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刺] 〖농업〗 ➜ 가시
자가고 [蛇籠, じゃかご] 〖건설〗 ➜ 돌망태
자가 노동 [自家勞動] 〖행정〗 ⇨ 제집품
자가네 ([座金, ざがね] 〖건설〗 ➜ 받침쇠, 와셔(washer), 〖미술〗 ➜ 받침쇠, 똬리쇠
자가 수분 [自家受粉] 〖임업〗 ⇨ 제꽃 가루받이
자각 [自覺] 〖행정〗 ⇨ 스스로 깨달음
자격 상실 [資格喪失] 〖행정〗 ⇨ 자격 잃음
자격 정지 [資格停止] 〖행정〗 ⇨ 자격 멈춤
자견 [仔犬] 〖행정〗 ➜ 새끼 개
자견 [煮繭] 〖잠업〗 ➜ 고치삶기
자경 [自耕] 〖행정〗 ⇨ 스스로 경작함, 손수 경작
자경 [自警] 〖행정〗 ➜ 스스로 지킴
자고로 [自古-] 〖행정〗 ⇨ 예로부터
자골 [子骨] 〖행정〗 ➜ 마디뼈
자괴심 [自愧心] 〖정치〗 ⇨ 부끄러움
자교사 [自絞死] 〖법의학〗 ➜ 끈 졸림 자살 ※self-strangulation
자구 [字句] 〖행정〗 ⇨ 글자와 어구
자국 [自國] 〖행정〗 ⇨ 제 나라
자국 [自局] 〖행정〗 ⇨ 제 (우체)국
자근묘 [自根苗] 〖임업〗 ➜ 제 뿌리모
자금 [資金] 〖행정〗 ⇨ 돈
자금 공여 [資金 供與] 〖금융〗 ➜ 자금 제공
자기 색정사 [自己 色情死] 〖법의학〗 ⇨ 홀로 색 밝힘 사망 ※autoerotic death
자기 인덕턴스 [自己-, self inductance] 〖전기〗 ⇨ 자체 인덕턴스(自體-)
자기 척 [磁氣-, magnetic chuck] 〖전기〗 ⇨ 자기 고정기(磁氣固定器)
자기 탁송 [自己 託送, self wheeling] 〖전기〗 ⇨ 자체 탁송(自體託送)
자기 여효 [magneitic after-effect] 〖전기〗 ⇨ 자기 지연 효과
자기 전류 [self commutation] 〖전기〗 ⇨ 자체 전환(自體轉換)
자녀 [子女] 〖행정〗 = 아이
자독표척 [自讀標尺] 〖임업〗 ⇨ 자독 스태프, 절로 표시 자
자돈 [子豚] 〖축산〗 ➜ 새끼 돼지
자돈하리 [仔豚下痢] 〖행정〗 ➜ 새끼 돼지 설사
자동수견 견면 제거기 〖행정〗 ➜ 누에고치 수확기
자동수위 측정장치 [自動水位測定裝置] 〖임업〗 ⇨ 자기 수위계
자동우량 측정장치 [自動雨量測定裝置] 〖임업〗 ⇨ 자기 우량계
자력 [自力] 〖행정〗 ⇨ 제힘
자력 [資力] 〖행정〗 ➜ 자금 능력
자력 기록철 〖행정〗 ➜ 등록 서류철
자력 카드 〖행정〗 ➜ 관리 카드
자력 확인 〖행정〗 ➜ 기록 확인
자루솥 [鐎斗] 〖고고학〗 ⇨ 자루솥, 초두 ※tri-legged cauldron with handle
자리 [砂利] 〖건설〗 ➜ 자갈
자만 [子蔓] 〖농업〗 ➜ 아들 덩굴
자망 [刺網] 〖행정〗 ➜ 걸그물
자명하다 [自明-] 〖행정〗 ⇨ 뻔하다
자모회 [姉母會] 〖행정〗 ➜ 어머니회
자몽 [ザボン, 포.zamboa] 〖식생활〗 ⇨ 그레이프프루트
자문하다 [自問-] 〖행정〗 = 스스로 묻다
자바라 [蛇腹, じゃばら] 〖행정〗 ➜ 주름(상자), 주름(대롱), 〖패션〗 ➜ 장식끈, 〖건설〗 ➜ 돌림띠, 쇠시리, 주름테, 〖전기〗 ⇨ 주름관, 주름상자
자반병 [紫斑病] 〖농업〗 ➜ 자주무늬병
자발적으로 [自發的-] 〖행정〗 = 스스로
자방 [子房] 〖행정〗 ➜ 씨방
자방병 [子房柄] 〖행정〗 ➜ 씨방 자루
자변 [自辨] 〖행정〗 ➜ 자기가 마련함/치름 〖법〗
자부 [子婦] 〖행정〗 ⇨ 며느리
자부돈 [座布団, ざぶとん] 〖행정〗 ➜ 방석
자비 [煮沸] 〖행정〗 ➜ 끓임
자비 소독 [煮沸消毒] 〖행정〗 ➜ 끓임 소독
자산양 [仔山羊] 〖행정〗 ➜ 새끼 염소
자살하다 [刺殺-] 〖행정〗 ⇨ 찔러 죽이다
자상 [刺傷] 〖행정〗 ⇨ 찔린 상처
자서하다 [自書-] 〖행정〗 ⇨ 직접/스스로 쓰다/적다
자성하다 [自省-] 〖행정〗 ⇨ (스스로) 반성하다
자세 [藉勢] 〖행정〗 ➜ 세력에 기댐
자세성 질식 [姿勢性 窒息] 〖법의학〗 ➜ 자세 질식 ※positional asphyxia
자소 [紫蘇] 〖농업〗 ➜ 차조기
자수 [雌穗] 〖농업〗 ➜ 암이삭
자숙하다 [自肅-] 〖행정〗 ⇨ 스스로 삼가다
자실체 [子實體] 〖임업〗 ⇨ 버섯
자아 [雌蛾] 〖잠업〗 ➜ 암나방
자양물 [滋養物] 〖행정〗 ➜ 영양물
자에 [玆-] 〖행정〗 ➜ 이에
자연 산화 [自然山火] 〖임업〗 ⇨ 자연 산불
자연림 [自然林] 〖임업〗 = 천연림
자엽 [子葉] 〖임업〗 ➜ 떡잎
자엽근 [子葉根] 〖행정〗 ➜ 떡잎 뿌리
자영 [自營] 〖행정〗 ⇨ 직접 경영, 스스로 경영함
자예 [子蘂] 〖농업〗 ➜ 암술
자완무시 [茶碗蒸し] 〖식생활〗 ➜ 계란찜
자웅 [雌雄] 〖행정〗 ⇨ 암수
자웅분리 [雌雄分離] 〖행정〗 ⇨ 암수 가르기
자위 [自衛] 〖행정〗 ⇨ 스스로 지킴
자의로 [恣意-] 〖행정〗 ➜ 제멋대로, 마음대로
자의로 [自意-] 〖행정〗 = (자기) 스스로
자이 [玆以] 〖행정〗 ➜ 이에
자이로 [茶色, ちゃいろ] 〖패션〗 ➜ 누런(색), 다색(茶色)
자이언트 슐라롬 [giant slalom] 〖스키〗 ⇨ 대회전 경기
자인 [自認] 〖행정〗 = 스스로 인정, 자기가 시인
자입구 [刺入口] 〖법의학〗 ➜ 찔린 입구 ※wound entrance
자장 [磁場] 〖행정〗 ➜ 자기장
자저 [煮藷] 〖농업〗 ➜ 찐 고구마
자절창 [刺切創] 〖법의학〗 ➜ 찔리고 베인 상처 ※stab and cuttiy wound
자정 [自淨] 〖행정〗 ⇨ 자기 정화
자중 [自重] 〖행정〗 = 자체 무게
자진(하여) [自進(-)] 〖행정〗 = 스스로
자창 [刺創] 〖법의학〗 ➜ 찔린 상처 ※stab wound
자창관 [刺創管] 〖법의학〗 ➜ 찔린 길 ※path or tract
자청 [自廳] 〖행정〗 ⇨ 제 (···)청
자체 [字體] 〖행정〗 ⇨ 글자체
자체 [自體] 〖행정〗 = 스스로
자초 [自招] 〖행정〗 ⇨ 가져옴
자초지종 [自初至終] 〖행정〗 = 처음부터 끝까지
자추 [雌雛] 〖축산〗 ➜ 암평아리
자축 [仔畜] 〖행정〗 ➜ 새끼 가축
자출구 [刺出口] 〖법의학〗 ➜ 찔린 출구 ※exit wound
자침 [刺針] 〖잠업〗 ➜ 벌침
자카드(직) [jacquard 織] 〖패션〗 ⇨ 문(양)직물
자키 캡 [jockey cap] 〖패션〗 ⇨ 승마모
자택 [自宅] 〖행정〗 = 자기 집, 집
자해 행위 [自害行爲] 〖행정〗 ⇨ 스스로 해침
자행하다 [恣行-] 〖행정〗 ⇨ 저지르다, 거리낌 없이 하다
자형 [字形] 〖행정〗 ⇨ 글자 모양
자화 [雌花] 〖임업〗 ➜ 암꽃
자화수정 [自花受精] 〖임업〗 ➜ 제꽃정받이, 제꽃가루받이
작근 [作斤] 〖농업〗 ➜ 무게 맞춤
작금 [昨今] 〖행정〗 ⇨ 요즈음, 요사이, 어제오늘
작년 [昨年] 〖행정〗 = 지난해
작도 [作圖] 〖행정〗 ⇨ 제도
작동 [斫棟] 〖임업〗 ➜ (통)나무 자르기, 토막내기
작량 [酌量] 〖행정〗 ➜ 헤아림
작량 감경 [酌量減輕] 〖행정〗 ➜ 헤아려 가볍게 함
작문 [作文] 〖행정〗 = 글짓기
작반 [作畔] 〖행정〗 ➜ 두둑 만들기
작부 [作付] 〖행정〗 ➜ 그루심기, 경작
작부 체계 [作付體系] 〖행정〗 ➜ 심기 차례, 경작 차례
작상 [床] 〖임업〗 ➜ 모판 만들기
작성하다 [作成-] 〖행정〗 = 만들다
작야 [昨夜] 〖행정〗 ➜ 어젯밤
작업 [作業] 〖행정〗 = 일
작업삭 [作業索] 〖임업〗 ➜ 작업줄
작일 [昨日] 〖행정〗 ⇨ 어제
작잠 [柞蠶] 〖행정〗 ➜ 참나무 누에, 산누에
작조 [作條] 〖농업〗 ➜ 골타기
작조기 [作條機] 〖농업〗 ➜ 골타개
작태 [作態] 〖행정〗 ⇨ 짓
작토 [作土] 〖농업〗 ➜ 갈이흙
작형 [作型] 〖농업〗 ➜ 가꿈꼴
작화하다 [作畵-] 〖정치〗 ➜ 그리다
작황 [作況] 〖농업〗 ⇨ 됨새
작휴 재배 [作畦栽培] 〖농업〗 ➜ 이랑 가꾸기
잔고 [殘高] 〖경제〗 〖행정〗 ⇨ 잔액, 나머지, 〖금융〗 ⇨ 잔액, 잔량
잔교 [棧橋] 〖행정〗 ➜ 구름다리
잔량 [殘量] 〖행정〗 ⇨ 나머지
잔무 [殘務] 〖행정〗 ⇨ 남은 일
잔반 [殘飯] 〖식생활〗 ⇨ 남은 밥, 음식 찌꺼기
잔반통 [殘飯筒] 〖식생활〗 ⇨ 음식 찌꺼기 통
잔사 [殘渣] 〖행정〗 ➜ 찌꺼기
잔상 [殘桑] 〖잠업〗 ➜ 남은 뽕
잔서 [殘暑] 〖행정〗 ➜ 늦더위
잔석기 [細石器] 〖고고학〗 ⇨ 좀돌석기, 세석기 ※microlith
잔아육 [全芽育] 〖잠업〗 ➜ 순뽕치기
잔아육성 [全芽育成] 〖잠업〗 ➜ 새순 기르기
잔액 [殘額] 〖행정〗 = 남은 돈
잔업 [殘業] 〖행정〗 = 시간 외 일
잔여 [殘餘] 〖행정〗 = 나머지
잔임 기간 [殘任期間] 〖행정〗 ⇨ 남은 임기/기간
잔재 [殘在] 〖행정〗 ⇨ 남아 있는
잔재 [殘滓] 〖행정〗 ⇨ 찌꺼기
잔전 [-錢] 〖행정〗 ➜ 잔돈
잔존 만기 [殘存 滿期] 〖금융〗 ➜ 남은 기간
잔존 채권 [殘存債券] 〖행정〗 ➜ 남은 채권
잔존하다 [殘存-] 〖행정〗 ⇨ 남아 있다
잔줄무늬 거울 [細紋鏡] 〖고고학〗 ⇨ 잔줄무늬 거울, 세문경 ※mirror with slim linear design
잔토 [殘土] 〖행정〗 ➜ 남은 흙
잔형 [殘刑] 〖정치〗 ⇨ 남은 형(기)
잔형기 [殘刑期] 〖행정〗 ⇨ 나머지, 남은 형기
잠(복)아 [潛伏芽] 〖잠업〗 ➜ 숨은 눈
잠가 [蠶架] 〖잠업〗 ➜ 누에 시렁
잠견 [蠶繭] 〖행정〗 ⇨ 누에고치
잠관 [潛管] 〖행정〗 ➜ 수중관
잠구 [蠶具] 〖잠업〗 ➜ 누에 연모
잠농 [蠶農] 〖행정〗 ➜ 누에 농사
잠란 [蠶卵] 〖행정〗 ➜ 누에 알
잠령 [蠶齡] 〖잠업〗 ➜ 누에 나이
잠망 [蠶網] 〖잠업〗 ➜ 누에 그물
잠박 [蠶箔] 〖잠업〗 ➜ 누에 채반
잠병 [蠶病] 〖행정〗 ➜ 누엣병
잠복소 [潛伏巢] 〖행정〗 ➜ 벌레집
잠분 [蠶糞] 〖잠업〗 ➜ 누에 똥
잠사 [蠶絲] 〖행정〗 ⇨ 누에 실
잠실 [蠶室] 〖행정〗 ➜ 누엣간
잠아 [蠶兒] 〖행정〗 ➜ 누에
잠업 [蠶業] 〖행정〗 ➜ 누에치기
잠엽충 [蠶葉蟲] 〖잠업〗 ➜ 잎굴나방
잠입 [潛入] 〖행정〗 = 숨어듦
잠작 [蠶作] 〖잠업〗 ➜ 누에되기
잠적하다 [潛跡-] 〖행정〗 ⇨ 자취를 감추다
잠족 [蠶簇] 〖잠업〗 ➜ 누에 섶
잠종 [蠶種] 〖행정〗 ➜ 누에 씨
잠종상 [蠶種箱] 〖잠업〗 ➜ 누에 씨 상자
잠좌지 [蠶座紙] 〖잠업〗 ➜ 누엣자리 종이
잠함병 [潛函病] 〖법의학〗 ➜ 감압병, 잠수병 ※caisson disease, ecompression sickness
잡각석 [雜角石] 〖임업〗 ➜ 거친돌, 막깬돌
잡거 [雜居] 〖행정〗 ➜ 섞여 삶
잡구 [雜具] 〖행정〗 ➜ (기타) 생활용품
잡무 [雜務] 〖행정〗 = 갖가지 일, 허드렛일
잡서 [雜書] 〖행정〗 ➜ 자질구레한 서류, 속된 책
잡석 [雜石] 〖임업〗 ⇨ 막돌
잡손 [雜損] 〖경제〗 ➜ 잡손실
잡수 [雜水] 〖행정〗 ➜ 허드렛물
잡종 재산 [雜種財産] 〖행정〗 ➜ 자질구레한 재산
잡초 [雜草] 〖행정〗 = 잡풀
잡초파종공 [雜草播種工] 〖임업〗 ➜ 잡초 씨뿌리기
잡할석 [雜割石] 〖임업〗 ➜ 거친돌, 막깬돌
잣쿠 [チャック, chuck] 〖패션〗 ➜ 지퍼, 〖행정〗 ➜ 줄물리개
장 [場] 〖행정〗 ⇨ 자리
장/단 폐단 〖행정〗 ⇨ 운전실 뒤/앞 방향 〖철도〗
장각 [長刻] 〖농업〗 ➜ 긴 각초
장간 [長稈] 〖농업〗 ➜ 큰 키
장간막 동맥 혈전증 [腸間膜 動脈 血栓症] 〖법의학〗 ➜ 창자막 동맥 혈전증 ※arteriomesenteric thrombosis
장경 [長徑] 〖행정〗 ➜ 긴 지름
장경호 [長頸壺] 〖미술〗 ⇨ 긴 목 항아리 ※jar with long neck
장과지 [長果枝] 〖임업〗 ➜ 긴 열매가지
장관 [腸管] 〖행정〗 ➜ 창자
장관골 [長關骨] 〖행정〗 ➜ 긴 뼈/팔/다리
장근의 (묘목) [長根-] 〖행정〗 ➜ 뿌리 긴 (묘목)
장기 계류 [長期繫留] 〖행정〗 ⇨ 오래 머묾
장기간 [長期間] 〖행정〗 = 오랫동안
장기기거 [長期寄居] 〖정치〗 ⇨ 오랫동안 (부쳐) 삶
장기사 [臟器死] 〖법의학〗 ⇨ 장기 사망, 장기사 ※organ death
장기수 [長期樹] 〖임업〗 ⇨ 늦자람 나무, 오래자람 나무
장끼 〖행정〗 = 수꿩
장남 [長男] 〖행정〗 = 맏아들
장내 신호기 [場內信號機] 〖전철〗 ⇨ 진입 신호기
장녀 [長女] 〖행정〗 = 맏딸
장대 레일 [長大 rail] 〖전철〗 ⇨ 긴 레일
장려하다 [獎勵-] 〖행정〗 = 권하다
장륙상 [丈六像] 〖미술사〗 ⇨ 장륙(불)상 ※sixteen feet high statue
장르 [프.genre] 〖생활외〗 = 분야, 갈래 ¶이 장르에 대한 관심이 높다. 〖연극〗 ➜ 극형태
장리 [掌理] 〖행정〗 ➜ 맡아 처리함
장리자 [掌理者] 〖행정〗 ➜ 관리자
(장마)전선 [-前線] 〖생활외〗 = (장마)선 〖기상〗
장망 [長芒] 〖농업〗 ➜ 긴 까락
장물 [臟物] 〖행정〗 ⇨ 훔친 물건
장물품표 [臟物品票] 〖행정〗 ➜ 훔친 물건 목록
장발 [長髮] 〖행정〗 = 긴 머리
장방형 [長方形] 〖행정〗 ⇨ 긴사각형, 긴네모꼴
장방형식 [長方形植] 〖임업〗 ⇨ 긴모꼴 심기
장벽 [墻壁] 〖행정〗 = 담과 벽
장벽 [腸壁] 〖축산〗 ➜ 창자벽
장변 [長邊] 〖행정〗 ➜ 누운변
장봉 [長鋒] 〖미술〗 ⇨ 긴붓
장부 〖건축사〗 ⇨ 촉 ※the point of joint
장서 확충 [藏書擴充] 〖행정〗 ⇨ 책늘리기
장석 [張石] 〖행정〗 ➜ 돌붙임
장석공 [張石工] 〖임업〗 ➜ 돌붙이기
장석수로 [張石水路] 〖임업〗 ➜ 돌붙임 수로, 돌붙임 도랑
장석수로공 [張石水路工] 〖임업〗 ➜ 돌붙임 수로 내기, 돌붙임 도랑내기
장선 [張線] 〖행정〗 ➜ 당김선
장소 [場所] 〖행정〗 = 곳, 자리
장수 [張數] 〖행정〗 = 매수
장수적 [長手積] 〖임업〗 ➜ 길이 쌓기
장식 신발 [飾履] 〖고고학〗 ⇨ 장식신 ※ornamental shoes
장식 [葬式] 〖행정〗 ➜ 장례식
장식옥 [佩玉] 〖고고학〗 ⇨ 드리개옥, 패옥 ※pendant jade
장신의 [長身-] 〖행정〗 = 키 큰, 큰 키의
장애 통보 [障碍通報] 〖행정〗 ➜ 고장 통보
장애물 [障碍物] 〖행정〗 = 걸림돌
장일성 식물 [長日性植物] 〖농업〗 ⇨ 긴 볕 식물
장일 처리 [長日處理] 〖농업〗 ➜ 긴 볕 쬐기
장임전 [腸稔轉] 〖축산〗 ➜ 창자 꼬임
장잠 [壯蠶] 〖잠업〗 ➜ 큰 누에
장장붓 [長長-] 〖미술〗 ⇨ 긴긴 붓
장점 [長点] 〖행정〗 = 좋은 점
장제비 [葬祭費] 〖행정〗 ➜ 장례 보조비
장제하다 [裝蹄-] 〖행정〗 ➜ (말에) 편자를 대다
장조 〖행정〗 ➜ 끝내기 ※2인 이상 경락할 때 가위바위보로 1인에게 최종 경락시키는 것
장족의 [長足-] 〖행정〗 ⇨ (크나) 큰, 빠른
장중첩 [腸重疊] 〖축산〗 ➜ 창자 겹침
장지공 [張芝工] 〖임업〗 〖행정〗 ➜ 평떼 붙이기, 평떼 심기
장지수로 [張芝水路] 〖임업〗 ➜ 떼(붙임)수로, 떼(붙임)도랑
장지수로공 [張芝水路工] 〖임업〗 ➜ 떼(붙임)수로 내기, 떼(붙임)도랑내기
장차 [將次] 〖행정〗 = 앞으로
장책 [墻柵] 〖행정〗 ➜ 담, 울타리
장척 [長尺] 〖행정〗 ➜ 긴 자
장치 [藏置] 〖행정〗 ➜ 넣어 둠, 보관함
장치 물품 [藏置物品] 〖행정〗 ➜ 보관 물품
장폐쇄증 [腸閉塞症] 〖법의학〗 ➜ 창자 막힘증 ※ileus
장형 [長兄] 〖행정〗 ➜ 큰형, 맏형
재 [再] 〖행정〗 = 다시
재가 [裁可] 〖행정〗 ⇨ 결재
재감중 [在監中] 〖행정〗 ⇨ 재소 중, 수감되어
재개하다 [再開-] 〖행정〗 ⇨ 다시 열다
재결 [裁決] 〖행정〗 ⇨ 결정
재경 [再耕] 〖행정〗 ➜ 두 벌 갈이
재경정 [再更正] 〖행정〗 ➜ 다시 고침
재고량 [在庫量] 〖행정〗 = 나머지
재고하다 [再考-] 〖행정〗 = 다시 생각하다
재근지 [在勤地] 〖행정〗 ➜ 근무지
재도 증서 [再渡證書] 〖행정〗 ➜ 재교부 증서
재리 우편물 [在裏郵便物] 〖행정〗 ➜ (···) 들어 있는 우편물
재리품 [在裏品] 〖행정〗 ➜ 속 물건
재말 [材末] 〖미술〗 ⇨ 끝밥(받이)
재모경 [再冒耕] 〖행정〗 ➜ 다시 심기
(재무성 증권) 10년 물(物) 〖경제〗 ➜ 10년 만기
재밍 [jamming] 〖행정〗 ➜ 전파 방해
재발 [再發] 〖행정〗 ⇨ 재발행, 재발생
재사용 [再使用] 〖행정〗 ⇨ 다시 씀
재산 (운용) [財産 (運用)] 〖금융〗 ⇨ 자산 (운용)
재삼 [再三] 〖행정〗 ⇨ 여러 번, 거듭
재상 [栽桑] 〖잠업〗 ➜ 뽕가꾸기
재생 불량성 빈혈 [再生 不良性 貧血] 〖법의학〗 ➜ 재생 불량 빈혈 ※aplastic anemia
재생근 [再生根] 〖임업〗 ➜ 새뿌리
재생용 각초 [再生用刻草] 〖농업〗 ➜ 재사용 각초
재숙자 [在宿者] 〖행정〗 ➜ 수용인
재식 [栽植] 〖행정〗 ➜ 심기
재식 거리 [栽植距離] 〖행정〗 ➜ 심는 거리
재식면적 [栽植面積] 〖행정〗 ➜ 심는 면적
재식 밀도 [栽植密度] 〖행정〗 ➜ 심음 배기
재식하다 [栽植-] 〖행정〗 ➜ 심다
재심 [再審] 〖행정〗 ⇨ 다시 심사, 다시 심의
재이용 [再利用] 〖행정〗 ⇨ 다시 이용
재적 [材積] 〖임업〗 = 나무 부피
재정 결정 [裁定決定] 〖행정〗 ⇨ 가려 정함
재정인 [在廷人] 〖행정〗 ⇨ 법정 안에 있는 사람
재조리 선별대 [再調理選別臺] 〖농업〗 ➜ 재조리대
재중 [在中] 〖행정〗 ⇨ 안에 있음
재질 [材質] 〖행정〗 = 재료의 성질
재차 [再次] 〖행정〗 = 거듭, 다시, 두 번째
재축 [再築] 〖행정〗 ➜ 다시 지음
재치하다 [載置-] 〖행정〗 ➜ 얹어 놓다
재킷 [jacket] 〖생활외〗 〖패션〗 ⇨ 웃옷, 상의 ¶겨울 재킷은 멋보다는 보온이 우선이다.
재테크 [財tech, ←財technology] 〖언론〗 ⇨ 재산 관리, 이재(理財) ¶초고층 아파트를 잘 분양 받는다면 주거 개념 외에 재테크 수단으로도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행정〗 ➜ (금융) 자산 운용 기법
재판상 이혼 [裁判上離婚] 〖행정〗 ⇨ 재판 이혼
재판상 파양 [裁判上罷養] 〖행정〗 ⇨ 재판 파양
재판소 [裁判所] 〖행정〗 ➜ 법원
재퍼니즈 패션 [Japanese fashion] 〖패션〗 ➜ 일본(풍) 패션
재현 [再現] 〖행정〗 = 다시 나타남/냄
재활용 [再活用] 〖행정〗 ⇨ 다시 씀
재획정 〖행정〗 ➜ 다시 정함
잭 [jack] 〖전기〗 ⇨ 연결받이
잼 클락 [jam clock] 〖언론〗 ➜ 혼잡 알림판 ¶서울 내부 순환로의 구간별 교통 혼잡 정도를 시간대별로 표시한 ‘잼 클락’이 등장했다.
쟁송 [爭訟] 〖정치〗 ➜ 소송
쟁의 [爭議] 〖행정〗 ⇨ (의견으로) 다툼
쟁점 [爭點] 〖행정〗 = 다툼 점
쟁탈전 [爭奪戰] 〖행정〗 = 차지하기
저 [楮] 〖임업〗 ➜ 닥(나무)
저가 [低價] 〖행정〗 ⇨ 낮은 가격
저간 [這間] 〖행정〗 ⇨ 이즈음, 요즈음
저간정지 [低幹整枝] 〖임업〗 ➜ 낮추 만들기
저감 [低減] 〖행정〗 ➜ 낮추어 줄임
저견 [貯繭] 〖잠업〗 ➜ 고치 저장
저널 [journal] 〖생활외〗 ⇨ 언론 ¶저널을 통한 홍보 운동을 펼치고 있다.
저널리스트 [journalist] 〖생활외〗 ⇨ 언론인 ¶저널리스트 출신으로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다.
저널리즘 [journalism] 〖생활외〗 ⇨ 언론 ¶저널리즘은 어디서든지 보호되어야 한다.
저니토 [低泥土] 〖농업〗 ➜ 시궁 흙
저락 [低落] 〖행정〗 ➜ (가격 따위가) 내림/떨어짐
저렴하게 [低廉-] 〖행정〗 ⇨ 싸게
저류여지 [貯留餘地] 〖임업〗 ➜ 저류 기회
저류하다 [貯溜-] 〖행정〗 ➜ (물 따위를) 가두어 두다
저리 [低利] 〖행정〗 ⇨ 싼 이자, 싼변
저마 [苧麻] 〖임업〗 ➜ 모시
저명 [著名] 〖행정〗 ⇨ 이름남
저밀 [貯蜜] 〖잠업〗 ➜ 꿀 갈무리
저변 [低邊] 〖정치〗 ➜ 밑바닥
저산소증 [低酸素症] 〖법의학〗 ➜ 저산소 혈증 ※hypoxemia
저상 [貯桑] 〖잠업〗 ➜ 뽕 저장
저설온상 [低設溫床] 〖농업〗 ➜ 낮은 온상
저소득층 [低所得層] 〖행정〗 ⇨ 낮은 소득층
저수 [貯水] 〖행정〗 ⇨ 물받이
저수능 [貯水能] 〖임업〗 ➜ 저류능(력)
저수조 [貯水槽] 〖행정〗 ➜ 물(저장)통
저스트 미트 [just meet] 〖야구〗 ➜ 정타(正打)
저습지 [低濕地] 〖행정〗 ➜ 진펄(땅)
저언제 [貯堰堤] 〖임업〗 ➜ 낮은 댐
저연승 [底延繩] 〖행정〗 ⇨ 땅주낙
저예망 [底曳網] 〖농업〗 ➜ 저인망
저위 생산답 [低位生産畓] 〖농업〗 ➜ 덜 나는 논
저위예취 [低位刈取] 〖농업〗 ➜ 낮춰 베기
저의 [底意] 〖행정〗 ⇨ 속셈, 속뜻, 속마음
저인망 [底引網, そこびきあみ] 〖행정〗 ⇨ 쓰레 그물
저임금 [低賃金] 〖행정〗 ⇨ 낮은 임금
저자 [著者] 〖행정〗 = 지은이
저작 기능 [咀嚼機能] 〖행정〗 ➜ 씹는 기능
저장구덩 [貯藏孔] 〖고고학〗 ⇨ 저장공, 저장움 ※storage pit
저접 [低椄] 〖임업〗 ⇨ 줄기 낮게 접하기
저지 [低地] 〖행정〗 ⇨ 낮은 땅
저지 [judge] 〖스케이트〗 ➜ (피겨) 심판
저지 사이드 [jersey side] 〖볼링〗 ➜ 빗맞히기
저지 페이퍼 [judge paper] 〖생활외〗 ➜ 판정표
저지대 [低地帶] 〖행정〗 ⇨ 낮은 지역
저지하다 [沮止-] 〖행정〗 = 막다, 막아 내다
저지휠 [jersey wheel] 〖미술〗 ➜ 물레
저질 [低質] 〖행정〗 ⇨ 질 낮은
저체온사 [低體溫死] 〖법의학〗 ⇨ 저체온 사망, 저체온사 ※death due to hypothermia
저치 [貯置] 〖행정〗 ➜ 저장
저판 [底板] 〖행정〗 ➜ 밑판
저피 [楮皮] 〖행정〗 ➜ 닥나무 껍질
저하하다 [低下-] 〖행정〗 ➜ (처우 따위가) 낮아지다
저항성 접촉 [抵抗性接觸] 〖전기〗 ⇨ 옴 접촉(ohmic contact)
저해견 [蛆害繭] 〖잠업〗 ➜ 구더기 난 고치
저해하다 [沮害-] 〖행정〗 ⇨ 못하게 하다, 해치다
저혈량성 [低血量性] 〖법의학〗 ⇨ 순환 혈액량 감소성, 혈량 감퇴성 ※hypovolemic
저휴 [低畦] 〖농업〗 ➜ 낮은 이랑
적격체 [適格體] 〖행정〗 ➜ 합당한 몸
적과 [摘果] 〖행정〗 ➜ 열매솎기
적과협 [摘果鋏] 〖임업〗 ➜ (열매) 솎기 가위
적교 (←조교) [弔橋] 〖임업〗 ➜ 출렁 다리, 줄다리, 현수교
적기 [適期] 〖행정〗 ⇨ 알맞은 시기, 제때, 제철
적기예취 [適期刈取] 〖농업〗 ⇨ 제때 베기
적기이앙 [適期移秧] 〖농업〗 ⇨ 제때 모내기
적기파종 [適期播種] 〖농업〗 ⇨ 제때 뿌림
적당한 [適當-] 〖행정〗 = 알맞은
적대 [赤帶] 〖행정〗 ➜ 붉은 띠
적두 [赤豆] 〖행정〗 ➜ 붉은 팥
적량 시비 [適量施肥] 〖농업〗 ➜ 알맞은 양 거름주기
적령 아동 [適齡兒童] 〖행정〗 ⇨ 나이 찬 어린이
적뢰 [摘蕾] 〖행정〗 ➜ 봉오리 따기, 꽃망울 따기
적립 [摘粒] 〖임업〗 ➜ 알솎기
적립 [積立] 〖행정〗 ⇨ 모(아쌓)음
적립금 [積立金] 〖행정〗 ⇨ 모아둔 돈
적맹 [摘萌] 〖임업〗 ➜ 눈솎기
적묘 [適苗] 〖행정〗 ➜ 알맞은 모
적미 [赤米] 〖행정〗 ➜ 앵미, 붉은쌀
적발하다 [摘發-] 〖행정〗 = 들추어내다
적법 처리 [適法處理] 〖행정〗 ⇨ 법에 맞게 처리
적부 [積付] 〖행정〗 ➜ 쌓기
적부 [適否] 〖행정〗 = 알맞기
적부여부 [適否與否] 〖정치〗 ⇨ 마땅한지 아닌지
적사장 [積砂場] 〖행정〗 ➜ 모래더미
적상 [積上] 〖행정〗 ➜ 쌓아 올림
적상조 [摘桑爪] 〖잠업〗 ➜ 뽕가락지
적색 [赤色] 〖행정〗 = 붉은 색
적색 간변기 [赤色 肝變期] 〖법의학〗 ➜ 적색 간 되기 ※red hepatization
적색 간 토기 [丹塗磨硏土器] 〖고고학〗 ⇨ 붉은 간 토기 ※red burnished pottery
적석 [積石] 〖고고학〗 ⇨ 돌무지, 적석 ※stone mound
적석공 [積石工] 〖임업〗 ➜ 돌 쌓기
적석 목곽분 [積石木槨墳] 〖고고학〗 ⇨ 돌무지 나무덧널 무덤, 적석 목곽분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적석 목관묘 [積石木棺墓] 〖고고학〗 ⇨ 돌무지 나무널 무덤, 적석 목관묘 ※wooden coffin with stone mound
적석총 [積石塚] 〖고고학〗 ⇨ 돌무지 무덤, 적석총 ※stone mound tomb
적선 [赤線] 〖행정〗 ⇨ 붉은 선
적설 [積雪] 〖행정〗 = 눈 쌓임
적소 [適所] 〖행정〗 ⇨ 알맞은 곳
적송 [赤松] 〖행정〗 ⇨ 소나무
적수 [摘穗] 〖농업〗 ➜ 송이솎기
적수 [敵手] 〖행정〗 = 맞수
적수 [積數] 〖행정〗 ➜ 곱수
적수 [適樹] 〖행정〗 ➜ 마땅한 나무
적시 [適時] 〖행정〗 = 제때
적시한 [摘示-] 〖행정〗 ⇨ 지적하여 보인
적신호 [赤信號] 〖행정〗 ⇨ 위험 신호
적심 [摘心] 〖행정〗 ➜ 순자르기 〖농업〗
적아 [摘芽] 〖임업〗 ➜ 눈따기
적엽 [摘葉] 〖임업〗 ➜ 잎따기
적예 [摘蘂] 〖임업〗 ➜ 순자르기
적온 [適溫] 〖행정〗 ⇨ 알맞은 온도
적요란 [摘要欄] 〖금융〗 〖행정〗 ⇨ 참고란
적용하다 [適用-] 〖행정〗 ⇨ 맞추어 쓰다
적의 [赤蟻] 〖잠업〗 ➜ 붉은 개미누에
적의 [適意] 〖행정〗 ➜ 뜻에 따라, 뜻대로
적의 서식 [適宜書式] 〖행정〗 ➜ 적당한/알맞은 서식
적의 처리 [適宜處理] 〖행정〗 ➜ 알맞게 처리, 적당 처리
적의한 [適宜-] 〖행정〗 ➜ 적절한
적자 [赤字] 〖행정〗 = 결손
적재 [積材] 〖행정〗 ⇨ 나무 쌓기
적재적소 [適材適所] 〖정치〗 ⇨ 알맞은 곳, 적절한 자리
적재하다 [積載-] 〖행정〗 = 싣다
적절한 [適切-] 〖행정〗 = 알맞은
적정가 [適正價] 〖행정〗 ⇨ 알맞은 값, 제 값, 적절한 가격
적정을 기함 [適正-] 〖행정〗 ➜ 알맞고 바르게 함
적정하다 [適正-] 〖행정〗 = 알맞다
적조 [赤潮, あかしお] 〖행정〗 ⇨ 붉은 조류
적조립 [赤條粒] 〖행정〗 ➜ 붉은 줄 알
적종 하천 [適從河川] 〖임업〗 ➜ 후생 하천
적종선 [赤從線] 〖행정〗 ➜ 붉은 세로줄
적중 [的中] 〖행정〗 = 들어맞음
적지 [跡地] 〖행정〗 ➜ 떠난 자리, 옛터
적지 [適地] 〖행정〗 ⇨ 알맞은 땅
적직 [適職] 〖행정〗 ➜ 알맞은 직업
적체 현상 [積滯現狀] 〖행정〗 ⇨ 밀려 있는 상태
적출하다 [摘出-] 〖행정〗 ➜ 뽑아 내다, (끄)집어 내다
적출하다 [積出-] 〖행정〗 ➜ 실어 내다
적취율 [積取率] 〖행정〗 ⇨ 수송 점유율
적치하다 [積置-] 〖행정〗 ➜ 쌓아 놓다, 쌓아 두다
적토 [赤土] 〖농업〗 ⇨ 붉은 흙
적파 [適播] 〖행정〗 ➜ 제때 뿌림
적하 [積下] 〖행정〗 ➜ 내리기
적하 [積荷] 〖행정〗 ➜ (짐 따위를) 싣기/쌓기
적합하다 [適合-] 〖행정〗 = 알맞다
적화 [摘花] 〖임업〗 ➜ 꽃솎기
적화 [積貨] 〖행정〗 ⇨ 실은 물건/화물
적횡선 [赤橫線] 〖행정〗 ➜ 붉은 가로줄
전 [田] 〖행정〗 ⇨ 밭
전가 [前價] 〖임업〗 ➜ 현재가, 현재값
전가하다 [轉嫁-] 〖행정〗 ⇨ 미루다, (떠)넘기다
전간 [全幹] 〖임업〗 ➜ 줄기 (전체)
전강풍 [全强風] 〖전철〗 ⇨ 노대바람
전개도 [展開圖] 〖행정〗 = 펼친 그림
전개하다 [展開-] 〖행정〗 = 펼치다
전거 [轉居] 〖행정〗 ➜ 이사
전격성 간 부전 [電擊性 肝不全] 〖법의학〗 ➜ 전격 간 부전 ※fulminant hepatitis
전공상 [戰公傷] 〖행정〗 ⇨ 전쟁과 공무에 의한 부상
전과 [前科] 〖행정〗 = 형 받은 일
전권 재사 [全卷再寫] 〖행정〗 ⇨ 모두 다시 찍음
전극 소산 [電極消散, electrode dissipation] 〖전기〗 ⇨ 전극 손실(電極損失)
전금 [傳金] 〖경제〗 ➜ 송금
전금 조회 [電金照會] 〖행정〗 ⇨ 전보 조회 (조회하는 일)
전기 [前記] 〖행정〗 ⇨ 앞에 적음
전기 [轉記] 〖행정〗 ⇨ 옮겨 씀
전기고테 [電氣こて, でんきこて] 〖행정〗 ➜ 전기인두(질)
전기관 [全機關] 〖행정〗 = 모든 기관
전기다마 [電氣だま, でんきだま] 〖전기〗 〖행정〗 ➜ 전구(電球)
전기분 [電氣盆] 〖전기〗 ➜ 전기 쟁반(電氣錚盤)
전답 [田畓] 〖행정〗 ⇨ 논밭
전대 [轉貸] 〖행정〗 ⇨ 돌려 빌려 줌
전대인 [轉貸人] 〖행정〗 ⇨ 되빌려 준 이
전도 [前渡, まえわたし] 〖경제〗 ⇨ 선지급, 〖행정〗 ⇨ 선급, 선지급, 미리 지급
전도 [前途] 〖행정〗 ⇨ 앞날
전도 손상 [轉到 損傷] 〖법의학〗 ➜ 뒤집힌 상처 ※falldown injury
전도 자금 [前渡資金] 〖행정〗 ➜ (쓰도록) 미리 주는/준 자금
전도시키다 [顚倒-] 〖행정〗 ⇨ 넘어뜨리다, 뒤집다
전도운전 [前途運轉] 〖전철〗 ⇨ 잔여 운전
전도지불 [前渡支拂] 〖정치〗 ➜ 미리 치름/지급
전도하다 [前渡-] 〖행정〗 ➜ 미리 주다/치르다
전도하다 [顚倒-] 〖행정〗 = 뒤집다, 뒤바꾸다
전동방지 [轉動防止] 〖전철〗 ⇨ 구름 방지
전두차 [前頭車] 〖전철〗 ⇨ (맨) 앞 차량
전득자 [轉得者] 〖행정〗 ⇨ 넘겨 받은 이
전등 브래킷 [lamp bracket] 〖전기〗 ⇨ 전등 끼움쇠
전등좌 [電燈座] 〖행정〗 ➜ 전등 받침
전란 [轉卵] 〖축산〗 ➜ 알 굴리기
전란 [顚卵] 〖축산〗 ➜ 알 굴림
전량 [全量] 〖행정〗 = 전부
전력 [前歷] 〖행정〗 = 지난 경력
전력을 경주하다 [全力-] 〖행정〗 ⇨ 온 힘을 기울이다
전류 [轉流, electric commutation] 〖전기〗 ➜ 전환(轉換)
전류흔 [電流痕] 〖법의학〗 ➜ 감전 자국 ※electric mark or current mark
전말 [顚末] 〖행정〗 ⇨ 경위
전말서 [顚末書] 〖금융〗 ⇨ 경위서
전매 [轉賣] 〖금융〗 ➜ 되팔기, 전매도
전매하다 [轉賣-] 〖행정〗 ⇨ 되팔다, 다시 팔다
전면 [前面] 〖행정〗 ⇨ 앞쪽, 앞
전모 [全貌] 〖정치〗 = 전체 내용
전모 [剪毛] 〖행정〗 ➜ 털깎기
전목 [全木] 〖임업〗 ➜ 나무 (전체)
전묘대 [田苗垈] 〖농업〗 ➜ 밭 못자리
전무하다 [全無-] 〖행정〗 ⇨ 전혀 없다
전문 증거 [傳聞證據] 〖행정〗 ⇨ 전해 들은 증거
전반 [全般] 〖행정〗 ⇨ 모든 것
전번 [前番] 〖행정〗 ⇨ 지난번
전보 [塡補] 〖행정〗 ➜ 메움
전보 [轉補] 〖행정〗 ⇨ 자리 옮김
전보 배상 [塡補賠償] 〖행정〗 ➜ 메움 배상
전복 [顚覆] 〖행정〗 ⇨ 뒤엎음, 뒤집힘
전부 [全部] 〖행정〗 = 온통, 죄다
전분 [澱粉] 〖식생활〗 ⇨ 녹말
전불 임차료 [前拂賃借料] 〖행정〗 ➜ 미리 낸 셋돈
전비 [前非] 〖행정〗 ⇨ 지난 잘못, 그 전 잘못
전사 [轉寫] 〖행정〗 ➜ 복사
전사 [轉飼] 〖축산〗 ➜ 옮겨 기르기
전사구 [前砂丘] 〖임업〗 ⇨ 앞 모래 언덕
전삭고 [鈿削庫] 〖전철〗 ⇨ 연마고(鍊磨庫)
전생 [前生] 〖행정〗 = 태어나기 전에
전소되다 [全燒-] 〖행정〗 ⇨ 다 타다
전송 [傳送] 〖행정〗 ⇨ 간 데 보내기/보내는 것
전수 [傳受] 〖행정〗 = 이어받음
전수 [全數] 〖행정〗 ➜ 모두
전수하다 [傳授-] 〖행정〗 = 넘겨/전해 주다
전술한 [前述-] 〖행정〗 ⇨ 앞에서 말한
전승 [傳承] 〖행정〗 ⇨ 전하여 이어감
전승 [轉乘] 〖행정〗 ➜ (배, 차 따위를) 바꿔 타다
전시한 [前示-] 〖행정〗 ⇨ 앞에 든, 앞에 보인
전신 [全身] 〖행정〗 = 온몸
전신 종적 조사 청구 [電信踪跡調] 〖행정〗 = 전신 배달 증명 청구
전실 [轉室] 〖행정〗 ➜ 방 옮김
전압 스트레스 [電壓-, voltage stress] 〖전기〗 ⇨ 전압 응력(電壓應力)
전업 [專業] 〖행정〗 ⇨ 전문업
전업 [轉業] 〖행정〗 ⇨ 업종 바꿈
전연 [全然] 〖행정〗 ⇨ 전혀
전열 [前列] 〖행정〗 ⇨ 앞줄
전염병 [傳染病] 〖행정〗 = 돌림병
전엽육 [全葉育] 〖잠업〗 ➜ 잎뽕치기
전예 [全刈] 〖임업〗 ➜ 모두 베기, 모두 깎기
전용상전 [專用桑田] 〖잠업〗 ➜ 전용 뽕밭
전이 [剪耳] 〖축산〗 ➜ 귀표내기
전일 [前日] 〖행정〗 ➜ 어제
전임의 [專任-] 〖행정〗 = 전담하는
전입하다 [轉入-] 〖행정〗 = 옮겨 오다
전자 [前者] 〖행정〗 ⇨ 먼저 말한, 지난번, 먼저 사람/것
전자 에너지 [電子-, electromagnetic energy] 〖전기〗 ⇨ 전자기 에너지(電磁氣-)
전자 유기장 [電子遊技場] 〖행정〗 ➜ 전자오락실
전작 [前作] 〖임업〗 ➜ 앞그루
전작 [田作] 〖행정〗 ➜ 밭농사
전작물 [田作物] 〖행정〗 ➜ 밭작물
전장 [全長] 〖행정〗 ⇨ 전체 길이
전대 미문의 [前代未聞-] 〖행정〗 ⇨ 지금까지 들어 보지 못한
전적 [轉籍] 〖행정〗 ➜ 호적 옮김
전전 [戰前] 〖행정〗 ⇨ 전쟁 전
전전하다 [轉轉-] 〖행정〗 ⇨ 떠돌다
전정 [剪定] 〖행정〗 ⇨ 가지치기
전정생리 [剪定生籬] 〖임업〗 ➜ 전정 생울타리
전정협 [剪定鋏] 〖임업〗 ➜ 다듬가위
전제 [前堤] 〖임업〗 ➜ 앞둑
전조 [前條] 〖행정〗 ⇨ 앞 조문
전조 [電照] 〖농업〗 ⇨ 전등 조명
전주 [前柱] 〖행정〗 ➜ 앞 기둥
전주 [田主] 〖행정〗 ➜ 밭 임자
전주 [轉住] 〖행정〗 ➜ 이주 〖가석방 단속 규정〗
전주지 [轉住地] 〖행정〗 ➜ 옮겨 사는 곳
전지 [全芝] 〖임업〗 ➜ 온떼
전지 [剪枝] 〖임업〗 ➜ 가지다듬기
전지 작업 [剪枝作業] 〖행정〗 ➜ 가지치기
전지관개 [田地灌漑] 〖농업〗 ➜ 밭 물대기
전차 [前次] 〖행정〗 ➜ 지난번
전차 선로 [電車 線路] 〖전철〗 ⇨ 전기 공급선
전착 [展着] 〖행정〗 ➜ 펴붙이기
전철 표지 [電鐵標識] 〖행정〗 ⇨ 선로 전환 표지
전철기 [轉轍機] 〖전기〗 〖전철〗 ➜ 선로 바꿈 틀
전철을 밟지 않도록 [前轍- ] 〖행정〗 ⇨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전체 [全體] 〖행정〗 = 온통, 모두
전촉하다 [轉囑-] 〖행정〗 = 다시 촉탁/위촉하다
전축 [全軸] 〖행정〗 = 모든 차축
전축 [前軸] 〖행정〗 = 앞쪽 차축
전출하다 [轉出-] 〖행정〗 ⇨ 옮겨 가다
전충 재료 [塡充材料] 〖행정〗 ➜ 채울감
전치 [前置] 〖행정〗 ➜ 앞의, 앞에 둔
전탑 [塼塔] 〖건축사〗 〖미술사〗 ⇨ 벽돌탑, 전탑 ※brick pagoda
전파하다 [傳播-] 〖행정〗 = 퍼뜨리다
전폐 [全廢] 〖행정〗 ➜ 치유 불능, 고칠 수 없는
전폐된 자 〖행정〗 ➜ 치유 불능자, 고칠 수 없는 사람
전항 [前項] 〖행정〗 ⇨ 앞 조항
전행 [前行] 〖행정〗 ➜ 앞줄
전향적 [前向的] 〖행정〗 ➜ 진취적, 적극적, 앞서감
전형 [銓衡] 〖행정〗 ⇨ 선발
전형적 의사 [典型的 縊死] 〖법의학〗 ➜ 전형적 목 맴 ※typical hanging
전호 [傳號] 〖전철〗 ⇨ 알림 신호
전화 [戰禍] 〖행정〗 ⇨ 전쟁 피해
전화다이 [電話台, でんわだい] 〖행정〗 ➜ 전화 받침(대)
전환하다 [轉換-] 〖행정〗 = 바꾸다
전횡 [專橫] 〖정치〗 ⇨ 독선적 행위, 마음대로 함
절 [節] 〖행정〗 ⇨ 마디
절각 [切角] 〖행정〗 ➜ 뿔자르기
절간 [切干] 〖행정〗 ➜ 썰어 말리기
절간 [折幹] 〖행정〗 ➜ 줄기 부러짐
절간 [節間] 〖임업〗 ➜ 마디 사이
절간신장기 [節間伸長期] 〖임업〗 ➜ 마디 자랄 때
절간장 [節稈長] 〖임업〗 ➜ 마디 길이
절감하다 [節減-] 〖행정〗 = 줄이다
절개지 [切開地] 〖행정〗 ➜ 잘린 땅
절곡가공 [折曲加工] 〖미술〗 ⇨ 꺾음질
절규 [絶叫] 〖행정〗 = 부르짖음
절근아법 [切根芽法] 〖임업〗 ➜ 뿌리눈접
절단 [切斷] 〖임업〗 ➜ 자르기
절단하다 [切斷-] 〖행정〗 ⇨ 자르다
절대치 [絶對値] 〖금융〗 ⇨ 절댓값
절도 [竊盜] 〖행정〗 = (좀)도둑
절리 [切離] 〖행정〗 ➜ 분리
절반하다 [折半-] 〖행정〗 ➜ 반으로 가르다, 반씩 나누다
절분 기능 [切分機能] 〖행정〗 ➜ 분리 기능
절분 시험 [切分試驗] 〖행정〗 ➜ 분리 시험
절사 [切捨] 〖행정〗 ➜ 끊어 버림
절사하다 [切捨-] 〖경제〗 ➜ (끊어) 버리다
절삭 [切削] 〖행정〗 ➜ 끊어 냄
절삭칩 [切削 chip] 〖미술〗 ⇨ 줄밥
절상 [切上] 〖경제〗 ⇨ 올림
절상 [切像] 〖임업〗 ➜ 베인 상처
절상하다/절하하다 [切上/下-] 〖경제〗 ⇨ 올(내)리다, 〖행정〗 ➜ 값 높임, 값 올림
절석 [切石] 〖행정〗 〖임업〗 ➜ 마름돌
절석공 [切石工] 〖임업〗 ➜ 돌다듬기
절손 [折損] 〖행정〗 ⇨ 부러짐
절수 [節水, せっすい] 〖행정〗 ⇨ 물 아낌
절수재배 [節水栽培] 〖농업〗 ➜ 물 아껴 가꾸기
절수하다 [節水-] 〖행정〗 ➜ 물 아끼다
절약운동 [節約運動] 〖행정〗 = 아껴쓰기 운동
절약하다 [節約-] 〖행정〗 = 아껴쓰다
절엽 [切葉] 〖행정〗 ➜ 끝 자름, 잘린 잎
절용하다 [節用-] 〖행정〗 ➜ 아껴쓰다
절이 [折耳] 〖축산〗 ➜ 귀 접힘
절입선 [折入線] 〖행정〗 ➜ 안으로 접은선
절접 [切椄] 〖행정〗 ➜ 짜개접
절족 동물 [節足動物] 〖행정〗 ➜ 마디발 동물
절주 [切株] 〖임업〗 ➜ 그루터기
절지 [切芝] 〖임업〗 ➜ 떼뜨기, 뜬떼, 〖행정〗 ➜ 떼뜨기
절차 [節次] 〖행정〗 ⇨ 차례, 수속
(절차 따위를) 취하다 〖행정〗 ➜ (절차 따위를) 밟다
절찬리에 [絶讚裏-] 〖행정〗 ⇨ 절찬 속에
절창 [切創] 〖법의학〗 ➜ 베인 상처 ※incised wound, cutting wound
절척 [折尺] 〖건설〗 ➜ 접자
절체 작업 [切替作業] 〖행정〗 ➜ 교체 작업, 〖전기〗 ⇨ 절환 작업(轉換作業)
절취 [切取, きりとり] 〖봉제〗 ⇨ 자름, 자르기
절취사면 [切取斜面] 〖임업〗 ➜ 땅깎기 비탈면
절취선 [切取線] 〖행정〗 ➜ 자르는 선, 자름선
절취하다 [切取-] 〖행정〗 ➜ 자르다
절취하다 [竊取-] 〖행정〗 ➜ 훔치다
절터 [寺址] 〖고고학〗 ⇨ 절터, 사지 ※temple site
절토 [切土] 〖임업〗 ⇨ 땅깎기, 〖행정〗 ➜ 흙깎기
절토사면 [切土斜面] 〖임업〗 ➜ 땅깎기 비탈면
절하 [切下] 〖행정〗 ⇨ 내림, 떼어 버리다
절하하다 [切下-] 〖행정〗 ⇨ 내리다
절호의 [絶好-] 〖정치〗 = (매우) 좋은
절화 [切花] 〖임업〗 ➜ 꽂이꽃
절흔 [切痕] 〖행정〗 ⇨ 베인 자국
점감하다 [漸減-] 〖행정〗 ➜ 차차 줄다
점고되다 [漸高-] 〖행정〗 ➜ 차차 높아지다
점두 [店頭] 〖금융〗 ➜ 영업장 (입구), 〖경제〗 ⇨ 장외(場外)
점두 거래 [店頭去來] 〖행정〗 ⇨ 영업점 거래
점두 시장 [店頭-] 〖경제〗 ➜ 장외 시장
점등되다 [點燈-] 〖행정〗 ⇨ 불 켜지다
점멸 표시등 [點滅標示橙] 〖행정〗 ⇨ 깜빡이등
점보 칼라 [jumbo collar] 〖패션〗 ➜ 대형(옷) 칼라
점뼈 [卜骨] 〖고고학〗 ⇨ 점뼈, 복골 ※divination bone
점상 출혈 [點狀 出血] 〖법의학〗 ➜ 점 출혈 ※dot hemorrhage
점예 [點刈] 〖임업〗 ➜ 둘레베기, 둘레깎기
점용하다 [占用-] 〖행정〗 ⇨ 차지해 쓰다
점유하다 [占有-] 〖행정〗 ⇨ 차지하다
점증 [漸增] 〖행정〗 ⇨ 점점 늘어남
점진적 [漸進的] 〖행정〗 ⇨ 차차로
점진최청 [漸進催靑] 〖축산〗 ➜ 점진 알깨기
점차로 [漸次-] 〖행정〗 = 점점, 차츰, 차차
점철 [點綴] 〖정치〗 ⇨ 얼룩짐, 이어짐
점청기 [點靑期] 〖축산〗 ➜ 점 보일 때
점토 [粘土] 〖행정〗 = 찰흙
점파 [點播] 〖임업〗 ➜ 점뿌림
점파공 [點播工] 〖임업〗 ➜ 점뿌리기
점퍼선 [jumper line] 〖전철〗 ⇨ (전기) 연결선
점포 [店鋪] 〖행정〗 ⇨ 가게
점표함척 [覘標函尺] 〖임업〗 ⇨ 겨냥표 스태프, 겨냥표 자
점프 [jump] 〖스키〗 〖언론〗 ⇨ 도약 (경기), ¶방신봉 맹활약, ○○자동차 2위 점프.
점프 베델른 [jump wedeln] 〖스키〗 ➜ 도약 연속 평행 회전
점프 슛 [jump shoot] 〖핸드볼〗 ⇨ 뛰어올라 쏘기
점프 스타트 [jump start] 〖스키〗 ➜ 도약 출발
점프 스톱 [jump stop] 〖스키〗 ➜ 도약 정지
점프 턴 [jump turn] 〖스키〗 ➜ 도약 회전
점프 패스 [jump pass] 〖배구〗 ➜ 뛰면서 보내기, 〖핸드볼〗 ⇨ 뛰어올라 주기
점프하다 [jump-] 〖생활외〗 ⇨ 뛰다, 도약하다, 뛰어오르다 ¶점프하며 발을 구르는 동작이 일품이다.
점프 헤딩 [jump heading] 〖축구〗 ⇨ 뛰어올라 머리받기
점핑 스로 [jumping throw] 〖야구〗 ⇨ 뛰면서 던지기
점핑 스매시 [jumping smash] 〖테니스〗 ⇨ (뛰어) 내려치기
점핑 스키 [jumping ski] 〖스키〗 ⇨ 도약용 스키
점핑 애트 [jumping at] 〖축구〗 ➜ 뛰어 덤벼들기
점핑 캐치 [jumping catch] 〖야구〗 ⇨ 뛰면서 잡기
점핑 힐 [jumping hill] 〖스키〗 ⇨ 도약대, 점프대
점하다 [占-] 〖행정〗 ⇨ 차지하다
점화하다 [點火-] 〖행정〗 ⇨ 불붙이다
접객부 [接客婦] 〖행정〗 ➜ 종업원
접견 [接見] 〖행정〗 ⇨ 만나 봄
접견실 [接見室] 〖행정〗 ⇨ 만나는 방
접근 [接近] 〖행정〗 = 가까이 (옴)
접대부[接待婦] 〖행정〗 ➜ 접객원, 접대인
접도 [椄刀] 〖임업〗 ➜ 접칼
접목 [椄木] 〖행정〗 ⇨ 접(붙이기)
접목묘 [椄木苗] 〖행정〗 ➜ 접나무모
접삽법 [椄揷法] 〖행정〗 ➜ 접꽂이
접속되다 [接續-] 〖행정〗 = 이어지다, 연결되다
접수 [接受] 〖행정〗 = 받음
접수 [接穗] 〖행정〗 ➜ 접순
접수 문서 [接受文書] 〖행정〗 ⇨ 받은 문서
접수부 [接手部] 〖행정〗 ➜ 연결부 〖철도〗
접수처 [接受處] 〖행정〗 ⇨ 받는 곳
접아 [接芽] 〖임업〗 ➜ 접눈
접안하다 [接岸-] 〖행정〗 ➜ 배 대다
접지 [接枝] 〖행정〗 ➜ 접가지
접지 [摺紙] 〖정치〗 ⇨ (종이를) 접음
접지 매트 [接地-, ground mat] 〖전기〗 ⇨ 접지 깔판
접지 온도 [接地溫度] 〖임업〗 ⇨ 땅위 온도
접합 [接合] 〖임업〗 = 이음
젓가락 (←젓갈) 〖미술〗 ➜ 전대기
정 [亭] 〖건축사〗 ⇨ 정자 ※pavilion
정경장 [整經長] 〖미술〗 ⇨ 날길이
정곡 [精穀] 〖행정〗 ⇨ 쌀, 알곡
정규 침식 [正規浸蝕] 〖임업〗 ⇨ 정상 침식
정당 행위 [正當行爲] 〖행정〗 ⇨ 떳떳한 행위
정당한 [正當-] 〖행정〗 = 옳고 바른, 바르고/옳고 마땅한
정도 [精度] 〖행정〗 ➜ 정밀도, 정확성
정도공 [整度工] 〖임업〗 ➜ 비탈 다듬기
정량 [定量] 〖행정〗 = 일정한 양
정려하다 [精勵-] 〖행정〗 ⇨ 노력하다
정례적인 [定例的-] 〖행정〗 ⇨ 관례적인
정류 [停留] 〖행정〗 ⇨ 머무름
정립 [定立] 〖행정〗 = 바로 세움
정마 [精麻] 〖임업〗 ➜ 속삼
정맥 [精麥] 〖식생활〗 ➜ 보리쌀
정맥강 [精麥糠] 〖식생활〗 ➜ 몽근 보릿겨
정맥비율 [精麥比率] 〖식생활〗 ➜ 보리쌀 비율
정목 [柾目] 〖행정〗 ➜ 곧은 결
정미소 [精米所] 〖행정〗 = 방앗간
정번 상품 [定番商品, ていばんしょうひん] 〖패션〗 ➜ 실용 의류
정범 [正犯] 〖행정〗 = 주범
정본 [正本] 〖행정〗 ⇨ 으뜸 문서, 원본
정부 [正否] 〖행정〗 ⇨ 옳고 그름
정부 대상금 [政府貸上金] 〖행정〗 ➜ 대정부 대출금
(정부) 대하금 [政府貸下金] 〖행정〗 ➜ 대정부 차입금, (정부로부터의) 차입금, 대출금
정비 [整備] 〖행정〗 = 손질
정사공 [靜砂工] 〖임업〗 ➜ 모래 안정 공사, 〖행정〗 ⇨ 정사울세우기, 모래안정울세우기
정사원공 [靜砂垣工] 〖임업〗 ➜ 모래안정울세우기
정사한 [精査-] 〖행정〗 ⇨ 자세히 조사한, 살펴본
정상 [情狀] 〖행정〗 ⇨ 사정
정선 [停船] 〖행정〗 ➜ 배를 멈춤
정선 [精選] 〖행정〗 ⇨ 잘고르기
정성어린 [精誠-] 〖행정〗 = 정성스러운, 정성 담긴/깃든
정수 [淨水] 〖행정〗 ⇨ 깨끗한 물
정숙히 [靜肅-] 〖행정〗 ⇨ 조용히
정시 [呈示] 〖행정〗 ➜ 제시, 내보임
정시 [正視] 〖임업〗 ➜ 후시(後視)
정식 [定植] 〖농업〗 ➜ 아주 심기
정실 [情實] 〖행정〗 ➜ (사사로운) 정에 끌린
정아 [頂芽] 〖임업〗 ➜ 끝눈, 꼭지눈
정역 [定役] 〖행정〗 ➜ 노역
정엽량 [正葉量] 〖잠업〗 ➜ 잎뽕량
정예 [精銳] 〖행정〗 = 매우 뛰어남
정오표 [正誤表] 〖행정〗 ⇨ 고침표, 바로잡음표
정온한 [靜穩-] 〖행정〗 ➜ 평온한
정와쿠 [正枠] 〖미술〗 ➜ (정식) 액자/틀
정월 보름 [正月-] 〖민속〗 ⇨ 대보름
정육 [精肉] 〖식생활〗 ⇨ 살코기
정의 편차 [正-偏差] 〖임업〗 ➜ 양의 편차
정장 [正裝] 〖행정〗 = 정식 복장
정정하다 [訂正-] 〖행정〗 = 고치다, 바로잡다
정제 [錠劑] 〖행정〗 ⇨ 알약
정조 [正租] 〖행정〗 ➜ 알벼
정조 [精粗] 〖농업〗 ➜ 알곡, 낟알벼
정조식 [正條式] 〖농업〗 ➜ 줄모
정지 [整地] 〖임업〗 ➜ 땅고르기
정지 [整枝] 〖행정〗 ➜ 가지고르기
정지 위치 실당 [停止位置失當] 〖전철〗 ⇨ 멈춤점 어김
정착 [定着] 〖행정〗 = 자리잡음
정착된 [定着-] 〖행정〗 = 있는, 붙어 있는, 자리 잡힌
정찰 [正札] 〖행정〗 ⇨ 제값표
정찰제 [正札制] 〖행정〗 ⇨ 제값받기
정체되다 [停滯-] 〖행정〗 ⇨ 밀리다, 막히다
정치망 [定置網] 〖행정〗 ➜ 자리 그물
정치한 [精緻-] 〖행정〗 ⇨ 정교하고 치밀한
정크 머니 [junk money] 〖언론〗 ➜ 장기 지체성 자금
정크 스노 [junk snow] 〖스키〗 ➜ 부실 설면
정크 아트 [junk art] 〖언론〗 ➜ 쓰레기 미술 ¶각종 쓰레기를 소재로 32개국 국가의 멸종 위기 동물을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정크 아트’ 전시회도 26일부터 11월 3일까지 열린다. 〖미술〗 ⇨ 폐물 예술
정크 본드 [junk bond] 〖언론〗 ➜ 쓰레기 채권 ¶게다가 회사의 신용 등급도 정크본드 수준으로 떨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
정통 [井筒] 〖행정〗 ➜ 우물통
정합 [整合] 〖행정〗 ➜ 꼭 맞음/맞춤, 가지런히 맞춤
정형 손상 [定型 損傷] 〖법의학〗 ➜ 본뜬 상처 ※patterned injury
정형 좌상 [定型 挫傷] 〖법의학〗 ➜ 본뜬 멍 ※patterned bruise
정호 [井戶] 〖행정〗 ➜ 우물
정호 [井湖] 〖행정〗 ➜ 지하 양수 시설
정호수 [井戶水] 〖행정〗 ➜ 우물물
정화아 [頂花芽] 〖임업〗 ➜ 마루꽃눈
정화하다 [淨化-] 〖행정〗 ⇨ 깨끗이 하다
정황 [情況] 〖행정〗 ⇨ 상황
정히 [正-] 〖행정〗 ➜ 바로, 틀림없이
제 [諸] 〖행정〗 ⇨ 여러, 모든
제1차 식생 연속 [第一次植生連續] 〖임업〗 ⇨ 일차 천이
제2차 식생 연속 [第二次植生連續] 〖임업〗 ⇨ 이차 천이
제2회 이후의 보험료 [第二回 以後- 保險料] 〖금융〗 ⇨ 두 번째 이후 보험료
제각 [除角] 〖행정〗 ➜ 뿔 없애기
제각기 [除角機] 〖행정〗 ➜ 뿔 자르개
제각하다 [除却-] 〖행정〗 ➜ 없애다
제거하다 [除去-] 〖행정〗 = 없애다
제경 [除莖] 〖임업〗 ➜ 줄기치기
제고 [提高] 〖행정〗 ➜ 높임
제고하다 [提高-] 〖행정〗 ➜ 높이다
제공 [諸貢, 齊工] 〖건축사〗 ⇨ 제공 (첨차) ※bracket system
제공하다 [提供-] 〖행정〗 = 바치다, 내다
제관폭 [堤冠幅] 〖임업〗 ➜ 둑마루 너비
제구 [祭具] 〖행정〗 ➜ 제기
제국 [諸國] 〖행정〗 ⇨ 여러 나라
제군 [諸君] 〖행정〗 = 여러분
제권 지급 [除權支給] 〖행정〗 ➜ 실효에 의한 지급
제권 판결 [除權判決] 〖행정〗 ➜ 권리 없앰 판결
제규정 [諸規程] 〖행정〗 ⇨ 여러 규정
제기하다 [提起-] 〖행정〗 = (안을) 내다
제기하다 [除棄-] 〖행정〗 ➜ 빼 버리다
제내사면 [堤內斜面] 〖임업〗 ⇨ 둑 안 비탈
제내지 [堤內地] 〖행정〗 ➜ 둑 안 땅
제너럴 일루미네이션 [general illumination] 〖연극〗 ➜ 일반 조명
제너레이터 [generator] 〖전기〗 ⇨ 발전기(發電機)
제대 [臍帶] 〖축산〗 ➜ 탯줄
제대 [除袋] 〖농업〗 ➜ 봉지 벗기기
제동 완해 [制動緩解] 〖전철〗 ⇨ 제동 풀기
제동 장치 [制動裝置] 〖행정〗 = 멈춤 장치
제동 체결 [制動締結] 〖전철〗 ⇨ 제동 걸기
제로 베이스 [zero base] 〖생활외〗 〖언론〗 ➜ 원점/영(점) 기준, 원점 ¶논공행상을 떠나 제로베이스에서 인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클린턴 정부가 해온 것을 전부 부인하고 제로베이스에서 하자는 것이라고 미국을 비판했다.
제로섬 [zero-sum] 〖언론〗 ➜ 합계 영 ¶그곳은 국가 간 이해 관계가 직접 충돌하고 때론 제로섬의 법칙이 지배하며, 작은 감상이 큰 화로 이어지는 냉엄한 세계다.
제로섬 게임 [zero-sum game] 〖언론〗 ➜ 죽기 살기 게임
제로 오더 홀드 [zero order hold] 〖전기〗 ⇨ 영차수 유지(零次數維持)
제록스 [xerox] 〖행정〗 ➜ 복사, 복사기
제륜자 [制輪子] 〖전철〗 ⇨ 멈추개, 제동자
제마 [製麻] 〖임업〗 ➜ 삼 만들기
제맥 [除脈] 〖임업〗 ➜ 줄기 빼기
제맥기 [除脈機] 〖임업〗 ➜ 줄기 제거기
제맹 [除萌] 〖임업〗 ➜ 순따기
제면 [製麵] 〖행정〗 ➜ 국수만들기
제반 [諸般] 〖행정〗 ⇨ 여러 (가지), 모든
제반 규정 [諸般規定] 〖행정〗 ⇨ 여러 가지 규정
제반 문제 [諸般問題] 〖정치〗 ➜ 여러 문제
제반 정상 [諸般情狀] 〖행정〗 ➜ 여러 가지 사정
제반 조건 [諸般條件] 〖행정〗 ⇨ 모든 조건
제방 [堤防] 〖임업〗 ⇨ 둑
제방(법)선 [堤防法線] 〖임업〗 ➜ 둑마루선
제방 예정선 [堤防豫定線] 〖임업〗 ⇨ 둑 예정선
제방침식 [堤防浸蝕] 〖임업〗 ⇨ 둑 침식
제방침하 [堤防沈下] 〖임업〗 ⇨ 둑 침하
제방판로 [堤防坂路] 〖임업〗 ➜ 둑비탈길
제벌 [除伐] 〖임업〗 ➜ 잡목 솎아 베기
제본 [製本] 〖인쇄〗 = 책 매기
제사 [製絲] 〖행정〗 ⇨ 실뽑기
제삼자 [第三者] 〖행정〗 = 남
제삼족지 [第三足指] 〖행정〗 ➜ 셋째 발가락, 가운뎃발가락
제상 [蹄傷] 〖농업〗 ➜ 발굽 상처
제석공 [除石工] 〖임업〗 ➜ 돌 치우기
제설 작업 [除雪作業] 〖행정〗 ⇨ 눈 치우기
제세 공과금 [諸稅公課金] 〖행정〗 ⇨ 각종 공과금
제소 [提訴] 〖행정〗 = 소송걸기
제소 [gesso] 〖미술〗 ⇨ 밑칠
제수 [製修] 〖행정〗 ➜ 제작 수리
제수기슭막이 [制水-] 〖임업〗 = 수제(水制)
제수변 [除水弁] 〖행정〗 ⇨ 물 막음 장치
제숭상 [堤嵩上] 〖임업〗 ➜ 둑돋우기
제스처 [gesture] 〖생활외〗 〖언론〗 〖연극〗 ➜ 몸짓 ¶형은 제스처만 쓰면서 별 말은 하지 않았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유화 제스처는 ○○에 일단 월말까지 시간을 더 주되···
제시하다 [提示-] 〖행정〗 = 내보이다
제시할 것 〖행정〗 ➜ 제시 바랍니다
제식 [制式] 〖행정〗 ➜ 규정
제신고 [諸申告] 〖행정〗 ➜ 모든 신고
제심 [除心] 〖임업〗 ➜ 속대 자르기
제어 불능암 [←non-controllable arm] 〖전기〗 ⇨ 비제어암
제언 [堤堰] 〖건축사〗 ⇨ 둑 ※embankment, bank
제염장 [製鹽場] 〖행정〗 ➜ 소금 만드는 곳
제외 사면 [堤外斜面] 〖임업〗 ➜ 둑 바깥 비탈
제외지 [堤外地] 〖행정〗 ➜ 둑 밖 땅
제외하다 [除外-] 〖행정〗 = 빼다
제웅 [除雄] 〖임업〗 ➜ 수술 치기
제위 [諸位] 〖행정〗 ⇨ 여러분
제육 [猪肉] 〖식생활〗 ⇨ 돼지고기
제육볶음 [猪肉-] 〖식생활〗 ⇨ 돼지고기 볶음
제이(2)족지 [第二足指] 〖행정〗 ➜ 둘째 발가락
제일(1)족지 [第一足指] 〖행정〗 ➜ 엄지발가락
제일화 [第一話] 〖행정〗 ⇨ 첫(째) 이야기
제작비 [製作費] 〖행정〗 = 만드는 비용
제작하다 [製作-] 〖행정〗 = 만들다
제저 [堤底] 〖임업〗 ➜ 둑밑
제저폭 [堤底幅] 〖임업〗 ➜ 둑밑 너비
제전 [祭典] 〖행정〗 ➜ 축전, 잔치
제점 [臍點] 〖임업〗 ➜ 배꼽
제정 [制定] 〖행정〗 ⇨ 마련
제조원 [製造元] 〖행정〗 ⇨ 만든 곳
제조하다 [製造-] 〖행정〗 = 만들다
제족기 [製簇機] 〖행정〗 ➜ 섶틀
제증명 [諸證明] 〖행정〗 ⇨ 여러 증명
제지하다 [制止-] 〖행정〗 = 말리다, 막다
제차 [諸車] 〖행정〗 ➜ 모든 차
제척 [除斥] 〖행정〗 ➜ 제침, 치움
제척 기간 [除斥期間] 〖행정〗 ➜ 제침 기간
제체 [堤體] 〖임업〗 ➜ 둑몸
제초 [除草] 〖행정〗 ⇨ 김매기
제초 작업 [除草作業] 〖행정〗 ⇨ 김매기, 풀뽑기
제초제 [除草劑] 〖행정〗 = 김매기약
제출하다 [提出-] 〖행정〗 ⇨ 내다
제탕 [薺湯] 〖식생활〗 ➜ 냉잇국
제토 [除土] 〖행정〗 ⇨ 흙 내림
제트 턴 [jet turn] 〖스키〗 ➜ 제트 회전
제트(제) [프.jais, jet] 〖패션〗 ➜ 흑옥(黑玉)
제하다 [除-] 〖행정〗 ⇨ 나누다, 빼다
제하여 [際-] 〖행정〗 ➜ (···에) 즈음하여/있어서
제한 [制限] 〖전기〗 ➜ 경계(境界)
제형수로 [梯形水路] 〖임업〗 ➜ 사다리꼴 수로, 사다리꼴 도랑
제형언 [堤形堰] 〖임업〗 ➜ 사다리꼴 봇둑, 사다리꼴 웨어
제호 [製糊] 〖행정〗 ➜ 풀쑤기
제호 [題號] 〖정치〗 = 제목
젠가에시누이 [全返し縫い, ぜんかえしぬい] 〖패션〗 ➜ 박음질
젠다이 [膳台] 〖건설〗 〖행정〗 ➜ 창선반, 차선반
젠자이 (←젠사이) [善哉] 〖생활외〗 ➜ 단팥죽
조 [棗] 〖임업〗 ➜ 대추
조가선 [助架線] 〖행정〗 ➜ 보조선
조각하다 [彫刻-] 〖행정〗 ⇨ (도장을) 새기다
조간 [條間] 〖임업〗 ➜ 줄 사이
조간 신문 [朝刊新聞] 〖행정〗 = 아침 신문
조간 (←소칸) [象嵌, ぞうがん] 〖행정〗 ➜ 파넣기, 땜질, 〖생활외〗 ➜ 홈메움, 상감
조감 [鳥瞰] 〖행정〗 = 내려다 봄
조강 [粗鋼] 〖행정〗 ⇨ 거친 강철
조개날 도끼 [合刃石斧] 〖고고학〗 ⇨ 조갯날 돌도끼 ※stone axe with shell edge
조개더미 [貝塚] 〖고고학〗 ⇨ 조개무지, 패총 ※shell mound
조건부 [條件附] 〖행정〗 ⇨ 조건으로
(조건을) 부[附]하여 〖행정〗 ➜ (조건을) 붙여서
조건적 기생균 [條件的寄生菌] 〖임업〗 ⇨ 임의 기생균
조건적 부생균 [條件的腐生菌] 〖임업〗 ⇨ 임의 부생균
조견표 [早見表] 〖행정〗 ➜ 보기표, 일람표
조곡 [粗穀] 〖행정〗 ⇨ 거친 곡식
조골재 [粗骨材] 〖임업〗 ➜ 굵은 골재, 〖행정〗 ➜ 굵은 자갈
조광기 [調光器, dimmer] 〖전기〗 ⇨ 빛 조절기(-調節器), 조광장치(調光裝置)
조구축 [鳥口築] 〖임업〗 ➜ 새입 붙이기
조기 [定規] 〖건설〗 〖미술〗 ➜ 자, 규준대
조기 [早期] 〖행정〗 ⇨ 빠른 시일
조기 재배 [早期栽培] 〖행정〗 ➜ 일찍 가꾸기
조기 청소 [早起淸掃] 〖행정〗 ➜ 아침 청소, 새벽 청소
조기대 〖행정〗 ➜ 미장나무자
조기발뢰 [早期發蕾] 〖행정〗 ➜ 올꽃망울 맺음
조기수 [操機手] 〖행정〗 ➜ 기관사
조기원 [操機員] 〖행정〗 ➜ 기계 조작원, (···) 운전원, 기관원
조기재배 [早期栽培] 〖농업〗 ⇨ 일찍 가꾸기, 올가꾸기
조깅 [jogging] 〖생활외〗 ⇨ 건강달리기 ¶먼지가 묻어나지 않은 공기를 마시며 조깅을 즐긴다.
조깅 웨어 [jogging wear] 〖패션〗 ⇨ 조깅복
조끼 [ジョッキ, jug] 〖행정〗 ➜ 잔
조달 [調達] 〖행정〗 ⇨ 대어 줌, 마련함
조달하다 [調達-] 〖행정〗 ⇨ 대다, 마련하다
조도 [照度] 〖행정〗 ⇨ 조명도
조드퍼즈 [jodhpurs] 〖패션〗 ⇨ 승마 바지
조련 [操鍊] 〖행정〗 ⇨ 훈련
조례 [朝禮] 〖행정〗 ➜ 아침 모임, 조회
조로 [如雨露, じょうろ] 〖행정〗 ➜ 물뿌리개
조류 [潮流] 〖행정〗 = 흐름
조류 [鳥類] 〖행정〗 = 날짐승
조리 [草履, ぞうり] 〖패션〗 ➜ (일)짚신, 샌들
조림 [造林] 〖행정〗 = 나무 심기, 나무 가꾸기
조립 [組立] 〖행정〗 = 짜(맞추)기
조립하다 [組立-] 〖행정〗 = 짜 맞추다
조만간 [早晩間] 〖행정〗 ⇨ 머잖아
조망 [眺望] 〖행정〗 ⇨ 바라다봄
조맥강 [粗麥糠] 〖농업〗 ➜ 거친 보릿겨
조모시 [調子] 〖임업〗 ➜ 상태
조문경 [粗紋鏡] 〖고고학〗 ⇨ 거친 무늬, 조문경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s
조미료 [調味料] 〖식생활〗 = 양념
조밀 [稠密] 〖행정〗 ⇨ 빽빽함
조바 [帳場, ちょうば] 〖행정〗 ➜ 계산대
조반 [丁番, ちょうばん] 〖건설〗 ➜ 경첩
조발 [早發] 〖행정〗 ➜ 일찍 떠남, 일찍 일어남
조발 비행 [早發非行] 〖행정〗 ➜ 일찍 저지른 비행
조변 [調辨] 〖행정〗 ➜ ① 현지 조달, 마련함 ②조사 처리
조복하다 [照覆-] 〖행정〗 ➜ (조회에 대한) 회답
조브 [job] 〖하키〗 ⇨ 짧게 띄우기
조사 [弔事] 〖행정〗 ⇨ 슬픈 일
조사 [條射] 〖행정〗 ➜ 줄뿌림
조사 [照査] 〖행정〗 = 알아봄
조사 [粗砂] 〖행정〗 ➜ 왕모래
조사 [繰絲] 〖임업〗 ➜ 실켜기
조사료 [粗飼料] 〖축산〗 ➜ 거친 먹이
조사리 [粗砂利] 〖임업〗 ➜ 굵은 자갈
조상 [早上] 〖행정〗 ➜ 미리 출발
조상 [早霜] 〖임업〗 ➜ 이른 서리
조상 [條桑] 〖잠업〗 ➜ 가지뽕
조상 [早上] 〖행정〗 ➜ 앞당김
조상 [造床] 〖행정〗 ➜ 모판 만들기
조상 매도 [早上賣渡] 〖행정〗 ➜ 당겨 팔기
조상 배정 [早上配定] 〖행정〗 ➜ (앞)당겨 배정
조상 운전 [早上運轉] 〖전철〗 ⇨ (앞)당김 운전
조상육 [條桑育] 〖잠업〗 ➜ 가지 뽕치기
조상 징수 [早上徵收] 〖행정〗 ➜ 앞당겨 받음/거둠
조상 충용 [早上充用] 〖행정〗 ➜ 앞당겨 씀
조생상 [早生桑] 〖잠업〗 ➜ 올뽕
조서 [調書] 〖행정〗 ⇨ 조사서
조석 [朝夕] 〖행정〗 ⇨ 아침저녁
조성하다 [造成-] 〖행정〗 ⇨ 만들다
조소 [造巢] 〖잠업〗 ➜ (벌)집짓기
조속하다 [早速-] 〖행정〗 ⇨ 빠르다
조수 [鳥獸] 〖농업〗 ➜ 새와 짐승
조숙 [早熟] 〖행정〗 ⇨ 올익음
조숙 재배 [早熟栽培] 〖농업〗 ➜ 일찍 가꾸기
조시 [調子, ちょうし] 〖패션〗 〖봉제〗 ➜ (박음) 상태
조식 [早植] 〖농업〗 ⇨ 올심기
조식 [朝食] 〖식생활〗 ⇨ 아침밥, 조반
조식 재배 [早植栽培] 〖농업〗 ⇨ 올심어 가꾸기
조신토록 할 것 [操身-] 〖행정〗 ➜ 행동을 삼가(시)기 바랍니다
조신하다 [措信-] 〖행정〗 ➜ 믿다
(조약, 계약을) 체결하다 [締結-] 〖행정〗 = (조약, 계약을) 맺다
조어구 [釣魚具] 〖행정〗 ➜ 낚시 도구
조언 [助言] 〖행정〗 = 도움말
조업 [操業] 〖행정〗 ⇨ 일
조예 [條刈] 〖임업〗 ➜ 줄베기
조왕 [鋤王] 〖민속〗 ⇨ 부엌신, 조왕
조우 [遭遇] 〖행정〗 ⇨ (우연히) 만남
조월 [操越] 〖행정〗 ➜ 이월, 넘김
조월금 [操越金] 〖행정〗 ➜ 이월금
조위 [凋萎] 〖임업〗 ➜ 시듦
조인트 [joint] 〖생활외〗 ⇨ 합동, 이음매 ¶조인트 콘서트를 준비하고 있다. 〖언론〗 ➜ 합동, 연합 ¶세계 유명 스타-한국 톱 가수, 서울 조인트 무대.
조작반 [操作盤] 〖행정〗 ➜ 조작판
조작하다 [操作-] 〖행정〗 = (기계 따위를) 다루다
조작하다 [造作-] 〖행정〗 = 꾸미다, 만들어 내다
조장하다 [助長-] 〖행정〗 = 돋우다
조재 [造材] 〖행정〗 ➜ 나무켜기
조적 [組積] 〖행정〗 ➜ 벽돌 쌓기
조정 [漕艇] 〖행정〗 ⇨ 배젓기
조정기 [造精器] 〖임업〗 ⇨ 장정기(藏精器)
조제하다 [調劑-] 〖행정〗 ➜ 약짓다
조조 [早朝] 〖행정〗 ⇨ (이른) 아침
조지방 [粗脂肪] 〖식생활〗 ➜ 거친 굳기름
조차원 [操車員] 〖행정〗 ➜ 배차원, 구내원
조찬 [朝餐] 〖행정〗 ⇨ 아침 (식사) (모임)
조처 [措處] 〖행정〗 = 조치, 처리
조체 [繰替] 〖행정〗 ➜ 일시 전용
조추 [肇秋] 〖행정〗 ➜ 초가을
조추경 [早秋耕] 〖행정〗 ➜ 가을갈이
조춘 [肇春] 〖행정〗 ➜ 초봄
조치하다 [措置-] 〖행정〗 ⇨ (잘) 처리하다
조쿠비키 [直引] 〖행정〗 ➜ 바로끌기
조크 [joke] 〖생활외〗 ➜ 농담, 우스개 ¶멋있는 조크로 분위기가 바뀌었다.
조타도 [造朶道] 〖임업〗 ➜ 섶길
조타속 [造朶束] 〖임업〗 ➜ 섶다발
조타이 [蝶tie, チョウタイ] 〖패션〗 ➜ 나비 넥타이
조타조공 [造朶條工] 〖임업〗 ➜ 섶깔기, 섶조공
조파 [早播] 〖농업〗 ⇨ 올뿌리기
조파 [條播] 〖임업〗 ➜ 줄뿌림
조파공 [條播工] 〖임업〗 ➜ 줄(씨) 뿌리기
조하 운전 [早下運轉] 〖전철〗 ⇨ 늦춤 운전
조하 매도 [繰下賣渡] 〖행정〗 ➜ 물려 팔기
조합식 조침 [組合式釣針] 〖고고학〗 ⇨ 조합식 낚싯바늘 ※composite fish hook
조합하다 [組合-] 〖정치〗 ⇨ 묶다
조홍 [潮紅] 〖행정〗 ➜ 붉어짐
조화 [調和] 〖행정〗 = 어울림
조화문 [彫花紋] 〖미술〗 ⇨ 새김 무늬
조황 [釣況] 〖행정〗 ➜ 낚이는 형편
조회 [朝會] 〖행정〗 ⇨ 아침 모임
조회하다 [照會-] 〖행정〗 ⇨ 알아보다
족 [簇] 〖농업〗 ➜ 섶
족관절 [足關節] 〖행정〗 ➜ 발목 관절
족답 탈곡기 [足踏脫穀機] 〖농업〗 ➜ 디딜 탈곡기
족부견 [簇付繭] 〖행정〗 ➜ 섶자국 고치
족장 [足場] 〖임업〗 ➜ 발판, 비계
족장목 [足場木] 〖임업〗 ➜ 비계(통)나무, 비계목
족적 [足跡] 〖행정〗 ➜ 발자취
족지 [足指] 〖행정〗 ➜ 발가락
족착견 [簇着繭] 〖잠업〗 ➜ 섶자국고치
족축하다 [足蹴-] 〖행정〗 ➜ 차다, 발길로 차다
족하다 [足-] 〖행정〗 = 넉넉하다, 만족하다
존 디펜스 [zone defence] 〖핸드볼〗 〖언론〗 ➜ 지역 방어 ¶국내에서는 기껏해야 존디펜스와 맨투맨(→일 대 일), 풀코트프레스(→전면 압박 수비)라는 세 가지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데….
존속 [尊屬] 〖행정〗 ⇨ 손위 (항렬)
존속 기간 [存續期間] 〖행정〗 ⇨ 남아 있는 기간
존치하다 [存置-] 〖행정〗 = 그대로 두다
졸병 [卒兵] 〖행정〗 ➜ 병사
졸속 [拙速] 〖행정〗 ⇨ 서두름
졸지에 [猝地-] 〖행정〗 ⇨ 별안간, 갑자기
좀돌석기 [細石器] 〖고고학〗 ⇨ 좀돌석기, 세석기 ※microlith
종가 〖임업〗 ➜ 미래가, 미래값
종견 [種繭] 〖행정〗 ➜ 씨고치
종결하다 [終結-] 〖행정〗 = 끝맺다, 매듭짓다, 마치다
종계 [種鷄] 〖행정〗 ⇨ 씨닭
종곡 [種穀] 〖행정〗 ⇨ 종자용 양곡, 씨받이 곡물
종곡선 [縱曲線] 〖임업〗 ➜ 종단 곡선
종곡점 [終曲點] 〖임업〗 ➜ 곡선 종점
종곡축 [縱谷築] 〖임업〗 ➜ 세로골 쌓기
종광 〖미술〗 ➜ 잉아눈
종구 [種球] 〖농업〗 ➜ 씨알
종구 [縱溝] 〖행정〗 ➜ 홈, (보리)홈
종균 [種菌] 〖행정〗 ➜ 씨균
종근 [種根] 〖행정〗 ➜ 씨뿌리
종단 [終端] 〖전철〗 ⇨ 끝(지)점
종단 방향 [縱斷方向] 〖행정〗 ➜ 세로 방향
종단도 [縱斷圖] 〖임업〗 ➜ 종단면도
종대 [縱隊] 〖행정〗 ⇨ 세로서기
종돈 [種豚] 〖행정〗 ⇨ 씨돼지
종란 [種卵] 〖행정〗 ➜ 씨알
종람에 공하다 [從覽-] 〖행정〗 ➜ 볼 수 있도록 하다
종래의 [從來-] 〖행정〗 = 이제까지의, 지금까지의
종렬 [縱裂] 〖행정〗 ➜ 세로틈
종례 [終禮] 〖행정〗 ⇨ 마침 모임
종료하다 [終了-] 〖행정〗 = 끝나다, 마치다
종모돈 [種牡豚] 〖축산〗 ➜ 씨수퇘지
종모우 [種牡牛] 〖행정〗 ➜ 씨황소
종목사 [縱目篩] 〖행정〗 ➜ 긴눈체
종묘 [種苗] 〖행정〗 ➜ 씨모
종묘포 [種苗圃] 〖행정〗 ➜ 씨모밭, 종묘장
종봉 [種蜂] 〖잠업〗 ➜ 씨벌
종부 [種付] 〖축산〗 ➜ 접붙이기
종빈돈 [種牝豚] 〖행정〗 ➜ 씨암퇘지
종빈우 [種牝牛] 〖축산〗 ➜ 씨암소
종상 [終霜] 〖행정〗 ➜ 끝서리
종서 [縱書] 〖행정〗 ➜ 세로쓰기
종선 [從船] 〖행정〗 ⇨ 딸린배
종선 [縱線] 〖행정〗 ⇨ 세로줄
종선만석 [縱線萬石] 〖행정〗 ➜ 줄사름틀
종선사 [縱線篩] 〖행정〗 ➜ 줄체
종속 신호기 [從屬信號機] 〖전철〗 ⇨ 여벌 신호기, 딸림 신호기
종식 [終熄] 〖행정〗 ⇨ 끝나다
종신 [終身] 〖행정〗 ⇨ 평생
종신형 [終身刑] 〖행정〗 ⇨ 무기형
종실 [種實] 〖농업〗 ➜ 씨알
종실중 [種實重] 〖농업〗 ➜ 씨 무게
종양 [腫瘍] 〖행정〗 = 혹
종용하다 [慫慂-] 〖행정〗 ⇨ 달래어 권하다
종우 [種牛] 〖행정〗 ➜ 씨받이소, 씨소
종이끈 밴드 [-band] 〖생활외〗 ➜ 종이띠/끈
종일자석 [縱一字石] 〖임업〗 ➜ 선돌
종자 [種子] 〖행정〗 ⇨ 씨앗, 씨
종자 갱신 [種子更新] 〖행정〗 ➜ 씨앗바꾸기
종자 교환 [種子交換] 〖농업〗 ➜ 씨앗 바꿈
종자근 [種子根] 〖농업〗 ➜ 씨뿌리
종자 보관 센터 [種子-] 〖농업〗 ➜ 종자 보관소
종자 채취 [種子採取] 〖임업〗 ⇨ 열매 따기, 씨앗 따기
종자 취부공 [種子吹付工] 〖임업〗 ➜ 씨 뿜어 붙이기
종적 조사 [踪迹調査] 〖행정〗 ⇨ 행방 조사
종전 [終戰] 〖행정〗 ⇨ 전쟁이 끝남
종전같이 [從前-] 〖행정〗 ⇨ 전과 같이
종종 [種種] 〖행정〗 = 가끔
종지부 [終止符] 〖행정〗 ⇨ 마침표
종지부를 찍다 [終止符-] 〖정치〗 ⇨ 끝맺다
종지하다 [終止-] 〖행정〗 ➜ 끝내다
종축 [種畜] 〖행정〗 ➜ 씨가축
종침식 [縱浸蝕] 〖임업〗 ➜ 세로 침식
종토 [種兎] 〖행정〗 ➜ 씨토끼
종피 [種皮] 〖농업〗 ⇨ 씨껍질
종피색 [種皮色] 〖농업〗 ⇨ 씨껍질색
종횡 [縱橫] 〖행정〗 ⇨ 가로 세로
좌고 [坐高] 〖행정〗 ➜ 앉은키
좌관 [左官] 〖건설〗 ➜ 미장이
좌란 [左欄] 〖행정〗 ➜ 좌측 칸/난
좌멸상 [挫滅傷] 〖법의학〗 ➜ 으깬 상처 ※crush injury
좌상 [挫傷] 〖법의학〗 ➜ 멍, 타박상 ※contusion
좌상육 [剉桑育] 〖잠업〗 ➜ 뽕 썰어 치기
좌수무지 [左手拇指] 〖행정〗 ➜ 왼엄지
좌시 [坐視] 〖정치〗 ⇨ (그냥) 보고만 있음
좌아육 [剉芽育] 〖임업〗 ➜ 순 썰어 치기
좌열창 [挫裂創] 〖법의학〗 ➜ 찢긴 상처 ※laceration
좌우간 [左右間] 〖행정〗 = 아무튼
좌의 [左-] 〖행정〗 ➜ 왼쪽의
좌절도복 [挫折倒伏] 〖농업〗 ➜ 꺾여 쓰러짐
좌창 [挫創] 〖법의학〗 ➜ 찧은 상처 ※contused wound
좌철 [左綴] 〖행정〗 ➜ 왼쪽매기
좌초하다 [座礁-] 〖행정〗 ⇨ 암초에 걸리다
좌측 [左側] 〖행정〗 ⇨ 왼쪽
좌편 [左便] 〖행정〗 ⇨ 왼쪽
좌하 [座下] 〖행정〗 ⇨ 귀하
죄적 [罪蹟] 〖행정〗 ⇨ 범죄 자취
죄증 [罪證] 〖행정〗 ⇨ 범죄 증거
죄질 [罪質] 〖행정〗 = 범죄 바탕, 범죄의 성질
주 [株] 〖행정〗 ⇨ 포기, 그루
주간 [主幹] 〖농업〗 ➜ 원줄기
주간 [晝間] 〖행정〗 ⇨ 낮
주간 [株間] 〖농업〗 ➜ 포기/그루 사이
주간 거리 [株間距離] 〖농업〗 ⇨ 그루/포기(사이) 폭
주간사 회사 [主幹事 會社] 〖금융〗 ➜ 대표 주관 회사, 도유사 회사
주간 제어기 [主幹制禦機] 〖전철〗 ⇨ 주요 제어기
주거 [住居] 〖행정〗 = 사는 곳
주경 [主莖] 〖임업〗 ➜ 원줄기
주관절 [肘關節] 〖행정〗 ➜ 팔꿈치 관절
주근 [主根] 〖임업〗 ➜ 원뿌리
주근 [柱根] 〖행정〗 ➜ 버팀 뿌리, 받침 뿌리
주기 [酒氣] 〖행정〗 ➜ 술기운, 술기
주기한다 [朱記-] 〖행정〗 ➜ 붉은 글씨로 쓴다
주낙 〖행정〗 = 줄낚시
주년 재배 [周年栽培] 〖농업〗 ➜ 이어가꾸기
주니어 [junior] 〖생활외〗 〖패션〗 ➜ 청소년, 중급자 ¶주니어의 선택이 더욱 넓습니다.
주니어 웨어 [junior wear] 〖패션〗 ⇨ 청소년복
주다마 [中玉] 〖행정〗 ➜ 중간 알, 중치
주단누키 [中段拔き] 〖신문〗 ➜ 단빼기
주달 [周達] 〖정치〗 ➜ 널리 알림
주도면밀 [周到綿密] 〖행정〗 ⇨ 빈틈없이
주도(적) [主導的] 〖행정〗 ⇨ 앞장섬
주두 [柱頭] 〖임업〗 ➜ 암술 머리
주력하다 [主力-] 〖행정〗 = 힘(을) 기울이다
주류 [主流] 〖임업〗 = 본류
주류 [酒類] 〖정치〗 ⇨ 술 (종류)
주마와시 [中廻し] 〖미술〗 ➜ (병풍) 소매
주말하다 [朱抹-] 〖행정〗 ➜ 붉은 줄/선으로 지우다
주맥 [主脈] 〖임업〗 ➜ (원)줄기
주맥 가습기 [主脈加濕機] 〖임업〗 ➜ 줄기 가습기
주맥각초 사일로 [主脈刻草 silo] 〖임업〗 ➜ 줄기 각초 저장 장치
주맥 건조기 [主脈乾燥機] 〖임업〗 ➜ 줄기 건조기
주맥경 [主脈徑] 〖행정〗 ➜ 큰 잎맥 지름
주맥 공수 장치 [主脈空輸裝置] 〖임업〗 ➜ 줄기 공수 장치
주맥 냉각기 [主脈冷却機] 〖행정〗 ➜ 줄기 냉각기
주맥 라인 [主脈 line] 〖임업〗 ➜ 줄기 공정
주맥 압착기 [主脈壓搾機] 〖임업〗 ➜ 줄기 압착기
주맥 재건조기 [主脈再乾燥機] 〖임업〗 ➜ 줄기 재건조기
주맥 절각기 [主脈截却機] 〖임업〗 ➜ 줄기 절각기
주맥 퇴적 사일로 [主脈堆積 silo] 〖임업〗 ➜ 줄기 사일로
주목 [注目] 〖행정〗 = 눈여겨봄
주무과 [主務科] 〖행정〗 ⇨ 담당과
주문 [主文] 〖행정〗 ➜ 본문, 으뜸글
주물 [主物] 〖행정〗 ➜ 주된 물건
주바 [中羽] 〖농업〗 〖식생활〗 ➜ 중간 멸치
주박소 [駐泊所] 〖행정〗 ⇨ (기차) 쉼터
주방 [廚房] 〖행정〗 = 부엌
주벌 [舟筏] 〖행정〗 ➜ 배와 뗏목
주벽 [周壁] 〖행정〗 ➜ 주위 벽
주벽 [酒癖] 〖행정〗 ⇨ 술버릇, 술 취한 버릇
주본선 [主本線] 〖전철〗 ⇨ 주선로
주봉 [主峰] 〖행정〗 ⇨ 최고봉, 주인봉
주부 [主婦] 〖행정〗 = 안주인
주부 [チューブ, ←tube] 〖행정〗 ➜ 튜브
주비 [籌備] 〖정치〗 ⇨ (계획) 준비
주사 침흔 [注射 針痕] 〖법의학〗 ⇨ 주사 침 자국, 주사 바늘 자국 ※injection syringe trace
주삭 [主索] 〖임업〗 ➜ 작업본줄
주산단지 [主産團地] 〖행정〗 ➜ 주생산지
주색 [朱色] 〖행정〗 ⇨ 붉은 색
주색 복선 [朱色複線] 〖행정〗 ➜ 빨간 색 두줄
주서 [朱書] 〖행정〗 ➜ 붉은 (색) 글씨
주석 [註釋] 〖행정〗 = 풀이
주선 [朱線] 〖행정〗 ➜ 붉은 줄
주선하다 [周旋-] 〖행정〗 = 마련하다
주소 [住所] 〖행정〗 = 사는 곳
주수하다 [注水-] 〖행정〗 ➜ 물 붓다, 물 주다
주시하다 [注視-] 〖행정〗 ⇨ 눈여겨보다
주식 [晝食] 〖행정〗 ➜ 점심
주심포 [柱心包] 〖건축사〗 ⇨ 주상포, 주심포 ※columner bracker set
주야 [晝夜] 〖행정〗 = 밤낮
주위작 [周圍作] 〖농업〗 ➜ 둘레심기
주의요 [注意要] 〖행정〗 ⇨ 조심할 것
주인 [主人] 〖행정〗 = 임자
주자 [廚者] 〖행정〗 ➜ 조리사
주저 손상 [躊躇 損傷] 〖법의학〗 ⇨ 주저 상처 ※hesitation injury
주정 [酒精] 〖법의학〗 ➜ 에틸알코올, 에탄올 ※ethyl alcohol
주조 [鑄造] 〖미술사〗 ⇨ 틀트기, 주조 ※casting
주조 쇠도끼 [鑄造鐵斧] 〖고고학〗 ⇨ 주철 도끼 ※casted iron axe
주지 [主枝] 〖임업〗 ➜ 원가지
주지시키다 [周知-] 〖행정〗 = 모두에게 알리다
주차 [舟車] 〖행정〗 ➜ 배와 수레
주차장 [駐車場] 〖행정〗 = 차 두는 곳
주취자 [酒醉者] 〖행정〗 ➜ 술 취한 사람
주취하다 [酒醉-] 〖행정〗 ➜ 술 취하다
주쿠렌 (←소쿠링) [熟練] 〖미술〗 ➜ 익수, 숙련공
주택 [住宅] 〖행정〗 = 살림집
주파수 체배기 [周波數 遞倍器] 〖전기〗 ⇨ 주파수 배수기(周波數 倍率器) ※frequency multiplier
주행 거리 [走行距離] 〖행정〗 ⇨ 달리는/달린 거리
주행 시간 [走行時間] 〖행정〗 ⇨ 달리는/달린 시간
죽 [竹] 〖행정〗 ➜ 대나무
죽림 [竹林] 〖임업〗 ⇨ 대나무숲, 〖행정〗 ⇨ 대밭
죽목 [竹木] 〖행정〗 ⇨ 대와 나무
죽사롱 [竹蛇籠] 〖임업〗 ➜ 대돌망태
죽재 [竹材] 〖행정〗 ➜ 대나무
죽책 [竹柵] 〖임업〗 ➜ 대나무울(짱)
죽책공 [竹柵工] 〖임업〗 ➜ 대나무울(짱) 얽기
죽필 [竹筆] 〖미술〗 ⇨ 대붓
준강력분 [準强力粉] 〖식생활〗 ⇨ 덜 차진 밀가루
준동하다 [蠢動-] 〖행정〗 ⇨ 날뛰다, 움직거리다
준법 [齧法] 〖미술사〗 ⇨ 주름법, 준법 ※texture strokes
준설 [浚渫] 〖행정〗 ➜ 파내기
준세이 [じゅんせい] 〖행정〗 ➜ 신품, 순제품
준수하다 [遵守-] 〖행정〗 = 지키다
준수할 것 [遵守-] 〖행정〗 ➜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준시 [樽柿] 〖행정〗 ➜ 납작 곶감
준용 [準用] 〖행정〗 = 표준으로 적용함
준용 하천 [準用河川] 〖행정〗 ⇨ 지방 관리 하천
준치기 〖행정〗 ➜ 줄치기
준힐 [樽詰] 〖행정〗 ➜ 통채우기
줄새김 [線刻] 〖고고학〗 ⇨ 선새김, 선각 ※incising technique
줄야 [刃] 〖미술〗 ➜ 줄쐐기정
중간 [中間] 〖행정〗 = 가운데
중간 낙수 [中間落水] 〖농업〗 ➜ 중간 물폐기
중간 말목 [中間抹木] 〖임업〗 ➜ 사이 말뚝
중간아 [中間芽] 〖임업〗 ➜ 중간 눈
중경 [中耕] 〖농업〗 ➜ 매기
중경 제초 [中耕除草] 〖농업〗 ➜ 김매기
중계료 [中繼料] 〖행정〗 = 중계 운송료
중공 전선 [中空電線, ←hollow conductor] 〖전기〗 ⇨ 속 빈 전선
중과세 처분 [重課稅處分] 〖행정〗 ⇨ 세금을 무겁게 내리다
중과세하다 [重課稅-] 〖행정〗 ⇨ 세금을 많이/무겁게 매기다
중과실 [重過失] 〖행정〗 ⇨ 큰 잘못
중과지 [中果枝] 〖임업〗 ➜ 어간 열매가지
중구난방 [衆口難防] 〖행정〗 = 마구 떠듦
중권엽 [中卷葉] 〖행정〗 ➜ 속말음잎
중독사 [中毒死] 〖법의학〗 ⇨ 중독 사망, 중독사 ※death due to poisoning
중량 [重量] 〖행정〗 = 무게
중로보기 [中路보기] 〖민속〗 ⇨ 반보기, 중로보기
중루석 [重壘石] 〖임업〗 ➜ 포갠 돌
중립종 [中粒種] 〖농업〗 ⇨ 중간 씨(앗)
중매인 [仲買人, なかがいにん] 〖행정〗 ➜ 거간, 거간꾼
중복되다 [重複-] 〖행정〗 = 거듭
중봉 [中鋒] 〖미술〗 ⇨ ①중붓(질), 붓중간 ②중간붓
중상 [重傷] 〖행정〗 = 많이 다침
중선 출혈 [重線 出血] 〖법의학〗 ➜ 두 줄 출혈 ※double line hemorrhage
중선법 [重渲法] 〖미술〗 ⇨ 겹바림
중식 [中食] 〖식생활〗 〖행정〗 ⇨ 점심
중식토 [重埴土] 〖농업〗 ➜ 찰질 흙
(중심) 내측 [內側] 〖행정〗 ⇨ (중심) 안쪽
중절모자 [中折帽子, なかおれぼうし] 〖행정〗 ⇨ 우묵모자
중점토 [重粘土] 〖농업〗 ➜ 질 찰흙
중증 [重症] 〖행정〗 ⇨ 심한 병세
중지 [中指] 〖행정〗 ⇨ 가운뎃손가락
중지 [衆智] 〖행정〗 ⇨ 여러 사람 지혜
중차대하다 [重且大-] 〖정치〗 ⇨ 매우 중요하다
중착 [重着] 〖패션〗 ➜ 겹쳐입기
중책 [重責] 〖행정〗 ⇨ 무거운 책임
중첩되다 [重疊-] 〖행정〗 ⇨ 겹치다
중판 [中板] 〖임업〗 ➜ 속판
중한 (죄) [重-] 〖행정〗 ⇨ 무거운 (죄)
중혼 [重婚] 〖행정〗 ⇨ 이중 결혼
쥐불놀이 〖민속〗 ⇨ 쥐불놓이, 쥐불놀이
즈리 [ずり] 〖건설〗 ➜ 버력
즈봉 (←쓰봉) [ズボン, 프.jupon] 〖패션〗 〖행정〗 〖생활외〗 ➜ (양복) 바지
즉각 [卽刻] 〖행정〗 = 곧, 바로
즉납 [卽納] 〖행정〗 ➜ 즉시 납부
즉보 [卽報] 〖행정〗 ➜ 즉시 보고
즉사 [卽死] 〖행정〗 ⇨ 현장 사망
즉시 [卽時] 〖행정〗 = 곧, 바로
즉시급 [卽時給] 〖행정〗 ➜ 즉시 지급
즉응 [卽應] 〖정치〗 ➜ 바로/즉시 응함
즉일 [卽日] 〖정치〗 ➜ 바로 그날, 당일
즙 [葺] 〖행정〗 ➜ 이엉
즙환 [葺換] 〖행정〗 ➜ 이엉 바꾸기
증 [贈] 〖행정〗 ➜ 삼가 세움
증가되다 [增加-] 〖행정〗 = 늘어나다
증대하다 [增大-] 〖행정〗 ⇨ 늘다
증발 [增發] 〖행정〗 ➜ 늘어남
증발하다 [蒸發-] 〖행정〗 ⇨ (사람이) 사라지다
증빙 서류 [證憑書類] 〖행정〗 = 증거 서류
증서 [證書] 〖행정〗 ⇨ 증거 문서
증숙하다 [蒸熟-] 〖식생활〗 ➜ 찌다
증식하다 [增殖-] 〖행정〗 ⇨ 불어나다, 불리다
증여 [贈與] 〖행정〗 ⇨ 줌
증오 [憎惡] 〖행정〗 = 미워함
증자 [蒸煮] 〖임업〗 ➜ 삶음
증정하다 [贈呈-] 〖행정〗 ⇨ 드리다
증체량 [增體量] 〖농업〗 ➜ 살찐 양, 늘어난 무게
증치 [增置] 〖행정〗 ⇨ 추가 설치, 증설
증치 교사 [增置敎師] 〖행정〗 ⇨ 추가 배치 교사
증표 [證票] 〖행정〗 ⇨ 증명서
증해 [蒸解] 〖임업〗 ➜ 삶아 풀어냄/풂
지 [地] 〖미술〗 ➜ (병풍) 치마
지 [枝] 〖임업〗 ➜ 가지
지 [芝] 〖임업〗 ➜ 떼
지가 [地價] 〖행정〗 ⇨ 땅값
지가 [支架] 〖행정〗 ➜ 받침대
지각 [枳殼] 〖임업〗 ➜ 탱자
지각 [知覺] 〖행정〗 = 깨달음
지거링 [jiggering] 〖미술〗 ➜ 찍어내기
지경 [枝莖] 〖행정〗 ➜ 이삭 가지
지계 [地階] 〖행정〗 ➜ 지하층
지고 드레스 [프.gigot dress] 〖패션〗 ⇨ 양다리 드레스
지고 (←지고트) 소매 [프.gigot-] 〖패션〗 ⇨ 양다리 소매
지고병 [枝枯病] 〖임업〗 ➜ 가지마름병
지골 [指骨] 〖행정〗 ➜ 손가락 뼈
지골 [支骨] 〖행정〗 ➜ 잔줄기
지괴침식 [地塊浸蝕] 〖임업〗 ➜ 중력 침식
지구력 [持久力] 〖행정〗 = 오래 견딤
지구자구누이 [ジグザグ縫い, ジグザグぬい] 〖패션〗 ➜ 지그재그솔
지궐련 [紙卷煙] 〖행정〗 ➜ 종이 궐련
지그재그 패스 [zigzag pass] 〖축구〗 ⇨ 갈짓자 주고받기
지그재그 능직 [zigzag 綾織] 〖미술〗 ⇨ 갈짓자 짜기
지근 [支根] 〖임업〗 ➜ 갈림 뿌리
지급 거절 [支給拒絶] 〖행정〗 = 치르기 거절
지급 교시 [至急敎示] 〖정치〗 ➜ 빨리 가르쳐줌/알려줌
지급필 통지 [支給畢通知] 〖행정〗 ➜ 지급 끝남 알림
지급히 [至急-] 〖행정〗 ⇨ 빨리, 매우 급히
지나라시 [地均し] 〖건설〗 ➜ 땅고르기
지나오시 [地直し, じなおし] 〖패션〗 〖봉제〗 ➜ (천)바로잡기, (천)축임질, 축융가공
지난하다 [至難-] 〖행정〗 ⇨ 매우 어렵다
지내력 [地耐力] 〖행정〗 ⇨ 견딜 힘
지네틱 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 〖전기〗 ⇨ 유전 연산 방식
지노메(센) [地の目/線, じのめ(せん)] 〖패션〗 ➜ 올방향
지누시 [じぬし] 〖패션〗 ➜ (천)바로잡기, 축임질
지누이 [地縫い, じぬい] 〖패션〗 〖봉제〗 ➜ 초벌박기
지달 [遲達] 〖행정〗 ➜ 송달 지연
지당한 [至當-] 〖행정〗 ⇨ 당연한, 옳은
지대 [地代] 〖행정〗 ➜ 땅값
지대 [紙袋] 〖행정〗 ➜ 봉지, 봉투, 부대
지대한 [至大-] 〖행정〗 ⇨ 매우 큰
지도리 (가케) [千鳥掛け, ちどりがけ] 〖패션〗 〖봉제〗 ➜ 새발뜨기
지두 [枝豆] 〖농업〗 ⇨ (가지)풋콩
지두흔 [指頭痕] 〖법의학〗 ➜ 손 끝 자국 ※fingertips trace
지득하다 [知得-] 〖금융〗 ⇨ 알게 되다, 알다
지득한 [知得-] 〖행정〗 ➜ 알게 된, 안
지라시 (←찌라시) [散らし, ちらし] 〖행정〗 〖정치〗 ➜ 선전지, 낱장 광고(지), 광고지, 전단, 흩임머리〖미용〗
지락 [地落] 〖행정〗 ➜ 땅에 닿음
지력 [地力] 〖행정〗 ⇨ 땅힘
지력 증진 [地力增進] 〖행정〗 ⇨ 땅힘 돋우기
지령 [指令] 〖행정〗 ⇨ 명령
지료 [地料] 〖행정〗 ➜ 땅세, 땅값
지리 [汁, しる] 〖식생활〗 ➜ 싱건탕
지리가미 [塵紙, ちりがみ] 〖행정〗 ➜ 휴지
지리멘 [縮緬, ちりめん] 〖패션〗 ➜ 축면
지리멸 [じり-] 〖행정〗 ➜ 애멸치
지리초석 [智利硝石] 〖임업〗 ➜ 칠레질석
지마에 [じまえ] 〖행정〗 ➜ 자기 것
지맥 [支脈] 〖행정〗 ➜ 잔 잎맥
지면 [知面] 〖행정〗 ⇨ 알음, 안면
지면살포 [地面撒布] 〖임업〗 ⇨ 땅에 뿌리기
지면잠 [遲眠蠶] 〖잠업〗 ➜ 늦잠누에
지몬이리 [地紋入り] 〖신문〗 ➜ 무늬 바탕
지물 [地物] 〖행정〗 ➜ 땅 위 물체
지미하다 [地味-] 〖행정〗 ➜ 수수하다, 검소하다
지발수 [遲發穗] 〖농업〗 ➜ 늦이삭
지방문옥 [地方問屋, ちほうとんや] 〖패션〗 ➜ 중간 도매
지변 [支辨] 〖행정〗 ⇨ 충당, 지급, 갚음
지변 기일 [支辨 己日] 〖금융〗 ➜ 상환 기일
지변하다 [支辨-] 〖행정〗 ⇨ 갚다
지별 선별 [支別選別] 〖행정〗 ➜ 무게 고르기
지복공 [芝覆工] 〖임업〗 ➜ 떼덮기
지부공 [芝付工] 〖임업〗 ➜ 떼붙이기
지분 [持分, もちぶん] 〖금융〗 〖행정〗 ⇨ 몫
지분 [紙盆] 〖행정〗 ➜ 종이분
지불 [支拂] 〖금융〗 ⇨ 지급, 치름
지불하다 [支拂-] 〖경제〗 〖행정〗 ➜ 지급하다, 치르다
지브러 스트라이프 [zebra stripe] 〖패션〗 ➜ 얼룩말 (줄)무늬
지삽 [枝揷] 〖임업〗 ➜ 가지꽂이
지상 배수 [地上排水] 〖임업〗 ⇨ 지표면 물빼기, 지표면 배수
지상 태아 [紙狀 胎兒] 〖법의학〗 ➜ 종이 모양 태아 ※paper-doll fetus
지석묘 [支石墓] 〖고고학〗 ⇨ 고인돌, 지석묘 ※dolmen
지선 어민 [地線漁民] 〖행정〗 ➜ 연안 어민
지소 [池沼] 〖행정〗 ➜ 연못, 늪
지속적으로 [持續的-] 〖행정〗 ⇨ 꾸준히, 끊임없이
지수로공 [芝水路工] 〖임업〗 ➜ 떼수로 내기, 떼도랑 내기
지수벽 [止水壁] 〖임업〗 ➜ 물막이벽
지수제 [止水堤] 〖임업〗 ➜ 물막잇둑
지승 [支承] 〖행정〗 ➜ 받침, 지지
지시 식물 [指示植物] 〖임업〗 ➜ 지표 식물
지시일변도 [指示一變度] 〖행정〗 ➜ 지시만 하는
지실 [地實] 〖행정〗 ➜ 감자
지실한 [知悉-] 〖행정〗 ➜ 다 아는
지아이 룩 [GI look] 〖패션〗 ⇨ GI풍
지압 조사 [地押調査] 〖행정〗 ⇨ 지번별 조사
지양 [止揚] 〖행정〗 ⇨ 삼감, 벗어남 〖철학〗
지양하다 [止揚-] 〖행정〗 ⇨ 하지 않다, 피하다
지에리 [地襟, じえり] 〖패션〗 ➜ 앞길 (라벨)
지연되다 [遲延-] 〖행정〗 ⇨ 늦어지다
지엽 [枝葉] 〖행정〗 ➜ 가지와 잎
지엽 [止葉] 〖임업〗 ➜ 끝잎
지엽 [紙葉] 〖정치〗 ➜ 낱장
지엽적/인 [枝葉的] 〖행정〗 ⇨ 자질구레한
지예집재 [地曳集材] 〖임업〗 ⇨ 바닥 끌어 (통)나무 모아 쌓기
지오메트릭 디자인 [geometric design] 〖패션〗 ➜ 기하학적 디자인
지오메트릭 프린트 [geometric print] 〖패션〗 ➜ 기하학적 프린트/무늬찍기
지온 [地溫] 〖행정〗 ⇨ 땅 온도
지원 [支援] 〖행정〗 = 도움
지원민 [地元民] 〖임업〗 ➜ 지역 주민
지위 [地位] 〖행정〗 ➜ 땅 등급, 자리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地位-] 〖행정〗 ➜ 누구든지
지인 [知人] 〖행정〗 ⇨ 아는 사람
지인망 [地引網] 〖행정〗 ➜ 갓후릿그물, 갓후리
지입 [持込, もちこみ] 〖행정〗 ➜ 가지고/갖고 들기
지입제 [持込制] 〖행정〗 ➜ 몫들기
지입하다 [持込-] 〖행정〗 ➜ 가지고/갖고 들어가다/오다
지잠 [遲蠶] 〖잠업〗 ➜ 처진 누에
지장 [指章] 〖행정〗 = 손도장
지장목 [支障木] 〖임업〗 ⇨ 장애 나무
지장물 [支障物] 〖행정〗 ➜ 장애물, 걸림돌
지적 [地積] 〖행정〗 ➜ 땅 넓이
지적 [地籍] 〖행정〗 ➜ 토지 기록
지적 [指摘] 〖행정〗 = 가리킴, 말함
지적 사항 [指摘事項] 〖행정〗 ⇨ 고쳐야 할 일
지절 [脂節] 〖행정〗 ➜ 팔다리 마디
지접 [枝椄] 〖임업〗 ➜ 가지접
지정 [池井] 〖행정〗 ➜ 연못, 샘
지정하다 [指定-] 〖행정〗 = (가리켜) 정하다
지정한 [指定-] 〖행정〗 = (가리켜) 정한
지제 부분 [地除部分] 〖행정〗 ➜ 뿌리목 부분
지제부 [地除部] 〖행정〗 ➜ 뿌리목
지조 [枝條] 〖임업〗 ➜ 가지
지조 [知照] 〖전철〗 ⇨ (운전) 작업 보고
지조공 [芝條工] 〖임업〗 ➜ 반떼 붙이기, 떼조공
지조재 [枝條材] 〖행정〗 ➜ 쓸가지, 우죽
지존 [地拵] 〖행정〗 ➜ 조림지 정리
지주 [支柱, pole brace] 〖전기〗 ⇨ 버팀기둥
지주막 하출혈 [蜘蛛膜下出血] 〖법의학〗 ⇨ 거미막 밑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목 [支柱木] 〖임업〗 = 버팀목, 동바리
지중 [地中] 〖행정〗 ➜ 땅 속
지즈라 [字面, じづら] 〖신문〗 ➜ 자면(字面), 인면(印面)
지지 [支芝] 〖임업〗 ➜ 받침떼
지지목 [支持木] 〖행정〗 ⇨ 버팀목
지지미 [縮, ちぢみ] 〖행정〗 ➜ 쫄쫄이
지지하는 [支持-] 〖행정〗 ⇨ 떠받치는, 따르는
지진아 [遲進兒] 〖행정〗 ⇨ 뒤진 아이
지찰 [紙札] 〖행정〗 ➜ 종이 명찰
지참 [持參] 〖행정〗 ⇨ 지니고 옴
지참 [遲參] 〖행정〗 ➜ (뒤)늦게 참석
지참하다 [持參-] 〖행정〗 ⇨ 지니고 오다
지척 [咫尺] 〖행정〗 ⇨ (아주) 가까움
지체 [遲滯] 〖행정〗 ⇨ (시간이) 늦어짐
지체 상금 [遲滯 償金] 〖금융〗 〖경제〗 ➜ 지연 배상금
지체 없이 [遲滯-] 〖행정〗 ⇨ 곧
지초 [芝草] 〖행정〗 ➜ 떼
지출하다 [持出-] 〖행정〗 ➜ 가지고 나가다
지침 [指針] 〖행정〗 = 길잡이
지침식물 [指針植物] 〖임업〗 ➜ 지표 식물
지칭하다 [指稱-] 〖행정〗 ⇨ 일컫다, 가리키다, 뜻하다, 말하다
지카라누노 (←지카테) [力布, ちからぬの] 〖봉제〗 ➜ 바대
지쿠봉 [軸棒] 〖미술〗 ➜ (족자)축
지쿠사키 [軸先] 〖미술〗 ➜ 귀두겁
지쿠칸 [軸環] 〖미술〗 ➜ 고리못
지키(←지끼) 코어 [じき core] 〖전기〗 ➜ 자기 코어(磁氣 core)
지타 [枝打] 〖행정〗 ➜ 가지치기
지탄 [指彈] 〖행정〗 ⇨ 손가락질
지퍼 슈트 [zipper suit] 〖패션〗 ⇨ 지퍼옷
지편 [紙片] 〖행정〗 ➜ 종이 조각
지폐 [紙幣] 〖행정〗 = 종이돈
지표 [地表] 〖행정〗 = 땅 표면, 지구 표면
지표 [指標] 〖행정〗 = 방향 (안내) 표지, 가늠표
지표수 [地表水] 〖행정〗 ➜ 땅윗물
지피물 [地被物] 〖임업〗 ➜ 땅위 잡물
지하경 [地下莖] 〖임업〗 ➜ 땅속 줄기
지하고 [枝下高] 〖임업〗 ➜ 왕가지 높이
지하근 [地下根] 〖임업〗 ➜ 땅속 뿌리
지하수위 [地下水位] 〖행정〗 ⇨ 지하수 높이
지하여 [至-] 〖행정〗 ➜ 이르러
지협 [紙挾] 〖행정〗 ➜ 종이 집게
지형 [地形] 〖행정〗 = 땅 모양
지혜 [知慧] 〖행정〗 = 슬기
지환 우편물 [持還郵便物] 〖행정〗 ⇨ 되가져온 우편물
지활 [地滑] 〖임업〗 ➜ 땅밀림
지활지 [地滑地] 〖임업〗 ➜ 밀린 땅
직결되다 [直結-] 〖행정〗 ⇨ 바로 연결되다
직경 [直徑] 〖행정〗 ⇨ 지름
직고 [直告] 〖행정〗 ➜ 바른 대로 말함
직권 [職權] 〖행정〗 = 맡은 권한
직근 [直根] 〖행정〗 ➜ 곧은 뿌리
직근 [直近] 〖행정〗 ➜ 가장 가까운
직근 상급 기관 [直近上級機關] 〖행정〗 ➜ 바로 윗기관
직근성 [直根性] 〖행정〗 ➜ 곧은뿌리성
직기빔 [織機 beam] 〖미술〗 ⇨ 도투마리
직립경 [直立莖] 〖임업〗 ➜ 곧은 줄기
직립성 [直立性] 〖임업〗 ➜ 곧추설성
직립성낙화생 [直立性落花生] 〖농업〗 ➜ 오뚜기 땅콩
직립식 [直立植] 〖임업〗 ➜ 곧추 심기
직립원인 [直立猿人] 〖고고학〗 ⇨ 호모에렉투스, 직립원인 ※homo erectus
직립지 [直立枝] 〖임업〗 ➜ 곧은 가지
직무 검열 [職務檢閱] 〖행정〗 = 사무 관리 점검
직무를 행함에 당 [當] 〖행정〗 ➜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직상층 [直上層] 〖행정〗 ➜ 바로 윗층
직송 [直送] 〖행정〗 ⇨ 곧 보냄, 직접 부침
직시 [直視] 〖행정〗 ⇨ 바로 봄
직언 [直言] 〖정치〗 = 바른/곧은 말
직전 [直前] 〖행정〗 = 바로 전/앞
직진하다 [直進-] 〖행정〗 = 바로 가다, 곧게 가다
직체결 우편낭 [直締結郵便囊] 〖행정〗 ➜ 직송 우편 자루
직파 [直播] 〖농업〗 ⇨ 곧뿌리기
직파조림 [直播造林] 〖임업〗 ⇨ 씨뿌림/곧뿌림/바로뿌림 조림
직하 [直下] 〖행정〗 ➜ 바로 아래
진개 [塵芥] 〖행정〗 ➜ 쓰레기
진검승부 [眞劍勝負] 〖행정〗 ⇨ 생사 겨루기
진과 [進過] 〖행정〗 ➜ 지나감
진구성 [陳久性] 〖법의학〗 ⇨ 오래된 성질, 오래된 ※old (property)
진구성 두개골 절제술흔 [陳久性 頭蓋骨 切除術痕] 〖법의학〗 ⇨ 오래된 머리뼈 절제술 자국 ※old craniectomy mark
진구성 반흔 [陳久性 瘢痕] 〖법의학〗 ⇨ 오래된 흉터 ※old scar
진구성 병변 [陳久性 病變] 〖법의학〗 ⇨ 오래된 병터 ※old leision
진구성 심근 경색 [陳久性 心筋 梗塞] 〖법의학〗 ➜ 오래된 심근 경색 ※old myocardial infarction
진구성 욕창 [陳久性 褥瘡] 〖법의학〗 ⇨ 오래된 눌림창 ※old bedsore
진균 [眞菌] 〖행정〗 ➜ 곰팡이
진다이 [人台, じんだい] 〖패션〗 ➜ 매무새 인형
진달 [進達] 〖행정〗 ➜ 올림
진달하다 [進達-] 〖행정〗 ➜ (말/편지를 받아) 올리다
진동 [振動] 〖행정〗 = 울림, 흔들림
진동 개소 [振動個所] 〖행정〗 ➜ 흔들리는 곳
진력 [盡力] 〖행정〗 ⇨ 힘씀
진로 [進路] 〖행정〗 = 나갈 길
진면목 [眞面目] 〖행정〗 = 참모습
진배 [進拜] 〖정치〗 ⇨ 찾아뵘
진부 [眞否] 〖행정〗 ➜ 진짜와 가짜
진부 [陳腐] 〖행정〗 ⇨ 낡음
진사 [診査] 〖행정〗 ➜ 건강 조사
진술 [陳述] 〖행정〗 ⇨ 말함
진술하다 [陳述-] 〖행정〗 ⇨ 말하다
진압 [鎭壓] 〖농업〗 ⇨ 눌러주기, 다져주기
진애 [塵埃] 〖행정〗 ➜ 티끌, 먼지, 쓰레기
진언 [眞言] 〖행정〗 ➜ 참(된)말
진언하다 [進言-] 〖행정〗 ⇨ (의견을) 말씀드리다
진위 여부 [眞僞 與否] 〖금융〗 ➜ 사실 여부
진위를 가리다 [眞僞-] 〖행정〗 ⇨ 참과 거짓을 가리다
진의 [眞意] 〖행정〗 ⇨ 참뜻
진입로 [進入路] 〖행정〗 ⇨ 들어가는 길
진입하다 [進入-] 〖행정〗 ⇨ 들어가다
진작하다 [振作-] 〖행정〗 ⇨ 북돋(우)다, 떨치다
진즈 [jeans] 〖패션〗 ⇨ 청바지
진지 [振芝] 〖임업〗 ➜ 턴 떼
진체 [振替, ふりかえ] 〖행정〗 ➜ 대체
진출 [振出] 〖경제〗 ➜ (어음, 환) 발행
진카 [沈下] 〖건설〗 ➜ 침하, 가라앉음
진탕배양 [震盪培養] 〖임업〗 ⇨ 흔들기 배양, 흔들어 키움
진탕아 증후군 [震盪兒 症候群] 〖법의학〗 ➜ 흔들린 아이 증후군 ※shaken baby syndrome
진파 [跛, ちんば] 〖행정〗 ➜ 절름발이, 〖패션〗 〖봉제〗 ➜ 짝짝이
진품 [眞品] 〖행정〗 ⇨ 진짜 물품
진화용의 [鎭火用-] 〖행정〗 ⇨ 불(을) 끄는 데 사용하는/쓰는
진화하다 [鎭火-] 〖행정〗 ⇨ 불 끄다, 불길을 잡다
질강풍 [疾强風] 〖전철〗 ⇨ 큰 바람
질곡 [桎梏] 〖행정〗 ➜ 굴레
질그릇 [土器] 〖고고학〗 ⇨ 토기 ※earthenware
질레 [프.gilet] 〖패션〗 ➜ 조끼
질문 [質問] 〖행정〗 = 물음
질사 [窒死] 〖축산〗 ➜ 질식사
질소기아 [窒素飢餓] 〖농업〗 ➜ 질소 부족
질식사 [窒息死] 〖법의학〗 ⇨ 질식 사망, 질식사 ※asphyxia
질식하다 [窒息-] 〖행정〗 ⇨ 숨(이) 막히다
질의응답 [質疑應答] 〖행정〗 ⇨ 물음과 답
질주하다 [疾走-] 〖행정〗 ⇨ 달리다
질책하다 [叱責-] 〖행정〗 ⇨ 꾸짖다
질타 [叱咤] 〖정치〗 ⇨ 크게 꾸짖음, 꾸지람
짐벌 [jimbal] 〖전기〗 ⇨ 수평 장치(水平裝置)
집결지 [集結地] 〖행정〗 ⇨ 모일 곳, 모인 곳
집단 사육 [集團飼育] 〖행정〗 ⇨ 모아기르기
집배 사무 [集配事務] 〖행정〗 ⇨ 집배 업무
집배포 [集配包] 〖행정〗 ➜ 집배 가방
집배표 [集配表] 〖행정〗 ⇨ 집배 기록표
집산지 문옥 [集散地問屋, しゅうさんちとんや] 〖패션〗 ➜ 집산지 도매상
집성사진 [集成寫眞] 〖임업〗 = 모자이크 사진
집수 암거 [集水暗渠] 〖행정〗 ➜ 물 저장 도랑
집시 스커트 [gypsy skirt] 〖패션〗 ⇨ 집시치마
집시 슬리브 [gypsy sleeve] 〖패션〗 ⇨ 집시소매
집요하다 [執拗-] 〖행정〗 ⇨ 끈질기다
집유 [集乳] 〖행정〗 ➜ 젖 거두기
집자리 [住居址] 〖고고학〗 ⇨ 집터 ※house site
집재 [集材] 〖행정〗 = 나무모으기
집재줄 [集材-] 〖임업〗 ➜ 당김줄
집주 [集注] 〖행정〗 ➜ 모으다
집중시간 [集中時間] 〖임업〗 ➜ 도달 시간
집중호우 [集中豪雨] 〖행정〗 = 작달비, 장대비
집찰 [集札] 〖행정〗 ➜ 표 검사
집찰구 [集札口] 〖행정〗 ➜ 표 내는 곳
집표구 [集票口] 〖행정〗 ➜ 표 내는 곳
집필 [執筆] 〖행정〗 ⇨ 글씀
집합하다 [集合-] 〖행정〗 ⇨ 모이다
집회 [集會] 〖행정〗 ⇨ 모임, 회합
짓쿠 (←지꾸) [チック, 프.cosmétique] 〖행정〗 ➜ 머리크림
징구하다 [徵求-] 〖금융〗 ➜ 받다
징발하다 [徵發-] 〖행정〗 ⇨ 뽑다
징벌부 [懲罰簿] 〖행정〗 ⇨ 벌칙 처리부
징벌에 처하다 [懲罰-] 〖행정〗 ➜ 처벌하다
징병서 [徵兵書] 〖행정〗 ➜ 징병 검사서
징수하다 [徵收-] 〖행정〗 ⇨ 받다, 거두다
징조 [徵兆] 〖행정〗 ⇨ 조짐
징크스 [jinx] 〖생활외〗 ⇨ 액(厄), 불길한/재수 없는 일 ¶시험에서의 징크스가 항상 그를 괴롭힌다.
징후 [徵候] 〖행정〗 ⇨ 낌새
짚줄떼공 [-工] 〖임업〗 ➜ 짚단 쌓기
짧은목 항아리 [短頸壺] 〖고고학〗 ⇨ 짧은목 항아리, 짧은목 단지 ※jar with short neck
짬뽕 [ちゃんぽん] 〖식생활〗 ⇨ 초마면, 뒤섞기
찌찌 (←쭈쭈) [乳] 〖행정〗 ➜ 젖
차 [此] 〖행정〗 ➜ 이, 이것
차감 [差減] 〖행정〗 ⇨ 뺌
차감하다 [差減-] 〖행정〗 ⇨ 빼다
차견 [借見] 〖행정〗 ➜ 빌려 봄
차관선 [借款先] 〖행정〗 ➜ 차관 공여자/공여처/공여국
차광 [遮光] 〖행정〗 ➜ 빛 가림
차광재배 [遮光栽培] 〖농업〗 ➜ 볕가림 가꾸기
차기 [次期] 〖행정〗 ⇨ 다음 (번)
차년도 [次年度] 〖행정〗 ➜ 다음 연도
차단스 [茶簞笥] 〖행정〗 ➜ 차장
차단하다 [遮斷-] 〖행정〗 = 가로막다
차람 [借覽] 〖행정〗 ➜ 빌려 봄
차량 일주 [車輛逸走] 〖전철〗 ⇨ 차량 구름
차령 [車齡] 〖행정〗 ➜ 차 나이
차륜 [車輪] 〖행정〗 ⇨ 바퀴
차륜삭정 [車輪削正] 〖전철〗 ⇨ 차바퀴 깎기
차륜지 [車輪止] 〖전철〗 ⇨ 바퀴 굄목
차면 [遮面] 〖행정〗 ➜ 얼굴 가림
차면 시설 [遮面施設] 〖행정〗 ➜ 가리개 (시설)
차밍 [charming] 〖행정〗 ➜ 매력적, 매혹적, 〖패션〗 ➜ 매력(적)
차방 [借方] 〖행정〗 ➜ 차변
차상하 [車上下] 〖전철〗 ⇨ 차하부
차수공 [遮水工] 〖임업〗 ➜ 물막이
차수벽 [遮水壁] 〖임업〗 ➜ 물막이 벽
차수인 [借受人] 〖행정〗 ➜ 빌린 사람
차수판 [遮水板] 〖임업〗 ➜ 물막이 판
차순위 [次順位] 〖행정〗 ⇨ 다음 차례/순위
차시 [此時] 〖행정〗 ➜ 이때
차실 [遮室] 〖행정〗 ➜ 가림방
차안 [此岸] 〖행정〗 ➜ 이 세상, 이쪽 언덕
차안상에 [此岸上-] 〖행정〗 ➜ 이 편에
차압 [差押, さしおさえ] 〖행정〗 ⇨ 압류
차양 [遮陽] 〖행정〗 ➜ 볕가리개
차용물 [借用物] 〖행정〗 ⇨ 빌린 물건
차용자 [借用者] 〖행정〗 ⇨ 빌려 간 사람
차용하다 [借用-] 〖행정〗 ⇨ 빌(려 쓰)다, 꾸(어 쓰)다
차음 [遮音] 〖행정〗 ➜ 소리(의) 차단
차의 [此-] 〖행정〗 ➜ 이의
차이나 단추 [China -] 〖패션〗 ⇨ 중국단추
차이니즈 칼라 [Chinese collar] 〖패션〗 ⇨ 중국(옷)깃, 중국칼라
차인 [差引] 〖행정〗 ➜ 뺌, 뺀
차인 잔액 [差引殘額] 〖행정〗 ➜ 뺀 나머지 돈
차일 [遮日] 〖행정〗 ➜ 볕가리개
차일드 웨어 [child wear] 〖패션〗 ➜ 아동복
차일피일 [此日彼日] 〖행정〗 = 이날 저날
차임 [借賃] 〖행정〗 ⇨ 셋돈
차임 [車賃] 〖행정〗 ➜ 찻삯
차임 벨 [chime bell] 〖행정〗 ⇨ 때알이 (종)
차입 [差入, さしいれ] 〖행정〗 ⇨ 넣어 줌, 옥바라지
차입금 [借入金] 〖행정〗 ⇨ 꾼 돈
차입하다 [借入-] 〖행정〗 ⇨ 꾸어 들이다, 꾸다
차입하다 [差入-] 〖행정〗 ⇨ 넣어 주다
차장 [車掌] 〖행정〗 ➜ 승무원, 안내원
차재 [借財] 〖행정〗 ➜ 돈빌리기
차전놀이 [車戰놀이] 〖민속〗 ⇨ 동채싸움, 차전놀이
차전자 [車前子] 〖행정〗 ➜ 질경이 씨
차전초 [車前草] 〖행정〗 ➜ 질경이
차제에 [此際-] 〖행정〗 ⇨ 이(번) 기회에, 이때에
차주 [借主] 〖금융〗 〖행정〗 ⇨ 빌려 쓴 이
차지 [此旨] 〖행정〗 ➜ 이 뜻
차지 [車止] 〖행정〗 ➜ 차막이
차지타임 [charge time] 〖농구〗 ⇨ 작전 시간
차질(없이) [蹉跌-] 〖행정〗 ⇨ 어김(없이), 틀림(없이)
차질을 가져오다 [蹉跌-] 〖행정〗 ⇨ 어긋나다, 빗나가다
차징 [charging] 〖핸드볼〗 〖축구〗 ⇨ 몸 반칙
차축 [車軸] 〖행정〗 = 굴대
차출 [差出, さしだし] 〖행정〗 ⇨ 뽑아냄
차출하다 [差出-] 〖행정〗 ⇨ 뽑아내다
차측등 [車側燈] 〖전철〗 ⇨ 차옆 등
차치모리 [鋒盛] 〖행정〗 ➜ 모듬 요리
차치하고 [且置-] 〖행정〗 ⇨ 그만 두고, 제쳐 놓고
차코 [チョーク, chalk] 〖패션〗 ➜ 초크, 분필
차트 [chart] 〖생활외〗 ⇨ (순위) 도표 ¶인기 차트 꼭대기에 올라 갈 기세이다.
차폐 [遮蔽] 〖행정〗 ➜ 가림
차폐식수 [遮蔽植樹] 〖행정〗 ➜ 가림나무 심기
차폭등 [車幅燈] 〖행정〗 ➜ 옆등
차하 [差下] 〖행정〗 ➜ 돌려 줌 〖교도소〗
차한에 부재하다 [此限-不在-] 〖행정〗 ➜ 그러하지 아니하다
차한에 부재함 [此限-不在-] 〖행정〗 ➜ 예외로 함
차회 [次回] 〖행정〗 ➜ 다음번
차후 [此後] 〖행정〗 = 앞으로
착각하다 [錯覺-] 〖행정〗 = 잘못 알다
착과 [着果] 〖행정〗 ➜ 열매 달림, 달린 열매
착근 [着根] 〖행정〗 ➜ 뿌리 내림
착뢰 [着蕾] 〖임업〗 ➜ 망울 달림
착립 [着粒] 〖농업〗 ➜ 알 달림
착모 [着帽] 〖행정〗 ➜ 모자쓰기
착물 [着物, きもの] 〖패션〗 ➜ 기모노
착복식 [着服式] 〖행정〗 = 새옷(턱)내기
착색 [着色] 〖행정〗 ⇨ 색깔내기, 색깔나기, 색칠하기
착색립 [着色粒] 〖행정〗 ➜ 물든 알
착석 [着席] 〖행정〗 ⇨ 앉음
착수 [着手] 〖행정〗 ⇨ 시작
착수하다 [着手-] 〖행정〗 ⇨ 시작하다
착신자 [着信者] 〖행정〗 ⇨ 받는 이/사람
착안하다 [着眼-] 〖행정〗 = 눈여겨보다, 실마리를 얻다
착염후 [着炎後] 〖행정〗 ➜ 불 붙은 뒤
착엽 매수 [着葉枚數] 〖행정〗 ➜ 달린 잎 수
착오 [錯誤] 〖행정〗 ⇨ 잘못
착용하다 [着用-] 〖행정〗 ⇨ 입다, 쓰다, 신다
착유 [搾乳] 〖행정〗 ➜ 젖짜기
착유 [搾油] 〖행정〗 ⇨ 기름짜기
착저 작업 〖행정〗 ➜ 설치 작업
착정 [鑿井] 〖행정〗 ➜ 우물파기
착정 장치[鑿井裝置] 〖행정〗 ➜ 우물 파는 장치
착즙 [搾汁] 〖행정〗 ➜ 즙내기
착탈 [着脫] 〖행정〗 ➜ 붙이고 떼기, 달고 떼기
착화 [着火] 〖행정〗 ➜ 점화, 불 붙이기
착화 [着花] 〖임업〗 ➜ 꽃 달림
찬스 [chance] 〖행정〗 〖언론〗 〖생활외〗 ⇨ 기회 ¶한국에 투자(投資)할 찬스. ¶찬스다 싶어 과감한 투자를 하였다.
찬스 메이커 [chance maker] 〖축구〗 〖핸드볼〗 ⇨ 득점 조력자
찬스 메이킹 [chance making] 〖언론〗 ➜ 기회 만들기 ¶오버헤드킥(→뒤넘겨차기)을 마음대로 구사하며, 환상적인 찬스 메이킹 또한 관중들의 혀를 내두르게 한다.
찬양 [讚揚] 〖행정〗 = 기림
찬팅 [tsanting] 〖미술〗 ➜ 밀랍 그리개, 밀랍 붓
찬합 쌓기 [饌盒-] 〖임업〗 ⇨ 포갠 돌
찰과상 [擦過傷] 〖법의학〗 ⇨ 개갠 상처 〖행정〗 = 긁힌 상처 ※abrasion,
찰나 [刹那] 〖행정〗 = 순간, 짧은 동안
찰주 [擦柱, 刹柱] 〖건축사〗 ⇨ 찰주, 옥심주 ※support of the stupa finial
찰지 [察知] 〖행정〗 ➜ 살펴봄
참석 대상 [參席對象] 〖행정〗 = 나올 사람
참석자 [參席者] 〖행정〗 = 나온 사람
참신한 [斬新-] 〖행정〗 = 새로운
참조 위험률 [參照 危險率] 〖금융〗 ➜ 기준 위험률
참집 [參集] 〖정치〗 ➜ 참석(하여 모임)
참치 라이스 [-rice] 〖식생활〗 ➜ 참치밥
참칭 호주 [僭稱戶主] 〖행정〗 ➜ 자칭 호주
찹 [chop] 〖테니스〗 ➜ 비켜(내려)치기
창강 [創腔] 〖법의학〗 ➜ 상처 공간 ※wound cavity
창관 [創管] 〖법의학〗 ➜ 상처 길, 상처 공간 ※wound tract
창구 [創口] 〖법의학〗 ➜ 상처 구멍 ※wound hole
창단 [創端] 〖법의학〗 ➜ 상처 각 ※wound angle
창도 [唱導] 〖정치〗 ➜ (앞장서) 부름/외침
창상 감염 [創傷感染] 〖행정〗 ➜ 상처 옮음
창성신고 [創姓申告] 〖행정〗 ➜ 성 짓기 신고
창연 [創緣] 〖법의학〗 ➜ 상처 가장자리 ※wound margin
창운 [蒼雲] 〖행정〗 ➜ 푸른 구름
창졸간 [倉卒間] 〖행정〗 ⇨ 갑자기
창출 [創出] 〖정치〗 = 새로 만듦
창해 [滄海] 〖행정〗 ⇨ 넓은 바다
채광 [採光] 〖행정〗 ⇨ 빛/볕 받아들임, 빛/볕 듦
채굴하다 [採堀-] 〖행정〗 ⇨ 캐(어)내다
채납 [採納] 〖행정〗 ⇨ (기부)받음, 받아들임
채널 [channel] 〖언론〗 ⇨ 경로, 통로 ¶감독권이 있는 기관에 비공식적인 채널을 통해 조사를 의뢰한다.
채두 [菜豆] 〖식생활〗 〖행정〗 ➜ 강낭콩
채란 [採卵] 〖행정〗 ➜ 알걷이, 알받기
채랍 [採蠟] 〖농업〗 ➜ 밀따기
채리엇 앤드 폴 시스템 [chariot and pole system] 〖연극〗 ⇨ 수레와 막대 방식
채마밭 [菜麻-] 〖행정〗 ➜ 채소밭, 남새밭
채묘 [採苗] 〖행정〗 ➜ 모찌기 〖벼농사〗
채무 [債務] 〖행정〗 = 빚
채문 [彩紋] 〖행정〗 ➜ 무늬
채밀 [採蜜] 〖농업〗 ➜ 꿀따기
채부 [採否] 〖행정〗 ➜ 채택 여부
채색필 [彩色筆] 〖미술〗 ⇨ 바림붓
채석 [採石] 〖임업〗 = 돌캐기
채엽 [採葉] 〖행정〗 ➜ 잎따기
채전 [菜田] 〖행정〗 ➜ 채소밭
채종 [採種] 〖행정〗 ➜ 씨받기
채종림 [採種林] 〖행정〗 ➜ 씨받이 숲
채주 [債主] 〖행정〗 ➜ 지급 대상자
채증 [採證] 〖행정〗 ➜ 증거 수집
채초 [採草] 〖농업〗 ⇨ 풀 채취
채촌 [採寸] 〖패션〗 ➜ 치수 재기
채취 [採取] 〖행정〗 ⇨ 캐내기
채탄 [採炭] 〖행정〗 ⇨ 탄캐기
채터링 [chattering] 〖전기〗 ⇨ (접점) 진동(接點振動), 흔들림
채팅 [chatting] 〖언론〗 ⇨ (통신) 대화 ¶PC 통신에서 채팅 즐겨요.
채포 [採捕] 〖행정〗 ➜ (해산물) 따다
채포물 [採捕物] 〖행정〗 ➜ 채취물, 잡은 물건, 딴 물건
책가도 [冊架圖] 〖미술사〗 ⇨ 책거리 그림
책공 [柵工] 〖임업〗 ➜ 울(짱)얽기
책동 [策動] 〖행정〗 = 부추김
책무 [責務] 〖행정〗 = 맡은 일
책원 [柵垣] 〖행정〗 ➜ 울타리
책위 [柵圍] 〖행정〗 ➜ 울타리
책자 [冊子] 〖행정〗 = 책
챔프 [champ] 〖언론〗 ⇨ 으뜸선수, 선수권자 ¶“챔프 등극, 너만 믿는다”.
챔피언 [champion] 〖생활외〗 = 으뜸선수, 선수권자 ¶진정한 챔피언은 경기장에서 이겼을 때 겸허하다.
처녀림 [處女林] 〖임업〗 = 원시림
처단하다 [處斷-] 〖행정〗 ⇨ 처벌하다, 형을 과하다
처벌하다 [處罰-] 〖행정〗 ⇨ 벌주다
처분 대전 [處分代錢] 〖행정〗 ➜ 처분 대금
처사 [處事] 〖행정〗 ➜ 일 처리
처소 [處所] 〖행정〗 ⇨ 있는 곳, 주소
처신 [處身] 〖행정〗 ⇨ 몸가짐
척결하다 [剔抉-] 〖행정〗 ⇨ 도려내다, 없애다
척도 [尺度] 〖행정〗 = 자, 기준
척박지 [瘠薄地] 〖행정〗 ➜ 메마른 땅
척박토 [瘠薄土] 〖농업〗 ➜ 메마른 흙(땅)
척사 [擲柶] 〖행정〗 ➜ 윷놀이
척사 대회 [擲柶大會] 〖행정〗 ➜ 윷놀이 대회
척수 [尺數] 〖행정〗 ➜ (자)길이, 치수
척수 [脊髓] 〖행정〗 ⇨ 등골
척악임지 [瘠惡林地] 〖임업〗 ⇨ 척박지
척추(동물) [脊椎] 〖행정〗 = 등뼈 (동물)
천 [瓩] 〖행정〗 ➜ 킬로그램
천 [粁] 〖행정〗 ➜ 킬로미터
천개 [天蓋] 〖행정〗 ➜ (관) 뚜껑
천거하다 [薦擧-] 〖행정〗 ⇨ 추천하다
천경 [淺耕] 〖농업〗 ➜ 얕이갈이
천고 [千古] 〖행정〗 ⇨ 오랜 옛적, 먼 옛날
천공 [穿孔] 〖법의학〗 ➜ 뚫림 ※perforation, 〖임업〗 〖행정〗 ⇨ 구멍뚫기
천공수 [穿孔數] 〖임업〗 ⇨ 구멍 수
천공충 [穿孔蟲] 〖행정〗 ➜ 구멍 벌레
천구소병 [天狗巢病] 〖농업〗 ➜ 빗자루병
천근 [茜根] 〖패션〗 ➜ 꼭두서니(색), 암적색
천근성 [淺根性] 〖행정〗 ➜ 얕은 뿌리성
천기 [天氣] 〖행정〗 ➜ 일기, 날씨
천기 예보 [天氣豫報] 〖임업〗 ➜ 일기 예보
천단고 [天端高] 〖행정〗 ➜ 계획 높이, 수직 높이
천력 [川礫] 〖임업〗 ➜ 강자갈
천립중 [千粒重] 〖농업〗 ➜ 천알 무게
천망 [薦望] 〖행정〗 ➜ 천거, 추천
천명하다 [闡明-] 〖행정〗 ⇨ 밝히다
천반 [天盤] 〖행정〗 ➜ 천정 암반
천부 [天賦] 〖행정〗 ➜ 타고남
천사 [川砂] 〖임업〗 ➜ 강모래
천사리 [川砂利] 〖임업〗 ➜ 강자갈
천상 [川上] 〖패션〗 ➜ 윗(단계) 흐름
천설하다 [穿設-] 〖행정〗 ➜ 뚫어 설치하다
천손강림신화 [天孫降臨神話] 〖민속〗 ⇨ 천강신화
천식 [淺植] 〖농업〗 ➜ 얕심기
천식 중적 상태 [喘息 重積 狀態] 〖법의학〗 ➜ 천식 지속 상태 ※status asthmaticus
천신만고 [千辛萬苦] 〖행정〗 = 온갖 고생
천양 [天壤] 〖행정〗 ⇨ 하늘과 땅
천업 [賤業] 〖행정〗 ➜ 천한 직업
천연두 [天然痘, てんねんとう] 〖행정〗 ⇨ 마마
천연림 보육 [天然林保育] 〖행정〗 ⇨ 자연숲 가꾸기
천연하다 [遷延-] 〖행정〗 ➜ 미루다
천이 행렬 [遷移行列] 〖전기〗 ⇨ 변천 행렬(變遷行列), 천이 행렬 ※transition matrix
천일 건조 [天日乾燥] 〖행정〗 ➜ 볕에 말림
천자 [穿刺] 〖금융〗 ⇨ 천자(가는침 삽입 진찰)
천정 [天井] 〖행정〗 ➜ 천장
천정 [粁程] 〖행정〗 ➜ 킬로미터
천정부지 [天井不知] 〖정치〗 ⇨ 하늘 높은 줄 모름
천중 [川中] 〖패션〗 ➜ 중간(단계) 흐름
천태만상 [千態萬象] 〖행정〗 ⇨ 온갖 모양
천파창 [穿破創] 〖법의학〗 ➜ 터진 상처 ※piercing wound
천하 [川下] 〖패션〗 ➜ 아랫(단계) 흐름
천학비재한 [淺學菲才-] 〖행정〗 ⇨ 별로 아는 것이 없는
천해 [淺海] 〖행정〗 ➜ 얕은 바다
철격자 [鐵格子] 〖행정〗 ➜ 쇠창살
철끈 [綴-] 〖행정〗 ➜ 맴끈
철도임 [鐵道賃] 〖행정〗 ➜ 철도 운임, 기찻삯
철사 쇄정 [鐵絲鎖錠] 〖전철〗 ⇨ 철사 잠금 장치 ※detector locking
철삭 [鐵索] 〖임업〗 ⇨ 쇠밧줄, 와이어로프
철야하다 [徹夜-] 〖행정〗 = 밤새우다
철자법 [綴字法] 〖행정〗 = 맞춤법
철저히 [徹底-] 〖행정〗 = 틀림없이
철퇴를 내리다 [鐵槌-] 〖행정〗 = 되게 혼내다
철폐하다 [撤廢-] 〖행정〗 ⇨ 없애다
철하다 [綴-] 〖행정〗 = 매다
철회하다 [撤回-] 〖행정〗 ⇨ 거두어 들이다
첨가하다 [添加-] 〖행정〗 = 더 넣다, 더 보태다
첨기하다 [添記-] 〖행정〗 ⇨ 덧붙여 적다/쓰다
첨기한 [添記-] 〖행정〗 ⇨ 덧붙여 쓴, 더 적은
첨단 [尖端] 〖행정〗 = 앞섬
첨단벌채 [尖端伐採] 〖행정〗 ➜ 끝자르기
첨목 [添木] 〖행정〗 ➜ 버팀목
첨병 [尖兵] 〖정치〗 = 선봉장, 앞장
첨부 [添附] 〖행정〗 = (덧)붙임
첨부하다 [添附-] 〖행정〗 = (덧)붙이다
첨서 [添書] 〖행정〗 ⇨ 덧붙여 씀
첨서하다 [添書-] 〖행정〗 ⇨ 덧붙여 쓰다
첨석 [尖石] 〖임업〗 ➜ 뾰족돌
첨속 [添屬] 〖행정〗 ➜ 붙임
첨송하다 [添送-] 〖행정〗 ➜ 덧붙여 보내다, 함께 보내다
첨승 [添乘] 〖전철〗 ⇨ 지도 승차, 〖행정〗 ➜ 곁타기
첨언하다 [添言-] 〖행정〗 ➜ (말을) 덧붙이다
첨예하게 [尖銳-] 〖행정〗 ⇨ 날카롭게
첨장 [添狀] 〖행정〗 ➜ 첨가 명세서
첨착 [添着] 〖행정〗 ➜ 덧붙이기
첩경이다 [捷徑-] 〖행정〗 ⇨ 지름길이다
첩로 [捷路] 〖행정〗 ➜ 지름길
첩부하다 [貼付-] 〖행정〗 ➜ 붙이다
첩지 [貼紙] 〖행정〗 ➜ (광고물을) 붙임
첩착 [貼着] 〖행정〗 ➜ 펴붙이기
청경법 [淸耕法] 〖농업〗 ➜ 김매 가꾸기
청고병 [靑枯病] 〖행정〗 ➜ 시들병, 풋마름병
청동단검 [銅劍] 〖고고학〗 ⇨ 청동검 ※bronze dagger
청동화촉 [銅鏃] 〖고고학〗 ⇨ 청동화살촉 ※bronze arrowhead
청력 [聽力] 〖행정〗 = 듣는 능력
청마 [靑麻] 〖임업〗 ➜ 어저귀
청무 [廳務] 〖행정〗 ➜ 관청 업무
청문서 [請問書] 〖행정〗 ➜ 방문 신청서
청미 [靑米] 〖농업〗 ➜ 청치
청부 [請負, うけおい] 〖행정〗 ⇨ 도급
청사진 [靑寫眞] 〖정치〗 = 미래상
청산 [淸算] 〖정치〗 = 씻어냄, 정리함
청선 [靑線] 〖행정〗 ➜ 푸른 줄
청수 [聽守] 〖행정〗 ➜ 듣기, 청취
청예 [靑刈] 〖행정〗 ➜ 풋베기
청예대두 [靑刈大豆] 〖농업〗 ➜ 풋베기 콩
청예목초 [靑刈牧草] 〖행정〗 ➜ 풋베기 목초
청예사료 [靑刈飼料] 〖행정〗 ➜ 풋베기 사료
청예옥촉서 [靑刈玉蜀黍] 〖농업〗 ➜ 풋베기 옥수수
청인 [廳印] 〖정치〗 ➜ 관인
청정채소 [淸淨菜蔬] 〖농업〗 ➜ 맑은 채소
청초 [靑草] 〖농업〗 ➜ 생풀, 날풀, 풋담배
청취하다 [聽取-] 〖행정〗 ⇨ 듣다
청탁 [請託] 〖정치〗 = 부탁
청하다 [請-] 〖행정〗 ➜ 바라다
청허하다 [聽許-] 〖행정〗 ➜ 허락하다
체감 [體感] 〖행정〗 ⇨ 피부(로) 느낌
체결 우편낭 [締結郵便囊] 〖행정〗 ➜ 묶은 (우편) 자루
체결 행낭 [締結行囊] 〖행정〗 ➜ 묶은 (우편) 자루
체결구 [締結口] 〖전철〗 ⇨ 연결구
체고 [締固] 〖임업〗 ➜ 다짐, 다지기
체고 [體高] 〖행정〗 ➜ 키
체고곡선 [締固曲線] 〖임업〗 ➜ 다짐 곡선
체고기계 [締固機械] 〖임업〗 ➜ 다짐 기계
체납되다 [滯納-] 〖행정〗 ⇨ 밀리다
체납세 [滯納稅] 〖행정〗 ⇨ 밀린 세금
체납하다 [滯納-] 〖행정〗 ⇨ 제때에 못/안 내다
체당금 [替當金] 〖행정〗 ⇨ 미리 충당한 돈
체득 [體得] 〖행정〗 ⇨ 터득
체득하다 [體得-] 〖행정〗 ⇨ 터득하다, 몸으로 익히다
체류하다 [滯留-] 〖행정〗 = 묵다, 머무르다
체벌 [體罰] 〖행정〗 = 몸벌
체부 [締付] 〖전기〗 ➜ 조임, 끼우기
체불 노임 [滯拂勞賃] 〖행정〗 ⇨ 밀린 (품)삯
체비지 [替費地] 〖행정〗 = 환지 처분 제외 땅
체송원 [遞送員] 〖행정〗 ⇨ 문서 전달원
체송함 [遞送函] 〖행정〗 ⇨ 운송함
체수 [滯水] 〖행정〗 ➜ 물 굄, 괸 물
체스트 패스 [chest pass] 〖농구〗 ⇨ 가슴높이 연결
체신 휘장 [遞信徽章] 〖행정〗 = 체신 마크
체약국 [締約國] 〖행정〗 ⇨ 조약 체결국
체어 엄파이어 [chair umpire] 〖테니스〗 ➜ 주심
체이닝 기법 [chaining 技法] 〖미술〗 ➜ 사슬뜨기
체인 [chain] 〖행정〗 ➜ 배급망, 사슬, 연쇄
체인 단추 [chain-] 〖패션〗 ⇨ (쇠)사슬 단추
체인 벨트 [chain belt] 〖패션〗 ⇨ (쇠)사슬 허리띠
체인 스토어 [chain store] 〖패션〗 〖행정〗 ➜ 연쇄점
체인 스티치 [chain stitch] 〖패션〗 〖봉제〗 ⇨ 사슬뜨기
체인점 [chain 店] 〖패션〗 〖생활외〗 ➜ 연쇄점 ¶전문 완구 체인점입니다.
체인지 [change] 〖생활외〗 ➜ 교환, 교대, 교체, 변경, 바꾸기
체인지 멤버 [change member] 〖축구〗 ➜ 선수 교체
체인지 엔드 [change end] 〖배드민턴〗 ➜ 자리 바꿈
체인지 코트 [change court] 〖테니스〗 ⇨ 자리 바꿈
체인지 패스 [change pass] 〖핸드볼〗 ⇨ 바꿔주기
체인지업 [change-up] 〖언론〗 ➜ 변화(구) ¶여기에 2가지 커브, 즉 슬로커브와 슬라이더성 커브(일명 슬러브), 그리고 체인지업을 섞는다.
체인 측량 [chain 測量] 〖임업〗 ⇨ 줄 측량, 사슬자 측량
체임 [替任] 〖행정〗 ➜ 교체 임용
체임버 [chamber] 〖전기〗 ⇨ 용기(容器), (밀폐) 그릇
체장 [體長] 〖행정〗 ➜ 몸길이, 키
체재하다 [滯在-] 〖행정〗 ⇨ 머물다, 묵다
체적 [體積] 〖행정〗 ⇨ 부피
체절제 [締切堤] 〖임업〗 ➜ 물막잇둑
체중 [體重] 〖행정〗 = 몸무게
체증식 〖행정〗 ⇨ 증가식
체차로 [遞次-] 〖행정〗 ➜ 차례차례로
체착 [締着] 〖행정〗 ➜ 죄어붙이기
체척 [體尺] 〖행정〗 ➜ 몸 치수 재기
체촌 [體寸] 〖행정〗 ➜ 몸 치수 재기
체커 [checker] 〖생활외〗 ➜ (영화) 검표원
체크 [check] 〖생활외〗 〖행정〗 〖언론〗 ⇨ 점검, 대조 ¶목표량의 달성 여부를 체크해 보는 것도 즐거운 일이 될 것이다. ¶뉴저지의 한 병원에서 자기 공명 촬영(MRI) 체크 결과 ···
체크 라이터 [check writer] 〖행정〗 ➜ 수표 금액 기입기
체크룸 [check room] 〖행정〗 ➜ 보관소
체크리스트 [check list] 〖경제〗 〖금융〗 〖행정〗 ➜ 점검표, 대조표
체크 보드 [check board] 〖행정〗 ➜ 기록판
체크 턴 [check turn] 〖스키〗 ➜ 모서리 세워 돌기
체크 포인트 [check point] 〖언론〗 ➜ 점검 사항 ¶도우미들이 말하는 체크포인트.
체크 프라이스 [check price] 〖행정〗 ➜ 수출 가격 기준, 제한 가격
체크하다 [check-] 〖행정〗 ⇨ 점검하다, 대조하다
체포하다 [逮捕-] 〖행정〗 = (붙)잡다
체화 [滯貨] 〖행정〗 ➜ 밀린 화물
체환 [替換] 〖행정〗 ➜ 교체 발행
초 룰 [秒 rule] 〖농구〗 ➜ 초 규정
초자원 개발 [草資源開發] 〖행정〗 ➜ 풀 자원 개발
초결실 [初結實] 〖농업〗 ➜ 첫 열림
초고 [草高] 〖농업〗 ➜ 풀 길이
초과 청약액 [超過 請約額] 〖금융〗 ➜ 가입 한도 초과액
초과하다 [超過-] 〖행정〗 = 넘다
초근 [草根] 〖행정〗 ➜ 풀뿌리
초년 [初年] 〖행정〗 ➜ 첫해, 젊은 시기
초도 [初度] 〖행정〗 ➜ 첫번, 처음
초도 순시 [初度巡視] 〖행정〗 ➜ 처음 방문, 첫 방문
초동 진화 [初動鎭火] 〖임업〗 = 바로 불 끄기
초두 [初頭] 〖행정〗 ➜ 첫머리, 애초
초두목 [初頭木] 〖행정〗 ⇨ 우듬지
초래하다 [招來-] 〖행정〗 = 가져오다, 하게 하다
초로성 치매 [初老性 癡呆] 〖법의학〗 ➜ 노인 치매 ※presenile dementia
초류 제거 작업 [草類除去作業] 〖행정〗 〖농업〗 ➜ 풀베기
초망 [抄網] 〖행정〗 ➜ 채그물
(초목) 생장의 [生長-] 〖행정〗 ➜ (초목이) 자라는
초목회 [草木灰] 〖농업〗 〖행정〗 ➜ 재거름
초묵 [蕉墨] 〖미술사〗 ⇨ 진먹, 초묵
초미의 [焦尾-] 〖행정〗 ⇨ 매우 (위)급한
초발이 [←初發茸] 〖임업〗 ➜ 첫물 버섯
초본류 [草本類] 〖행정〗 ⇨ 풀붙이
초빙 [招聘] 〖행정〗 = 모심
초사료 [草飼料] 〖행정〗 ➜ 풀사료, 풀먹이
초상 [初霜] 〖임업〗 〖행정〗 ➜ 첫서리
초생수로 [草生水路] 〖임업〗 ⇨ 풀수로, 풀도랑
초생추 [初生雛] 〖행정〗 ➜ 갓 깬 병아리
초석 [礎石] 〖행정〗 ⇨ 주춧돌
초석 [草席] 〖행정〗 ➜ (거적)자리, 짚자리
초세 [草勢] 〖농업〗 ➜ 풀 자람새
초슬림형 제품 [超 slim 型 製品] 〖언론〗 ➜ 초박형 제품 ¶(전략) 초슬림형 제품이다.
초식 가축 [草食家畜] 〖행정〗 ➜ 풀먹이 가축
초심자 [初心者] 〖행정〗 = 처음 배우는 사람
초안 [硝安] 〖행정〗 ➜ 질산암모니아
초유 [初乳] 〖행정〗 ⇨ 첫젖
초유의 [初有-] 〖행정〗 = 처음 있는
초일 [初日] 〖금융〗 〖행정〗 ⇨ 첫날
초자 [硝子] 〖행정〗 ➜ 유리
초자 [草姿] 〖농업〗 ➜ 풀 모양
초장 [草長] 〖농업〗 ➜ 풀 길이
초종 [草種] 〖행정〗 ➜ 풀 종류
초즙 [草葺] 〖행정〗 ➜ 초가 지붕, 이엉
초지 [抄紙] 〖임업〗 ➜ 종이뜨기
초지 [草地] 〖행정〗 ⇨ 풀밭, 꼴밭
초지 개량 [草地改良] 〖행정〗 ⇨ 꼴밭 개량
초지 조성 [草地造成] 〖행정〗 ⇨ 꼴밭 가꾸기/만들기
초춘 [初春] 〖정치〗 ⇨ 이른봄, 초봄
초치하다 [招致-] 〖행정〗 ⇨ 청해 오다, 불러 오다
초크 스트라이프 [chalk stripe] 〖패션〗 ⇨ 초크 줄무늬
초필 [炒筆] 〖미술〗 ⇨ 베낌붓
초필 [草筆] 〖미술〗 ⇨ 풀붓
초하다 [抄-] 〖행정〗 ➜ 뽑아 적다
초화물 〖행정〗 ➜ 질산 화합물
초회 보험료 [初回 保險料] 〖금융〗 ⇨ 첫회 보험료
촉각 [觸角] 〖임업〗 ⇨ 더듬이
촉구함 [促求-] 〖행정〗 ⇨ 거듭 부탁함
촉박하다 [促迫-] 〖행정〗 ⇨ 시간 없다, 밭다, 얼마 안 남았다
촉성 재배 [促成栽培] 〖행정〗 ⇨ 철당겨 가꾸기
촉수 엄금 [觸手嚴禁] 〖행정〗 ➜ 손(을) 대지 말 것
촉진 [觸診] 〖행정〗 ⇨ 만짐 진단
촉탁하다 [囑託-] 〖행정〗 ⇨ 맡기다
촌각 [寸刻] 〖행정〗 ⇨ 잠깐 동안
촌법 [寸法] 〖행정〗 ➜ 치수
촌수 [寸數] 〖전기〗 ⇨ 치수, 크기
촌음 [寸陰] 〖정치〗 ⇨ 짧은 시간
촌저 [寸楮] 〖행정〗 ➜ 짧은 편지
촌지 [寸志] 〖행정〗 ➜ 작은 뜻
촌촌 [ちょんちょん] 〖신문〗 ➜ 거듭표
총괄 제어 [總括制禦] 〖전철〗 ⇨ 일괄 제어
총괄 계정 [總括計定] 〖정치〗 ⇨ 전체 계정
총괄하여 [總括-] 〖행정〗 = 통틀어
총력 [總力] 〖행정〗 ⇨ 온 힘
총열 [總閱] 〖행정〗 ➜ 일제 조사, 일제 검열
총용 뇌관 [銃用雷管] 〖행정〗 ➜ 총 뇌관
총용 실포 [銃用實包] 〖행정〗 ➜ 총알
총유 [總有] 〖행정〗 ➜ 공동 소유
총의 [總意] 〖행정〗 ➜ 전체 뜻
총장 [總長] 〖패션〗 ➜ 총 길이
총창 [銃創] 〖법의학〗 ➜ 총알 상처, 총 상처 ※gunshot wound, bullet wound
총채 〖행정〗 = 먼지떨이
총체 [總體] 〖행정〗 ➜ 모두, 전체, 전부
총체 보리 [總體-] 〖농업〗 ➜ 풋통보리
최고 [催告] 〖행정〗 〖금융〗 ➜ 독촉, 재촉 ※민법상 용어와 다름
최근 [最近] 〖행정〗 = 요즈음
최근지의 [最近地-] 〖행정〗 ➜ 가장 가까운
최기 우체국 [最寄郵遞局] 〖행정〗 ➜ 가장 가까운 우체국
최기한 [最寄-] 〖행정〗 ➜ 가장 가까운
최단 [最短] 〖행정〗 ⇨ 가장 짧음
최단의 [最短-] 〖행정〗 ⇨ 가장 짧은
최대 촌법 [最大寸法] 〖행정〗 ➜ 상한치, 상한 값
최대 현안 [最大懸案] 〖행정〗 ⇨ 가장 큰 문제
최대 홍수량 [最大洪水量] 〖임업〗 ⇨ 최대 홍수유량
최번시 [最煩時] 〖행정〗 ➜ 가장 바쁜 때
최소반경 [最小半徑] 〖임업〗 ⇨ 최소 반지름
최소촌법 [最小寸法] 〖행정〗 ➜ 하한치, 하한 값
최아 [催芽] 〖행정〗 ➜ 싹틔우기
최적의 [最適-] 〖행정〗 ⇨ 가장 알맞은
최전부 객차 [最前部客車] 〖행정〗 ➜ 맨 앞쪽 객차
최전열 [最前列] 〖행정〗 ➜ 맨 앞 줄
최종 [最終] 〖행정〗 ⇨ 마지막
최종일 [最終日] 〖행정〗 ⇨ 마지막 날
최직근 [最直近] 〖금융〗 ➜ 최근(最近)
최청 [催靑] 〖행정〗 ➜ 누에 알깨기
최초 [最初] 〖행정〗 = 맨 처음
최촉하다 [催促-] 〖행정〗 ➜ 재촉하다, 독촉하다
최하 [最下] 〖행정〗 = 맨 아래
최후부 객차 [最後部客車] 〖행정〗 ➜ 맨 뒤쪽 객차
추가 경정 [追加更正] 〖행정〗 ⇨ 덧고침
추가하다 [追加-] 〖행정〗 = 덧붙이다
추경 [秋耕] 〖행정〗 ➜ 가을갈이
추경예산 [追更豫算] 〖행정〗 ⇨ 수정 예산, 덧고침 예산
추계 [推計] 〖행정〗 ➜ 어림셈
추계 대회 [秋季大會] 〖행정〗 ⇨ 가을(철) 대회
추계 수납 [秋季收納] 〖행정〗 ⇨ 가을(철) 거둠
추곡 [秋穀] 〖행정〗 ⇨ 가을걷이 곡식, 벼
추곡 수매가 [秋穀收買價] 〖행정〗 ➜ 벼 사들이는 값
추구 [追口] 〖임업〗 ➜ 따라베기, 뒤베기
추궁하다 [追窮-] 〖행정〗 ⇨ 캐묻다, 따져 묻다
추급금 [追給金] 〖행정〗 ➜ 추가 지급금
추기 [抽氣] 〖전기〗 ⇨ 증기 빼기(蒸氣-) ※steam extraction
추기 [追記] 〖미술〗 ➜ 추킴
추대 [推戴] 〖행정〗 ⇨ 받듦
추돌 [追突] 〖행정〗 ⇨ (뒤)들이받음
추락 분만 [墜落 分娩] 〖법의학〗 ⇨ 신생아 떨굼, 신생아 떨어진 분만
※precipitate labor
추락하다 [墜落-] 〖행정〗 = 떨어지다
추렴하다 〖행정〗 = 나누어 내다
추록 [追錄] 〖행정〗 ➜ 추가 기록
추리닝 [トレーニング, ←training] 〖패션〗 ➜ 연습복, 운동복
추문필 [推問畢] 〖행정〗 ➜ 내용 문의 끝냄
추방하다 [追放-] 〖행정〗 = 몰아내다
추백리병 [雛白痢病] 〖행정〗 ➜ 병아리 (흰)설사병
추병 [錘倂] 〖행정〗 ➜ 추 붙은
추보 [追補] 〖행정〗 ➜ 보완
추불 계리 [追拂計理] 〖행정〗 ➜ 추가 계산
추비 [追肥] 〖임업〗 ⇨ 웃거름, 덧거름
추산하다 [推算-] 〖행정〗 ⇨ 어림잡다
추상 [醜傷] 〖금융〗 ⇨ 심한 흉터, 〖행정〗 ➜ 흉한 상처
추상 [醜相] 〖행정〗 ➜ 추한 모양/현상
추세 [趨勢] 〖행정〗 = 흐름세, 되어 가는 모습
추송하다 [追送-] 〖행정〗 ➜ 뒤따라 보내다
추수 [秋收] 〖행정〗 = 가을걷이
추식 [秋植] 〖임업〗 ⇨ 가을심기
추신 [追伸] 〖행정〗 = 붙임
추심 [推尋] 〖경제〗 ⇨ 받아냄, 결재 요구, 〖행정〗 ⇨ 챙겨 받음, 챙김
추심 명령 [推尋命令] 〖행정〗 ⇨ 챙겨 오도록 함
추심경 [秋深耕] 〖행정〗 ➜ 가을 깊이갈이
추악 [醜惡] 〖행정〗 = 보기 흉함
추앙 [推仰] 〖행정〗 ⇨ 우러러봄
추업 [醜業] 〖행정〗 ➜ 추한 업종, 추한 직업
추완 [追完] 〖행정〗 ➜ 추가 보완
추완 신고 [追完申告] 〖행정〗 ➜ 보완 신고
추월 [追越, おいこし] 〖행정〗 ⇨ 앞지르기
추이 [推移] 〖행정〗 ⇨ 움직임
추인 [追認] 〖행정〗 ⇨ 추후 인정
추잠 [秋蠶] 〖행정〗 ⇨ 가을누에
추잠종 [秋蠶種] 〖행정〗 ➜ 가을누에 씨
추적하다 [追跡-] 〖행정〗 = 뒤쫓다
추정하다 [推定-] 〖행정〗 = 짐작하다
추종하다 [追從-] 〖행정〗 ⇨ 좇다, 따르다
추지 [秋枝] 〖임업〗 ➜ 가을 가지
추지하다 [推知-] 〖행정〗 ➜ 추측하여 알다
추진 운전 [推進運轉] 〖전철〗 ⇨ 밀기 운전, 밀어 운전
추진하다 [推進-] 〖행정〗 = 밀(고 나가)다
추징 [追徵] 〖정치〗 = 추가 징수
추차 여자 [追次勵磁] 〖전기〗 ⇨ 순차 여자(順次 勵磁)
추첨 [抽籤] 〖행정〗 = 제비뽑기
추체 유돌부 출혈 [錐體 乳突部 出血] 〖법의학〗 ➜ 바위 부분 출혈 ※petromastoid hemorrhage
추출하다 [抽出-] 〖행정〗 = 뽑아 내다
추파 [秋播] 〖임업〗 ⇨ 가을 씨뿌리기, 가을 파종
추파 [追播] 〖농업〗 ➜ 덧뿌림
추호도 [秋毫-] 〖행정〗 = 조금도
추후 [追後] 〖행정〗 = 다음, 뒤, 나중, 이 다음
추후 통보함 [追後通報-] 〖행정〗 ➜ 다음에 알려 드림
추흔 [醜痕] 〖행정〗 ➜ 추한 흔적
축거 [軸距] 〖행정〗 ➜ 앞뒤바퀴 거리
축사 [畜舍] 〖행정〗 ⇨ 가축 우리
축석공 [築石工] 〖임업〗 ➜ 돌 쌓기
축설 [軸設] 〖행정〗 ➜ 굴대 설치
축소하다 [縮小-] 〖행정〗 = 줄이다
축수 [軸數] 〖전철〗 ⇨ 굴대수
축엽병 [縮葉病] 〖임업〗 ➜ 오갈잎병
축재 [蓄財] 〖정치〗 = 재산을 모음
축제 [祝祭] 〖행정〗 ➜ 축전, 잔치
축제고 [築堤高] 〖행정〗 〖임업〗 ➜ 둑 높이
축제공 [築堤工] 〖행정〗 〖임업〗 ➜ 둑 쌓기
축조 [築造] 〖행정〗 ⇨ 쌓음, 쌓아 만듦
축조 [逐條] 〖행정〗 ➜ 조목별
축지 [軸止] 〖행정〗 ➜ 굴대 고정
축차제본 [逐次製本] 〖행정〗 ➜ 연속 제본
축척 [縮尺] 〖행정〗 ⇨ 줄임표
축추 [縮皺] 〖행정〗 ➜ 주름
축출변수 [逐出變數] 〖임업〗 ⇨ 탈락 변수
축출하다 [逐出-] 〖행정〗 ⇨ 내쫓다
축호 [逐號] 〖행정〗 ➜ 차례
축호 번호 [逐號番號] 〖행정〗 ➜ 차례 번호
춘경 [春耕] 〖농업〗 ➜ 봄갈이
춘계 대회 [春季大會] 〖행정〗 ⇨ 봄(철) 대회
춘계 재배 [春季栽培] 〖농업〗 ➜ 봄 가꾸기
춘국 [春菊] 〖농업〗 ➜ 쑥갓
춘몽 [春夢] 〖행정〗 = 봄꿈
춘미삼 [春尾蔘] 〖임업〗 ➜ 말린 묘삼
춘벌 [春伐] 〖농업〗 ➜ 봄베기
춘사 [椿事] 〖행정〗 ➜ 불상사, 참사
춘식 [春植] 〖농업〗 ➜ 봄심기
춘잠 [春蠶] 〖행정〗 ⇨ 봄누에
춘잠종 [春蠶種] 〖행정〗 ➜ 봄누에 씨
춘파 [春播] 〖행정〗 ➜ 봄씨 뿌림
춘파묘 [春播苗] 〖농업〗 ➜ 봄모
출각견 [出殼繭] 〖잠업〗 ➜ 나방 난 고치
출감 [出監] 〖행정〗 ➜ 출소
출계자 [出系子] 〖행정〗 ➜ 양자 간 아들
출구 [出口] 〖행정〗 = 나가는 곳, 날목
출국할 것 [出局-] 〖행정〗 ➜ 국으로 올 것
출급 [出給] 〖행정〗 ⇨ 내어줌
출납 폐쇄 기한 [出納閉鎖期限] 〖행정〗 ➜ 출납 마감 기한
출두 [出頭] 〖행정〗 ⇨ 출석
출두바람/할 것 [出頭-] 〖행정〗 ⇨ 나와 주시기 바람
출무 [出務] 〖정치〗 ➜ 근무
출사 [出絲] 〖농업〗 ➜ 수염나기
출산 [出産, しゅっさん] 〖행정〗 ⇨ 해산
출산율 [出産率, しゅっさんりつ] 〖행정〗 ⇨ 출생률
출서하다 〖행정〗 ➜ (징병서로) 나오다
출석하다 [出席-] 〖행정〗 = 나오다, 나가다
출소 [出訴] 〖행정〗 ➜ 소송냄
출수 [出水] 〖행정〗 ⇨ 물 흐름, 물 솟음
출수 [出穗] 〖행정〗 ➜ 이삭패기
출수기 [出穗期] 〖농업〗 ➜ 이삭 팰 때
출실하다 [出室-] 〖행정〗 ➜ (방에서) 내보내다/나오다
출아 [出芽] 〖임업〗 ➜ 싹틈
출어 [出漁] 〖행정〗 = 고기잡이 떠남
출연 [出捐] 〖행정〗 ➜ 돈 냄
출영 [出迎] 〖정치〗 ⇨ 마중
출원 [出願] 〖행정〗 ➜ 원서 제출
출입 금지 [出入禁止] 〖행정〗 ➜ 들어가지 마십시오
출입구 [出入口] 〖행정〗 ➜ 나들문, 출입문
출재 [出再] 〖금융〗 ➜ 재보험 가입
출재 [出財] 〖행정〗 ➜ 재산을 내놓음
출저견 [出蛆繭] 〖행정〗 ➜ 구더기 나온 고치
출적 [出積] 〖임업〗 ➜ 내어 쌓기
출정 [出廷] 〖행정〗 ⇨ 법정에 나옴
출주하다 [出走-] 〖행정〗 ➜ 달아남
출중 [出衆] 〖정치〗 = 뛰어남
출찰구 [出札口, しゅっさつぐち] 〖행정〗 ➜ 표 사는 곳
출처 [出處] 〖행정〗 ⇨ 나온 데
출청할 것 [出廳-] 〖행정〗 ➜ 청으로 올 것
출타지 [出他地] 〖정치〗 ⇨ 나가 있는 곳
출하 [出荷, しゅっか] 〖행정〗 ⇨ 실어내기
출하기 [出荷期] 〖행정〗 ➜ 실어 내는 철
출항하다 [出港-] 〖행정〗 = (배가) 나가다
출향 [出向] 〖행정〗 ➜ 출발
출현하다 [出現-] 〖행정〗 = 나타나다
출혈반 [出血斑] 〖법의학〗 ➜ 얼룩 출혈, 반상(斑狀) 출혈 ※ecchymosis
출회량 [出廻量] 〖행정〗 ⇨ 나도는 양
출회하다 [出廻-] 〖행정〗 ⇨ (시장에) 나돌다
충격하다 [衝擊-] 〖행정〗 ⇨ 부딪치다, 서로 세게 부딪치다
충기판실 〖행정〗 ⇨ 충기 밸브실
충당하다 [充當-] 〖행정〗 = 메우다, 채우다
충돌 [衝突] 〖행정〗 = 마주 부딪침
충만 [充滿] 〖정치〗 = 가득 참
충매 전염 [蟲媒傳染] 〖행정〗 ➜ 벌레 전염
충분 [蟲糞] 〖행정〗 ➜ 벌레똥
충분한 [充分-] 〖행정〗 = 넉넉한
충소 [蟲巢] 〖임업〗 ➜ 벌레집
충수하다 [充水-] 〖행정〗 ➜ 물 채우다
충영 [蟲癭] 〖임업〗 ➜ 벌레혹
충용하다 [充用-] 〖행정〗 ➜ 채워 쓰다, 보충하여 쓰다
충원 소집 [充員召集] 〖행정〗 ➜ 병력 동원 소집
충전재 [充塡材] 〖임업〗 ➜ 채움재
충전제 [充塡劑] 〖임업〗 ➜ 틈 메움제, 채움약
충전하다 [充塡-] 〖행정〗 ⇨ 채우다
충흔 [蟲痕] 〖행정〗 ➜ 벌레 먹은 흔적
췌염 [膵炎] 〖법의학〗 ➜ 이자염, 췌장염 ※pancreatitis
취객 [醉客] 〖행정〗 = (술) 취한 사람
취거 [取去] 〖전철〗 ⇨ (열쇠) 뽑기
취거한 [取去-] 〖행정〗 ➜ 가져간
취골 [聚骨] 〖행정〗 ➜ 가족 묘지
취급 [取扱] 〖행정〗 = 다룸
취급하다 [取扱-] 〖행정〗 = 다루다
취기 [取寄] 〖행정〗 ➜ (사건 기록을) 가져옴
취득한 [取得-] 〖행정〗 ⇨ 얻은
취락 [聚落] 〖행정〗 ➜ 촌락, 마을
취로비 [就勞費] 〖행정〗 ➜ 품삯, 품값
취명하다 [吹鳴-] 〖행정〗 ➜ 울리다
취목 [取木] 〖임업〗 ➜ 휘묻이
취미 [臭味] 〖행정〗 ➜ 냄새와 맛
취백 [就白] 〖정치〗 ➜ 아뢰옵건대
취부 [取付] 〖전기〗 ➜ (덧)붙임, 부착
취부 공사 [吹付工事] 〖행정〗 ➜ 뿜칠 (공사)
취부공 [吹付工] 〖임업〗 ➜ 뿜어 붙이기
취부하다 [取附-] 〖행정〗 ➜ 붙이다
취사 [炊事] 〖행정〗 ⇨ 밥짓기, 부엌일
취소 [取消, とりけし] 〖행정〗 ⇨ 무름, 말소
취소성 [就巢性] 〖축산〗 ➜ 품는 버릇
취송 [就悚] 〖행정〗 ➜ 드릴 말씀은
취식 [取食] 〖행정〗 ➜ 먹기
취약 소포 [脆弱小包] 〖행정〗 ➜ 깨지기 쉬운 소포
취약점 [脆弱點] 〖행정〗 = 허술한 점
취약지 [脆弱地] 〖행정〗 = 어렵고 외진 지역, 약한 곳
취업 [就業)] 〖행정〗 = 일자리 얻음, 취직
취인 [取引] 〖행정〗 ➜ 거래
취입 [取入] 〖행정〗 ➜ 끌어들임
취입 [吹入] 〖행정〗 ➜ 녹음
취적 [就籍] 〖행정〗 ➜ 호적 등재
취적 신고 [就籍申告] 〖행정〗 ➜ 호적 취득 신고, 호적 재신고
취적자 [就籍者] 〖행정〗 ➜ 호적 취득자
취전(하다) [取纏-] 〖행정〗 ➜ 걷어 모으다, 모아 간추리다
취조 [取調] 〖행정〗 ➜ 조사, 신문, 심문, 문초
취지 [趣旨] 〖행정〗 = 본뜻, 뜻
취집 [取集] 〖행정〗 ➜ 수집
취체 [取替] 〖행정〗 ➜ 갈아대기
취체(하다) [取締(-)] 〖행정〗 ➜ 단속(하다)
취출 [取出] 〖행정〗 ➜ 꺼냄
취침 시간 [就寢時間] 〖행정〗 ⇨ 자는 시간
취하 [取下] 〖행정〗 ⇨ 철회, 취소, 무름
취합하다 [聚合-] 〖행정〗 ⇨ 모으다
취형 [取型] 〖행정〗 ➜ 본뜨기
측각계 [測角計] 〖임업〗 ➜ 각도계
측각기 [測角器] 〖임업〗 ➜ 각도계
측거 [測距] 〖임업〗 ➜ 거리 측량
측구 [側溝] 〖행정〗 ➜ 옆도랑, 길도랑
측근 [側根] 〖행정〗 ➜ 곁뿌리
측렬 [側裂] 〖행정〗 ➜ 가로틈
측로 [側路] 〖전기〗 ⇨ 우회로, 에돌기 ※bypass
측면도 [側面圖] 〖행정〗 = 옆 모양 그림
측방집재 [側方集材] 〖임업〗 = 옆 방향 나무 모으기
측벽 [側壁] 〖행정〗 ➜ 옆벽
측쇄 [測鎖] 〖임업〗 ➜ 체인, 사슬자
측수 〖전철〗 〖행정〗 ➜ 사이드 베어링
측승 [測繩] 〖임업〗 ➜ 잼줄
측심의 [測深儀] 〖행정〗 ➜ 측심기
측아 [側芽] 〖행정〗 ➜ 곁눈
측약 [側藥] 〖행정〗 ➜ 마찰약
측용법 [測容法] 〖임업〗 ➜ 측용 기법
측정 [測定] 〖행정〗 = 잼
측지 [側枝] 〖임업〗 ➜ 곁가지
측창 [側窓] 〖건설〗 ➜ 곁창
측판 [側板] 〖농업〗 ➜ 옆판자(통)
측표 [測標] 〖행정〗 ➜ 측량 표지
측화아 [側花芽] 〖임업〗 ➜ 곁꽃눈
측후 [測候] 〖행정〗 ➜ 기상 측정
층고 [層高] 〖행정〗 ➜ 층높이
층심 케이블 [層芯 cable] 〖전기〗 ⇨ 쌍심 케이블(雙芯-), 이중 케이블(二重-) ※duplex cable
층적 저장법 [層積貯藏法] 〖축산〗 ➜ 층층 갈무리
치 [値] 〖행정〗 ⇨ 값
치관보철 [齒冠補綴] 〖행정〗 ➜ 치아 보강
치도 [齒刀] 〖행정〗 ➜ 풀(깎는)칼
치레걸이 [裝身具] 〖고고학〗 ⇨ 꾸미개, 장신구 ※personal ornament
치목 [治木] 〖미술〗 ⇨ 마름질
치묘 [稚苗] 〖농업〗 ⇨ 어린모
치미 [治尾] 〖임업〗 ➜ 뿌리따기
치미와 [悉尾瓦] 〖건축사〗 ⇨ 치미(기와) ※acroterion; ridge-end ornamental tiles
치부 [恥部] 〖행정〗 = 부끄러운 데/곳
치사 [致辭/詞] 〖행정〗 ⇨ 치하 말(씀)
치사하다 [致死-] 〖행정〗 ⇨ 숨지게 하다, 죽게 하다
치상 [致傷] 〖행정〗 ⇨ 상처 입힘
치석 [置石] 〖행정〗 ➜ (선로에) 돌놓기
치수 [-數] 〖행정〗 = 길이
치수 [稚樹] 〖행정〗 ➜ 어린나무
치수무육 [稚樹撫育] 〖행정〗 ➜ 어린나무 가꾸기
치스 〖신문〗 ➜ 판틀
치어 [稚魚] 〖행정〗 ⇨ 새끼 고기
치엽 [稚葉] 〖행정〗 ➜ 어린 잎
치유하다 [治癒-] 〖행정〗 ⇨ 고치다
치은 [齒齦] 〖행정〗 ➜ 잇몸
치잠 [稚蠶] 〖행정〗 ➜ 애누에
치잠 공동사육 [稚蠶共同飼育] 〖잠업〗 ➜ 애누에 공동치기
치중 [置重] 〖행정〗 = 치우침
치차 [齒車] 〖행정〗 ➜ 톱니바퀴
치킨 [chicken] 〖식생활〗 ⇨ 닭고기 튀김
치킨 프라이 [←fried chicken] 〖행정〗 ➜ 닭튀김
치탈 [褫奪] 〖행정〗 ➜ 빼앗음
치패 [稚貝] 〖행정〗 ➜ 새끼 조개, 애 조개
치핑 [chipping] 〖골프〗 ➜ 낮게 띄우기
치합 [齒合] 〖행정〗 ➜ 이 맞물림
치형함 [齒形檻] 〖임업〗 ➜ 톱니형 물받침
치환 [置換] 〖행정〗 ⇨ 바꿔 놓음
친 칼라 [chin collar] 〖패션〗 ⇨ 턱 칼라
친생 관계 [親生關係] 〖행정〗 ⇨ 친자식 관계
친어 [親魚] 〖행정〗 ➜ 어미 고기
친전 [親展] 〖행정〗 ⇨ 친히 펴 봄
친주 [親株] 〖농업〗 ➜ 어미포기
친지 [親指] 〖행정〗 ➜ 엄지손가락
칠공예 [漆工藝] 〖미술사〗 ⇨ 옻칠 공예
칠드 타입 [chilled type] 〖언론〗 ➜ 냉장형 ¶개념을 바꾼 선진국형 칠드 타입 냉장 유통임을 내세운다.
칠목 [漆木] 〖행정〗 ➜ 옻나무
칠부 바지 [七分-] 〖패션〗 ➜ 칠푼 바지
침고 [寢藁] 〖축산〗 ➜ 깔짚
침루 [浸漏] 〖임업〗 ➜ 물스밈, (침)투수(浸透水)
침목 [枕木, まくらぎ] 〖행정〗 〖전철〗 = 굄목, 받침 나무
침사지 [沈砂池] 〖행정〗 ➜ 모래막이 못
침수 [沈水] 〖행정〗 ⇨ 잠김
침습 우편물 [浸濕郵便物] 〖행정〗 ➜ 젖은 우편물
침시 [沈柿] 〖임업〗 ➜ 우린 감
침엽수 [針葉樹] 〖행정〗 ⇨ 바늘잎 나무
(침을) 타기하다 [唾棄-] 〖행정〗 ➜ (침을) 뱉다
침전물 [沈澱物] 〖행정〗 ⇨ 앙금
침종 [浸種] 〖행정〗 ➜ 씨앗 담그기
침지 [浸漬] 〖행정〗 ➜ 담금, (잎)담그기
침출수 [浸出水] 〖행정〗 ➜ 잠긴 물
침하 [沈下] 〖행정〗 ➜ 내려앉음, 가라앉음
칩 샷 [chip shot] 〖골프〗 ⇨ 낮게 붙여치기, 〖테니스〗 ⇨ 급 역회전 치기
칩 인 [chip in] 〖골프〗 ➜ 낮게 붙여넣기
칩 킥 [chip kick] 〖축구〗 ➜ 찍어 차기
칭량 [秤量] 〖행정〗 ➜ 무게 달기
칭량 기준 [秤量] 〖행정〗 ➜ 무게 기준
칭량기 [稱量機] 〖행정〗 ➜ 저울
칭하다 [稱-] 〖행정〗 ⇨ 부르다, 일컫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