] 〖행정〗 = 보석

귀속되다 [歸屬-] 〖행정〗 = 돌아가다

귀일 [歸一] 〖행정〗 ⇨ 일치

귀착하다 [歸着-] 〖행정〗 ⇨ 돌아가다

귀책 사유 [歸責事由] 〖행정〗 ⇨ 책임 있는/책임지울 사유

귀화 [歸化] 〖행정〗 ⇨ 국적 옮김

귀환 [歸還] 〖행정〗 ⇨ 돌아옴

귀휴 [歸休] 〖행정〗 ➜ 휴가

규격 봉서 [規格封書] 〖행정〗 ⇨ 규격 봉함 편지

규격외 봉서 [規格外封書] 〖행정〗 ⇨ 규격 밖 봉함 편지

규명 [糾明] 〖행정〗 = 밝힘

규반비 [珪攀比] 〖행정〗 ➜ 규산알루미늄 비율

규슨 [九寸, くすん] 〖미술〗 ➜ 아홉치, 27cm

규시 [窺視] 〖정치〗 ➜ 엿봄

규제 [規制] 〖행정〗 = 일정한 제한

규준틀 [規準-] 〖임업〗 ⇨ 겨냥 틀

규지하다 [窺知-] 〖행정〗 ➜ 짐작하다, 엿보다, 살피다

균경 [菌莖] 〖임업〗 ➜ 버섯 줄기, 버섯 대

균근 [菌根] 〖행정〗 = 균뿌리, 곰팡이뿌리

균등하다 [均等-] 〖행정〗 = 고르다

균류 [菌類] 〖임업〗 = 곰팡이류

균분 [均分] 〖행정〗 ⇨ 똑같이 나눔

균사 [菌絲] 〖행정〗 ➜ 곰팡이실

균산 [菌傘] 〖임업〗 ➜ 버섯갓

균상 [菌床] 〖임업〗 ⇨ 버섯판

균습 [菌褶] 〖임업〗 ➜ 버섯주름, 버섯살

균심 [均深] 〖임업〗 ➜ 경심(徑深)

균열하다 [龜裂-] 〖농업〗 〖행정〗 ⇨ 금가다, 갈라지다

균이 [菌耳] 〖임업〗 ⇨ 버섯

균일묘 [均一苗] 〖행정〗 ➜ 고른 모

균일하다 [均一-] 〖행정〗 ⇨ 고르다, 똑같다

균제 [均齊] 〖행정〗 ➜ 고르기

균파 [均播] 〖농업〗 ➜ 고루 뿌림

균핵 [菌核] 〖임업〗 ➜ 균씨

균형시비 [均衡施肥] 〖농업〗 ⇨ 고른 거름주기

그 간 [-間] 〖행정〗 = 그 사이, 그동안

그 경 [-頃] 〖행정〗 ➜ 그 무렵

그라디엔트 [독.Gradient] 〖스키〗 ➜ 경사도

그라운드 [ground] 〖생활외〗 ➜ 경기장, 운동장 ¶그라운드 사정이 나빠 오늘 경기는 연기되었다.

그라운드 로 [ground row] 〖연극〗 ➜ 바닥 장치

그라운드 룰 [ground rule] 〖야구〗 ➜ 경기장 규칙

그라운드 스매시 [ground smash] 〖테니스〗 ➜ 땅볼 내려치기

그라운드 스트로크 [ground stroke] 〖테니스〗 ➜ 땅볼 치기

그라운드 어스 [ground earth] 〖전기〗 ⇨ 접지(接地)

그라운드 언더 리페어 [ground under repair] 〖골프〗 ➜ 수리 지역

그라운드 패스 [ground pass] 〖축구〗 ➜ 땅볼 주기, 땅볼 연결

그라운드 홈런 [ground homerun] 〖야구〗 ⇨ 장내 홈런

그라인더 [grinder] 〖미술〗 〖행정〗 ⇨ 연삭기, 갈개

그라인딩 머신 [grinding machine] 〖행정〗 ⇨ 연삭기, 갈이 기계

그랑프리 [프.grand prix] 〖생활외〗 ⇨ 대상(大賞), 최우수상 ¶노래자랑 대회에서 그랑프리를 차지했다.

그래뉼 [granule] 〖미술〗 ⇨ 금알(갱이)

그래뉼레이션 [granulation] 〖미술〗 ⇨ 금알 공예

그래니 매듭 [granny-] 〖미술〗 ⇨ 홀쳐매기

그래스 코트 [grass court] 〖테니스〗 ➜ 잔디 코트

그래프 [graph] 〖생활외〗 〖행정〗 ⇨ 그림표, 도표 ¶여러분 모두 칠판에 있는 그래프를 주시해 주십시오.

그래픽 [graphic] 〖행정〗 ⇨ 화보

그랜드 슬램 [grand slam] 〖테니스〗 ⇨ (세계) 4대 대회 석권

그러데이션 [gradation] 〖패션〗 ⇨ 바림, 농담(濃淡)법

그레이 존 [gray zone] 〖언론〗 ➜ 회색 지대 ¶○○은행이 특히 표적으로 삼은 대상은 기업의 신용 등급 ‘그레이 존’인 중소 기업들이다.

그레이드업하다 [upgrade-] 〖생활외〗 ➜ 상승시키다, 개선하다 ¶이 프로그램은 최근에 다시 그레이드업했다.

그레이딩 [grading] 〖패션〗 = 치수 조정

그레이버 [graver] 〖미술〗 ⇨ 조각칼

그레이브 야드 [grave yard] 〖볼링〗 ⇨ 낡은 마루

그레이시 톤 [grayish tone] 〖패션〗 ➜ 회색조

그레이프 [grape] 〖패션〗 ➜ 포도(색)

그레인 바운더리 [grain boundary] 〖전기〗 ⇨ 결정 (입자) 경계(結晶粒子境界)

그로그 [grog] 〖미술〗 ➜ 구운 가루

그로스 스코어 [gross score] 〖골프〗 ➜ 총 타수

그로테스크하다 [grotesque-] 〖생활외〗 ➜ 기괴하다 ¶데보라 해리의 그로테스크한 연기도 인상적이었다.

그루브 [groove] 〖스키〗 ➜ 바닥 홈

그루브 시스템 [groove system] 〖연극〗 ➜ 바닥 홈 방식

그루퍼 [grouper] 〖행정〗 ➜ 집합 연결기

그룬트 슈붕 [독.Grund Schwung] 〖스키〗 ➜ 기초 회전

그룹 [group] 〖행정〗 = 그룹, 단체, 동아리

그리드 [grid] 〖미술〗 ➜ 석쇠 무늬

그리드 리크 [grid leak] 〖전기〗 ⇨ 격자 누설 저항

그리스 펜 [grease pen] 〖행정〗 ➜ 색연필

그린 [green] 〖골프〗 ⇨ 잔디밭

그린 네트워크 [green network] 〖언론〗 ➜ 녹색길(띠), 초록길(띠) ¶서울시는 ··· 돈화문 길을 그린 네트워크로 조성해 ….

그린벨트 [greenbelt] 〖생활외〗 ⇨ 개발 제한 구역, 녹지대 ¶그린벨트 설치 요구안을 들어 줄지는 모르겠다.

그린 키퍼 [green keeper] 〖골프〗 ⇨ 코스 관리자, 경기장 관리자

그린 투어리즘 [green tourism] 〖언론〗 ➜ 녹색 관광 ¶그린투어리즘이 인기다. 숲과 농촌으로 떠나는 여행.

그린 피 [green fee] 〖골프〗 ⇨ (골프장) 입장료

그릴 [grill] 〖식생활〗 ⇨ 양식집

그립 [grip] 〖스키〗 ⇨ 손잡이, (손잡이) 쥐기법, 〖골프〗 ⇨ 손잡이, (손잡이) 쥐기, 〖야구〗 ⇨ 손잡이

그립 존 [grip zone] 〖스키〗 ➜ 중앙 부위

(그 승계인) 모 [某] 〖행정〗 ➜ (그 승계인) 누구/아무개

그 시 [時] 〖행정〗 ➜ 그때

그 외에 [外-] 〖행정〗 = 그 밖에

(그) 정[情]을 알고 〖행정〗 ➜ (그) 사실을 알고

극광 [極光] 〖생활외〗 ⇨ 오로라(aurora)

극력 [極力] 〖행정〗 ⇨ 힘껏

극림 [棘林] 〖임업〗 ➜ 가시숲

극복 [克服] 〖행정〗 = 이겨냄

극복하다 [克服-] 〖행정〗 = 이겨내다

극빈자 [極貧者] 〖행정〗 ⇨ 몹시 가난한 사람

극성상 [極盛相] 〖임업〗 ➜ 극상

극소수 [極少數] 〖행정〗 = 매우 적은 수

극심하다 [極甚-] 〖행정〗 = 매우 심하다, 아주 심하다

극인 [極印] 〖행정〗 ➜ 불도장

극인타기 [極印打記] 〖임업〗 ➜ (쇠)도장찍기, 〖행정〗 ➜ 불도장찍기

극접 [隙接] 〖임업〗 ➜ 줄눈

극한 [極寒] 〖행정〗 ⇨ 매우 추움

극한인자 [極限因子] 〖임업〗 ⇨ 제한인자

극히 [極-] 〖행정〗 ⇨ 매우, 몹시

근 [根] 〖행정〗 ⇨ 부리

근가목 [根架木] 〖행정〗 ➜ 버팀목

근간 [根幹] 〖행정〗 ⇨ 바탕

근간 [近間] 〖행정〗 ⇨ 요즈음, 요사이

근거리 [近距離] 〖행정〗 ⇨ 가까운 거리

근경 [根耕] 〖행정〗 ➜ 그루갈이

근경 [根莖] 〖임업〗 ➜ 뿌리줄기

근계 [根系] 〖임업〗 ➜ 뿌리 뻗음새

근계 [謹啓] 〖행정〗 ➜ 삼가 아룀

근계 경합 [根系 競合] 〖임업〗 ➜ 뿌리 경쟁

근고공 [根固工] 〖임업〗 〖행정〗 ➜ 밑막이

근교 [近郊] 〖행정〗 = (도시) 둘레

근교 원예 [近郊園藝] 〖임업〗 ⇨ 변두리 원예

근군분포 [根群分布] 〖임업〗 ➜ 뿌리 퍼짐

근권 [根圈] 〖행정〗 ⇨ 뿌리 둘레

근근히 [僅僅-] 〖행정〗 = 가까스로, 겨우

근단 [根端] 〖임업〗 ➜ 뿌리 끝

근두 [根頭] 〖임업〗 ➜ 뿌리 머리

근래 [近來] 〖행정〗 = 요즈음

근류균 [根瘤菌] 〖임업〗 ➜ 뿌리혹균, 뿌리혹박테리아

근린 [近隣] 〖행정〗 ⇨ 이웃

근모 [根毛] 〖임업〗 ➜ 뿌리털

근무 기강 [勤務紀綱] 〖행정〗 ⇨ 일하는 자세, 근무하는 자세

근무지 [勤務地] 〖행정〗 ⇨ 일터

근부병 [根腐病] 〖임업〗 ➜ 뿌리 썩음병

근사하다 [近似-] 〖행정〗 ⇨ 비슷하다, 그럴듯하다

근삽 [根揷] 〖행정〗 ➜ 뿌리꽂이

근상 [根傷] 〖행정〗 ➜ 뿌리 상처

근색 [根色] 〖임업〗 ➜ 뿌리 빛깔

근석 [根石] 〖행정〗 ➜ 밑돌

근소 [僅少] 〖행정〗 = 아주 적은

근속하다 [勤續-] 〖행정〗 ⇨ 계속 근무하다

근아충 [根蚜蟲] 〖농업〗 ➜ 뿌리혹벌레

근압 [根壓] 〖임업〗 ➜ 뿌리 압력

근얼 [根蘖] 〖임업〗 ➜ 뿌리 벌기

근원 [根元] 〖행정〗 ⇨ 뿌리목

근원 [根源] 〖행정〗 = 근본, 본바탕

근원 직경 〖행정〗 ➜ 밑지름 〖철도〗

근원경 [根元徑] 〖행정〗 ⇨ 뿌리목 지름

근육 간 출혈 [筋肉 間出血] 〖법의학〗 ➜ 근육 사이 출혈 ※intermuscular hemorrhage

근육 내출혈 [筋肉 內出血] 〖법의학〗 ➜ 근육 속 출혈 ※intramuscular hemorrhage

근일 [近日] 〖행정〗 ⇨ 요사이

근입 [根入] 〖전기〗 ➜ 밑둥 넣기, 밑둥 묻힘

근자 [近者] 〖행정〗 ⇨ 요즘, 요사이, 요새

근장 [根長] 〖행정〗 ➜ 뿌리 길이

근절 요망 [根絶要望] 〖행정〗 ➜ 없애기 바람

근절시키다 [根絶-] 〖행정〗 = 뿌리뽑다, 없애다

근접 [根椄] 〖임업〗 ➜ 뿌리접

근지공 [根止工] 〖임업〗 ➜ 비탈 멈춤 공사

근채류 [根菜類] 〖농업〗 ➜ 뿌리채소류, 뿌리채소

근형 [根形] 〖임업〗 ➜ 뿌리 모양

근화 [槿花] 〖행정〗 ⇨ 무궁화

근활력 [根活力] 〖농업〗 ⇨ 뿌리 활력

근황 [近況] 〖행정〗 ⇨ 요즈음 형편

글라스 [glass] 〖생활외〗 ⇨ 유리, 유리잔 ¶당황한 나머지 그녀는 들고 있던 글라스를 떨어뜨리고 말았다.

글라스 파이버 [glass fiber] 〖패션〗 ➜ 유리 섬유

글라이트박스 [독.Gleitwachs] 〖스키〗 ➜ 활강용 왁스

글라이트플루크 [독.Gleitpflug] 〖스키〗 ➜ 저 제동 활강

글러브 [gloves] 〖패션〗 〖행정〗 ➜ 장갑

글로벌 [global] 〖언론〗 ➜ 세계(적), 세계(화) ¶개방화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면서 국가와 기업 간 경쟁력의 격차가 더욱 심화하고 있다. 〖경제〗 ➜ 세계화, 국제화

글로벌리즘 [globalism] 〖생활외〗 ➜ 지구주의 ¶세계는 지금 글로벌리즘을 자국의 이익을 위해 이용하고 있다.

글로벌 소싱 [global sourcing] 〖언론〗 ➜ 국외 조달 ¶우수 인재라면 국적을 가리지 않고 데려다 쓰는 인력 글로벌 소싱과 금융 부문 글로벌 소싱도 강화하고 있다.

글로벌 스탠더드 [global standard] 〖언론〗 ➜ 국제 표준 ¶프로젝트가 국제 사회의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도록 가능한 한 많은 해외 사례를 연구하여 참조하겠습니다.

글로벌 파트너십 [global partnership] 〖언론〗 ➜ 국제적 동반 관계 ¶양국 정상은 한미 동맹 관계를 세계 평화 구축으로 확대하는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발전시키기로 하고….

글로스 바니시 [gloss varnish] 〖미술〗 ⇨ 겸(용)광칠

글로시 컬러 [glossy color] 〖패션〗 ➜ 광택색

글자체 [-體] 〖행정〗 = 글자 모양

금강령 [金剛鈴] 〖미술사〗 ⇨ 방울, 금강령

금고 [金鼓] 〖미술사〗 ⇨ 쇠북, 금고 ※bronze drum

금구 [金具] 〖행정〗 ➜ 철물

금궤 검사 [金櫃檢査] 〖행정〗 ➜ 금고 검사

금기석 [禁忌石] 〖임업〗 ➜ 금기돌

금년 [今年] 〖행정〗 = 올해, 올

금니 [金泥] 〖미술사〗 ⇨ 금물 ※powder of gold

금단청 [錦丹靑] 〖건축사〗 ⇨ 비단단청, 금단청 ※very brilliant colors

금력 [金力] 〖행정〗 = 돈의 힘

금렵구(역) [禁獵區域] 〖임업〗 〖행정〗 ⇨ 사냥 금지 구역

금망장공 [金網張工] 〖임업〗 ➜ 철망 덮기

금명간 [今明間] 〖행정〗 = 오늘내일 사이, 곧

금박 액자 [金箔額子] 〖미술〗 = 금박틀

금반 [今般] 〖행정〗 ➜ 이번

금번 [今番] 〖행정〗 ➜ 이번

금비 [金肥] 〖임업〗 ⇨ 화학 비료

금속 편포 〖행정〗 ➜ 금속 조각, 쇠붙이 (조각)

금속성 파속물 [金屬性把束物] 〖행정〗 ➜ 금속성 묶음줄

금속편 [金屬片] 〖행정〗 ➜ 쇠붙이 조각

금수 [禽獸] 〖행정〗 = 짐승

금시 [今時] 〖행정〗 ⇨ 이제, 바로, 지금, 금방

금시초문 [今始初聞] 〖행정〗 ⇨ 처음 들음

금알갱이 붙임 [鏤金手法] 〖고고학〗 ⇨ 금알갱이 붙이기, 누금수법 ※filigree

금양 임야 [禁養林野] 〖행정〗 ➜ 벌채 금지 임야

금연 [禁煙] 〖행정〗 = 담배 못 피움, 담배끊기

금원 [金員] 〖행정〗 ➜ 돈

금월 [今月] 〖행정〗 ➜ 이 달

금은박 액자 [金銀箔額子] 〖미술〗 = 금은박틀

금일 [今日] 〖행정〗 ➜ 오늘(날)

금자 [今者] 〖행정〗 ➜ 지금, 요사이

금전 [金錢] 〖행정〗 = 돈

(금전의) 과여 [(金錢-) 過餘] 〖금융〗 ➜ 남은 돈

금제품 [禁制品] 〖행정〗 ⇨ 금지품

금주 [今週] 〖행정〗 ⇨ 이번 주

금하다 [禁-] 〖행정〗 = 못하다, 못하게 하다

금회 [今回] 〖행정〗 ➜ 이번

금효 [今曉] 〖행정〗 ➜ 오늘 새벽

금후 [今後] 〖행정〗 = 앞으로

급 [及] 〖행정〗 ➜ 및

급거 [急遽] 〖행정〗 ⇨ 급히, 서둘러

급구 [急求] 〖행정〗 = 급히 구함

급기야 [及其也] 〖행정〗 = 마침내

급등하다 [急騰-] 〖행정〗 ⇨ 갑자기 오르다

급래 [急來] 〖행정〗 ➜ 급히 오십시오, 급히 오시기 바랍니다

급박 [急迫] 〖행정〗 ➜ 매우 급한

급부 [給付] 〖행정〗 ➜ 내줌

급부금 [給付金] 〖행정〗 ➜ 내준 돈

급부하다 [給付-] 〖금융〗 ➜ 주다

급사 [給仕] 〖행정〗 ➜ 사환, 사동

급사기 [給飼器] 〖축산〗 ➜ 모이통, 먹이통

급상 [給桑] 〖잠업〗 ➜ 뽕 주기

급상대 [給桑臺] 〖잠업〗 ➜ 채반 받침틀

급선무 [急先務] 〖행정〗 ⇨ 먼저 (할) 일

급성 간부전 [急性肝不全] 〖법의학〗 ➜ 급성 간 기능 상실 ※acute liver failure

급성 담낭염 [急性膽囊炎] 〖법의학〗 ➜ 급성 쓸개염 ※acute cholecystitis

급성사 [急性死] 〖법의학〗 ➜ 급사 ※acute death

급성 세뇨관 괴사 [急性細尿管壞死] 〖법의학〗 ➜ 급성 요세관 괴사 ※acute tubular necrosis

급성 주정 중독 [急性酒精中毒] 〖법의학〗 ➜ 급성 알코올 중독 ※acute spirit intocication

급성 충수염 [急性蟲垂炎] 〖법의학〗 ➜ 급성 막창자 꼬리염 ※acute appendicitis

급성 췌장염 [急性膵臟炎] 〖법의학〗 ➜ 급성 이자염 ※acute pancreatitis

급성 호흡 부전 [急性呼吸不全] 〖법의학〗 ➜ 급성 호흡 기능 상실 ※acute respiratory failure

급습 [給濕] 〖행정〗 ➜ 물축이기

급시를 요하는 [急施-] 〖행정〗 ➜ 빨리 해야 할

급여 [給與] 〖행정〗 ⇨ 봉급, 임금

급유 [給油] 〖행정〗 ⇨ 기름 공급

급이 [給餌] 〖행정〗 ➜ 먹이주기

급이기 [給餌器] 〖행정〗 ➜ 먹이통

급증하다 [急增-] 〖행정〗 = 갑자기 늘다

급탄 [給炭] 〖행정〗 ➜ 연탄 공급

긍 [亘] 〖행정〗 ➜ 걸침

긍선 [亘線] 〖행정〗 ➜ 건널선

긍장 [亘長] 〖전기〗 ➜ 선로(線路) 길이

긍지 [矜持] 〖행정〗 = 보람

긍하다 [亘-] 〖행정〗 ➜ 걸치다

긍하여 [亘-] 〖행정〗 ➜ 걸쳐(서)

기 [其] 〖행정〗 ➜ 그

기 [旗] 〖행정〗 ⇨ 깃발

기 [旣] 〖행정〗 ➜ 이미

기가타 [木型, きがた] 〖미술〗 〖건설〗 ➜ 목형, 나무틀, 나뭇골

기각 청구 [棄却請求] 〖행정〗 ⇨ 폐기 청구

기간 [其間] 〖행정〗 ➜ 그동안, 그 사이

기간신장 [期間伸長] 〖행정〗 ➜ 기간 연장

기갈이 들다 [饑渴-] 〖행정〗 ⇨ (굶)주리다

기감 [機監] 〖전철〗 ⇨ 전동차 감시

기거 [寄居] 〖정치〗 ⇨ (부쳐) 삶

기건 [氣乾] 〖행정〗 ➜ 공기 말림

기견 [岐肩] 〖임업〗 ➜ 어깨송이

기결 [旣決] 〖행정〗 ⇨ 결정됨

기경 [起耕] 〖행정〗 ➜ 흙갈이

기계적 침식 [機械的浸蝕] 〖임업〗 ⇨ 물리적 침식

기계직입 [機械織叺] 〖행정〗 ➜ 기계 가마니

기고 [寄稿] 〖행정〗 ⇨ 원고를 보냄

기고테 [木ごて] 〖건설〗 ➜ 나무 흙손

기공 [氣孔] 〖행정〗 ⇨ 숨구멍

기공도 [氣孔度] 〖행정〗 ➜ 투기도

(기관을) 거치한 [据置-] 〖행정〗 ➜ (기관을) 설치한

기구 [器具] 〖행정〗 = 연장, 도구

기구 체계도 [機構體系圖] 〖임업〗 ⇨ 조직 체계도

기근 [岐根] 〖농업〗 ➜ 곁뿌리

기근 [饑饉] 〖행정〗 ⇨ 굶주림

기급하다 [氣急-] 〖행정〗 ⇨ 다급하다

기기 [機器] 〖행정〗 ⇨ 기계, 기구

기납한 [旣納-] 〖행정〗 ⇨ 이미 납부한

기년 [幾年] 〖행정〗 ➜ 몇 해

기능 폐용자 [技能廢用者] 〖행정〗 ➜ 기능 잃은 사람

기능공 스카우트 [技能工 scout] 〖행정〗 ⇨ 기능공 뽑아오기

기능적 감가 [機能的減價] 〖임업〗 ⇨ 경제적 감가

기단식 적석총 [基段式積石塚] 〖고고학〗 ⇨ 돌기단 무덤, 기단식 적석총 ※stone mound tomb

(기단) 장대석 [長臺石] 〖건축사〗 ⇨ 긴 댓돌, 장대석 ※long pedestal stone

기대 [期待] 〖행정〗 = 바람

기도 [企圖] 〖행정〗 ⇨ 꾀함

기도 [木戶, きど] 〖생활외〗 〖행정〗 ➜ 문지기, 〖전기〗 ⇨ 휘도

기도아게 [木戶あげ] 〖행정〗 ➜ 입장 마감

기도 폐색성 질식사 [氣道 閉塞性 窒息死] 〖법의학〗 ➜ 기도 막힘 질식사 ※choking

기도리 [木取り, きどり] 〖건설〗 〖미술〗 ➜ 마름질

기도하다 [企圖-] 〖행정〗 ⇨ 꾀하다

기득 [旣得] 〖행정〗 ⇨ (이미) 얻음

기라성 [綺羅星, きらぼし] 〖생활외〗 ➜ 빛나는 별

기렛파시 [切れっ端] 〖건설〗 ➜ 동강 (나무), 끄트러기, 자투리, 〖봉제〗 ➜ (천)조각, 끄트러기, 자투리, 〖행정〗 ➜ 자투리, 동강(나무) 〖인쇄〗, 끄트러기

기령 [其齡] 〖행정〗 ➜ 나이

기로 [岐路] 〖행정〗 = 갈림길

기로누키 [きろぬき] 〖생활외〗 ➜ 도리기, 도림

기로회도 [耆老會圖] 〖미술사〗 ⇨ 기로회그림

기류 [杞柳] 〖임업〗 ➜ 고리버들

기르란데 [독.Girlande] 〖스키〗 ➜ 계단식 산 돌기

기리 [錐, きり] 〖건설〗 〖미술〗 〖행정〗 ➜ 송곳

기리가쿠시 [切り隱し] 〖봉제〗 ➜ 입술주머니

기리누케 [きりぬけ] 〖연극〗 ➜ 입체 간판〖영화〗

기리누키 [切り拔き] 〖생활외〗 ➜ 오리기, 오림

기리다마 [切玉, きりたま] 〖패션〗 ➜ 털방울

기리바리 [切り張り] 〖건설〗 ➜ 버팀대

기리비키 [切引] 〖행정〗 ➜ 깎아끌기

기리스테 [きりすて] 〖생활외〗 ➜ 잘라 냄

기리오시 [切押, -おし] 〖행정〗 ➜ 깎아밀기

기리시 [切り石] 〖건설〗 ➜ 마름돌, 절석

기리지쓰케 [切り仕つけ, きりじつけ] 〖패션〗〖봉제〗 ➜ 실표뜨기

기리카에 (←기리까이) [切り替え] 〖건설〗 〖미술〗 ➜ 바꾸기, 교체, 〖봉제〗 ➜ (천)바꾸기, 〖행정〗 ➜ 바꿔대기, 바꾸기, 대체, 〖패션〗 ➜ (천)바꾸기

기리카에(센) [切替え線, きりかえ(せん)] 〖패션〗 ➜ 절개선

기리코미 [切り込み, きりこみ] 〖패션〗 ➜ 가윗집, 〖건설〗 〖행정〗 ➜ 막자갈

기리코반지 [きりこ(切子)斑指] 〖미술〗 ➜ 모반지

기리토리 [切り取り] 〖건설〗 ➜ 흙깎기

기립 [起立] 〖행정〗 ⇨ 일어서

기마에 [氣前, きまえ] 〖행정〗 〖생활외〗 ➜ 선심, 호기

기만하다 [欺瞞-] 〖행정〗 ⇨ 속이다

기망 [欺罔] 〖행정〗 ➜ 속임

기망가 [期望價] 〖임업〗 ➜ 기댓값

기망하다 [欺罔-] 〖행정〗 ➜ 속이다

기면 [基面] 〖임업〗 ➜ 기준면

기명날인 [記名捺印] 〖행정〗 ⇨ 이름 쓰고 도장 찍음

기모노 네크라인 [kimono neckline] 〖패션〗 ⇨ 기모노 목둘레선

기모노 슬리브 [kimono sleeve] 〖패션〗 ⇨ 기모노 소매

기미가요 〖미술〗 ➜ 민비단

기민한 [機敏-] 〖행정〗 = 날쌘, 재빠른

기반 [基盤] 〖행정〗 = 터전

기발한 [奇拔-] 〖행정〗 = 뛰어난

기보한 [旣報-] 〖행정〗 ⇨ 이미 알린, 이미 보고한

기복지도 [起伏地圖] 〖임업〗 ➜ 입체 지도

기본노임 [基本勞賃] 〖임업〗 ⇨ 기본급, 기본 품삯

기부 [基部] 〖행정〗 ⇨ 바탕 부분

기부 채납 [寄附採納] 〖행정〗 ➜ 기부 받음, 기부받기

기부지상고 [基部地上高] 〖행정〗 ➜ 지상 높이

기브 [give] 〖골프〗 ⇨ (넣음) 인정, 인정 퍼팅

기브앤드테이크 [give-and-take] 〖행정〗 ➜ 주고받기

기비 [基肥] 〖임업〗 〖행정〗 ⇨ 밑거름

기산하다 [起算-] 〖경제〗 ➜ 계산을 시작하다

기산하여 [起算-] 〖행정〗 ⇨ 셈을 시작하여

기상 [起床, きしょう] 〖생활외〗 〖행정〗 = 일어남

기상 시간 [起床時間] 〖행정〗 = 일어나는 시간

기상 원조 업무 〖행정〗 ⇨ 기상 보조 업무

기생 [寄生] 〖임업〗 = 더부살이

기생봉 [寄生蜂] 〖임업〗 ⇨ 기생벌, 더부살이벌

기석 [基石] 〖행정〗 ➜ 주춧돌

기선 [基線] 〖행정〗 ➜ 기준선

기선청건착망 [機船鯖巾着網] 〖행정〗 ➜ 고등어 주머니 그물

기설 [旣設] 〖행정〗 ➜ 이미 만듦

기성 조건 [旣成條件] 〖행정〗 ⇨ 있던 조건, 이미 된 조건

기성고 [旣成高] 〖행정〗 ➜ 실적, 결과

기성의 [旣成-] 〖행정〗 ⇨ 이미 만들어진

기성제 [旣成堤] 〖행정〗 ➜ 기성둑

기성조건 [旣成條件] 〖행정〗 ⇨ 이미된 조건

기세 [磯洗] 〖행정〗 ➜ 갯바위닦기

기세 [被せ] 〖봉제〗 ➜ 늘림시접

기세배 [旗歲拜] 〖민속〗 ⇨ 농기세배

기소 [起訴] 〖행정〗 = 소송 붙임

기소 [基礎, きそ] 〖건설〗 〖행정〗 ➜ 기초, 밑바탕

기소 공구리 [基礎コンクリート, -concrete] 〖건설〗 ➜ 기초 콘크리트

기속 [羈束] 〖행정〗 ➜ 얽맴

기송부 [旣送付] 〖정치〗 ➜ 이미 보냄

기수 [奇數] 〖행정〗 ➜ 홀수

기스 [傷, きず] 〖미술〗 〖생활외〗 〖행정〗 ➜ 흠(집)

기슭매기 〖임업〗 ➜ 기슭막이

기승하다 [騎乘-] 〖행정〗 ➜ 말을 타다

기실 [其實] 〖정치〗 ➜ 사실은, 실제 사정

기아 [棄兒] 〖행정〗 ⇨ 버려진 아이

기아 [饑餓] 〖행정〗 ⇨ 굶주림

기아 [ギア, gear] 〖행정〗 ⇨ 톱니바퀴, 변속장치

기아게 〖행정〗 ➜ 금긋기

기아사 [飢餓死] 〖법의학〗 ⇨ 기아 사망, 기아사 ※death from starvation

기안 [起案] 〖행정〗 = 문안 작성

기약 [期約] 〖행정〗 = 약속

기어 [gear] 〖행정〗 ⇨ 톱니바퀴, 변속 장치

기어이 [期於-] 〖행정〗 = 꼭, 부디, 마침내

기어 체인지 [gear change] 〖사이클〗 ➜ (기어) 변속기

기업 휴지 보험 [企業休止保險] 〖금융〗 ➜ 영업 중단 손실 보험

기여하다 [寄與-] 〖행정〗 = 이바지하다

기예 [技藝] 〖행정〗 = 재주, 솜씨, 기술 및 예술

기와가마 [瓦窯] 〖고고학〗 ⇨ 기왓가마 ※roof tile kiln

기왕 [旣往] 〖행정〗 = 벌써, 이미, 그 전

기왕력 [旣往歷] 〖행정〗 ➜ 과거 병력 〖의학〗

기왕증 [旣往症] 〖행정〗 ➜ 과거 질병 〖의학〗

기외 정차 [機外停車] 〖전철〗 ⇨ 신호 대기

기우 [杞憂] 〖행정〗 = 군걱정

기원하다 [祈願-] 〖행정〗 = 빌다

기율 [紀律] 〖행정〗 ⇨ 규율

기인 [起因] 〖행정〗 ⇨ 까닭, 원인

기인하다 [基因-] 〖행정〗 = (‧‧에) 원인을 두다

기일 [忌日] 〖행정〗 = 제삿날

기일 [期日] 〖행정〗 ⇨ 날짜

기일 엄수하여 [期日嚴守-] 〖행정〗 ⇨ 날짜 지키어

기입 [記入, きにゅう] 〖생활외〗 = 써넣음

기자 [祈子] 〖민속〗 ⇨ 아들빌기

기자미에리 [刻み襟] 〖패션〗 ➜ 뾰족깃, 칼깃

기잠 [起蠶] 〖잠업〗 ➜ 인 누에

기장 [記章] 〖정치〗 = 표지(標識), 〖행정〗 ⇨ 기념장

기장하다 [記帳-] 〖행정〗 ➜ 장부에 적다, 장부에 써 넣다

기재하다 [記載-] 〖행정〗 ⇨ 쓰다, 써 넣다, 적어 넣다

기적 취명 [汽笛吹鳴] 〖전철〗 ⇨ 기적 울림

기점 [基點] 〖임업〗 ➜ 기준점

기점 [起点] 〖행정〗 ⇨ 출발점, 시작점

기정 사실 [旣定事實] 〖행정〗 = 이미 정해진 일

기제 [旣濟] 〖행정〗 ➜ 처리됨

기제복 [旣製服] 〖패션〗 ➜ 기성복

기제사 [起除沙] 〖임업〗 ➜ 인똥갈이

기존 [旣存] 〖행정〗 = 이미 되어 있는

기중 [其中] 〖행정〗 ➜ 그 가운데

기중 [忌中] 〖행정〗 ⇨ 상중

기중기 [起重機, きじゅうき] 〖생활외〗 = 들 틀, 들 기계

기즈리 [木槢] 〖건설〗 ➜ 졸대

기즈미 [疵見] 〖미술〗 ➜ 흠찾개, 루페

기증 [寄贈, きぞう] 〖생활외〗 = 드림

기증하다 [寄贈-] 〖행정〗 = 드리다

기지 [基旨] 〖행정〗 ➜ 그 뜻

기지 [忌地] 〖농업〗 ➜ 땅가림

기지 [生地, きじ] 〖패션〗 ➜ (생)천, 옷감

기지 현상 [忌地現象] 〖행정〗 ➜ 그루타기

기착 [寄着] 〖행정〗 ⇨ 닿음, 들름

기착하다 [寄着-] 〖행정〗 ⇨ 다하다, 들르다

기찰 [肌擦] 〖행정〗 ➜ 긁힘

기초공 [基礎工] 〖임업〗 ➜ 기초 공사

기침 담당자 [起枕擔當者] 〖행정〗 ➜ 잠 깨우는 이

기카이네리 [機械練り] 〖건설〗 ➜ 기계비빔

기타 [其他] 〖행정〗 = 그 밖에

기타인 [其他人] 〖행정〗 ⇨ 그외/다른/그 밖의 사람

기타케 [着丈] 〖봉제〗 ➜ 옷길이, 기장

기탁 [寄託] 〖행정〗 ⇨ 맡김

기탁 계정 [寄託 計定] 〖금융〗 ➜ 조건부 인출 가능 계정

기탁하다 [寄託-] 〖금융〗 〖행정〗 ⇨ 맡기다

기탄없이 [忌憚-] 〖행정〗 ⇨ 거리낌 없이

기포 [氣泡] 〖법의학〗 〖행정〗 ➜ 거품 ※bubble

기표봉 [記票棒] 〖정치〗 ⇨ 기표 대롱

기표지 [記表紙] 〖행정〗 ➜ 표지적기

기표찰 [記表札] 〖행정〗 ➜ 꼬리표 적기

기표하다 [記票-] 〖금융〗 ➜ 전표 처리하다

기표하다 [起票-] 〖경제〗 ➜ 전표를 작성하다

기프트 카드 [gift card] 〖언론〗 ➜ 상품권 카드 ¶신용 카드사들이 상품권 형태의 신용 카드인 기프트 카드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기피하다 [忌避-] 〖행정〗 ⇨ 꺼리다, 피하다

기필코 [期必-] 〖행정〗 = 기어이, 반드시, 꼭

기한 [期限] 〖정치〗 = 마감

기합 [氣合] 〖생활외〗 ⇨ 얼차려 〖군대〗, 기넣기

기합을 넣다 [氣合-] 〖행정〗 ⇨ 정신 차리게 하다

기합을 주다 [氣合-] 〖행정〗 ⇨ 벌주다, 꾸중하다

(기한이) 도래하다 [到來-] 〖행정〗 ⇨ (기한이) 이르다, 오다, 닥치다

기형견 [畸形繭] 〖잠업〗 ➜ 기형 고치

기형립 [畸型粒] 〖행정〗 ➜ 별난 알

기화로 [奇貨-] 〖행정〗 ⇨ 핑계로

기황 [飢荒] 〖행정〗 ➜ 굶주림

기회 원가 [機會原價] 〖임업〗 ⇨ 기회 비용

기후 순응 [氣候順應] 〖임업〗 ➜ 기후 적응

기휴식 [寄畦式] 〖행정〗 ➜ 모듬이랑식

기흉 [氣胸] 〖법의학〗 ⇨ 공기 가슴증, 기흉 ※pneumothorax

기히 [旣-] 〖행정〗 ➜ 이미, 앞서

긴노 〖미술〗 ➜ 구리 땜막대, 구리 용접봉

긴다마 [金玉, きんたま] 〖생활외〗 ➜ 쉬운 공

긴목 항아리 [長頸壺] 〖고고학〗 ⇨ 긴목 항아리, 긴목 단지 ※long-necked jar

긴요하다 [緊要-] 〖행정〗 = 아주 중요하다

긴장삭 [緊張索] 〖임업〗 ➜ 꼬리줄

긴장성 기흉 [緊張性氣胸] 〖법의학〗 ⇨ 긴장성 공기 가슴증 ※tension pneumothorax

긴절히 [緊切-] 〖행정〗 ⇨ 절실히

긴착 [緊着] 〖행정〗 ➜ 죄어 붙이기

긴체 〖행정〗 ➜ 잠그기 〖철도〗

긴초기 [緊張器] 〖건설〗 ➜ 긴장기

긴케쓰자이 [緊結材] 〖건설〗 ➜ 긴결재, 죔감

긴타로 [金太郞] 〖생활외〗 ➜ 곤들매기

길경 [桔梗] 〖식생활〗 ⇨ 도라지

길사 [吉事] 〖행정〗 ⇨ 좋은 일

길상문 [吉祥紋] 〖미술사〗 ⇨ 길상무늬 ※motives with auspicious symbolism

길어깨 〖행정〗 ➜ 갓길

김프사 [gimp 絲] 〖봉제〗 = 술실

깁스 [독.Gips] 〖언론〗 ⇨ 석고 붕대 ¶너무 무리하다 일주일 전에 왼쪽 발등이 부어 깁스를 한 것.

깃가케 [切掛, きっかけ] 〖생활외〗 ➜ 좋은 기회, 계기

깃저고리 〖패션〗 ⇨ 배내옷, 배냇저고리

깃코 [龜甲] 〖신문〗 ➜ 대괄호

깃태 [切手] 〖생활외〗 ➜ (우)표

깐 (←간) [鐶, かん] 〖패션〗 ➜ 고리, 버클

깡 화이트 [can white] 〖미술〗 ➜ 흰 (물감)통

껴묻거리 [副葬品] 〖고고학〗 ⇨ 부장품, 껴묻거리 ※funerary object

껴묻기 [副葬] 〖고고학〗 ⇨ 부장, 껴묻기 ※burying with the corpse

꼬리기둥 〖임업〗 ➜ 뒷기둥

꼬붕 [子分, こぶん] 〖생활외〗 ➜ 부하

꼰 무늬 토기 [繩蓆紋土器] 〖고고학〗 ⇨ 멍석 무늬 토기 ※pottery with cord design

꽃가루 분석 [花粉分析] 〖고고학〗 ⇨ 꽃가루 분석, 화분 분석

※fossil pollen analysis

꾸미개 [裝身具] 〖고고학〗 ⇨ 장신구, 꾸미개 ※personal ornament

꾸밈옥 [裝飾玉, 飾玉] 〖고고학〗 ⇨ 꾸밈 구슬 ※ornamental bead

끽연 [喫煙] 〖행정〗 ⇨ 담배 피움, 흡연

끽연 작물 [喫煙作物] 〖농업〗 ➜ 흡연 작물

낑깡 [金柑] 〖식생활〗 ➜ 금귤, 동귤(童橘)


* * *



• 국어순화 • 국어순화합본 • 다음은말 • 순화어 • 외래어 • 외래어표기법 • 우리말 • 일본말투 • 일본어투용어 • 잘못된표기 • 표기법 • 표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