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순화 (마) (바)

URL: https://tanma.kr/data/soonhwa_maba.html


마가리 [曲(が)り] 〖미술〗 ➜ 꼬부리〖목공예〗

마구로 〖생활외〗 ➜ 다랑어

마구사 [楣] 〖건설〗 ➜ 테두리보, 웃인방

마그넷 라인 [magnet line] 〖패션〗 ⇨ 말굽 라인, U자형선

마나이타 [俎板, まないた] 〖생활외〗 ➜ 도마

마네킹 [mannequin] 〖생활외〗 = 매무새/광고 인형 ¶경찰 마네킹은 교통 사고 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마네킹 [mannequin] 〖행정〗 ⇨ 매무새 인형

마노미터 [manometer] 〖전기〗 ⇨ 압력계(壓力計)

마대 [痲袋] 〖생활외〗 ➜ 포대, 자루

마대 골매기 [麻袋-] 〖임업〗 ➜ 흙포대 골막이

마대 누구매기 [麻袋淚溝-] 〖임업〗 ➜ 흙포대 누구막이

마도 [窓, まど] 〖생활외〗 〖건설〗 ➜ 창, 자모테〖인쇄〗

마도다이 [窓台, まどだい] 〖건설〗 ➜ 창대

마도로스 [←네.matross] 〖행정〗 = 선원

마도리 [まどり] 〖생활외〗 ➜ 간살잡기

마도메 [纏め, まとめ] 〖패션〗 ➜ 마무리, 끝손질

마도와쿠 [窓枠, まどわく] 〖행정〗 ➜ 문틀

마두 [馬痘] 〖축산〗 ➜ 말마마

마령서 [馬鈴薯] 〖농업〗 ➜ 감자

마령서아 [馬鈴薯蛾] 〖잠업〗 ➜ 감자 나방

마록묘병 [馬鹿苗病] 〖축산〗 ➜ 키다리병

마루나카구로 [丸中黑, まるなかぐろ] 〖신문〗 ➜ 점동그라미

마루노미 [丸鑿, まるのみ] 〖미술〗 ➜ 둥근끌

마루노코 [丸鋸, まるのこ] 〖미술〗 ➜ 둥근톱

마루도리 [宗道里] 〖건축사〗 ⇨ 마룻도리 ※ridge purlin

마루메지 [丸目地, まるめじ] 〖미술〗 ➜ 둥근줄

마루카리 [丸刈り] 〖임업〗 ➜ 막깎이

마루칼 [丸-] 〖미술〗 ➜ 긍개〖도자기 공예〗

마루타 [丸太, まるた] 〖건설〗 ➜ 통나무

마루타 아시바 [丸太足場, まるたあしば] 〖건설〗 ➜ 통나무 비계

마루토 [丸刀, まるとう] 〖미술〗 ➜ 둥근 칼

마루토 [まると] 〖신문〗 ➜ 받침공목

마루펜치 [丸ペンチ, -pinchers] 〖미술〗 ➜ 둥근 자름 집게

마르팅겔 [martingale] 〖승마〗 ⇨ 목 고삐

마른 잎 [枯葉] 〖농업〗 ➜ 시든 잎

마마보이 [mamma boy] 〖생활외〗 ⇨ 치마폭 아이, 응석받이 ¶모든 일에 어머니 허락이 떨어져야 실행하는 마마 보이가 많다.

마메인 [豆印, まめじるし] 〖생활외〗 ➜ 잔도장

마메콩 [豆-] 〖생활외〗 ➜ 콩

마멸하다/되다 [磨滅-] 〖행정〗 = 닳다

마모율 [磨耗率] 〖행정〗 = 닳은 율

마법병 [魔法甁] 〖행정〗 ➜ 보온병

마사메 [柾目, まさめ] 〖미술〗 ➜ (똑바른) 나뭇결

마사지 [프.massage] 〖행정〗 = 안마

마사토 〖행정〗 ➜ 굵은 모래

마상재 [馬上才] 〖민속〗 ⇨ 말타기 재주

마셜 [marshal] 〖언론〗 ➜ 검색(요)원 ¶지난해 말부터 인천국제공항에 등장한 여성 ‘마샬’(→마셜)에 대한 성 상품화 논란이 일고 있다.

마셜링 야드 [marshalling] 〖행정〗 ➜ 컨테이너 작업장, 컨테이너 일터

마쇄 [磨碎] 〖행정〗 ➜ 갈아 부수기

마스카라 [mascara] 〖행정〗 = 속눈썹 그리개

마스코트 [mascot] 〖생활외〗 〖행정〗 = 행운의 신/물건 ¶우리 회사 마스코트는 코끼리이다.

마스큘린 페미닌 [프.masculine feminine] 〖패션〗 ➜ 남성적 여성풍

마스크 [mask] 〖언론〗 ⇨ 얼굴, 얼굴선 ¶그녀의 닉네임(→별명, 별칭)은 ‘한국판 왕조현’. 깨끗하고 시원스러운 마스크 때문이었다. 〖패션〗 = 가면, 〖행정〗 = 탈, 가리개, 〖미술〗 = 얼굴막이

마스터 [master] 〖생활외〗 = 숙달, 통달 ¶올바른 방법을 정확히 마스터해야 한다.

마스터 플랜 [master plan] 〖언론〗 〖행정〗 ⇨ 종합 계획, 기본 설계 ¶우리나라는 인터넷에 대한 마스터 플랜이 아직 없다.

마스터 패턴 [master pattern] 〖봉제〗 = 기준 옷본

마스터피스 [masterpiece] 〖생활외〗 ➜ 걸작 ¶「천녀유혼」 시리즈 중 마스터피스는 역시 제1편이다.

마스터하다 [master-] 〖언론〗 ➜ 통달하다 ¶이렇게 큰 상을 받는 날에 맞춰 드디어 매는 법을 마스터했다.

마스트 [mast] 〖행정〗 ➜ 돛대

마시 [增, まし] 〖생활외〗 ➜ 다 맞기〖당구〗

마쓰리구케 [纏り絎け, まつりぐけ] 〖패션〗 ➜ 공그르기

마쓰마에 [松前, まつまえ] 〖행정〗 ⇨ 송전(松前)벼

마쓰와리(누이) [纏, まつわり(ぬい)] 〖봉제〗 ➜ 감치기, 감침(질)

마에 [前, まえ] 〖패션〗 ➜ 앞

마에가리 [前借り] 〖건설〗 ➜ 우선/임시 지급, 가불(假拂), 〖생활외〗 ➜ 미리받기, 당겨받기

마에가키 [前書き] 〖신문〗 〖생활외〗 ➜ 머리글

마에네지키센 [前寢敷き線, まえねじきせん] 〖패션〗 ➜ 바지 앞줄, (바지) 앞주름선, 〖봉제〗 ➜ (바지) 앞주름선

마에다테 [前立て] 〖봉제〗 ➜ (단춧집) 덧단

마에미 [前身] 〖봉제〗 ➜ 앞길

마에미(고로) [前身頃, まえみごろ] 〖패션〗 〖봉제〗 ➜ 앞길

마에미 우라쿠세 [前身裏癖] 〖봉제〗 ➜ 앞길 안감 줄임, 앞길 안감 다트

마에분 (←마에붕) [前文, まえぶん] 〖신문〗 ➜ 머리글

마에사가리 [前下がり] 〖봉제〗 ➜ 앞처짐

마에사라 [まえさら] 〖생활외〗 ➜ 나눔접시

마에스소 [前裾, まえすそ] 〖봉제〗 ➜ 앞도련

마에와키쿠세 [前脇癖] 〖봉제〗 ➜ 옆줄임, 옆다트

마에우라 [前裏, まえうら] 〖봉제〗 ➜ 앞길안(감)

마에가케 [前け, まえかけ] 〖패션〗 ➜ 앞치마

마에칸 [前閂, ←hook] 〖봉제〗 〖생활외〗 ➜ 걸(고리) 단추

마연사 [麻撚絲] 〖행정〗 ➜ 삼노끈

마오 아 라 모드 [프.mao à la mode] 〖패션〗 ➜ 중국풍

마와시 [廻, まわし] 〖생활외〗 ➜ 돌리기〖당구〗

마우스 커서 [mouse cursor] 〖언론〗 ⇨ 마우스 깜빡이, 마우스 반디 ¶마우스 커서가 광고 창에 닿을 때마다 그림이 움직이며 소리를 내어 이용자의 이목을 끈다.

마우스 패드 [mouse pad] 〖언론〗 ⇨ 마우스 판, 마우스 받침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 패드가 있는가 하면….

마운드 [mound] 〖승마〗 ➜ 흙 무덤 (장애물)

마유즈미 [眉墨, まゆずみ] 〖생활외〗 ➜ 눈썹그리개

마을 다니기 〖민속〗 ⇨ 마을돌이

마이 [前] 〖패션〗 ➜ 재킷

마이너 [minor] 〖언론〗 ➜ 비주류 ¶클래식 음악에서 중세 교회의 모드는 17세기경에 메이저(→주류)/마이너 스케일이 확립되면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마이너 캐릭터 [minor character] 〖연극〗 ➜ 주변 인물

마이너 패션 [minor fashion] 〖패션〗 ⇨ 소수 패션

마이너리티 [minority] 〖언론〗 ➜ 소수 집단 ¶우리 사회 마이너리티를 기반으로 출발한 팬들의 이 같은 행동은 카를 융이 설명하는 ‘집단 무의식’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마이너스 [minus] 〖생활외〗 ⇨ 부정적 ¶이렇게 마이너스 요소를 제거하였다.

마이너스 [minus] 〖생활외〗 〖언론〗 ⇨ 적자 ¶무역 수지 마이너스 폭을 줄이려는 노력이 절실한 때이다.

마이 맨 [my man] 〖농구〗 ➜ 수비 대상(자)

마이 카 [my car] 〖생활외〗 ⇨ 자가용(차), 자기차, 내차 ¶이제 보편적인 마이 카 시대가 도래하였다.

마이크로 미니 [micro mini] 〖패션〗 ➜ 초미니

마이크로 브루어리 [micro brewery] 〖언론〗 ➜ 소규모 맥주 제조장 ¶양조 전문가가 직접 맥주를 만들어 파는 곳이 마이크로 브루어리이다.

마이크로 버스 [microbus] 〖행정〗 ⇨ 소형 버스

마인드 [mind] 〖언론〗 ➜ 심리 ¶연합회는 1단계로 회원, 중소 기업, 단위 금고 등을 대상으로 관계 금융 마인드를 조성하고 ···. 〖생활외〗 ⇨ 심리 ¶기업의 투자 마인드가 최근 흔들렸다.

마인드 컨트롤 [mind control] 〖언론〗 ➜ 심리 통제, 심리 제어, 심리 조절 ¶마인드 컨트롤로 상대 심리전에 휘말리지 않고 팀의 기둥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마일드하다 [mild-] 〖생활외〗 ➜ 부드럽다, 순하다 ¶마일드한 세정력이 피부에 작용했다.

마자 [麻子] 〖행정〗 ➜ 삼씨

마제석검 [磨製石劍] 〖고고학〗 ⇨ 간 돌칼, 마제석검 ※polished stone dagger

마제석기 [磨製石器] 〖고고학〗 ⇨ 간 석기, 마제석기 ※polished stone tool

마제석부 [磨製石斧] 〖고고학〗 ⇨ 간 돌도끼 ※polished stone axe

마제석촉 [磨製石鏃] 〖고고학〗 ⇨ 간 돌화살촉, 마제석촉 ※polished stone arrowhead

마지키리 [問仕切り] 〖건설〗 ➜ 칸막이

마진 [margin] 〖생활외〗 〖행정〗= 중간 이윤 ¶소매상인에게 마진을 약간 더 붙여 판매한다.

마찰성 표피 박탈 [摩擦性 表皮 剝脫] 〖법의학〗 ➜ 피부 마찰 벗겨짐 ※friction excoriation

마치 [襠, まち] 〖봉제〗 ➜ 무

마치종 [馬齒種] 〖농업〗 ➜ 말이씨, 오목씨

마커 [marker] 〖골프〗 ➜ 타수 기록원

마커 [marker] 〖봉제〗 = 본그리기

마케팅 [marketing] 〖생활외〗 〖패션〗 〖행정〗 ⇨ 시장 거래/관리 ¶대표 상표를정하여 마케팅 비용의 분담을 기대하고 있다.

마케팅 리서치 [marketing research] 〖패션〗 ➜ 시장 조사, 소비자/상품 조사

마켓 [market] 〖행정〗 ➜ 시장

마켓 셰어 [market share] 〖행정〗 ➜ 시장 점유율

마쿠라 (←마꾸라) [枕, まくら] 〖패션〗 〖봉제〗 ➜ 어깨심, 덧심, 〖미술〗 ➜ 받침목〖목공예〗

마쿠라기 [枕木, まくらぎ] 〖건설〗 ➜ 받침목, 굄목, 침목

마쿠라지 [枕地, まくらじ] 〖패션〗 ➜ 어깨심지, 덧심지

마크 [mark] 〖행정〗 = ①기호, 상표 ②막기〖체육〗, 〖볼링〗 ⇨ 나머지핀처리

마크맨 [mark man] 〖언론〗 ➜ (전담) 수비수 ¶미드필더(→중앙 공격수)였던 ○○○을 윙백(→측면 수비수)으로 옮겨 전담 마크맨으로 세웠고 결과는 대성공.

마키 [卷, まき] 〖식생활〗 ➜ 김말이, 〖패션〗 ➜ 필, 두루마리, 〖건설〗 ➜ 두루마리, 말이, 사리

마키센 [まきせん] 〖전기〗 ➜ 권선(捲線)

마키자쿠 [まきじゃく] 〖전기〗 ➜ 줄자(卷尺)

마키누이 [卷き縫い] 〖봉제〗 ➜ 말아박기

마키도리 [卷き取り] 〖행정〗 ➜ 롤러 잉크 제거

마키자 [捲-, まき-] 〖미술〗 ➜ 줄자

마키자쿠 [卷尺, まきじゃく] 〖건설〗 〖행정〗 ➜ 줄자

마키즈시 [卷鮨, まきずし] 〖식생활〗 ➜ 김초밥, 김말이

마키카에 [卷き返] 〖건설〗 〖미술〗 ➜ 되감기

마키토리 [卷き取り] 〖신문〗 ➜ 두루마리

마타가미 [股上, またがみ] 〖봉제〗 ➜ 샅윗길이

마타도어 [matador] 〖정치〗 ➜ 흑색 선전, 모략 선전

마타도어 룩 [matador look] 〖패션〗 ➜ 투우사풍

마타시타 [股下, またした] 〖봉제〗 ➜ 샅아랫길이

마토메 [纏め, まとめ] 〖신문〗 〖패션〗 ➜ 마무리, 종합, 〖봉제〗 ➜ 마무리, 끝손질

마티에르 [프.matière] 〖미술〗 = 질감

마포 [麻布] 〖행정〗 ➜ 삼베, 자루 걸레

마필 [馬匹] 〖행정〗 ➜ 말

마호병 [魔法甁, まほうびん] 〖식생활〗 〖미술〗 ➜ 보온병

막강 [莫强] 〖행정〗 = 아주 셈

막도 [幕圖] 〖임업〗 ➜ 트레이싱(tracing)

막론하고 [莫論-] 〖행정〗 = 말할 나위 없이

막료 [幕僚] 〖행정〗 = 참모

막역한 사이 [莫逆-] 〖행정〗 = (아주) 친한 사이

막중한 [莫重-] 〖행정〗 = 아주 중요한

막집터 [野營遺蹟] 〖고고학〗 ⇨ 야영터 ※camp site

만가 [漫畵, まんが] 〖생활외〗 ➜ 만화

만개 [滿開] 〖생활외〗 ⇨ 활짝 핌, 만발

만개하다 [滿開-] 〖행정〗 ⇨ 활짝 피다

만경류 [蔓莖類] 〖임업〗 ➜ 덩굴류

만곡류 [灣曲流] 〖임업〗 ⇨ 곡류(曲流)

만기력부 [滿期曆簿] 〖행정〗 ➜ 형기 종료 기록부

만기재배 [晩期栽培] 〖농업〗 ⇨ 늦가꾸기

(만기전) 소구 [(滿期 前) 遡求] 〖금융〗 ➜ 만기 전 상환 청구

만돌린 슬리브 [mandoline sleeve] 〖패션〗 ⇨ 만돌린 소매

만땅 [滿, タン-tank] 〖생활외〗 〖미술〗 ➜ 가득(채움/참)

만료되다 [滿了-] 〖행정〗 ⇨ 끝나다

만료일 [滿了日] 〖행정〗 ⇨ 끝나는 날

만면 [滿面] 〖행정〗 = 온 얼굴

만반 [蔓返] 〖행정〗 ➜ 덩귈 뒤집기

만상 [晩霜] 〖행정〗 ➜ 늦서리

만상해 [晩霜害] 〖농업〗 ➜ 늦서리 피해

만생상 [晩生桑] 〖잠업〗 ➜ 늦뽕

만석 [萬石] 〖행정〗 ➜ 가리체

만성 [蔓性] 〖농업〗 ➜ 덩굴성

만성 주정 중독 [慢性 酒精 中毒] 〖법의학〗 ➜ 만성 알코올 중독 ※chronic alcoholic intoxication

만성 허혈성 변화 [慢性 虛血性 變化] 〖법의학〗 ➜ 만성 허혈 변화 ※chronic ischemic change

만성식물 [蔓性植物] 〖농업〗 ➜ 덩굴(성) 식물

만션 메카 [マンション メーカー] 〖패션〗 ➜ 맨션 메이커

만수위 [滿水位] 〖행정〗 ⇨ 멱찬 물높이

만숙 [晩熟] 〖농업〗 ➜ 늦익음

만숙립 [晩熟粒] 〖농업〗 ➜ 늦여문 알

만식 [晩植] 〖농업〗 ➜ 늦심기

만식이앙 [晩植移秧] 〖농업〗 ➜ 늦모내기

만식재배 [晩植栽培] 〖농업〗 ⇨ 늦심어 가꾸기

만식지 [晩植地] 〖행정〗 ➜ 늦심기 논

만연 [蔓延] 〖행정〗 = 번짐, 널리 퍼짐

만연하다 [蔓延-] 〖행정〗 = 번지다, 널리 퍼지다

만연히 [慢然-] 〖행정〗 ➜ 주의를 게을리하여, 태만하게, 되는대로

만유루 없이 [萬遺漏-] 〖행정〗 ➜ 틀림없이, 빠짐없이

만작 [晩作] 〖행정〗 ➜ 늦가꾸기

만장 [滿場] 〖정치〗 ⇨ 자리를 채움

만전을 [萬全-] 〖행정〗 ➜ 최선을, 완전을

만전을 기하다 [萬全-] 〖행정〗 ⇨ 빈틈없이 하다, 틀림없이 하다

만전을 기할 것 〖행정〗 ⇨ 최선을 다할 것, 빈틈없이 할 것, 틀림없이 할 것

만절 [蔓切] 〖행정〗 ➜ 덩굴치기

만조 [滿潮] 〖행정〗 ➜ 밀물

만차 [滿車] 〖행정〗 ⇨ 자리 없음

만찬 [晩餐] 〖행정〗 ⇨ 저녁 (식사) 모임

만추잠 [晩秋蠶] 〖잠업〗 ➜ 늦가을 누에

만토 (←망또) [マント] 〖패션〗 ➜ 망토

만파 [晩播] 〖농업〗 ➜ 늦뿌림

만할병 [蔓割病] 〖농업〗 ➜ 덩굴 터짐병

만화형 [蔓化型] 〖농업〗 ➜ 덩굴지기

말각조정식 천정 [抹角藻井式天井] 〖건축사〗 ⇨ 모고임 천장, 모죽임 천장

※intersecting triangular ceiling

말갖춤 [馬具] 〖고고학〗 ⇨ 마구 ※horse equipment

말관자 [馬面] 〖고고학〗 ⇨ 말얼굴 꾸미개 ※forehead mask of horse

말관절 [末關節] 〖행정〗 ➜ 마디뼈 사이 관절

말구 [末口] 〖건설〗 ➜ 끝마구리, 〖행정〗 ➜ 끝동부리

말구경 [末口徑] 〖행정〗 ➜ 끝동부리 지름

말구직경 [末口直徑] 〖임업〗 ⇨ 끝지름

말단 [末端] 〖행정〗 = 끝

말단 부서 [末端副署] 〖행정〗 ⇨ 일선 부서

말라리아 [malaria] 〖행정〗 = 학질

말미 [末尾] 〖행정〗 = 끝, 뒤

말살하다 [抹殺-] 〖행정〗 = 없애다

말소 [抹消] 〖생활외〗 ⇨ 지움, 지워 없앰

말소하다 [抹消-] 〖금융〗 〖행정〗 ⇨ 지우다, 지워 없애다.

말마시바이 [馬しばい -芝居] 〖생활외〗 ➜ 서커스

말일 [末日] 〖행정〗 = 끝날, 마지막 날

말재갈 [銜勒] 〖고고학〗 ⇨ 재갈 ※horse gag

말 토기 [馬形土器] 〖고고학〗 ⇨ 말 모양 토기 ※horse shaped pottery

맘보 [mambo] 〖스키〗 ⇨ 율동 회전

망 [網] 〖행정〗 ⇨ 그물

망각하다 [忘却-] 〖행정〗 = 잊어 버리다, 잊다

망공 [網工] 〖임업〗 ➜ 망공사

망구전개판 〖행정〗 ⇨ 그물 전개판

망년회 [忘年會] 〖생활외〗 ⇨ 송년 모임, 송년회

망라하다 [網羅-] 〖행정〗 = 통틀다

망모 [亡母] 〖행정〗 ➜ 돌아가신 어머니

망목 [網目] 〖행정〗 ➜ 그물코

망복공 [網覆工] 〖임업〗 ➜ 망덮기

망상 무늬 [網狀-] 〖임업〗 ⇨ 그물(눈) 무늬

망새 [望瓦, 望斯] 〖건축사〗 ⇨ 바래기(기와), 망새 ※decorative tile standing at the end of roof ridge

망실하다 [亡失-] 〖행정〗 ➜ 잃다, 잃어 버리다

망아 [忘我] 〖민속〗 ⇨ 접신망아 ※ecstasy

망어구류 [網漁具類] 〖행정〗 ⇨ (고기잡이) 그물(류)

망입 [網入] 〖행정〗 ➜ 그물넣기

망장 [芒長] 〖축산〗 ➜ 까락 길이

망장공 [網張工] 〖임업〗 ➜ 망붙이기

망진 [望診] 〖행정〗 ➜ (겉)보기 진단

망취법 [網取法] 〖농업〗 ➜ 그물 떠내기법

맞가지 장식 [出字形立飾] 〖고고학〗 ⇨ 출자 모양 장식 ※oppositely branched ornament of crow

매 [枚] 〖생활외〗 ⇨ 장

매 [梅] 〖행정〗 = 매실

매 [煤] 〖법의학〗 ➜ 검댕, 그을음 ※soot

매각하다 [賣却-] 〖행정〗 = 팔(아 버리)다

매개충 [媒介蟲] 〖임업〗 = 옮김 벌레

매너 [manner] 〖생활외〗 = 태도, 버릇, 몸가짐 ¶서로가 매너를 지켜야만 유쾌한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매너리즘 [mannerism] 〖생활외〗 ⇨ 타성 ¶다 이루어졌다고 느낄 때가 매너리즘에 빠지기 쉽다.

매년 [每年] 〖행정〗 = 해마다

매뉴얼 [manual] 〖생활외〗 ⇨ 사용서, 설명서, 편람, 안내서 ¶프린터의 매뉴얼을 잘 살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행정〗 ⇨ 지도서, 설명서

매니시 [mannish] 〖패션〗 ⇨ 남성적

매니시 룩 [mannish look] 〖패션〗 ⇨ 남성풍

매니저 [manager] 〖생활외〗 〖패션〗 〖행정〗 ⇨ 지배인, 관리인, 감독 ¶그는 매니저의 권유를 받아들였다.

매니지먼트 회사 [management 會社] 〖언론〗 ➜ 인력 관리 회사 ¶주니치 드래곤스의 이상훈이 전문 매니지먼트 회사인 IMC와 계약을 맺고 ….

매니징 디렉터 [managing director] 〖연극〗 ➜ 경영 감독

매달 [每󰠏] 〖행정〗 = 다달이, 달마다

매도 [梅桃] 〖행정〗 ➜ 앵두

매도 [賣渡] 〖생활외〗 ⇨ 팔아 넘김

매도인 [賣渡人] 〖행정〗 ➜ 판 사람, 파는 사람

매도하다 [罵倒-] 〖정치〗 = 욕하다, 꾸짖다

매도하다 [賣渡-] 〖행정〗 ➜ 팔다

매득금 [賣得金] 〖행정〗 ➜ 판돈, 판매 이익금

매려 [賣戾] 〖행정〗 ➜ 되사들임

매립 [埋立] 〖행정〗 ➜ 메움

매립지 [埋立地] 〖행정〗 ➜ 메운 땅

매립하다 [埋立-] 〖행정〗 ➜ 메우다

매매 [賣買] 〖행정〗 = 팔고사기

매머드 [mammoth] 〖생활외〗 ⇨ 큰, 대규모의, 대형 ¶민생 치안 등의 매머드 현안 어느 하나도 다루지 못하고 있다.

매목 [埋木] 〖행정〗 ➜ 쐐기

매목별로 [每木別-] 〖행정〗 ➜ 나무마다

매몰되다 [埋沒-] 〖행정〗 ➜ (파)묻히다

매물 [賣物] 〖행정〗 ➜ 팔 물건, 팔 것

매번 [每番] 〖행정〗 = 번번이

매병 [煤病] 〖농업〗 ➜ 그을음병

매사 [每事] 〖행정〗 = 일마다, 모든 일

매상 [賣上, うりあげ] 〖생활외〗 ⇨ 판매, 팔기

매상고 [賣上高] 〖행정〗 〖경제〗 ⇨ 판매액

매상금 [賣上金, かいうげきん] 〖생활외〗 ➜ 판매액

매설공 [埋設工] 〖임업〗 ➜ 땅속 흙막이, 〖행정〗 ➜ 파묻기

매설하다 [埋設-] 〖행정〗 ➜ 파묻다

매수 [買受, かいうけ] 〖생활외〗 ⇨ 사(들이)기

매수 [枚數] 〖행정〗 = 장수

매수인 [買受人] 〖행정〗 ➜ 산 사람, 살 사람

매수하다 [買收-] 〖행정〗 ➜ 사들이다

매스 [mass] 〖미술〗 ⇨ 덩이 느낌

매스 게임 [mass game] 〖행정〗 = 집단 체조

매스 미디어 [mass media] 〖행정〗 ➜ 대중 매체

매스 프로덕션 [mass production] 〖패션〗 ➜ 대량 생산

매스컴 [←mass communication] 〖생활외〗 ⇨ 대중 전달/언론 (기관) ¶매스컴의 영향력은 대단하다.

매스트 스타트 로드 레이스 [massed start road race] 〖사이클〗 ➜ (개인) 도로 경기

매시드 포테이토즈 [mashed potatoes] 〖스키〗 ➜ 진눈

매월 [每月] 〖행정〗 = 다달이

매일 [每日] 〖행정〗 = 날마다

매입 [買入, かいいれ] 〖생활외〗 ⇨ 사(들이)기

매입하다 [買入-] 〖행정〗 ➜ 사들이다

매장 [賣場, うりば] 〖생활외〗 ⇨ 판매장

매장하다 [埋葬-] 〖행정〗 = 묻다

매절 [賣切, うりきれ] 〖생활외〗 ➜ 다 팔림, 절품

매점 [買占, かいしめ] 〖생활외〗 ➜ 사재기

매점 [賣店, ばいてん] 〖생활외〗 ⇨ 가게

매점매석 [買占賣惜] 〖행정〗 ⇨ 사재기

매주 [每週] 〖행정〗 = 주마다

매주 [買主] 〖행정〗 ➜ 산/살 사람

매주 [賣主] 〖행정〗 ➜ 판/팔 사람

매직 넘버 [magic number] 〖언론〗 ➜ 우승 승수 ¶‘매직 넘버 4’. 동양이 첫 정규 리그 우승까지 4승만을 남겨뒀다.

매진되다 [賣盡-] 〖행정〗 ⇨ 다 팔리다

매진하다 [邁進-] 〖행정〗 ⇨ 힘차게 나아가다

매출 [賣出] 〖생활외〗 〖행정〗 ⇨ 판매, 팔기

매치 포인트 [match point] 〖배구〗 〖배드민턴〗 〖테니스〗 ➜ 끝내기 점수

매치 플레이 [match play] 〖골프〗 ⇨ 홀별 경기

매칭 그랜트 [matching grant] 〖언론〗 ➜ 동반 기부 ¶한국 존슨앤드존슨 아큐브 사업부의 매칭 그랜트 사업은 미국 본부와 국제 봉사 단체까지 가세하면서 기부금 규모가….

매칭 리크루팅 [matching recruiting] 〖언론〗 ➜ 맞춤 직업 소개/알선 ¶구인 기업과 구직자가 원하는 기업과 인재를 선호도별로 분류해 주는 이른바 ‘매칭 리크루팅’ 사이트가 등장했다.

매크로 [macro] 〖정치〗 ➜ 거시적

매크로 경제학 [macro 經濟學] 〖임업〗 ➜ 거시 경제학

매토 [埋土] 〖임업〗 ➜ 되메우기

매트 [mat] 〖생활외〗 〖패션〗 ⇨ 깔개, 요, 침대(용)요 ¶침대는 매트가 비교적 단단한 것이 좋다고 한다. 〖미술〗 ⇨ 사이틀

매트리스 [mattress] 〖행정〗 ⇨ 침대용 요, 침대요

매트 바니시 [mat varnish] 〖미술〗 ⇨ 민광칠

매팔부 [買捌簿] 〖행정〗 ➜ 판 장부

매표구 [買票口] 〖행정〗 ➜ 표 사는 곳

매표소 [買票所] 〖행정〗 ➜ 표 사는 곳

매표하다 [買票-] 〖정치〗 ⇨ 표사다

매핑 [mapping] 〖전기〗 ⇨ 사상(寫象)

매행 [賣行] 〖행정〗 ➜ 팔림세

매호 [每戶] 〖행정〗 ➜ 집집마다

맥간류 [麥稈類] 〖농업〗 ➜ 보리짚류

맥간작 [麥間作] 〖행정〗 ➜ 보리 사이심기

맥강 [麥糠] 〖행정〗 ➜ 보릿겨

맥고 [麥藁] 〖행정〗 ➜ 보릿짚

맥고 모자 [麥藁帽子, むぎわらぼうし] 〖생활외〗 ➜ 밀짚모자

맥락 [脈絡] 〖행정〗 = 줄기, 계통

맥류 [麥類] 〖행정〗 ➜ 보리(류)

맥류예취 [麥類刈取] 〖행정〗 ➜ 보리베기

맥발아충 [麥髮蚜蟲] 〖농업〗 ➜ 보리 깔 진딧물

맥쇄 [麥碎] 〖농업〗 ➜ 보리 싸라기

맥시 스커트 [maxi skirt] 〖패션〗 ⇨ 맥시 치마

맥아 [麥蛾] 〖잠업〗 ➜ 보리 나방

맥전답압 [麥田踏壓] 〖농업〗 ➜ 보리(밭) 밟기

맥주맥 [麥酒麥] 〖행정〗 ➜ 맥주보리

맨 투 맨 디펜스 [man to man defence] 〖핸드볼〗 ➜ 대인 (밀착) 방어

맨드릴 [mandrel] 〖미술〗 ⇨ (갈돌) 끼우개

맨션 [mansion apartment] 〖행정〗 ➜ 아파트

맨즈 웨어 [men's wear] 〖패션〗 ➜ 남성복

맨투맨 [man-to-man] 〖언론〗 〖생활외〗 ➜ 일 대 일 ¶맨투맨 대선 전략

맨틀 [mantle] 〖패션〗 ⇨ 망토

맨홀 [manhole] 〖행정〗 = 하수관

맹 [虻] 〖잠업〗 ➜ 등에

맹아 [盲兒] 〖행정〗 ⇨ 눈먼 아이

맹아 [萌芽] 〖임업〗 ⇨ 움

맹아갱신 [萌芽更新] 〖행정〗 ➜ 움갈이, 새싹갈이

맹인 [盲人] 〖행정〗 = 보지 못하는 사람

맹자 [盲者] 〖행정〗 = 보지 못하는 사람

머니 론더링 [money laundering] 〖생활외〗 ➜ 돈세탁 ¶실명제가 실시되는 미국에서도 머니 론더링업은 성행하고 있다.

머니게임 [money game] 〖생활외〗 ⇨ 돈놀이 ¶일본은 머니 게임의 후유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머니퓰레이션 [manipulation] 〖패션〗 ⇨ 옷본 조정

머더 인 로 [mother in law] 〖볼링〗 ➜ 심술핀

머드팩 [mudpack] 〖언론〗 ➜ 진흙팩 ¶머드팩 미인―‘진흙 미인’의 유혹….

머리기둥 〖임업〗 ➜ 앞기둥

머린 룩 [marine look] 〖패션〗 ⇨ 선원풍

머메이드 룩 [mermaid look] 〖패션〗 ➜ 인어풍

머시룸 해트 [mushroom hat] 〖패션〗 ⇨ 버섯모자

머신 [machine] 〖행정〗 ➜ 틀, 기계

머즐린 [muslin] 〖패션〗 ➜ 모슬린

머지 [merge] 〖행정〗 ➜ 합병, 합침

머천다이징 [merchandising] 〖언론〗 ➜ 상품화 ¶2단계로 이를 TV 만화로 제작해 붐을 일으키고, 3단계로 캐릭터 머천다이징으로 큰 돈을 벌어 들인다. 〖패션〗 ➜ 상품 기획

머프 [muff] 〖야구〗 ➜ 실책, 〖패션〗 ➜ (방한) 토시

머플러 [マフラー, muffler] 〖생활외〗 ➜ ①목도리 ②소음기, 머플러, 〖패션〗 ➜ 목도리, 머플러, 〖전기〗 ➜ 소음기(消音器)

머피 [murphy] 〖볼링〗 ⇨ 쉬운 퍼진핀

먼스리 컴페티션 [monthly competition] 〖골프〗 ➜ 월례 경기

먼스리 컵 [monthly cup] 〖골프〗 ➜ 월례배

멀칭 [mulching] 〖임업〗 ⇨ 덮기, 〖행정〗 ➜ 바닥 덮기

멀칭 재배 [mulching 栽培] 〖행정〗 ➜ 덮어 가꾸기

멀티 베리어블 [multi-variable] 〖전기〗 ⇨ 다변수(多變數)

멀티미디어 [multimedia] 〖생활외〗 〖언론〗 〖전기〗 〖통신〗 ⇨ 복합/다중 매체 ¶미국과 일본은 멀티미디어 기기를 공동 개발키로 했다.

멀티스폿 [multi-spot] 〖언론〗 ➜ ①다면 ②다중 ③다각도 ¶하나의 제품에 대해 여러 편의 광고를 만들어 동시에 선보이는 일명 멀티스폿 광고가 유행이다.

멀티태스킹 [multi-tasking] 〖언론〗 ➜ 다중 작업 ¶리눅스의 최대 장점은 완벽한 멀티태스킹 시스템(→방식)이라는 점이다.

멀티플렉스 극장 [multiplex 劇場] 〖언론〗 ➜ 복합 상영(관) ¶2005년 완공 목표인 유통 콤플렉스(→유통 단지)에는 모두 907억 원이 투입돼 멀티플렉스 극장, 문화 센터 등이 들어선다.

멀티플 파울 [multiple foul] 〖농구〗 〖핸드볼〗 ➜ 다중 반칙

멍에투겁 [笠形銅器] 〖고고학〗 ⇨ 고깔 수레 장식 ※mushroom shaped instrument

메가뱅크 [megabank] 〖언론〗 ➜ 거대 은행, (초)대형 은행 ¶일(日) ‘메가뱅크 시대’ 열린다.

메가트렌드 [megatrend] 〖언론〗 ➜ 대세, 거대 물결 ¶새로운 세상과 산업의 메가트렌드에 대한 통찰이 절실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메가폰 [megaphone] 〖생활외〗 ⇨ 손확성기 ¶오랜만에 메가폰을 잡았다.

메가폴리스 [megapolis] 〖언론〗 ➜ 거대 도시 ¶인구 1백만 명의 메가폴리스를 조성하려면 특단의 인구 유입 대책도 필요하다.

메거 [megger] 〖전기〗 ⇨ 휴대용 절연 저항계(絶緣抵抗計)

메네지 [めねじ] 〖전기〗 ➜ 암나사

메뉴 [menu] 〖식생활〗 ⇨ 차림(표), 식단

메타(기) [メーター器 , ←meter-] 〖생활외〗 〖행정〗 ➜ 계(량)기, 미터기

메달리스트 [medalist] 〖생활외〗 ⇨ 메달 수령자, 메달 받을이 ¶사격의 금메달리스트 여갑순을 키운 어머니, 〖골프〗 ➜ 최소 타자

메도메 [目止め] 〖건설〗 ➜ 눈먹임

메들리 [medley] 〖생활외〗 ⇨ 접속곡 ¶겨울에 관한 메들리를 들려드리겠습니다.

메리야스 [포.meias, 스.medias, 莫大小, , メリヤス] 〖패션〗 = 편성물, 니트

메리야스지 [medias 地] 〖패션〗 ➜ 편성물, 메리야스천

메리트 시스템 [merit system] 〖생활외〗 ➜ 성과급 제도 ¶국내 프로 축구 구단들이 메리트 시스템을 채택했다

메모 [memo] 〖생활외〗 ⇨ 기억, 추억 ¶필요한 사항이 있으시면 메모로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행정〗 = 비망록, 기록

메모리 [目盛り] 〖건설〗 ➜ 눈금

메모리 [memory] 〖행정〗 ⇨ 기억, 추억

메소드 액팅 [method acting] 〖연극〗 ⇨ 메소드 연기

메스 [네.mes] 〖생활외〗 ⇨ 손질, 수정, 칼 ¶1월초에 전반적으로 메스를 가할 계획이다.

메시 [飯, めし] 〖생활외〗 ➜ 밥

메시 [mesh] 〖언론〗 ➜ 망사 ¶(스카프의) 소재는 실크나 시폰이 가장 많고 벨벳이나, 거어즈 원단 같은 메쉬(→메시) 소재도 쓰인다. 〖패션〗 ⇨ 그물짜기

메시 백 [mesh bag] 〖패션〗 ⇨ 그물 (짜기) 가방

메시 접지 [mesh 接地] 〖전기〗 ⇨ 망상 접지(網狀接地)

메시지 [message] 〖생활외〗 〖행정〗 ⇨ 성명서, 교서, 전갈 ¶그 노래는 메시지가 강렬한 편이다.

메신저 [messenger] 〖생활외〗 ➜ 전달자 ¶외부의 메신저 몇 명과 이미 접촉했다.

메쓰부시자리 [目潰砂利] 〖건설〗 ➜ 틈막이 자갈

메우치 [目打ち, めうち] 〖패션〗 ➜ 송곳

메이 데이 [may day] 〖행정〗 = 근로자의 날, 노동절

메이저 [major] 〖언론〗 ➜ 대형, 주류 ¶클래식 음악에서 중세 교회의 모드는 17세기경에 메이저/마이너(→비주류) 스케일이 확립되면서….

메이커 [maker] 〖언론〗 〖패션〗 〖행정〗 ⇨ 제작자, 제조업체 ¶건강식품 전문 메이커에서 시판하는 국산차

메이크 타임 [make time] 〖전기〗 ⇨ 투입 시간(投入時間)

메이크업 [makeup] 〖생활외〗 〖패션〗 ⇨ 화장, 마무리 ¶처음으로 하는 메이크업

메이킹 인 피트 [making in fit] 〖볼링〗 ➜ 가운데치기

메이킹 필름 [making film] 〖언론〗 ⇨ 제작편, 낙수(落穗)편 ¶인터넷에 아슬아슬한 수위의 노출 장면이 포함된 예고편과 메이킹 필름의 뮤직 비디오가 올려져 있다.

메인 [main] 〖언론〗 ➜ 주(主), 주요 ¶한국 인터넷 정보 센터도 계층적 방식의 한글로 메인 서비스를 내년 1월부터 실시할 예정.

메인 메모리 [main memory] 〖행정〗 ⇨ 주 기억 장치

메인 캐릭터 [main character] 〖연극〗 ➜ 주요 인물

메인 프레스 센터 [main press center] 〖언론〗 ➜ 주 취재 본부 ¶5월 19일 메인 프레스센터 개설에 이어 20일 공식 훈련장이 문을 열면 사실상 월드컵은 시작된다.

메인 플롯 [main plot] 〖연극〗 ➜ 주 구성

메인스트림 [mainstream] 〖언론〗 ➜ 주류(主流) ¶토론회에선 ○○○ 후보의 서민론과 메인스트림론도 도마 위에 올랐다.

메인티넌스 [maintenance] 〖행정〗 ➜ 유지, 보수

메인프레임 [mainframe] 〖생활외〗 ➜ 핵심/기본 구조 ¶메인프레임 역할이 새롭게 대두 되었다.

메일 [mail] 〖미술〗 ⇨ 잉아눈

메일 박스 [mail box] 〖언론〗 ➜ 편지함, 편지 상자 ¶인터넷에 계속 접속하진 않지만 … 메일 박스만은 종일 열어 둔다.

메조 [mezzo] 〖행정〗 ➜ 반쯤, 약간

메지 [目地, めじ] 〖생활외〗 ➜ 줄눈〖건설〗, 사춤

메지고테 [目地鏝] 〖건설〗 ➜ 줄눈 흙손, 사춤 흙손

메지보 [目地棒] 〖건설〗 ➜ 줄눈대, 사춤대

메지보리 [目地堀り] 〖건설〗 ➜ 줄눈 파기, 사춤파기

메지와리 [目地割り] 〖건설〗 ➜ 줄눈 나누기, 사춤 나누기

메치가이 [目違い] 〖건설〗 ➜ 턱솔

메카 [mecca] 〖언론〗 ⇨ 요람, 중심지, 본거지 ¶특허청과 특허 법원의 이전으로 대전이 ‘특허 메카’로 떠오르자 ….

메커니즘 [mechanism] 〖생활외〗 ⇨ 체제 ¶제도적인 메커니즘은 그들에게 막강한 권위를 부여했다. 〖경제〗 ➜ 체계, 구조

메쿠라안쿄 [盲暗渠, めくらあんきょ] 〖건설〗 ➜ 맹암거, 자갈수멍

메타기 [メ―タ―器, meter-] 〖생활외〗 ➜ 계(량)기, 미터기

메타테 [目立, めたて] 〖봉제〗 ➜ 흠고르기, 〖행정〗 ➜ (톱)날 세우기

메타포 [metaphor] 〖생활외〗 〖연극〗 ⇨ 은유 ¶이러한 것들이 모두 메타포의 수준이었음을 보여 준다.

메탈 드레스 [metal dress] 〖패션〗 ⇨ 금속(재) 옷

메탈 클로스 [metal cloth] 〖패션〗 ⇨ 금속직물

메탈릭 [metallic] 〖생활외〗 ➜ 금속성 ¶메탈릭 소재의 매력과 로맨틱한 디자인이 조화를 이룬다.

메탈릭 컬러 [metallic color] 〖패션〗 ➜ 금속색

메탈 지퍼 [metal zipper] 〖패션〗 ➜ 금속지퍼

멘탈 테스트 [mental test] 〖생활외〗 ➜ 지능 검사

멘터 [mentor] 〖언론〗 ➜ (담당) 지도자 ¶성신 여대생 ○○○ 씨는 몹시 흥분해 있었다. 자신의 멘터가 다름 아닌 삼경정보통신 ○○○ 사장이었기 때문.

멘토리 [面取り] 〖건설〗 ➜ 모접기, 면접기, 〖신문〗 ➜ 꾸밈막이

멘트 [announcement] 〖언론〗 ➜ 대사, 발언, 말 ¶‘시사 터치…’에서도 특별한 멘트보다는 그 특유의 스피디한(→빠른) 성대 모사로 승부를 짓는다.

멜랑주 컬러 [프.melange color] 〖패션〗 ➜ 멜랑주색

멜랑콜리하다 [프.mélancholie-] 〖생활외〗 ➜ 우울하다 ¶멜랑콜리한 슈베르트 음악

멜로 (드라마) [←melodrama] 〖생활외〗 〖언론〗 ➜ 통속극, 애정극 ¶멜로 이미지의 ○○○이 폴리스 액션 영화 “인정사정 볼 것 없다”에서 화려한 액션을 선보이고 있다. 〖연극〗 ⇨ 통속극

멜로(극/물) [メロドラ, ←melodrama] 〖생활외〗 ➜ 통속극

멜로디 [melody] 〖생활외〗 ⇨ 가락 ¶깨끗한 노랫말과 서정적 멜로디를 강조하고 있다.

멜로물 [←melodrama 物] 〖행정〗 = 통속극

멜리(석, 다이아몬드) [melee-] 〖미술〗 ⇨ 좁쌀 다이아몬드

멜빵 클립 [-clip] 〖패션〗 ➜ 멜빵 고리

멤버 [member] 〖생활외〗 ⇨ 회원, 선수, 구성원 ¶5인의 탁월한 감각을 지닌 멤버들로 짜여 있다.

멤버 체인지 [member change] 〖축구〗 ⇨ 선수 교체, 선수 바꿈

멤버십 카드 [membership card] 〖언론〗 ➜ 회원증 ¶우노는 019 카이 멤버십 카드를 보이면 10%를 감해 준다. 맥도날드도 109 카이 멤버에게 1년간 할인 혜택을 주고 있다.

멤버십 펑션 [membership function] 〖전기〗 ⇨ 소속 함수(所屬函數)

멧지 〖생활외〗 ➜ 한줄 놓기, 한줄 재기

멧키 [鍍金, めっき] 〖건설〗 〖미술〗 〖행정〗 ➜ (금)입히기, 도금

면 [眠] 〖행정〗 ➜ 잠

면견 [綿繭] 〖잠업〗 ➜ 솜고치

면구스럽다 [面灸-] 〖행정〗 ➜ 부끄럽다

면그릇 [麵-] 〖식생활〗 ⇨ 국수 그릇

면기 [眠期] 〖행정〗 ➜ 잠 잘 때

면대 [面對] 〖정치〗 ⇨ 마주 대함

면류 [麵類] 〖식생활〗 ➜ 국수류

면식 [面識] 〖생활외〗 = 안면

면실박 [棉實粕] 〖농업〗 ➜ 목화씨 깻묵

면업자 [免業子] 〖행정〗 ➜ 작업 면제자

면잠 [眠蠶] 〖잠업〗 ➜ 잠누에

면적 [面積] 〖행정〗 = 넓이

면전 [綿栓] 〖행정〗 ➜ 솜마개

면전 [面前] 〖행정〗 = 눈앞, (얼굴) 앞

면제사 [眠除沙] 〖잠업〗 ➜ 잠똥갈이

면책 증서 [免責證書] 〖행정〗 ⇨ 책임 없는 증서

면책되다 [免責-] 〖행정〗 ⇨ 책임 벗다

면탈 [免脫] 〖행정〗 ➜ 벗어남

면탈을 목적으로 [免脫-] 〖행정〗 ⇨ 벗어날 목적으로

면탈하다 [免脫-] 〖금융〗 ➜ (고의적으로) 회피하다

면포 [綿布] 〖행정〗 ➜ 무명(베)

면화 [棉花] 〖행정〗 = 목화

멸각하고자 [滅却] 〖행정〗 ➜ 없애 버리고자

멸실 [滅失] 〖행정〗 ➜ 없어짐

멸실하다 [滅失-] 〖행정〗 ➜ 없어지다

명감하여 [銘感-] 〖행정〗 ➜ 깊이 느껴, 깊이 깨달아

명거 [明渠] 〖임업〗 ⇨ 겉도랑

명거 배수 [明渠排水] 〖행정〗 ➜ 겉도랑 물빼기

명기 [明記, めいき] 〖생활외〗 ⇨ 분명히 기록함

명년 [明年, あくるとし] 〖생활외〗 ⇨ 내년, 다음해

명도 [明渡, あけわたし] 〖생활외〗 ⇨ 내(어)줌, 넘겨줌, 비워줌

명란 [明卵] 〖행정〗 = 명태알

명령 사항 [命令事項] 〖행정〗 ⇨ 꼭 지켜야 할 사항

명령을/지시를 발하다 [發-] 〖행정〗 ⇨ 명령을/지시를 하다

명료히 [明瞭-] 〖행정〗 = 분명히, 똑똑히

명멸 [明滅] 〖전철〗 ⇨ 깜박임

명멸하다 [明滅-] 〖행정〗 = 깜박거리다

명명하다 [命名-] 〖행정〗 = 이름(지어) 붙이다

명목여하 [名目如何] 〖정치〗 ⇨ 명목이 어떠한지

명목의 여하를 불문하고 [名目-] 〖행정〗 ➜ 어떤 이유로도, 어떤 까닭으로도

명문화 [明文化] 〖행정〗 ➜ 문서로 밝힘

명부 [名簿] 〖행정〗 = 이름책

명소 [名所, めいしょ] 〖생활외〗 = 이름난 곳

명시 [明示] 〖행정〗 = 밝힘

명시 이월 [明示移越] 〖행정〗 ➜ 밝혀 넘김

명시하다 [明示-] 〖행정〗 = 밝히다

명실공히 [名實共-] 〖행정〗 = 이름 그대로

명에 의거 [命-依據] 〖행정〗 = 말씀에 따라, 명령에 따라

명의 [名義] 〖금융〗 〖행정〗 ⇨ 이름

명의 개서 [名義 改書] 〖금융〗 ➜ 이름 변경 기재

명의 환서 [名義換書] 〖행정〗 ➜ 이름 바꿔 적기

명일 [明日] 〖행정〗 = 내일

명정 [酩酊] 〖법의학〗 ➜ 주취 ※drunkeness or alcohol intoxication

명정하여 [酩酊-] 〖행정〗 ➜ 술에 취하여

명조체 (←민초) [明朝體] 〖신문〗 ➜ 바탕체

명주 [名酒] 〖행정〗 = 이름난 술

명찰 [名札] 〖행정〗 = 이름표

명칭 [名稱] 〖행정〗 = 이름

명패 [名牌] 〖행정〗 ➜ 이름패

명표 [銘標] 〖행정〗 ➜ 자랑표, 이름난 (상)표

명하다 〖행정〗 ⇨ 명령하다, 시키다

명할 수 있다 [命-] 〖행정〗 ⇨ 명령할 수 있다, 시킬 수 있다

모 [毛] 〖행정〗 ➜ 털

모가지 〖행정〗 ⇨ 목

모걸 [mogul] 〖스키〗 ⇨ 눈 더미, 요철 설면

모걸 스키잉 [mogul skiing] 〖스키〗 ⇨ 요철 설면 경기

모계 [母鷄] 〖축산〗 ➜ 어미 닭

모계육추 [母鷄育雛] 〖축산〗 ➜ 품어 기르기

모관수 [毛管水] 〖임업〗 ⇨ 모세관수

모구리 [潛水夫, 潛り] 〖행정〗 〖건설〗 ➜ 잠수부, 보자기

모국 [某局] 〖행정〗 ➜ 어느 국, 아무 국

모근 [毛根] 〖행정〗 ⇨ 털뿌리

모나카 [最中] 〖식생활〗 ➜ 팥소 과자

모노크롬 [monochrome] 〖미술〗 ⇨ 단색화

모노톤 [monotone] 〖생활외〗 〖미술〗 ➜ 단색조 ¶하나의 선율 악기가 내는 모노톤에는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다. 〖패션〗 ➜ 무채색, 단색조

모노톤 배색 [monotone 配色] 〖패션〗 ➜ 단색조 배색

모노포닉 [monophonic] 〖행정〗 ➜ 단일 음향

모놀로그 [monologue 〖연극〗 ⇨ 독화(獨話)

모니터 [monitor] 〖생활외〗 ⇨ 영상 표시 장치, 화면(기) ¶컴퓨터 모니터가 한층 선명해졌다.

모니터 [monitor] 〖생활외〗 ⇨ 협찬 위원, 정보 제공자, (논)평자 ¶방송 모니터들의 역할이 높아가고 있다. 〖언론〗 ⇨ 감시자, 검색자

모니터링 [monitoring] 〖언론〗 ➜ 감시, 검색, 〖경제〗 ⇨ 정보 수집, (동향, 현황) 점검 ¶북한 보고서는 북한 인권 실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막으려는 방패막이라는 인상을 가지게 만든다.

모닝 드레스 [mourning dress] 〖패션〗 ➜ 상복(喪服)

모닝스페셜 [morning special] 〖생활외〗 ➜ 아침 특식/별식 ¶모닝스페셜로 간단한 샌드위치와 커피가 2천원이다.

모닝콜 [morning call] 〖언론〗 ⇨ 깨우기 전화, 기상 전화 ¶스타의 모닝콜 서비스를 받으실래요?

모다 [モーター, motor] 〖전기〗 ⇨ 전동기, 발동기, 모터

모단가루 (←모당가루) [モダンガール, ←modern girl] 〖패션〗 ➜ 현대 여성, 멋쟁이 (여자)

모더파이드 리얼리즘 [modified realism] 〖연극〗 ➜ 수정 사실주의

모던 리얼리즘 [modern realism] 〖연극〗 ➜ 현대 사실주의

모던하다 [modern-] 〖언론〗 ➜ 현대적이다 ¶올 추석빔 생활 한복 어때요? 화려하게 … 모던하게 …. 〖생활외〗 ➜ 현대적이다 ¶모던한 감각을 즐기는게 우리의 도시 문화다.

모델 [model] 〖생활외〗 ⇨ 모형 ¶우리 시는 지방자치제의 모델이라 할 만하다.

모델링 [modelling] 〖미술〗 = 모각

모델 케이스 [model case] 〖행정〗 ⇨ 본보기

모델 하우스 [model house] 〖언론〗 ⇨ 본보기 집, 본보기 주택 ¶모델 하우스만 보시고도 많은 분들이 놀라셨습니다.

모도리 [戾り] 〖행정〗 ➜ 되살아 남, 되돌아 옴

모도시 [戾, もどし] 〖행정〗 ➜ 되돌리기

모독우 [牡犢牛] 〖축산〗 ➜ 황송아지, 수송아지

모돈 [母豚] 〖행정〗 ➜ 어미돼지

모두 진술 [冒頭陳述] 〖행정〗 ➜ 첫머리 공술, 첫머리 진술

모두에 [冒頭-] 〖행정〗 ➜ (첫)머리에

모드 [mode] 〖패션〗 ➜ 유행, 양식, 〖연극〗 ➜ 극양식, 〖생활외〗 ⇨ 양식 ¶잘 어울려 유행 모드를 만들어 낸다.

모듬연장 [組合道具] 〖고고학〗 ⇨ 조합연장 ※composite tool

모라토리엄 [moratorium] 〖경제〗 ⇨ 지급 유예

모럴 [moral] 〖생활외〗 ➜ 도덕, 도의 ¶사랑의 본질을 통하여 애정 모럴의 가치를 찾아본다.

모럴리티 플레이 [morality play] 〖연극〗 ➜ 도덕극

모럴 인털루드 [moral interlude] 〖연극〗 ➜ 세속적 도덕극

모럴 해저드 [moral hazard] 〖경제〗 〖언론〗 ➜ 도덕적 해이 ¶‘어려워지면 도와주겠지’라며 구조 개혁을 망설여 온 금융권의 ‘모럴 해저드’ 때문이었다.

모로 단청 〖건축사〗 ⇨ 모루 단청 ※a kind of painting

모루돌 [臺石] 〖고고학〗 ⇨ 모룻돌 ※anvil stone

모르타르 [mortar] 〖행정〗 ➜ 회반죽

모르타르 취부공 [mortar 吹付工] 〖임업〗 ➜ 모르타르 뿜어 붙이기

모리쓰치 [盛土, もりつち] 〖건설〗 ➜ 흙 쌓기, 흙돋기, 성토

모리소바 [盛蕎麥, もりそば] 〖식생활〗 ➜ 메밀국수, 메밀사리

모멘텀 [momentum] 〖언론〗 ➜ 전환 국면 ¶○○증권 유욱재 수석 연구원은 ‘지수는 당분간 모멘텀을 찾기 힘들다는 점에서 횡보세를 보일 것’이라며….

모멘트 [moment] 〖생활외〗 ➜ 계기, 동기 ¶러시아 혁명의 모멘트를 예로 들어 보자.

모면하다 [謀免-] 〖행정〗 ⇨ 벗어나다, 면하다

모모 [某某] 〖행정〗 = 아무아무

모미다마 (←모미타마) [揉玉, もみだま] 〖패션〗 〖봉제〗 ➜ 눈썹단, 눈썹시접

모바일 [mobile] 〖생활외〗 ⇨ 흔들개비 ¶모빌을 설치해 아기의 상상력과 시각을 발달시킬 수 있다.

모바일 뱅킹 [mobile banking] 〖언론〗 ➜ 이동 통신 은행, 이동 통신 거래 ¶휴대 전화에 달린 ― 인터넷 전용 버튼과 화살표 키를 몇 번만 누르면 곧바로 ‘모바일 뱅킹’ 메뉴(→차림표)가 뜬다.

모바일 비즈니스 [mobile business] 〖언론〗 ➜ 이동 통신 사업, 이동 통신 업무 ¶경매, 주식 시세 정보, 뉴스 속보, 날씨 등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비즈니스를 전개할 수 있다.

모바일 오피스 [mobile office] 〖언론〗 ➜ 이동 사무실 ¶달리는 차 속에서 AV 시스템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 원격 비즈니스가 가능한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모바일 커머스 [mobile commerce] 〖언론〗 ➜ 이동 통신 거래 ¶휴대 전화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가 활기를 띠고 있다.

모발 [毛髮] 〖행정〗 ⇨ 머리털

모방주술 [模倣呪術] 〖민속〗 ⇨ 모방주술

모본 [母本] 〖임업〗 ➜ 어미 그루

모브 신 [mob scene] 〖언론〗 ➜ 군중 장면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LA 다운타운(→중심가)에서 뛰쳐나와 21세기를 맞는 엄청난 모브 신 등으로 영화 광들에게 논란거리를 제공….

모비루 [モビール, mobile] 〖생활외〗 ➜ 모빌(유), 흔들개비〖조각〗


모빌유 [mobile油] 〖행정〗 ➜ 윤활유

모사 우표 [模寫郵票] 〖행정〗 ➜ 위조 우표

모색하다 [模索-] 〖행정〗 = 찾다

모선 [母船] 〖행정〗 ⇨ 큰배, 어미배

모션 [motion] 〖행정〗 ➜ 동작, 몸짓

모소 [毛燒] 〖미술〗 ⇨ 털사르기

모수 [母樹] 〖임업〗 ⇨ 어미 나무

모수림 [母樹林] 〖행정〗 ➜ 어미 나무숲, 어미수풀

모순 [矛盾] 〖행정〗 = 어긋남

모아 검사 [母蛾檢査] 〖행정〗 ➜ 나방 검사

모암 [母岩] 〖임업〗 ➜ 밑바위

모야 [母屋] 〖건설〗 ➜ 중도리

모야이(즈나) [舫い網, もやいづな] 〖행정〗 ➜ 밧줄

모어 [more] 〖언론〗 ➜ 더보기

모연 [毛筵] 〖행정〗 ➜ 너덜 거적

모요 [模樣, もよう] 〖패션〗 ➜ 모양, 무늬

모용 [冒用] 〖행정〗 ➜ 속여 씀

모우 [牡牛] 〖행정〗 ➜ 수소

모우어 [mower] 〖행정〗 ➜ 풀깎기

모자이크(하다) [mosaic-] 〖생활외〗 ⇨ 짜맞추기, 짜맞추다 ¶다양한 모자이크 인선을 하고 있다.

모재 [母材] 〖행정〗 ➜ 용접물

모종 [某種] 〖정치〗 ⇨ 어떤 종류

모줄임 천정 [←抹角操井天井] 〖고고학〗 ⇨ 모고임 천장, 모죽임 천장

※intersecting triangular ceiling

모지 [母枝] 〖행정〗 ➜ 어미가지

모집 요강 [募集要綱] 〖행정〗 = 모집 안내

모집자 [募集者] 〖행정〗 = 모집인

모체 [母體] 〖행정〗 = 본체

모치 [餠, もち] 〖식생활〗 ➜ 떡, 찹쌀떡

모치다시 [持出し] 〖봉제〗 ➜ 밑덧단

모치도구 [持ち道具] 〖생활외〗 ➜ 소도구

모치떡 [餠-, もち-] 〖식생활〗 ➜ 찹쌀떡

모쿠네지 [木螺子, もくねじ] 〖건설〗 ➜ 나사못

모쿠리 [木理, もくり] 〖미술〗 ➜ 나뭇결

모터 [motor] 〖전기〗 ⇨ 전동기(電動機), 발동기

모토 [motto] 〖행정〗 ➜ 신조, 좌우명, 제목

모틀링 [mottling] 〖미술〗 ⇨ 알록짜기

모티브 [motive] 〖생활외〗 〖언론〗 ⇨ 동기 ¶심원한 종소리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소설.

모포 [毛布] 〖생활외〗 ⇨ 담요

모포라지 [毛-地] 〖패션〗 ➜ 모포럴천

모피 [毛皮] 〖행정〗 = 털가죽

모필 [毛筆] 〖미술〗 ⇨ 붓

모해하다 [謀害-] 〖행정〗 ➜ 해치다, 모함하여 해치다

모형 [模型] 〖행정〗 = 틀, 본, 거푸집

모호하다 [模糊-] 〖행정〗 = 흐릿하다

목각인 [木刻印] 〖행정〗 ➜ 나무 도장

목건초 [牧乾草] 〖행정〗 ➜ 마른꼴

목걸이 [頸飾] 〖고고학〗 ⇨ 목거리, 목걸이 ※necklace

목골 [木骨] 〖행정〗 ➜ 나무 뼈대

목곽묘 [木槨墓] 〖고고학〗 ⇨ 나무덧널 무덤, 목관묘 ※wooden chamber tomb

목관묘 [木棺墓] 〖고고학〗 ⇨ 나무널 무덤, 목관묘 ※wooden coffin tomb

목교 [木橋] 〖임업〗 ⇨ 나무 다리

목구 [木口] 〖임업〗 ⇨ 마구리

목근 [木根] 〖행정〗 ➜ 나무 뿌리

목단 [牧丹] 〖행정〗 ➜ 모란

목도 [牧道] 〖행정〗 ➜ 목장길

목도하다 [目睹-] 〖행정〗 ➜ 보다

목두 [木頭] 〖행정〗 ➜ 나무머리 토막

목록 [目錄] 〖행정〗 = 발기(-記)

목리 [木理] 〖임업〗 ➜ 나뭇결

목리문 [木理紋] 〖미술사〗 ⇨ 나뭇결 무늬 ※the grain of wood

목매 [木-] 〖농업〗 ➜ 나무 딸기

목매설공 [木埋說工] 〖임업〗 ➜ 통나무 땅속 흙막이

목모 및 대팻밥 [木毛-] 〖행정〗 ➜ 대팻밥류

목보곡공 [木保谷工] 〖임업〗 ➜ 통나무 골막이

목보상공 [木保床工] 〖임업〗 ➜ 통나무 바닥막이

목보안공 [木保岸工] 〖임업〗 ➜ 통나무 기슭막이

목분 [木紛] 〖임업〗 ⇨ 나뭇가루

목불인견 [目不忍見] 〖행정〗 ⇨ 눈뜨고 못 봄, 차마 볼 수 없음

목산 [目算] 〖행정〗 ➜ 눈어림

목상자 [木箱子] 〖행정〗 ➜ 나무 상자

목설 [木屑] 〖행정〗 ➜ 톱밥

목수라 [木修羅] 〖임업〗 ➜ 나무 미끄럼길

목수로 [木水路] 〖임업〗 ⇨ 통나무 수로, 통나무 도랑

목안 [木雁] 〖민속〗 ⇨ 나무 기러기

목야(초)지 [牧野草地] 〖행정〗 = 꼴밭

목언제 [木堰堤] 〖임업〗 ➜ 통나무댐

목유토공 [木留土工] 〖임업〗 ➜ 통나무 흙막이

목전의 [目前-] 〖행정〗 = 눈앞의

목정 [木精] 〖법의학〗 ➜ 메틸알코올, 메탄올 ※wood alcohol

목제잠박 [木製蠶箔] 〖잠업〗 ➜ 나무(누에) 채반

목죽 [木竹] 〖행정〗 ➜ 대와 나무

목준 [木樽] 〖행정〗 ➜ 나무 술통, 나무통

목차 [目次] 〖행정〗 = 차례

목책공 [木柵工] 〖임업〗 ➜ 통나무 울(짱)얽기

목초 [木草] 〖행정〗 = 나무와 풀

목측 [目測] 〖행정〗 ➜ 눈대중, 눈어림, 눈짐작

목탄 [木炭] 〖임업〗 ⇨ 숯

목편 [木片] 〖행정〗 ➜ 나뭇조각

목하 [目下] 〖행정〗 ➜ 지금, 현재

목할저 [木割箸] 〖임업〗 ➜ 나무젓가락

목화 [木花] 〖임업〗 = 목질화

몰골법 [沒骨法] 〖미술사〗 ⇨ 단붓질, 몰골법 ※without ink outline painting method

몰딩(←모루징구) [moulding] 〖전기〗 ➜ (전선) 덮개

몰상식한 [沒常識-] 〖행정〗 = 못된

몰수하다 [沒收-] 〖행정〗 = 빼앗아 들이다

몰지각한 [沒知覺-] 〖행정〗 = 지각없는

몰취하다 [沒取-] 〖행정〗 ➜ 모두 뺏다

몸돌 [←石核] 〖고고학〗 ⇨ 몸돌, 석핵 ※core

몸메 (←몬메) [丸, もんめ] 〖생활외〗 ➜ 돈(쭝)

몸비 〖생활외〗 ➜ 명절 영화

몸뻬 [もんぺ] 〖패션〗 ➜ 왜바지, 일바지

못코 [畚] 〖생활외〗 ➜ 짐그물

못코 [もっこ] 〖행정〗 ➜ 짐그물, 하역 그물

몽과 [檬果] 〖임업〗 ➜ 망고

몽리 [蒙利] 〖행정〗 ➜ 혜택 입음

몽리 지역 [蒙利地域] 〖행정〗 ➜ 혜택 지역

몽리면적 [蒙利面積] 〖농업〗 ➜ 물댈 면적

몽리자 [蒙利者] 〖행정〗 ➜ 이를 보는 이

몽매하다 [蒙昧-] 〖행정〗 = 어리석다

몽타주 [프.montage] 〖행정〗 = 인물 추정화

묘 [苗] 〖행정〗 ➜ 모

묘 [錨] 〖행정〗 ⇨ 닻

묘광 [墓壙] 〖고고학〗 ⇨ 무덤 구덩이, 묘광 ※grave pit

묘근 [苗根] 〖농업〗 ➜ 모뿌리

묘대 [苗垈] 〖행정〗 ➜ 못자리

묘대기 [苗垈期] 〖농업〗 ➜ 못자리 때

묘령 [苗齡] 〖임업〗 ⇨ 묘목 나이

묘령 인하 [苗齡引下] 〖행정〗 ➜ 모나이 낮추기

묘매 [苗莓] 〖농업〗 ➜ 멍석딸기

묘목 [苗木] 〖행정〗 = 나무, 나무모

묘목대 [苗木袋] 〖행정〗 ➜ 모 망태

묘박 [錨泊] 〖행정〗 ➜ 정박

묘발취 [苗拔取] 〖행정〗 ➜ 묘뽑기, 모찌기

묘상 [苗床] 〖행정〗 ➜ 모(종)판

묘상격자 [苗床格子] 〖임업〗 ⇨ 모판틀

묘안 [妙案] 〖행정〗 = 좋은 생각

묘역 [墓域] 〖고고학〗 ⇨ 무덤 구역, 묘역 ※boundary of grave

묘연하다 [杳然-] 〖행정〗 = 감감하다

묘지 [錨地] 〖행정〗 ➜ 정박지

묘판 [苗板] 〖행정〗 ⇨ 못자리

무가 [巫歌] 〖민속〗 ⇨ 무당노래, 무가

무강 [無彊] 〖행정〗 ➜ 끝이 없음

무개 [無蓋] 〖행정〗 ➜ 덮개 없는, 뚜껑 없는

무개차 [無蓋車] 〖행정〗 ⇨ 덮개 없는 차

무결속엽 [無結束葉] 〖행정〗 = 민꼭짓잎

무경운 [無耕耘] 〖농업〗 ➜ 갈지 않음

무고 [誣告] 〖행정〗 = 거짓 고발

무과실 [無過失] 〖행정〗 ➜ 잘못 없음

무관하다 [無關-] 〖행정〗 = 관계없다

무근 [無筋] 〖행정〗 ➜ 철근이 없음

무기명 [無記名] 〖행정〗 = 이름 안 밝힘

무기질 토양 [無機質土壤] 〖농업〗 ⇨ 무기질 흙

무나쿠세 [胸癖] 〖봉제〗 ➜ 허리줄임, 허리다트

무난하다 [無難-] 〖행정〗 = 괜찮다

무네 [むね] 〖생활외〗 ➜ 세트, 채

무네하바 [胸幅] 〖봉제〗 ➜ 앞품

무단 사용 [無斷使用] 〖행정〗 = 마음대로 씀

무단 이석 [無斷離席] 〖행정〗 ➜ 마음대로 자리 비움

무단히 [無斷-] 〖행정〗 ➜ 함부로, 허락 없이

무당 노래 [巫歌-] 〖민속〗 ⇨ 무당노래, 무가

무대재배 [無袋栽培] 〖농업〗 ➜ 무봉지 재배

무덤 구덩 [墓壙] 〖고고학〗 ⇨ 무덤 구덩이, 묘광 ※grave pit

무덤 구역 [墓域] 〖고고학〗 ⇨ 무덤 구역, 묘역 ※boundary of grave

무덤떼 [古墳群] 〖고고학〗 ⇨ 고분군 ※group of tomb

무덤 안칸 [玄室] 〖고고학〗 ⇨ 무덤 안방, 현실 ※main chamber

무뎃뽀 [無鐵砲, むてっぽう] 〖생활외〗 ➜ 무모(無謀), 막무가내

무드 [mood] 〖생활외〗 〖패션〗 ⇨ 멋, 분위기 ¶영화를 같이 보다가 잠들어 버리는 무드 없는 남자. 〖언론〗 ⇨ 분위기 ¶남북 화해-협력 무드 한 단계 높인다. 〖연극〗 ⇨ 정서

무라 [斑] 〖생활외〗 ➜ 얼룩

무라나오시 [斑直し] 〖건설〗 ➜ 고름질

무라토리 [斑取, むらとり] 〖생활외〗 〖건설〗 〖신문〗 ➜ 얼룩빼기

무례한 [無禮-] 〖행정〗 = 버릇 없는

무루 [無漏] 〖행정〗 ➜ 빠짐없이

무망종 [無芒種] 〖농업〗 ⇨ 까락 없는 품종

무망하다 [務望-] 〖행정〗 ➜ 바라다

무방 [無妨] 〖행정〗 = 괜찮음

무부리 [無附利] 〖경제〗 〖금융〗 ➜ 무이자

무비 스타 [movie star] 〖생활외〗 ➜ 영화 배우 ¶무비 스타로도 인정받는 원작자 톰 클랜시

무비 트레일러 [movie trailer] 〖언론〗 ➜ 예고편 ¶영화 정보 검색은 물론 무비 트레일러와 사진, 영화 음악 등의 감상과 다운로드(→내려받기)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무비재배 [無肥栽培] 〖농업〗 ➜ 무비료 재배

무비판적으로 [無批判的-] 〖행정〗 = 비판 없이, 생각 없이

무산되다 [霧散-] 〖행정〗 = 안 되다, 못하다, 흩어지다

무상양여 [無償讓與] 〖임업〗 ⇨ 거저 줌

무선 가입자 회선 [WLL] 〖전기〗 ⇨ 무선 지역 회선 ※wireless local loop 〖통신〗

무신호기 [霧信號機] 〖행정〗 ➜ 안개 신호기

무악 [巫樂] 〖민속〗 ⇨ 무속 음악, 무악 ※shamanic ritual musics

무연고 [無緣故] 〖행정〗 ⇨ 연고 없음

무위 [無違] 〖행정〗 = 꼭, 어김없이, 틀림없이

무위도식하다 [無爲徒食-] 〖행정〗 = 놀고 먹다

무육 [撫育] 〖행정〗 ➜ 보살펴 기름

무육하는 [撫育-] 〖행정〗 ➜ 보살펴 기르는

무인 [拇印] 〖금융〗 〖행정〗 ⇨ 손도장

무인원 [拇印願] 〖행정〗 ➜ 손도장 신청서

무임 [無賃] 〖행정〗 = 운임을 받지 아니함

무자격 [無資格] 〖행정〗 = 자격 없음

무작위 [無作爲] 〖행정〗 = 임의

무적자 [無籍者] 〖행정〗 ⇨ 국적/호적이 없는 자

무절 [無節] 〖임업〗 ⇨ 마디 없는

무종자 과실 [無種子果實] 〖농업〗 ➜ 씨 없는 열매

무주 부동산 [無主不動産] 〖행정〗 ➜ 주인 없는 부동산

무주물 [無主物] 〖행정〗 ➜ 임자 없는 물건

무주의 [無主-] 〖행정〗 ➜ 주인 없는

무주택 [無住宅] 〖행정〗 = 집 없음

무주택자 [無住宅者] 〖행정〗 = 집 없는 사람

무중 신호 [霧中信號] 〖행정〗 ➜ 안개 중 신호 〖항만〗

무지 [拇指] 〖행정〗 ➜ 엄지 (손가락)

무지 [無知] 〖행정〗 ⇨ 모름

무지개 천장 [穹隆狀天障] 〖고고학〗 ⇨ 반원통 천장 ※archshaped ceiling

무진사 [無診査] 〖행정〗 ➜ 진찰 면제

무진장 [無盡藏] 〖행정〗 = 수없음, 수없이

무창층 [無窓層] 〖행정〗 ➜ 창 없는 층

무카자리 [無飾り] 〖봉제〗 ➜ 민짜

무코누노 [向布] 〖봉제〗 ➜ 맞단

무크 [mook] 〖생활외〗 ⇨ 부정기 간행물 ¶최근에 무크지 발간이 주춤해졌다.

무키 [むき] 〖생활외〗 ➜ 용, 소용

무투표 사유 [無投票事由] 〖정치〗 ⇨ 투표하지 않은 까닭

무해한 [無害-] 〖행정〗 ➜ 해가 없는

무핵과 [無核果] 〖식생활〗 ➜ 씨 없는 과일

무화 [無火] 〖행정〗 ➜ 불 없는, 기관이 꺼진 〖철도〗

무화 [無貨] 〖전철〗 ➜ 무동력

무효 [無效] 〖행정〗 = 효력 없음

무효분얼 종지기 [無效分蘖終止期] 〖농업〗 ➜ 헛새끼치기 끝날 때

무효수분 [無效水分] 〖임업〗 ⇨ 비가용수

무후가 [無後家] 〖행정〗 ➜ 대 끊긴 집

묵과하다 [黙過-] 〖행정〗 ➜ 넘겨 버리다

묵법 [墨法] 〖미술〗 ⇨ 먹쓰기

묵살 [黙殺] 〖행정〗 ➜ 무시, 뭉갬

묵색 [墨色] 〖미술〗 ⇨ 먹빛, 먹색

묵수하다 [墨守-] 〖행정〗 ➜ 지키다

묵인하다 [黙認-] 〖행정〗 = (알고도) 넘겨 버리다

문 [問] 〖행정〗 = 물음

문고병 [紋枯病] 〖행정〗 ➜ 잎진 무늬 마름병

문단 [文旦] 〖임업〗 ➜ 문단 귤

문란한 [紊亂-] 〖행정〗 = 어지러운

문리 [紋理] 〖행정〗 ➜ 무늬

문미 [門楣] 〖건축사〗 ⇨ 문상방 ※door lintel

문부 [文簿] 〖행정〗 ➜ 문서, 장부

문비 [門扉] 〖행정〗 ➜ 문, 문짝

문살 무늬 [格字紋] 〖고고학〗 ⇨ 격자 무늬 ※lattice design

문서도화 [文書圖畵] 〖금융〗 ➜ 보험 안내 자료

문서화하여 [文書化-] 〖행정〗 ➜ 문서로 만들어

문설주 〖건축사〗 ⇨ 문설주, 문선 ※doorjamb

문와쿠 [門わく] 〖행정〗 ➜ 문틀

문의하다 [問議-] 〖행정〗 = 묻다

문이마 [門楣] 〖건축사〗 ⇨ 문상방 ※door lintel

(문자를) 해독하다 [解讀-] 〖행정〗 = (문자를) 읽어서 알아내다

문전 [門箭] 〖건축사〗 ⇨ 문살 ※door ribs

문지하다 [聞知-] 〖행정〗 ➜ 들어 알다

문책 [問責] 〖행정〗 = 책임(을) 물음

문체 [文體] 〖행정〗 = 글투

문하시라 [門柱] 〖건설〗 ➜ 대문 기둥

묻치기 〖임업〗 ➜ 땅속 흙막이

물가 [物價] 〖행정〗 = 물건값

물가고 [物價高] 〖생활외〗 ⇨ (높은) 물가

물레 [陶車] 〖고고학〗 ⇨ 돌림판 ※potter's wheel

물론 [勿論] 〖행정〗 = 으레, 말할 것 없이

물리적 모형 [物理的模型] 〖임업〗 ⇨ 형상 모형

물매 [傾斜] 〖건축사〗 ⇨ 물매, (지붕) 기울기 ※gradient, pitch

물색하다 [物色-] 〖정치〗 = 찾아내다

물실크 [-silk] 〖패션〗 ⇨ 유사견

물의 [物議] 〖행정〗 ⇨ 말썽

물의가 야기되는 [物議-惹起-] 〖행정〗 ⇨ 말썽이 이는

물치 [物置] 〖행정〗 ➜ 광, 헛간

물탱크 [-tank] 〖행정〗 = 물통

물피 [物被] 〖행정〗 ➜ 물적 (재산) 피해

물형 [物形] 〖행정〗 ➜ 물건꼴

뭉개기 (←뭉기기) 〖임업〗 ➜ 비탈 다듬기

미 [尾] 〖행정〗 ➜ 꼬리, 마리 〖단위〗

미가 [米價] 〖행정〗 ➜ 쌀값

미가키 [磨] 〖미술〗 ➜ 윤내기, 광내기

미간 [眉間] 〖행정〗 = 눈썹 사이

미강 [米糠] 〖행정〗 ➜ 쌀겨

미강착유 [米糠搾油] 〖식생활〗 ➜ 쌀겨 기름

미결 [未決] 〖행정〗 ⇨ 처리되지 않음

미경화용견 [未硬化蛹繭] 〖행정〗 ➜ 선고치

미고로 [身頃, みごろ] 〖패션〗 ➜ 길

미고로아와세 [身頃合せ] 〖봉제〗 ➜ (앞뒤) 길붙이기

미곡 [米穀] 〖식생활〗 ➜ 쌀

미곡상 [米穀商] 〖행정〗 ⇨ 쌀가게, 싸전, 쌀장사, 쌀장수

미구에 [未久-] 〖행정〗 ⇨ 머지않아

미국 [米麴] 〖식생활〗 ➜ 쌀누룩

미급 [未急] 〖행정〗 ⇨ (그다지) 급하지 아니함

미급하여 [未及-] 〖행정〗 ⇨ 미치지 못하여

미깡 [蜜柑, みかん] 〖식생활〗 ➜ (감)귤, 밀감

미납 [未納] 〖행정〗 = 내지 않음

미네랄 워터 [mineral water] 〖생활외〗 ➜ 광천수, 탄산수, 생수, 먹는 샘물 ¶시판 논란이 가중되고 있는 미네랄 워터.

미네히카리 [峰光, みねひかり] 〖행정〗 ➜ 봉광(峰光)벼

미니 스타일 [mini style] 〖패션〗 ➜ 미니 양식

미니멀 드레싱 [minimal dressing] 〖패션〗 ➜ 최소 차림(법)

미니멀리즘 [minimalism] 〖언론〗 〖패션〗 ➜ 최소주의 ¶마르티노프와 패르트의 음악은 ‘영적(靈的) 미니멀리즘’으로 불린다.

미니멀아트 [minimal art] 〖미술〗 ⇨ 최소 미술, 단순 미술

미니스커트 [miniskirt] 〖생활외〗 ⇨ 깡동 치마, 짧은 치마 ¶미니스커트가 올여름에 유행할 조짐이 보인다.

미니아튀르 [프.miniature] 〖패션〗 ⇨ 세밀화

미니어처 [miniature] 〖미술〗 ⇨ 소품, 〖패션〗 ⇨ 세밀화

미니차트 [minichart] 〖행정〗 ➜ 작은 도표/괘도

마다시 [見出し] 〖신문〗 〖행정〗 ➜ 찾음표, 표제, 제목 〖인쇄〗

미다시공구리 [見出しコンクリート, -concrete] 〖건설〗 ➜ 제치장 콘크리트

미달된 [未達-] 〖행정〗 = 못 미친

미담 [美談] 〖행정〗 = 좋은 일

미대출되다 [未貸出-] 〖행정〗 ⇨ 안 뀌어 주다

미도래하다 [未到來-] 〖행정〗 ➜ 오지 않다

미도리 [綠, みどり] 〖패션〗 ➜ 녹색, 초록

미도리 우동 [綠饂飩, みどりうどん] 〖식생활〗 ➜ 초록 국수

미드리프 [midriff] 〖패션〗 ➜ 배꼽티

미드리프 재킷 [midriff jacket] 〖패션〗 ⇨ 짧은 재킷

미드 카프 부츠 [mid calf boots] 〖패션〗 ➜ 종아리 부츠

미드 카프 팬츠 [mid calf pants] 〖패션〗 ➜ 종아리 바지

미드 코트 [mid court] 〖배드민턴〗 ➜ 중간 지점

미드 코트 플레이 [mid court play] 〖테니스〗 ⇨ 복판 경기, (코트) 중앙 경기

미들 슛 [middle shoot] 〖농구〗 〖핸드볼〗 ➜ 중거리 쏘기

미들 아이언 [middle iron] 〖골프〗 ➜ 중간 쇠채

미등 [尾燈, tail lamp] 〖전기〗 ⇨ 꼬리등, 뒷등

미등기 [未登記] 〖행정〗 = 등기 안 됨

미디 스커트 [midi skirt] 〖패션〗 ⇨ 미디 치마

미디어 [media] 〖생활외〗 ⇨ (대중) 매체, 매개체 ¶미디어를 연결하는 전략적인 위치

미디엄 [medium] 〖미술〗 ⇨ (녹임) 매제

미디엄 아이언 [medium iron] 〖골프〗 ➜ 중간 쇠채

미란 [靡爛] 〖법의학〗 ➜ 벗겨짐, 까짐 ※erosion

미래 [未來] 〖행정〗 = 앞날

미러클 플레이 [miracle play] 〖연극〗 ➜ 성자극(聖子劇)

미력 [微力] 〖행정〗 = 작은 힘

미립 [微粒] 〖행정〗 = 잔알

미립 [米粒] 〖식생활〗 ➜ 쌀알

미명 [未明] 〖행정〗 ⇨ 날이 밝기 전

미모레 [프.mi-mollet] 〖패션〗 ➜ 종아리 (길이)

미몽 [迷夢] 〖정치〗 = (헛된) 꿈

미미 [耳] 〖봉제〗 ➜ 식서(飾緖), 갖은서

미미다레 [耳垂れ] 〖신문〗 ➜ 물음표

미미마게 [耳曲] 〖미술〗 ➜ 접기

미미한 [微微-] 〖행정〗 = 보잘 것 없는

미봉책 [彌縫策] 〖행정〗 = 눈가림

미분 [米粉] 〖식생활〗 ➜ 쌀가루

미분명한 [未分明-] 〖행정〗 ⇨ 불분명한, 분명하지 않은

미분탄 [微粉炭] 〖행정〗 ➜ 가루탄

미불 [未拂, みはらい] 〖생활외〗 ⇨ 미지급

미비한 [未備-] 〖행정〗 = 덜 갖춘

미사 [尾飼] 〖임업〗 ➜ 꼬리채움

미사일 [missile] 〖행정〗 = 유도탄

미삭 [尾索] 〖임업〗 ➜ 꼬리줄

미상 [未詳] 〖법의학〗 ⇨ 알 수 없음 ※uncertain, 〖행정〗 = 잘 모름

미상불 [未嘗不] 〖행정〗 = 아닌 게 아니라

미성숙재 [未成熟材] 〖임업〗 ⇨ 풋목재

미세조로에 [店揃え, みせぞろえ] 〖패션〗 ➜ 상점 (구색) 갖추기

미소 [味素] 〖식생활〗 ➜ 맛난이

미소 [微笑] 〖행정〗 = 웃음

미소시루 [味噌汁] 〖식생활〗 ➜ 된장국

미숀 [トランスミッション, transmission] 〖생활외〗 ➜ 변속기, 트랜스미션

미수 보험료 [未收 保險料] 〖금융〗 ⇨ 못 받은 보험료

미수 손상 [未遂 損傷] 〖법의학〗 ⇨ 주저 상처 ※hesitation mark or hesitation wound

미숙과 [未熟果] 〖농업〗 ⇨ 선열매

미숙립 [未熟粒] 〖농업〗 ➜ 덜 여문 알

미숙엽 [未熟葉] 〖행정〗 ➜ 설익은 잎

미숙잠 [未熟蠶] 〖잠업〗 ➜ 설익은 누에

미숙퇴비 [未熟堆肥] 〖농업〗 ➜ 덜 썩은 두엄

미스 [miss] 〖행정〗 ➜ 실수 ¶단 한번의 미스는 그대로 패배로 직결된다.

미스 [Miss] 〖생활외〗 ➜ 씨/양, 아가씨

미스 샷 [miss shot] 〖골프〗 ➜ 실(수)타

미스매치 [mismatch] 〖패션〗 ⇨ 부조화 차림

미스매치 슈트 [mismatch suit] 〖패션〗 ⇨ 부조화 슈트

미스매치 컬러 [mismatch color] 〖패션〗 ⇨ 부조화 배색

미스캐스팅 [miscasting] 〖언론〗 ➜ 부적격 배역 ¶그런 중에도 왕건 역 ○○○을 두고 ‘미스캐스팅 아니냐’는 시청자 반응도 적지 않다.

미스터 [Mr.] 〖생활외〗 ➜ = 군/선생님, 씨/선생님 ¶미스터 김은 참 부지런한 사람이야.

미스터리 [mystery] 〖생활외〗 ⇨ 추리 ¶미스터리와 딜레마로 스토리를 구성하였습니다.

미스터리 쇼핑 [mystery shopping] 〖언론〗 ➜ 암행 장보기 ¶외식이나 유통․패션․호텔업체 등의 매장에 고객으로 가장해 들어가 서비스와 매장 진열 상태 등을 종업원 몰래 평가해 주는 일명 ‘미스테리(→미스터리) 쇼핑’이 국내에 들어왔다.

미스터리 플레이 [mystery play] 〖연극〗 ➜ 성서극

미스테이크 [mistake] 〖행정〗 ➜ 잘못, 틀림

미스프린트 [misprint] 〖행정〗 ⇨ 오식, 오자

미시즈 사이즈 [Mrs. size] 〖패션〗 ➜ 부인 치수

미시즈 [Mrs.] 〖생활외〗 ➜ 부인 ¶미스인지 미시즈인지 모르겠군요.

미심 사항 [未審事項] 〖행정〗 ➜ 의심 나는 일

미싱 (←미신) [ミシン] 〖봉제〗 ➜ 재봉틀

미싱바리 [ミシン-machine-] 〖생활외〗 ➜ 재봉사

미쓰마키누이 [三(つ)卷き縫い] 〖봉제〗 ➜ 세겹말아 박기

미쓰모리 [見積り] 〖건설〗 ➜ 어림셈, 추산, 견적

미쓰소로에 [みつぞろえ] 〖생활외〗 ➜ 제갖춤

미쓰아마다레 [三つ雨垂れ] 〖신문〗 ➜ 세겹느낌표

미쓰오리누이 [三(つ)折り縫い] 〖봉제〗 ➜ 세겹접어막기

미쓰키 [見付き] 〖행정〗 ➜ 어림값

미아 [迷兒] 〖행정〗 = 길 잃은 아이

미아이 [見合い] 〖행정〗 ➜ 맞선

미약 [微弱] 〖정치〗 = 약함

미연에 [未然-] 〖행정〗 ⇨ 미리

미연에 방지하다 〖행정〗 ⇨ 미리 막다

미온적인 [微溫的-] 〖행정〗 ⇨ 미지근한

미우 [尾羽] 〖생활외〗 ➜ 꼬리깃

미의 [微意] 〖행정〗 ➜ 작은 뜻

미익면 [尾翼面] 〖행정〗 ➜ 꼬리 날개 표면

미점준 [米點齧] 〖미술사〗 ⇨ 미점준법 ※dotting method created by Mi Fu

미제 [未濟] 〖행정〗 ➜ 처리 안 됨

(미제 사건을) 떼다 〖행정〗 ➜ (처리 안 된 사건을) 처리하다

미조 [溝] 〖생활외〗 ➜ 홈

미조 [迷鳥] 〖임업〗 ⇨ 길 잃은 새

미즈나오시 [みずなおし] 〖행정〗 ➜ 물청소

미즈네리 [水練り] 〖건설〗 ➜ 물비빔

미즈누키 [水貫, みずぬき] 〖건설〗 ➜ 수평 띠장

미즈모리 [水盛り] 〖건설〗 ➜ 수평보기

미즈미가키 [水磨き] 〖건설〗 ➜ 물갈기

미즈바리 [水張り] 〖미술〗 ➜ 물뿌려 말리기

미즈바케 [水刷毛] 〖미술〗 ➜ 물귀얄

미즈시메 [水締め] 〖건설〗 ➜ 물다짐

미즈아게 [水揚げ] 〖행정〗 ➜ 판매액

미즈이토 [水糸, みずいと] 〖미술〗 ➜ 수평줄

미즈카에 [水替え] 〖건설〗 ➜ 물푸기

미즈키리 [水切り] 〖건설〗 ➜ 물끊기

미증유의 [未曾有-] 〖행정〗 ⇨ 전에 없던

미지급고 [未支給高] 〖행정〗 ➜ 미지급액

미지불 [未支拂, みしはらい] 〖생활외〗 ⇨ 미지급

미지수 [未知數] 〖행정〗 = 알 수 없음

미진 [未盡] 〖정치〗 = 다하지 못함

미진학 [未進學] 〖행정〗 = (상급 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미징수된 [未徵收-] 〖행정〗 ➜ 걷히지 않은

미충 [尾充] 〖임업〗 ➜ 꼬리 채움

미취업 [未就業] 〖행정〗 ⇨ 취직하지 않음

미취학 아동 [未就學-] 〖행정〗 ⇨ 학교에 입학하지 않은 어린이

미츠소로에 (←미쓰조로에) [みつぞろえ] 〖생활외〗 ➜ 세갖춤

미카에시 [見返し] 〖봉제〗 ➜ 안단

미코미 [みこみ] 〖생활외〗 ➜ 가망, 예상

미터기 [meter 器] 〖전기〗 ⇨ 계측기(計測器)

미터링 튜브 [metering tube] 〖생활외〗 ➜ 정량 조절기

미투 제품 [metoo 製品] 〖언론〗 ➜ 모방 제품 ¶할인점이 제조 업체의 1등 상품을 본뜬 이른바 미투 제품을 만들어 팔고 있다.

미트 [mitt] 〖사이클〗 ➜ 장갑

미튼 [mitten] 〖패션〗 ➜ 벙어리장갑

미팅 [meeting] 〖생활외〗 ⇨ 모임, 모꼬지 ¶아침 미팅에서 박 부장의 의견이 채택되었다. 〖야구〗 ➜ 살짝치기

미필 [未畢] 〖행정〗 ⇨ 못 마침

미화용견 [未化蛹繭] 〖행정〗 = 누에 든 고치

미흡하다 [未洽-] 〖행정〗 = 모자라다

믹스드 더블즈 게임 [mixed doubles game] 〖테니스〗 ➜ 혼합 복식

믹스트 더블즈 [mixed doubles] 〖배드민턴〗 ➜ 혼합 복식

믹스트 포섬 [mixed foursome] 〖골프〗 ➜ 혼합 2인 1조 경기

믹스트 미디어 [mixed media] 〖미술〗 ⇨ 혼합 기법

믹스하다 [mix-] 〖생활외〗 〖언론〗 ➜ (뒤)섞다 ¶명곡들과 아카데믹한 곡들을 믹스함으로써 청중을 사로잡았다.

민간인 [民間人] 〖행정〗 ⇨ 일반인

민도 [民度] 〖행정〗 = 문화 수준

민액자 [-額子] 〖미술〗 = 민틀

민원다이 [民願だい] 〖행정〗 ➜ 민원대

민첩 [敏捷] 〖정치〗 = 재빠름

밀고하다 [密告-] 〖행정〗 = (몰래) 고자질하다

밀담 [密談, みつだん] 〖생활외〗 ⇨ 비밀 이야기

밀도 [蜜刀] 〖잠업〗 ➜ 꿀칼

밀랍 [蜜蠟] 〖식생활〗 = 밀

밀레니엄 [millennium] 〖언론〗 ➜ (새)천년, 천년맞이 ¶밀레니엄 관련 국내 이벤트(→행사), 그리고 사전 제작한 역사․환경․시사 다큐 등을 내보낼 예정이다.

밀레니엄 베이비 [millennium baby] 〖언론〗 ➜ 천년둥이

밀렵 [密獵] 〖행정〗 = 몰래 사냥함

밀리터리 룩 [military look] 〖패션〗 ⇨ 군복풍

밀리터리 배낭 [military 背囊] 〖언론〗 ➜ 군대 배낭 ¶최근의 배낭은 군인들이 쓰는 밀리터리 배낭으로 봐도 된다.

밀매하다 [密賣-] 〖행정〗 = 몰래 팔다

밀반입 [密搬入] 〖행정〗 = 몰래 들여옴

밀반출 [密搬出] 〖행정〗 = 몰래 내감

밀봉 [蜜蜂] 〖행정〗 ➜ 꿀벌

밀선 [蜜腺] 〖잠업〗 ➜ 꿀샘

밀식 [密植] 〖행정〗 ➜ 배게 심기

밀약 [密約] 〖행정〗 = 짬짜미

밀원 [蜜源] 〖행정〗 ➜ 꿀밭

밀전 [密栓] 〖행정〗 ➜ 마개, 막음

밀전부 [密栓部] 〖행정〗 ➜ 마개 자리

밀집된/한 [密集-] 〖행정〗 = 빽빽하게 들어선

밀크 [milk] 〖식생활〗 ➜ 우유

밀크식빵 [milk食-] 〖식생활〗 ➜ 우유 식빵

밀파 [密播] 〖농업〗 ➜ 배게 뿌림

밀폐하다 [密閉-] 〖행정〗 = 꼭 닫다

밑매기 〖임업〗 ➜ 밑막이


바겐세일 [bargain sale] 〖생활외〗 〖패션〗 ➜ 싸게 팔기, 할인 판매 ¶요즘 백화점에서는 바겐세일을 하고 있다.

바느질장 [針線匠] 〖민속〗 ⇨ 침선장

바니시 [varnish] 〖미술〗 ⇨ 광칠

바다모노 〖생활외〗 ➜ 활극

바닥떼 〖임업〗 ➜ 밑떼

바닥매기 〖임업〗 ➜ 바닥막이

바덴스키 [bertensky] 〖행정〗 ➜ 시험용 통화기

바디 포지션 [body position] 〖연극〗 ➜ 신체 위치

바라 [ばら] 〖행정〗 ➜ 마구놓기

바라스 [ばらす] 〖건설〗 ➜ 세트 거두기

바라시 [ばらし] 〖건설〗 ➜ 뜯기, 헐기, 해체

바로미터 [barometer] 〖생활외〗 〖정치〗 ➜ 잣대, 척도, 지표, 〖언론〗 ⇨ 잣대, 지표, 척도 ¶개혁의 바로미터가 된다는 점에서 큰 비중을 갖는다.

바로크 스타일 [baroque style] 〖패션〗 ⇨ 바로크 양식

바로크 컬러 [baroque color] 〖패션〗 ➜ 바로크 색(채)

바른층 쌓기 〖임업〗 = 켜 쌓기

바리 그릇 받침 [鉢形器臺] 〖고고학〗 ⇨ 바리 모양 그릇 받침 ※bowl stand

바리캉 (←바리깡) [バリカン, 프.bariquant] 〖생활외〗 ➜ 이발기

바리케이드 [barricade] 〖행정〗 ➜ 방벽, 방어벽, 방책 ¶곳곳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했다.

바리콘 [バリコン, variable condenser] 〖전기〗 ➜ 가변 콘덴서(可變 condenser), 가변 축전기

바 메이드 [bar maid] 〖볼링〗 ➜ 숨은핀, 겹친핀

바바리 [burberry] 〖패션〗 ⇨ 트렌치 코트

바비큐 [barbecue] 〖생활외〗 ⇨ 통구이, 뜰구이 ¶그 곳의 일품 요리는 원주민이 직접 해주는 바비큐 요리이다.

바스켓 [basket] 〖스키〗 ➜ 빠짐 방지 고리

바스켓 기법 [basketry 技法] 〖미술〗 ⇨ 바구니 짜기

바스켓 체크 [basket check] 〖패션〗 ⇨ 바스켓 (격자) 무늬

바스켓 카운트 [basket count] 〖농구〗 ⇨ 득점 인정 추가 자유투

바우처 [voucher] 〖행정〗 ➜ 증빙 서류, 영수증

바우하우스 스타일 [독.Bauhaus style] 〖패션〗 ⇨ 바우하우스 양식

바운더리 [boundary] 〖행정〗 ➜ 경계(境界), 구역, 담당 범위

바운드 패스 [bound pass] 〖핸드볼〗 ➜ 튀겨주기

바운드 심 [bound seam] 〖봉제〗 ⇨ 감싼시접

바운스 [bounce] 〖스키〗 ➜ 하중빼기

바위그림 [巖刻畵] 〖고고학〗 ⇨ 바위그림, 암각화 ※rock art, petrogyph

바위 집자리 [巖陰遺蹟] 〖고고학〗 ⇨ 바위그늘 집터 ※rockshelter

바이 [bye] 〖테니스〗 ➜ 부전승

바이메탈 [bimetal] 〖전기〗 ➜ 쌍금속(雙金屬)

바이백 [buy-back] 〖언론〗 ➜ (주식) 되사기 ¶기업들은 올해부터 증자보다는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식을 ‘바이백’하고 있다.

바이브레이터 [vibrator] 〖행정〗 ➜ 진동기

바이시클 킥 [bicycle kick] 〖축구〗 ⇨ 공중 양발 차기

바이애슬런 [biathlon] 〖스키〗 ➜ 사격 복합 경기

바이어 [buyer] 〖언론〗 〖패션〗 ⇨ 구매자, 구매상, 수입상 ¶중소 기업에 ‘바이어 찾아 주기’ 열어.

바이어스(천) [bias] 〖패션〗 〖봉제〗 ⇨ 어슷끊기

바이오 머캐닉스 [bio mechanics] 〖연극〗 ➜ 생체 역학

바이오 테크 [bio tech (←bio technology)] 〖언론〗 ➜ 생명 공학 ¶바이오테크 산업이 발달한 케임브리지와 보스턴 지역을 제2의 실리콘 밸리로 만들겠다는 포부도 가지고 있다.

바이코 (←하이코) [はいこう] 〖전기〗 ➜ 배광(配光)

바이콘 [bicorne] 〖패션〗 ➜ 이각모

바이타 [場板, ばいた] 〖미술〗 ➜ 작업대

바이탤리티 [vitality] 〖생활외〗 ➜ 활력소 ¶그는 민족적인 바이탤리티를 느꼈다.

바이패스 [bypass] 〖전기〗 ⇨ 우회(迂廻), 에돌기, 〖행정〗 ➜ 통과, 보조 통로, 보조 선로

바인더 [binder] 〖미술〗 ⇨ 죔틀, 조임틀, 〖행정〗 ➜ ①(서류) 보관철, (서류) 묶음 ②베어묶음차, (가을)걷이틀

바인딩 [binding] 〖스키〗 ⇨ 부착기, 〖패션〗 ➜ (감)싼시접, (시접) 감싸기, 〖언론〗 ⇨ 조임쇠, 부착기 ¶보통 바인딩은 스키판 위에서 아래로 나사못을 박아 고정되지만….

바자(회) [bazar-] 〖생활외〗 〖패션〗 = (자선) 특매장, 자선장(터), ¶이번 바자회에 나온 물건은 모두 인기가 있었다.

바지 [barge] 〖행정〗 ➜ 끌림배, 딸림배

바카 [馬廘, ばか] 〖생활외〗 ➜ 바보

바캉스 [프.vacance] 〖생활외〗 ⇨ (여름) 휴가 ¶바캉스 후유증으로 몸살을 앓았다.

바코드 [bar code] 〖언론〗 〖생활외〗 ⇨ 막대 표시, 줄 표시 ¶이들은 오히려 고객이 맡긴 물건에 바 코드를 붙인 뒤 ··· ¶새로 나온 과자에 바코드를 표시키로 했다.

바퀴날도끼 [環狀石斧] 〖고고학〗 ⇨ 달 모양 도끼 ※discoidal mace

바탕흙 [胎土] 〖고고학〗 ⇨ 바탕흙, 태토 ※paste

바택 (←바데낑) [bar tack] 〖패션〗 〖봉제〗 ⇨ 빗장 박음, 빗장 박기

바터 [barter] 〖생활외〗 ➜ 맞바꾸기

바티크 [batik] 〖미술〗 ⇨ 밀막이(들임), 〖패션〗 ⇨ 납방염(蠟防染)

박 [粕] 〖식생활〗 ➜ 깻묵

박두하다 [迫頭-] 〖행정〗 ⇨ 닥쳐 오다

박락 [剝落] 〖전철〗 ⇨ 벗겨짐

박리 [剝離] 〖전철〗 ⇨ 벗겨 떨어짐/벗김, 〖행정〗 ➜ 벗겨내기, 벗겨짐

박멸 [撲滅] 〖행정〗 = 없앰

박봉 [薄俸] 〖행정〗 = 적은 봉급

박산로 [博山爐] 〖미술사〗 ⇨ 박산 향로 ※hill censer

박수 [拍手] 〖행정〗 = 손뼉

벅수 〖민속〗 ⇨ 장승 ※totem pole

박스 [box] 〖전기〗 ➜ 접속 상자(接續箱子)

박스 [box] 〖생활외〗 ⇨ 상자, 갑, 곽 ¶이것은 저쪽 박스에 담아 놓아라. 〖연극〗 ⇨ 박스석, 상자석, 〖행정〗 ➜ 상자, 갑, 곽, 〖미술〗 ⇨ 상자

박스 [box] 〖생활외〗 ⇨ 칸 (기사) ¶이 기사는 박스로 처리합시다

박스권 장세 [box圈 場勢] 〖언론〗 ➜ 머무름 장세 ¶앞으로도 500선 언저리를 오가는 ‘박스권 장세’를 기록할 가능성이 많다고 얘기한다.

박스 세트 [box set] 〖연극〗 ➜ 상자 무대

박스 아웃 [box out] 〖농구〗 ➜ 길 차단, 진로 방해

박스 앤드 원 [box and one] 〖농구〗 ⇨ 1․4 혼합수비

박스 포켓 [box pocket] 〖패션〗 ➜ 홑입술 주머니

박스 플리츠 [box pleats] 〖패션〗 ➜ 통주름, 맞주름

박엽 [薄葉] 〖행정〗 ➜ 얇은 잎

박용 [舶用] 〖행정〗 ➜ 선박용

박자 [拍子] 〖고고학〗 ⇨ 두들개 ※paddle

박지 [泊地] 〖행정〗 ➜ 정박지

박지 [薄紙] 〖행정〗 ➜ 얇은 종이

박지문 [剝地紋] 〖미술〗 ⇨ 긁음 무늬

박차를 가하다 [拍車-] 〖행정〗 = 힘쓰다, 온 힘을 기울이다

박철 [薄鐵] 〖행정〗 ➜ 얇은 철판

박취 [剝取] 〖행정〗 ➜ 떼어 냄

박탈륜 [剝脫輪] 〖법의학〗 ➜ 까진 고리, 벗겨진 고리 ※abrasion ring

박탈하다 [剝奪-] 〖행정〗 = 빼앗다, 없애다

박토 [薄土] 〖행정〗 = 메마른 땅

박파 [薄播] 〖농업〗 ➜ 성기게 뿌림

박편 [薄片] 〖행정〗 ➜ 얇은 판, 얇은 조각

박피 [剝皮] 〖행정〗 ➜ 껍질 벗기기

박피 고치 [薄皮-] 〖행정〗 ➜ 얇은 고치

박피 손상 [剝皮 損傷] 〖법의학〗 ➜ 떼인 상처 ※avulsion

박피 정도 [剝皮程度] 〖행정〗 ➜ 벗긴 정도

박피견 [薄皮繭] 〖잠업〗 ➜ 얇은 고치

박피율 [剝皮栗] 〖식생활〗 ➜ 깐 밤

박해 [雹害] 〖행정〗 ➜ 우박 피해

반경 [半徑] 〖행정〗 = 반지름

반경지삽 [半硬枝揷] 〖임업〗 ➜ 반굳은 (가지) 꽂이

반기 [盤器] 〖임업〗 ➜ 반송기

반납 [返納] 〖행정〗 = 되돌려 줌

반년납 [半年納] 〖행정〗 = 6개월납

반달 돌칼 [半月形石刀] 〖고고학〗 ⇨ 반달 모양 돌칼 ※semi-lunar shaped stone knife

반달형 수로 [半-形 水路] 〖임업〗 ➜ 활꼴 수로, 활꼴 도랑

반대 [盤臺] 〖임업〗 ⇨ 원목승강대

반려하다 [返戾-] 〖행정〗 ⇨ 되돌려 보내다

반목 [反目] 〖정치〗 ⇨ (서로) 미워함

반문 [斑紋] 〖행정〗 ➜ 얼룩 무늬

반복 (수행) [反復遂行] 〖행정〗 = 되풀이

반비간 [飯備間] 〖건축사〗 ⇨ 찬간, 반비간 ※kitchen house

반센 [盤線] 〖미술〗 ➜ 꼰철사 〖목공예〗, 연철사 〖조각〗

반센 [番線] 〖건설〗 ➜ 결속(철)선, (굵은) 철선

반소 [反訴] 〖행정〗 ➜ 맞소송, 되소송

반송 [搬送] 〖행정〗 ⇨ 실어 보냄

반송 [返送] 〖행정〗 ⇨ 되돌려 보냄

반송파 [搬送波, ←carrier wave] 〖전기〗 ⇨ 운반파(運搬波)

반송하다 [搬送-] 〖행정〗 ⇨ 실어 보내다

반수 [礬水] 〖미술〗 ⇨ 백반물

반숙 [半熟] 〖행정〗 = 반 익힘

반숙퇴비 [半熟堆肥] 〖농업〗 ➜ 반 썩은 두엄

반신권 [返信券] 〖행정〗 ⇨ 회신 우표권

반억제 재배 [半抑制栽培] 〖농업〗 ➜ 반 늦춰 가꾸기

반엽병 [斑葉病] 〖행정〗 ➜ 줄무늬병

반우라 [半裏] 〖패션〗 ➜ 반안감

반월형 돌칼 [半月形石刀] 〖고고학〗 ⇨ 반달 모양 돌칼 ※semi-lunar shaped stone knife

반입 [搬入, はんにゅう] 〖생활외〗 ⇨ 실어옴, 실어들임

반전 [返電] 〖행정〗 ⇨ 회전, 답전

반전식 차륜막이 [反轉式] 〖전철〗 ⇨ 바퀴 구름막이

반점 [斑點] 〖행정〗 = 얼룩점, 점무늬

반점병 [斑點病] 〖농업〗 ➜ 점무늬병

반제하다 [返濟-] 〖행정〗 ➜ (돈을) 갚다

반즈봉 [半ズボン] 〖패션〗 ➜ 반바지

반증 [反證] 〖금융〗 ⇨ 반대 증거

반지 [半芝] 〖임업〗 ➜ 반떼

반지 [返地] 〖임업〗 ➜ 땅 돌려줌/반환

반지원 [返地願] 〖임업〗 ⇨ 반환서

반착 소포 [返着小包] 〖행정〗 ➜ 되돌아 온 소포

반착 우편 엽서 [返着郵便葉] 〖행정〗 ➜ 되돌이 우편 엽서

반촉성 재배 [半促成栽培] 〖농업〗 ➜ 반 당겨 가꾸기

반추 [反芻] 〖행정〗 = (되)새김(질)

반출 [搬出] 〖행정〗 ➜ 실어내기

반출하다 [搬出-] 〖행정〗 ⇨ 실어 내다

반카이 [挽回] 〖행정〗 ➜ 만회

반포 [頒布] 〖행정〗 ⇨ 널리 폄

반포하다 [頒布-] 〖행정〗 ⇨ 널리 펴다

반하다 [反-] 〖행정〗 ⇨ 거스르다

반하여 [反-] 〖행정〗 ⇨ (‧‧와) 달리

반향 곡선 [反嚮曲線] 〖전철〗 ⇨ 안전 곡선

반환하다 [返還-] 〖행정〗 = 되돌리다

반흔 [瘢痕] 〖금융〗 ➜ 흉터

받침돌 [撐石] 〖고고학〗 ⇨ 옆받침돌 ※supporting stone

받침돌 [支石] 〖고고학〗 ⇨ 고임돌, 굄돌 ※supporting stone

발간하다 [發刊-] 〖행정〗 = 펴내다

발광 신호 [發光信號] 〖행정〗 = (불)빛 신호

발군 [拔群] 〖행정〗 = 뛰어남, 빼어남

발굴 [發掘] 〖행정〗 = 파냄, 파기

발굴하다 [發掘-] 〖행정〗 = 파내다, 찾아내다

발근 [發根] 〖임업〗 ⇨ 뿌리냄, 뿌리남

발근기 [發根機] 〖임업〗 ➜ 뿌리뽑개

발동기부 구명정 [發動機付-] 〖행정〗 ➜ 동력 구명정

발레 슈즈 [ballet shoes] 〖패션〗 ➜ 발레 신

발레 파킹 [valet parking] 〖언론〗 ➜ 대리 주차 ¶‘◇◇’ (포장마차) 단골이라는 ○○○ 씨는 “고급 바나 공연장처럼 ‘발레파킹’에 대리 운전까지 해준다.”라며 ···.

발로 [發露] 〖행정〗 ⇨ 드러남

발뢰 [發蕾] 〖행정〗 ➜ 봉오리 맺기

발리 [volley] 〖테니스〗 ⇨ 바로치기

발리 킥 [volley kick] 〖축구〗 ➜ 공중차기

발리 슛 [volley shoot] 〖언론〗 ⇨ 공중차기 ¶기계 체조 선수들이 흉내낼 법한 유연한 발리슛.

발매 [發賣, はつばい] 〖생활외〗 ⇨ 팔기

발매하다 [發賣] 〖행정〗 ➜ 팔다

발미하다 [發黴-] 〖행정〗 ➜ 곰팡이 슬다

발발하다 [勃發-] 〖행정〗 = 발생하다, 일어나다

발병하다 [發病-] 〖행정〗 = 병나다

발본 [拔本] 〖행정〗 ⇨ 뽑아 없앰

발본색원하다 [拔本塞源-] 〖행정〗 ⇨ 뿌리뽑다

발부 [發付] 〖행정〗 = 발급

발송 [發送] 〖행정〗 = 보냄

발송 문서 [發送文書] 〖행정〗 = 보내는 문서

발송인 [發送人] 〖행정〗 = 보내는 사람, 보낸 이

발송인 지시표 [發送人指示標] 〖행정〗 ⇨ 발송인 지시서

발수신하다 [發受信-] 〖행정〗 ⇨ 발신 및 수신하다

발신 [發信] 〖행정〗 = 보냄

발신인 [發信人] 〖행정〗 = 보내는 사람

발아 [發芽] 〖행정〗 = 싹트기, 싹틈

발아 적온 [發芽適溫] 〖농업〗 ⇨ 싹트기 알맞은 온도

발아 촉진 [發芽促進] 〖농업〗 ⇨ 싹트기 촉진

발양 [發揚] 〖행정〗 ➜ 떨침

발연 [發煙] 〖행정〗 ➜ 연기 냄

발열 [發熱] 〖축산〗 ⇨ 열남, 열냄

발우 [拔羽] 〖축산〗 ➜ 털뽑기

발우 [鉢盂] 〖미술사〗 ⇨ 바리때 ※bowl

발우기 [拔羽機] 〖축산〗 ➜ 털뽑개

발육지 [發育枝] 〖임업〗 ➜ 자람가지

발육 최성기 [發育最盛期] 〖행정〗 ⇨ 한창 자랄 때

발의하다 [發議-] 〖행정〗 ⇨ 의견 내다

발이 [發荋] 〖농업〗 ➜ 버섯 발생

발적 [發赤] 〖법의학〗 ➜ 피부 빨개지기 ※flare

발전 제동 [發電制動, dynamic braking] 〖전기〗 ⇨ 저항 제동(抵抗制動)

발족 [發足] 〖행정〗 = 출발, 시작

발주하다 [發注-] 〖행정〗 ⇨ 주문하다

발착 [發着] 〖행정〗 ➜ 발송 도착

발착 일계 [發着日計] 〖행정〗 ➜ 발송 도착 날짜

발췌 [拔萃] 〖행정〗 = 뽑아 냄

발췌 검사 [拔萃 檢査] 〖금융〗 ⇨ 표본 검사

발치 [拔齒] 〖행정〗 ➜ 이뽑기

발코니 [balcony] 〖생활외〗 ⇨ 난간 ¶발코니에 서서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발탁하다 [拔擢-] 〖행정〗 = 뽑다

발탈 [拔脫] 〖행정〗 ➜ 뽑아 냄

발하다 [發-] 〖행정〗 ➜ 발송하다, 발표하다, 내다

발한 [發汗] 〖행정〗 ➜ 땀 남

발행처 [發行處] 〖행정〗 = 펴낸 데/곳

발현 [發現] 〖행정〗 = 드러냄, 드러내 보임

발호 [拔糊] 〖미술〗 ➜ 풀빼기

발호자 [發呼者, caller] 〖전기〗 ⇨ 호출자(呼出者)

발화 [發火] 〖행정〗 = 불이 일어남

발회 [發會] 〖행정〗 ➜ 개장(일)

발효 [發效] 〖행정〗 ⇨ 효력 생김, 나타냄

발효 [醱酵] 〖행정〗 ⇨ 뜸, 띄우기

발휘하다 [發揮-] 〖행정〗 = 떨치다

밤바 [バンパー, bumper] 〖생활외〗 ➜ 완충기, 범퍼

밧다리 〖행정〗 ➜ 배떼기 ※뱃짐을 다 삼

밧도 [パッド, ←pad] 〖행정〗 ➜ 기름 헝겊

방 [倣] 〖미술〗 ⇨ 본받이

방가 [放歌] 〖정치〗 ⇨ (노래를) 부름

방가로 [バンガロー, bungalow] 〖생활외〗 ➜ 방갈로

방건지육 [防乾紙育] 〖축산〗 ➜ 초종이치기

방격 [方格] 〖임업〗 ➜ 격자, 틀

방광 [膀胱] 〖행정〗 = 오줌보

방괴 [方塊] 〖행정〗 ➜ (방파용) 콘크리트 덩이

방구미 [番組, ばんぐみ] 〖생활외〗 ➜ 차례짜기

방기하다 [放棄-] 〖행정〗 ➜ 내버리다

방념 [放念] 〖행정〗 ➜ 마음놓음, 안심

방뇨 [放尿] 〖행정〗 = 소변보기, 오줌누기

방대한 [尨大-] 〖행정〗 = 매우 큰

방도 [方道] 〖정치〗 = 길

방랑공 [防浪工] 〖임업〗 ➜ 파도막이

방류 [放流] 〖행정〗 = 흘려 보내다, 떠내려 보내다

방목 [放牧] 〖행정〗 = 놓아 먹이기

방사 [放飼] 〖행정〗 ⇨ 놓아 기르기, 방목

방사 공법 [防砂工法] 〖임업〗 ➜ 모래막이

방상 [防霜] 〖농업〗 ➜ 서리막이

방석 [方席] 〖행정〗 = 깔개

방석 [方石] 〖임업〗 ➜ 마름돌

방선 [傍線] 〖정치〗 ⇨ 곁줄

방수하다 [傍受-] 〖행정〗 ➜ 곁듣는다, 엿듣는다

방습 [防濕] 〖행정〗 = 습기 방지

방심하다 [放心-] 〖행정〗 = 마음놓다

방안만석 [方眼萬石] 〖행정〗 ➜ 눈사름 틀

방어 손상 [防禦 損傷] 〖법의학〗 ➜ 방어 상처 ※defence wound

방위 앞치마 [防衛-] 〖행정〗 ➜ 안전 치마

방위하다 [防衛-] 〖행정〗 = 지키다

방인 [方印] 〖미술〗 ⇨ (네)모도장

방임하다 [放任-] 〖행정〗 = (내)버려 두다

방재 [防材] 〖임업〗 ➜ 나무막이

방적 [紡績] 〖미술〗 = 길쌈

방점 [傍點] 〖정치〗 ⇨ 곁점

방정 [方正] 〖행정〗 ⇨ 바르고 점잖음

방조제 [防潮堤] 〖행정〗 ⇨ 갯둑

방조하다 [幇助-] 〖행정〗 ⇨ 거들다, 돕다

방지하는데 [防止-] 〖행정〗 = 막는데

방지하다 [防止-] 〖행정〗 = 막다

방책 [方策] 〖행정〗 = 방법과 계책

방출하다 [放出-] 〖행정〗 = 풀(어 내)다

방치하다 [放置-] 〖행정〗 ⇨ 버려 두다, (내)버려 두다

방카이 [挽回] 〖생활외〗 ➜ 만회

방패면 [防牌面] 〖행정〗 ⇨ 얼굴 가리개

방풍림 [防風林] 〖임업〗 = 바람막이 숲

방향 [方向] 〖행정〗 = 편, 쪽

방향 [芳香] 〖행정〗 ⇨ 향기

방향식물 [芳香植物] 〖임업〗 ➜ 향기 식물

방형분 [方形墳] 〖고고학〗 ⇨ 네모 무덤, 방형분 ※square tomb

방형파 [方形波, square wave] 〖전기〗 ⇨ 구형파(矩形波), 사각파

방화 [放火] 〖행정〗 = 불놓기, 불지르기

방화 [邦畵] 〖행정〗 ➜ 국산 영화

방화 대책 [防火對策] 〖행정〗 ⇨ 불조심 대책

방화선 [防火線] 〖임업〗 〖행정〗 = 산불 저지선

배 [倍] 〖행정〗 = 갑절

배가 [倍加] 〖행정〗 ⇨ 갑절 늘림

배거 [bagger] 〖야구〗 ➜ 누수(壘手), 누타(壘打)

배격 [排擊] 〖행정〗 = 물리침

배급 [配給] 〖행정〗 = 나누어주다

배기 룩 [baggy look] 〖패션〗 ⇨ 자루풍

배기 팬츠 [←vanity bag] 〖패션〗 ➜ 자루 바지

배너 광고 [banner 廣告] 〖언론〗 ⇨ 막대 광고, 띠 광고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보면 직사각형 모양의 기다란 배너 광고를 볼 수 있다.

배너티 백 [vanity bag] 〖패션〗 ➜ 화장 가방

배너티 케이스 [vanity case] 〖패션〗 ➜ 화장 가방

배뇨 [排尿] 〖행정〗 = 오줌 빼기

배당 [配當] 〖행정〗 = 몫, 벼름

배당하다 [配當-] 〖행정〗 = 나누(어주)다

배드 뱅크 [bad bank] 〖금융〗 ➜ 부실 채권 전담 은행

배럴 스커트 [barrel skirt] 〖패션〗 ⇨ 항아리 치마

배럴 실루엣 [barrel silhouette] 〖패션〗 ⇨ 항아리 실루엣

배려하다 [配慮-] 〖행정〗 = 마음(을) 쓰다

배면 [背面] 〖행정〗 ⇨ 등면/쪽

배명받아 [拜命-] 〖행정〗 ➜ 명령받아, 임명받아

배물 [排物] 〖행정〗 ➜ 쓰레기

배부른 단지 [壺形土器] 〖고고학〗 ⇨ 불룩단지 ※jar

배부식 분무기 [背負式噴霧機] 〖농업〗 ➜ 등짐식 분무기

배부하다 [配付-] 〖행정〗 = 나누어주다

배부형 [背負型] 〖행정〗 ⇨ 등짐식

배분 [配分] 〖행정〗 ⇨ 나눔

배상 [拜上] 〖행정〗 ⇨ 올림

배상형 [盃狀形] 〖임업〗 ➜ 사발 꼴

배서 [背書] 〖행정〗 ➜ 뒷보증

배석하다 [陪席-] 〖행정〗 ⇨ 자리를 같이 하다

배소 [焙燒] 〖행정〗 ➜ 덖기

배수 [倍數] 〖행정〗 ⇨ 두 배

배수 [排水] 〖임업〗 ➜ 물빼기

배수 관거 [排水管渠] 〖행정〗 ➜ 물빼기 도랑

배수공 [排水孔] 〖임업〗 ➜ 물빼기 구멍

배수공 [排水工] 〖임업〗 ➜ 물빼기 공사

배수구 [排水溝] 〖임업〗 ➜ 물빼기 도랑

배수로 [排水路] 〖행정〗 ⇨ 물빼는 길

배수로공 [排水路工] 〖임업〗 ➜ 배수로 내기

배수제 [排水堤] 〖임업〗 ➜ 역륫둑

배수하다 [拜受-] 〖행정〗 ➜ 받다

배스로브 [bathrobe] 〖패션〗 ➜ 목욕옷, 화장옷

배알하다 [拜謁-] 〖행정〗 ➜ (찾아)뵙다

배양하다 [培養-] 〖행정〗 ⇨ 기르다

배역 [配役] 〖행정〗 = 맡은 역할

배연 [排煙] 〖행정〗 ⇨ 연기 배출

배열 [配列] 〖행정〗 = 늘어놓음

배자 [胚子] 〖농업〗 ⇨ 씨눈

배장기 [排障機] 〖행정〗 ➜ 장애물 제거기 〖철도〗

배전 [倍前] 〖행정〗 ➜ 더한층

배정 [配定] 〖행정〗 = 정해 줌, 나눠 줌

배제하다 [排除-] 〖행정〗 = 물리치다

배조맥아 [焙燥麥芽] 〖식생활〗 ➜ 말린 엿기름

배지 [背紙] 〖행정〗 ⇨ 뒷장

배지 [badge] 〖행정〗 ⇨ 휘장, 표장(標章)

배초 [焙焦] 〖식생활〗 ➜ 볶기

배출하다 [排出-] 〖행정〗 = 내보내다

배치하다 [背馳-] 〖금융〗 〖행정〗 ⇨ 어긋나다

배킹 [backing] 〖연극〗 ➜ 가림 장치

배킹얀 [backing yarn] 〖미술〗 ➜ 받침실

배태 [胚胎] 〖정치〗 ⇨ 싹틈

배터 업 [batter up] 〖야구〗 ⇨ 제자리

배터리 (←밧데리) [battery] 〖생활외〗 〖전기〗 ⇨ (축)전지, (건)전지 ¶환경 문제와 배터리는 관련이 높다.

배터리 [battery] 〖야구〗 ⇨ 투ㆍ포수

배터리 에러 [battery error] 〖야구〗 ⇨ 투ㆍ포수 실책

배터리 에키 [battery えき] 〖행정〗 ➜ 축전지 용액, 〖전기〗 ➜ 축전지액(蓄電池液)

배터리 카 [battery car] 〖행정〗 ➜ 축전지 차

배터리 콤비네이션 [battery combination] 〖야구〗 ⇨ 투ㆍ포수 협동

배토 [培土] 〖농업〗 ⇨ 북주기

배토공 [背土工] 〖임업〗 ➜ 배토 공사

배트윙 슬리브 [batwing sleeve] 〖패션〗 ➜ 박쥐 (날개) 소매

배틀 재킷 [battle jacket] 〖패션〗 ➜ 전투 재킷

배팅 리스트 (오더) [batting list (order)] 〖야구〗 ➜ 치기 순서표, 타순표

배팅 스탠스 [batting stance] 〖야구〗 ⇨ 타자 발 너비

배팅 폼 [batting form] 〖야구〗 ➜ 타격 자세

배판 [背板] 〖임업〗 ➜ 뒤판

배포하다 [配布-] 〖행정〗 = 나누어주다

배피 [baffy] 〖골프〗 ⇨ 4번 나무채

배할제 [背割堤] 〖임업〗 ➜ 가름둑

배합 [配合] 〖행정〗 = 섞기

백 [白] 〖행정〗 ➜ 아룀, 사룀

백 [back] 〖핸드볼〗 ➜ 외곽 공격수, 〖야구〗 ➜ 되돌리기, 되돌아감

백 [bag] 〖행정〗 ➜ 가방, 자루

백 나인 [back nine] 〖골프〗 ➜ 후반 9홀

백 넘버 [back number] 〖행정〗 ➜ 등번호

백 데이터 [back data] 〖행정〗 ➜ 참고 자료

백 도어플레이 [back doorplay] 〖농구〗 ⇨ 후방 역습

백 라이팅 [back lighting] 〖연극〗 ➜ 후면 조명

백 미러 [back mirror] 〖행정〗 ⇨ 뒷거울

백 바운더리 라인 [back boundary line] 〖배드민턴〗 ➜ 맨 끝줄

백 슛 [back shoot] 〖핸드볼〗 ➜ 돌아쏘기

백 스윙 [back swing] 〖볼링〗 ➜ 뒤로 올리기, 〖테니스〗 ⇨ 뒤로 빼기, 〖골프〗 ⇨ 뒤로 들기

백 스크린 [back screen] 〖핸드볼〗 ➜ (장)벽 차단

백 스텝 [back step] 〖농구〗 ⇨ 후진 발동작

백 스트레치 [back stretch] 〖사이클〗 〖스케이트〗 ➜ 맞은편 코스

백 스트로크 [back stroke] 〖배드민턴〗 〖하키〗 ➜ 등치기 (반칙)

백 스핀 [back spin] 〖골프〗 〖테니스〗 ➜ 역회전

백 아웃사이드 서클 에이트 [back outside circle eight] 〖스케이트〗 ⇨ 백 아웃 8자형 (그리기)

백 코트 [back court] 〖농구〗 ➜ 자기 지역, 〖테니스〗 ⇨ 뒤쪽 코트

백 턴 [back turn] 〖농구〗 ➜ 뒤로 돌기

백 티 [back tee] 〖골프〗 ➜ 뒤 첫 타구역

백 패스 [back pass] 〖핸드볼〗 ➜ 뒤로 주기

백 홈 [back home] 〖야구〗 ➜ 본루 송구, 본루 귀환

백강병 [白彊病] 〖농업〗 ➜ 흰굳은병

백그라운드 [background] 〖생활외〗 ➜ 배경 ¶이 곡은 백그라운드 뮤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전통 음악이다. 〖미술〗 ➜ 바탕, 〖행정〗 ➜ 연줄, 배경

백대 [白帶] 〖행정〗 ➜ 흰띠

백도 [白桃] 〖식생활〗 ⇨ 흰 복숭아

백래시 [backlash] 〖전기〗 ⇨ 뒤틈

백리 [白痢] 〖축산〗 ➜ 흰 설사

백묵 [白墨] 〖행정〗 ⇨ 분필

백미 [白眉] 〖행정〗 = 최고, 가장 뛰어남, 으뜸

백미 [白米] 〖식생활〗 ⇨ 흰쌀

백미러 (←백미라) [バックミラー, back mirror] 〖생활외〗 ⇨ 뒷거울 ¶백미러를 절대 과신해서는 안 된다.

백반병 [白斑病] 〖농업〗 ➜ 흰무늬병

백백 [白柏] 〖행정〗 ➜ 알잣

백보드 [backboard] 〖농구〗 ➜ 뒤판, 〖언론〗 ➜ 뒤판 ¶토털 뷰 기법은 백보드 위에 전담 카메라를 설치, 리바운드 다툼이나 골 밑 슛을 할 때 선수들의 온갖 표정과 분위기를….

백부병 [白腐病] 〖농업〗 ➜ 흰썩음병

백분 [白粉] 〖행정〗 ➜ 흰가루

백붓 [back-] 〖미술〗 ➜ 귀얄붓, 넓적붓

백사 [白沙] 〖행정〗 ➜ 흰모래

백삽병 [白澁病] 〖농업〗 ➜ 흰가루병

백색 [白色] 〖행정〗 = 흰색

백서 [白書] 〖행정〗 = (종합) 보고서

백쇄미 [白碎米] 〖행정〗 ➜ 싸라기

백수 [白穗] 〖농업〗 ➜ 흰이삭

백업 [backup] 〖행정〗 ⇨ 복제, 〖볼링〗 ➜ 반대쪽 휨공, 〖축구〗 ➜ 후방 대기

백업 파일 [backup file] 〖행정〗 ⇨ 복사 파일

백운 [白雲] 〖행정〗 ➜ 흰구름

백워드 린 [backward lean] 〖스키〗 ➜ 후경 자세, 뒤 체중 싣기

백일장 [白日場] 〖행정〗 = 글짓기 대회

백자 [柏子] 〖식생활〗 ➜ 잣

백자편 [柏子-] 〖식생활〗 ➜ 잣떡

백장 [白丁] 〖민속〗 ⇨ 백정

백주 [白晝] 〖행정〗 = 대낮

백채 [白菜] 〖농업〗 ➜ 배추

백출 [白朮] 〖행정〗 ➜ 삽주 뿌리

백칠 [back-] 〖미술〗 ➜ 바탕칠

백탄 [白炭] 〖임업〗 ⇨ 흰숯

백태 [白太] 〖식생활〗 ➜ 흰콩

백패커 [backpacker] 〖언론〗 ➜ 배낭 여행객 ¶가까운 곳을, 짧은 기간에, 백패커처럼 개별 여행자로 다녀온다면 몰라도….

백 프로퍼게이션 [back propagation] 〖전기〗 ⇨ 역전파(逆轉波)

백피 [白皮] 〖행정〗 ➜ 흰껍질

백합 [百合] 〖행정〗 = 나리

백합과 [百合科] 〖행정〗 = 나리과

백핸드 발리 [backhand volley] 〖테니스〗 ⇨ 뒤쪽 바로치기

백핸드 스트로크 [backhand stroke] 〖테니스〗 ⇨ 뒤쪽 땅볼 치기

백화 나무 [白樺-] 〖행정〗 = 자작나무

밴대너 [bandana, 인.bandanna] 〖패션〗 ⇨ 홀치기 염색

밴드 [band] 〖배드민턴〗 ⇨ 그물띠, 〖패션〗 ⇨ 고리, (허리)띠, 〖전기〗 ⇨ 대역(帶域), 〖생활외〗 ⇨ 악단, 악대 ¶그 때는 밴드까지 동원해 환영하는 등 법석을 떨었다.

밴드 위드 [band width] 〖전기〗 ⇨ 대역폭(帶域幅)

밴드 타이 [band tie] 〖패션〗 ⇨ 띠타이

밴디지 [bandage] 〖생활외〗 ➜ 붕대

밴딩 [banding] 〖미술〗 ⇨ 띠말이 〖조각〗

밴딩 와이어 [banding wire] 〖미술〗 ➜ 묶음줄

밸런스 [balance] 〖미술〗 〖패션〗 ⇨ 균형 ¶생태계의 밸런스와 관련하여 환경 문제를 다루었다.

밸런스 레그 [balance leg] 〖스케이트〗 ⇨ 든다리, 뒷다리

밸류에이션 [valuation] 〖언론〗 ➜ 평가 가치 ¶이처럼 경쟁력이 지속될 수 없는 것이라면 기술주에 부여하는 ‘밸류에이션’은 당연히 낮아져야 한다.

뱅커 [banker] 〖언론〗 ➜ 은행원, 은행가 ¶그는 입사한 지 9년 만에 최연소 지점장으로 고속 승진한 엘리트(→우수) 뱅커였다.

뱅크 [bank] 〖승마〗 ➜ 둑 (장애물), 〖사이클〗 ➜ (실외) 경기장

뱅크 슛 [bank shoot] 〖농구〗 ⇨ 뒤판 맞춰 쏘기

뱅킹 [banking (embankment)] 〖전기〗 ⇨ 병렬 묶음

뱅킹 [banking] 〖스키〗 ➜ 안쪽 기울이기

버스 (←부스) [bus] 〖전기〗 ⇨ 모선(母線)

버니 힐 [bunny hill] 〖스키〗 ➜ 완경사(緩傾斜)

버드 아이 위브 [bird's eye weave] 〖패션〗 ➜ 새눈 직(물)

버들잎형활촉 [柳葉形鏃] 〖고고학〗 ⇨ 버들잎 모양 화살촉 ※willow-shaped arrowhead

버라이어티쇼 [variety show] 〖생활외〗 ➜ 호화쇼 ¶브로드웨이 뮤지컬은 버라이어티 쇼같은 요소가 강하다.

버뮤다 쇼츠 [bermuda shorts] 〖패션〗 ➜ 짧은 바지, 버뮤다 바지

버블 [bubble] 〖언론〗 ➜ 거품 (현상) ¶○○경제연구소는 24일 ‘― 기업의 성공과 버블’이란 보고서에서 성공한 국내 ― 기업들이 다섯 가지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고 밝혔다.

버블 경제 [bubble 경제] 〖경제〗 ➜ 거품 경제

버블 라인 [bubble line] 〖패션〗 ➜ 거품선

버섯 재목 [-材木] 〖임업〗 ⇨ 버섯 나무

버스 베이 [bus bay] 〖행정〗 ➜ 버스 설길

버스 터미널 [bus terminal] 〖행정〗 ⇨ 버스 종합 정류장, 버스 종점

버스트 [bust] 〖패션〗 ➜ 가슴

버스트 라인 [bust line] 〖패션〗 ➜ 가슴선

버스트 포인트 [bust point] 〖패션〗 ➜ 유두점

버저 비터 [buzzer beater] 〖농구〗 ➜ 종료골

버전 [version] 〖언론〗 ➜ 판 ¶다소 어슷비슷한 얘기들이 반복되는 바람에 뒤로 가면서 ‘만화 버전 고금소총’의 약발이 조금씩 떨어져 아쉽다.

버클 [buckle] 〖스키〗 ⇨ 조임쇠, 죔쇠, 〖행정〗 ⇨ 띠쇠

버킷 [bucket] 〖생활외〗 ➜ 양동이, 〖볼링〗 ➜ 삽꼴

버터플라이 [butterfly] 〖미술〗 ⇨ 나비 타래, 나비감기

버트 플레이트 [butt plate] 〖사격〗 ➜ 개머리판

버튼 [button] 〖생활외〗 ⇨ 단추, 누름쇠 ¶여러 버튼이 있는 리모컨은 오히려 성가실 수가 있다.

버튼 다운 칼라 [button down collar] 〖패션〗 ⇨ (셔츠) 단춧깃

버튼홀 [button hole] 〖봉제〗 ➜ 단춧구멍

버튼홀 스티치 [buttonhole stitch] 〖패션〗 ➜ 단춧구멍 땀

버티칼 드롭 [vertical drop] 〖스키〗 ➜ 고도 차

버티컬 라인 [vertical line] 〖패션〗 ⇨ 수직선

버티컬 크로스 [vertical cross] 〖연극〗 ➜ 수직 이동

버퍼 [buffer] 〖행정〗 ➜ 완충기

버프천 [buff-] 〖미술〗 ⇨ 광(내기)천

버핑 [buffing] 〖미술〗 ⇨ 광내기

벅수 〖민속〗 ➜ 장승 ※totem pole

벅스킨 [buckskin] 〖패션〗 ➜ 사슴 가죽

번들링 [bundling] 〖언론〗 ➜ 묶음 판매, 끼워 팔기 ¶이 같은 번들링은 단순히 상품의 시너지(→상승) 효과만 높이는 것이 아니다.

번복하다 [飜覆-] 〖행정〗 = 뒤엎다

번사 [番舍] 〖행정〗 ⇨ 숙소

번잡 [煩雜] 〖정치〗 ⇨ 혼잡함, 번거로움

번트 [bunt] 〖야구〗 ⇨ 살짝대기

번호찰 [番號札] 〖행정〗 ⇨ 번호표

벌 [筏] 〖행정〗 ➜ 뗏목

벌구 [伐區] 〖임업〗 ➜ 벌목 구역

벌근 [伐根] 〖임업〗 ➜ 그루터기

벌근재적 [伐根材積] 〖임업〗 ➜ 그루터기 재적, 근주 재적

(벌금, 과태료에) 처하다 [處-] 〖행정〗 ➜ (벌금, 과태료를) 과(科)하다, (벌금, 과태료를) 매기다/물리다

벌기령 [伐期齡] 〖행정〗 ➜ 벨 나이

벌룬 [balloon] 〖생활외〗 ➜ 기구

벌룬 스커트 [balloon skirt] 〖패션〗 ➜ 풍선 치마

벌목 [伐木] 〖임업〗 = 나무베기

벌집 쌓기 〖임업〗 = 육모 쌓기

벌채적지 [伐採跡地] 〖임업〗 ⇨ 나무 벤 자리

벌채하다 [伐採-] 〖행정〗 = 나무(를) 베다

벌크 [bulk] 〖행정〗 ➜ 무더기 짐

벌키 [bulky] 〖패션〗 ⇨ 부피감 있는

벌키 룩 [bulky look] 〖패션〗 ⇨ 벌키풍

범람하다 [氾濫-] 〖행정〗 = 넘치다

범례 [凡例] 〖행정〗 ⇨ 일러두기

범발성 복막염 [汎發性 腹膜炎] 〖법의학〗 ➜ 범 복막염 ※panperitonitis

범부 [凡夫] 〖행정〗 ➜ 보통 사람

범선 [帆船] 〖행정〗 ⇨ 돛단배

범의 [犯意] 〖행정〗 ⇨ (법을) 어길 뜻, (일을) 저지를/범할 뜻

범인성 [犯因性] 〖행정〗 ➜ 범죄의 원인이 되는

범장 [帆裝] 〖행정〗 ➜ 돛

범접 [犯接] 〖정치〗 ⇨ 가까이 다가섬

범정 [犯情] 〖행정〗 ➜ 범행 기미

범주 [範疇] 〖행정〗 = 테두리, 범위

범칙 [犯則] 〖행정〗 ⇨ 법 어김

범하다 [犯-] 〖행정〗 ⇨ 저지르다

법면 [法面] 〖행정〗 ➜ 비탈쪽/면

법익 [法益] 〖행정〗 ⇨ 법이익

법정림 [法正林] 〖임업〗 = 이상적 산림

법정부책 [法定簿冊] 〖정치〗 ➜ 법정 장부

벙커 [bunker] 〖생활외〗 ⇨ 진지 ¶벙커 안에서 한 시간 동안 잠복 근무하라! 〖골프〗 = 웅덩이

벙커 샷 [bunker shot] 〖골프〗 ⇨ 벙커 쳐내기

벙커링 [bunkering] 〖행정〗 ➜ 급유

베거 룩 [beggar look] 〖패션〗 ➜ 거지풍

베너피트 퍼포먼스 [benefit performance] 〖연극〗 ➜ 사은 공연

베니어 [veneer] 〖행정〗 ➜ 합판

베델른 [독.Wedeln] 〖스키〗 ⇨ 연속 평행 회전

베드 [bed] 〖볼링〗 ➜ 마루

베드 포스트 [bed post] 〖볼링〗 ➜ 대문 기둥

베드룸 퍼니처 [bedroom furniture] 〖생활외〗 ➜ 침실 가구 ¶다양한 베드룸 퍼니처들이 예비 신부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베드타운 [bed town] 〖언론〗 ⇨ 잠 동네 ¶문화적 환경이 갖춰지지 않은 채 아파트만 들어서는 베드타운의 이미지를 벗고 다양한 전통 문화를 꽃피운다는….

베란다 [veranda] 〖생활외〗 = 쪽마루 ¶헌 가구를 그냥 아파트 베란다 구석에 두었다.

베로아 [べロア, velour] 〖패션〗 ➜ 벨루어

베루벳토 [ベルベットvelvet] 〖패션〗 ➜ 벨벳

베르크 슈템멘 [독.berg stemmen] 〖스키〗 ➜ 산 쪽 (스키뒤) 넓히기

베리 더 볼 [bury the ball] 〖볼링〗 ➜ 묻힌공

베리시밀리튜드 [verisimilitude] 〖연극〗 ➜ 핍진성(逼眞性), 정말 같음

베스통 [프.veston] 〖패션〗 ➜ 정장, 재킷

베스트 [best] 〖생활외〗 ⇨ 최상, 일류 ¶그는 항상 베스트의 옷만 골라 입는다. 〖언론〗 ➜ 최선, 최고, 〖언론〗 ➜ 정예 선수

베스트 [vest] 〖패션〗 ➜ 조끼

베스트 그로스 [best gross] 〖골프〗 ➜ 최저 타자

베스트 드레서 [best dresser] 〖생활외〗 ⇨ (옷)멋쟁이 ¶베스트 드레서로 뽑히기도한 임하룡 씨

베스트셀러 [best seller] 〖생활외〗 = 인기 상품 ¶이 책이 올해의 베스트셀러이다. 〖언론〗 ⇨ 인기 상품, 불티 상품

베스트 텐 [best ten] 〖생활외〗 ➜ 10대, 10걸

베어링 [ベアリング, bearing] 〖행정〗 ➜ 축받이, 굴대받이

베어 스테이지 [bare stage] 〖연극〗 ➜ 빈 무대

베이 [bay] 〖행정〗 = 컨테이너 지정줄 〖항만〗

베이비 돌 룩 [baby doll look] 〖패션〗 ➜ (아기) 인형풍

베이비 스플릿 [baby split] 〖볼링〗 ➜ 쉬운 퍼진 핀

베이비시터 [baby-sitter] 〖언론〗 ➜ 보모 ¶“맞벌이를 하던 중 자녀 3명의 육아 문제로 고민하다가 아예 베이비시터 파견 사업을 창업했죠.”

베이비시트 [baby seat] 〖언론〗 ➜ 유아용 의자 ¶베이비시트를 구입하지 않은 유아 부모의 22%가 “아이를 가슴에 안고 조수석에 앉는다”라고 응답….

베이스 [base] 〖스키〗 ➜ 활주면, 〖야구〗 ⇨ 누(壘)

베이스 라인 [base line] 〖테니스〗 ⇨ 끝줄

베이스 라인 플레이 [base line play] 〖테니스〗 ⇨ 끝줄 경기, 후방형 경기

베이스 러닝 [base running] 〖야구〗 〖언론〗 ➜ 주루(走壘) ¶잦은 실책과 어설픈 베이스러닝으로 자멸한 두산을 8-2로 완파했다.

베이스 마크 [base mark] 〖스키〗 ➜ 활주로 표시줄

베이스맨 [baseman] 〖야구〗 ➜ 누수(壘手)

베이스볼 패스 [baseball pass] 〖농구〗 ➜ 길게 직선 연결

베이스 온 볼즈 [base on balls] 〖야구〗 ➜ 볼 넷, 고의사구

베이스 코치 [base coach] 〖야구〗 ➜ 누/주자/주루 코치

베이식 스타일 [basic style] 〖패션〗 ➜ 기본 양식

베이지 [beige] 〖미술〗 ⇨ 생천

베일 [bale] 〖농업〗 ⇨ (압축)건초 무더기

베일 [veil] 〖생활외〗 〖언론〗 ➜ 장막 ¶자세한 사항은 베일에 싸여 있다.

베타 [全面] 〖생활외〗 ➜ 바탕

베타 인쇄 [べた印刷] 〖행정〗 ➜ 민판 인쇄

베타구미 [ベタ組] 〖신문〗 ➜ 붙여짜기

베타바리 [總張り] 〖미술〗 ➜ 배접

베테랑 [프.vétéran] 〖생활외〗 〖정치〗 ⇨ 숙련가, 전문가, 전문인 ¶운전 경력 10년의 베테랑 기사가 직접 운전했다. 〖언론〗 ⇨ 숙련자, 노련자

베팅액 [betting額] 〖언론〗 ➜ 팻돈 ¶지금처럼 베팅액이 세면 도박장이지 무슨 건전한 여가 선용장이냐는 항의에 귀기울여야 한다

벤드 [bend] 〖스키〗 ⇨ 휨

벤딩 [bending] 〖미술〗 ⇨ 굽힘질

벤딩 턴 [bending turn] 〖스키〗 ⇨ 무릎 구부려 돌기

벤또 [辨當, べんとう] 〖생활외〗 ➜ 도시락

벤처 기업 [venture 企業] 〖경제〗 〖언론〗 ⇨ 개척 기업, 모험 기업

벤츠 [vents] 〖패션〗 ➜ 트임

벤치 [bench] 〖행정〗 ⇨ (긴)걸상, 의자

벤치마킹 [benchmarking] 〖언론〗 ➜ 견주기, (컴퓨터) 성능 시험 ¶경쟁 업체 웹사이트를 선정, 벤치마킹한다.

벤치 바이스 [bench vise] 〖미술〗 ⇨ 물림틀

벤치 워머 [bench warmer] 〖야구〗 ➜ 대기 (선수), 후보 선수

벤트 [vent] 〖패션〗 ➜ 트임

벤트 폼 [bent form] 〖스케이트〗 ➜ 스케이팅 자세

벨 [bell] 〖행정〗 ➜ (초인)종

벨보이 [bellboy] 〖행정〗 ➜ 객실 안내(원)

벨 보텀즈 [bell bottoms] 〖패션〗 ⇨ 판탈롱, 나팔 바지

벨 슬리브 [bell sleeve] 〖패션〗 ➜ 종(鐘)소매

벨트 [belt] 〖패션〗 ➜ 혁대, 허리띠

벨트 루프 [belt loop] 〖봉제〗 ➜ 띠고리

벽공 [碧空] 〖행정〗 ⇨ 푸른 하늘

벽두 [劈頭] 〖행정〗 ⇨ 첫머리

벽지 [僻地] 〖행정〗 = 외딴 곳

변 [弁, valve] 〖전철〗 ⇨ 막판, 〖전기〗 ➜ 밸브

변개하다 [變改-] 〖행정〗 = 다르게 고치다

변경 [邊境] 〖행정〗 ⇨ 변두리

변경하다 [變更-] 〖행정〗 = 바꾸다

변별하다 [辨別-] 〖행정〗 = 가리다, (옳고 그름 등을) 분별하다

변사 [邊絲] 〖미술〗 ⇨ 귀실

변사 [變死] 〖생활외〗 ⇨ 횡사

변상하다 [辨償-] 〖행정〗 = 갚다, 물다

변소 [辨疏] 〖행정〗 ➜ 변명

변속기 [變速機] 〖행정〗 = 속도 조절기

변작 [變作] 〖행정〗 ➜ 고쳐 만듦

변재 [邊材] 〖임업〗 ⇨ 겉재목

변제하다 [辨濟-] 〖경제〗 〖행정〗 ➜ 갚다, 물다

변조 [變造] 〖행정〗 ➜ 고쳐 꾸밈

변태 [變態] 〖임업〗 = 탈바꿈, 〖행정〗 ➜ 비정상

변형 [變形] 〖행정〗 = 바뀐 모습

별갑 [鱉甲] 〖행정〗 ➜ 자라 등딱지

별개의 [別個-] 〖행정〗 = 다른

별단의 [別段-] 〖행정〗 ⇨ 다른, 특별한

별도로 [別途-] 〖행정〗 = 따로

별도 편철 [別途編綴] 〖정치〗 ➜ 따로 맴

별론으로 치다 [別論-] 〖정치〗 ➜ 제쳐 두다

별송 [別送] 〖행정〗 ➜ 따로 보냄

별송품 [別送品] 〖행정〗 ➜ 따로 보낸 짐

별시 [別時] 〖행정〗 ➜ 다른 때

별지 [別紙] 〖행정〗 = 딴 종이, 딸린 종이

별책 [別冊] 〖행정〗 = 딸림책

별첨 [別添] 〖행정〗 = 붙임

별표 [別表] 〖행정〗 = 따로 붙인 표

별항 [別項] 〖행정〗 = 딴 항목

병과 [倂科] 〖행정〗 ➜ 아울러 매김

병과 [病果] 〖임업〗 ⇨ 병든 열매

병과립 [病顆粒] 〖행정〗 ➜ 병든 알

병급하다 [倂給-] 〖행정〗 ➜ 함께/같이 내주다

병기하다 [倂記-] 〖행정〗 ➜ 함께 쓰다/적다

병류 [餠類] 〖식생활〗 ➜ 떡류

병립 [竝立] 〖정치〗 ⇨ 함께 섬, 공존함

병변 [病變] 〖법의학〗 ➜ 병터 ※leision

병사 [病舍] 〖행정〗 ➜ 병동

병사리 [竝砂利] 〖임업〗 ➜ 막자갈

병산하다 [倂算-] 〖행정〗 ➜ 같이/함께 셈하다

병수 [倂授] 〖행정〗 ➜ 아울러 줌

병용하다 [竝用-] 〖행정〗 = 같이 쓰다, 함께 쓰다

병우 [病牛] 〖축산〗 ➜ 병든 소

병인성 [病因性] 〖법의학〗 ⇨ 병에 의한, 병인성 ※morbific

병주 [病株] 〖행정〗 ➜ 병든 포기

병증세 [病症勢] 〖행정〗 = 아픈 증세

병징 [病徵] 〖행정〗 ⇨ 병 증세, 병 징후

병합 [倂合] 〖행정〗 = 합침

병합처리하다 [倂合-] 〖행정〗 ➜ 함께 처리하다, 아울러 처리하다

병행하다 [竝行-] 〖행정〗 = 함께 하다

병활차 [竝滑車] 〖임업〗 ➜ 안내 도르래

보 타이 [bow tie] 〖패션〗 ➜ 나비 넥타이

보겐 [독.Bogen] 〖스키〗 ➜ 뒤 넓혀 내려가기

보겐 파렌 [독.Bogen Fahren] 〖스키〗 ⇨ 제동 활강(制動滑降)

보결 [補缺] 〖행정〗 = 채움

보곡공 [保谷工] 〖임업〗 ➜ 골막이

보공 [洑工] 〖임업〗 ➜ 보막이

보관 전보 [保管電報] 〖행정〗 ⇨ 배달 불능 전보

보구미 〖생활외〗 ➜ 줄짜기

보궐 [補闕] 〖행정〗 = 자리 메움

보균자 [保菌者] 〖행정〗 = 병균 지닌 사람

보그 [vogue] 〖패션〗 ⇨ 대호평

보너스 [bonus] 〖생활외〗 = 상여금 ¶이번 달에는 보너스까지 받았으니 저축을 많이 해야 할 것이다.

보너스 프레임 [bonus frame] 〖볼링〗 ➜ 덤 굴리기

보단 [ボタン, button] 〖생활외〗 ➜ 단추, 누름쇠, 버튼

보당홀 [button hole] 〖패션〗 ➜ 단춧구멍

보더 [border] 〖연극〗 ➜ 머리막, 〖패션〗 ➜ 가장 자리 (장식)

보더 라이트 [border light] 〖연극〗 ➜ 바탕 조명(기)

보데 [ボディ, body] 〖생활외〗 ➜ 차체, 보디

보도 [輔導] 〖행정〗 ⇨ 지도

보드 [board] 〖볼링〗 ➜ 마루쪽

보디 [body] 〖패션〗 ➜ ①몸, 체형 ②인대

보디가드 [body guard] 〖생활외〗 ⇨ 경호원 ¶그녀를 보호해 주는 보디가드는 누구일까?

보디라인 [body-line] 〖생활외〗 〖패션〗 ➜ 체형, 몸꼴 ¶자신의 보디라인에 맞는 옷을 입어야 한다.

보디 샷 [body shot] 〖테니스〗 ⇨ 몸 앞 치기

보디스 [bodice] 〖패션〗 ⇨ 길

보디아트 [body art] 〖미술〗 ⇨ 맨몸/신체 예술

보디케어 [body care] 〖언론〗 ➜ 몸 가꾸기 ¶화장품 회사마다 몸 전체에 사용할 수 있는 보디케어 제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보디 컨셔스 [body conscious] 〖패션〗 ➜ 체형 지향

보디 턴 [body turn] 〖골프〗 ➜ 몸 회전

보레로 [ボレロ, 스.beolero] 〖패션〗 ➜ 볼레로

보로 [襤褸, ぼろ] 〖미술〗 ➜ (걸레) 헝겊, 〖생활외〗 ➜ 걸레, 누더기, 흠집

보로 룩 [ぼろ look] 〖패션〗 ➜ 거지풍

보로터지다 [ぼろ-] 〖생활외〗 ➜ 드러나다, 들통나다

보루 [盒, ボール] 〖행정〗 ➜ 포/줄 ※담배 10갑 단위

보루 박스 [ボール box] 〖행정〗 ➜ 골판지 상자, 종이 상자

보루바코 [ボールばこ, board-] 〖행정〗 ➜ 골판지 상자, 종이 상자

보루반 [ボールばん, 네.boor bank] 〖미술〗 틀송곳 〖목공예, 금속공예〗, 선반송곳 〖조각〗, 〖건설〗 ➜ 목공 선반

보루방 [ぼるばん] 〖생활외〗 ➜ (탁상) 뚜레

보류하다 [保留-] 〖행정〗 = 미루다

보르반 [독.Bohr Bank盤, 네.boor bank盤] 〖미술〗 ➜ 틀송곳 〖목공예, 금속공예〗, 선반 송곳 〖조각〗, 〖건설〗 ➜ 목공선반

보르반 도르래 [독.Bohr Bank盤-, 네.boor bank盤-] 〖미술〗 ➜ 틀송곳 〖금속공예〗

보리 답압 [-踏壓] 〖행정〗 = 보리밟기

보링 [boring] 〖미술〗 ⇨ 고르기

보매기 [洑-] 〖임업〗 ➜ 보막이

보머 재킷 [bomber jacket] 〖패션〗 ➜ 전투 재킷

보부상 [褓負商] 〖민속〗 ⇨ 등짐장수, 보부상

보브 스타일 [bob style] 〖패션〗 ➜ 단발머리

보비력 [保肥力] 〖농업〗 ➜ 거름 지닐 힘

보빈 [bobbin] 〖봉제〗 ➜ 북, 북토리

보빈 케이스 [bobbin case] 〖패션〗 ➜ 북집

보사시 [棒指, ぼうさし] 〖생활외〗 〖행정〗➜ 알림꾼

보상 [報償] 〖행정〗 = 갚음

보상 [補償] 〖행정〗 = 채워줌

보상공 [保床工] 〖임업〗 ➜ 바닥막이

보상화문 [寶相華紋] 〖미술사〗 ⇨ 보상화 무늬 ※stylied floral medallion used as decorative patten

보선 [補選] 〖행정〗 ⇨ 보궐 선거

보수 [保手] 〖행정〗 ➜ 자기앞 수표

보수력 [保水力] 〖농업〗 ➜ 물 지닐 힘

보수일수 [保水日數] 〖농업〗 ➜ 물 지닐 일 수

보수하다 [補修-] 〖행정〗 ⇨ 고치다

보스 [boss] 〖언론〗 〖정치〗 ⇨ 우두머리, 대표 ¶○○○는 범생이 출신 조폭 보스로 등장한다.

보스키 (←보즈키) [棒付き] 〖행정〗 ➜ 안내원

보식 [補植] 〖행정〗 ➜ 메워심기

보아지 [梁奉] 〖건축사〗 ⇨ 보받침, 보아지 ※bracket under beam

보안공 [保岸工] 〖임업〗 ➜ 기슭막이

보양창흔 [步樣瘡痕] 〖축산〗 ➜ 비틀거림

보어 [boa] 〖패션〗 ➜ 털깃, 털목도리

보어 사이팅 [bore sighting] 〖사격〗 ⇨ 총열 조정

보유하다 [保有-] 〖행정〗 = 지니다

보이 스카우트 [boy scouts] 〖행정〗 = 소년단

보이라 [ボイラー, boiler] 〖생활외〗 ➜ 증기통, 보일러

보이상 [boy-さん] 〖생활외〗 ➜ 사환, 접객원

보이스 [voice] 〖연극〗 ➜ 음성

보이시 룩 [boyish look] 〖패션〗 ➜ 소년풍

보이콧 [boycott] 〖생활외〗 ➜ 거절, 거부, 배척 ¶시험을 보이콧하고 나서는 크게 후회하였다. 〖행정〗 ➜ 거부

보이프렌드 [boy friend] 〖생활외〗 ➜ 남자 친구

보이 한조 [boy はんちょう] 〖행정〗 ➜ 접객 반장

보일러 플레이트 [boiler plate] 〖스키〗 ➜ 설빙판(雪氷板)

보장 [保掌] 〖행정〗 ➜ 보유 관장

보장구 [保障具] 〖행정〗 ➜ 장애자 보조기

보전 [補塡] 〖행정〗 ⇨ 채움

보전하다 [補塡-] 〖행정〗 ⇨ 채우다, (메워) 보충하다

보정 [補正] 〖행정〗 ➜ 바로잡음

보정 경사 [補正傾斜] 〖임업〗 ➜ 안정 물매

보정 구배 [補正勾配] 〖임업〗 ➜ 안정 물매

보정 물매 [補正-] 〖임업〗 ➜ 안정 물매

보정법 [保定法] 〖임업〗 ➜ 잡아 매기

보정서 [補整書] 〖금융〗 ➜ 정정 보안서(류)

보조삭 [補助索] 〖행정〗 ⇨ 보조 밧줄

보족 [補足] 〖행정〗 ⇨ 보충

보지 [保持] 〖행정〗 ➜ 지님, 간직

보지기 [報知機] 〖행정〗 ➜ 신호기

보지하다 [保持-] 〖행정〗 ➜ 지니다, 간직하다

보철구 [補綴具] 〖행정〗 ⇨ 보조 기구

보철용 차량 [補綴用車輛] 〖행정〗 ➜ 장애자용 차량

보철하다 [補綴-] 〖행정〗 ➜ 수선하다

보충 매도 [補充賣渡] 〖행정〗 ➜ 채워팔기

보카시 [暈し] 〖생활외〗 ➜ 초점 흐리기〖촬영〗, 〖미술〗 ➜ 바림〖조각〗

보컬 그룹 [vocal group] 〖생활외〗 ⇨ 중창단 ¶보컬 그룹의 활동이 부진했던 한 해였다.

보크 [balk] 〖볼링〗 ➜ 줄/선 밟기, 줄/선 반칙

보탄쓰케 [ボタンつけ] 〖봉제〗 ➜ 단추달기

보텀(즈) [bottoms] 〖패션〗 ➜ 하의

보텀업 [bottom-up] 〖언론〗 ➜ 저고점 매매 ¶시장 상황보다는 우량주 등 종목을 우선 선정하는 바텀업(→보텀업) 방식을 취하고 있다.

보통육 [普通育] 〖축산〗 ➜ 보통치기

보트 네크라인 (←보트넥) [boat neckline] 〖패션〗 ➜ 배 모양 목둘레선

보틀넥 [bottle neck] 〖생활외〗 ➜ 병목 현상 ¶경부고속도로 구간에서 보들넥이 있는 서울-수원 간을 확장키로 하였다.

보파 [補播] 〖농업〗 ⇨ 덧뿌림

보폭 [步幅] 〖행정〗 = 걸음너비

보하다 [補-] 〖행정〗 ⇨ 임명하다

보합세 [保合勢, ぶあい-] 〖금융〗 ⇨ 주춤세, 멈춤세

보행 [步行] 〖행정〗 = 걸어다님

보행 경직 [步行硬直] 〖축산〗 ➜ 뻣정 걸음

보행 창흔 [步行瘡痕] 〖축산〗 ➜ 비틀 걸음

보험 계리인 [保險 計理人] 〖금융〗 ⇨ 보험 계리사

보험 모집인 [保險 募集人] 〖금융〗 ➜ 보험 설계사

보험 서장 [保險書狀] 〖행정〗 ➜ 보험 우편

보험 수익자 [保險受益者] 〖행정〗 ⇨ 보험금 타는 이

보험 약관 [保險約款] 〖행정〗 ⇨ 보험 규정

보험 연령 [保險年齡] 〖행정〗 ⇨ 보험 나이

보험료 납제 [保險料納濟] 〖행정〗 ➜ 보험료 다 냄

보호 예수 [保護 預受] 〖금융〗 ➜ 별도 보관

보호돌 [護石] 〖고고학〗 ⇨ 둘렛돌, 호석 ※stone circle

복강 내출혈 [腹腔 內出血] 〖법의학〗 ➜ 배 안 출혈 ※intraperitoneal bleeding

복개 [覆蓋] 〖행정〗 ➜ 뚜껑, 덮개

복개육 [覆蓋育] 〖임업〗 ➜ 덮어치기

복고 (覆槀) 〖행정〗 ➜ 덮짚

복골 [卜骨] 〖고고학〗 ⇨ 점뼈, 복골 ※divination bone

복교잡종 [複交雜種] 〖농업〗 ➜ 겹트기 씨

복귀 [復歸] 〖행정〗 = 되돌아옴, 다시 돌아옴

복대 [覆袋] 〖임업〗 ➜ 봉지 씌우기

복대리인 [複代理人] 〖행정〗 = 겹대리인

복도 [複道] 〖행정〗 = 긴마루

복망 [伏望] 〖정치〗 ➜ (··기를) 간절히 바람

복명 [復命] 〖행정〗 ➜ 결과 보고

복명서 [復命書] 〖행정〗 ➜ 결과 보고서

복몰 [覆沒] 〖행정〗 ➜ 침몰

복무 중 사용무 [服務中私用務] 〖행정〗 ⇨ 근무 중 사사로운 볼 일

복본 [複本] 〖행정〗 = 겹본

복부자 [複浮子] 〖임업〗 ➜ 이중 부표

복사공 [覆砂工] 〖임업〗 ➜ 모래덮기

복사하다 [複寫-] 〖행정〗 = 베끼다, 뜨다

복선기 [復線器] 〖전철〗 ⇨ 탈선복구기

복심 곡선 [複心曲線] 〖전철〗 ⇨ 이중 곡선, 복심 곡선

복싱 [boxing] 〖행정〗 = 권투

복아 [複芽] 〖농업〗 ➜ 겹눈

복아묘 [複芽苗] 〖농업〗 ➜ 겹눈모

복안 [複眼] 〖임업〗 ➜ 겹눈

복엽 [複葉] 〖임업〗 ➜ 겹잎

복용하다 [服用-] 〖행정〗 = (약을) 먹다

복잡사면 [複雜斜面] 〖임업〗 ⇨ 복합 사면(複合斜面)

복장 [服裝] 〖행정〗 ⇨ 옷차림

복적 [復籍] 〖행정〗 ➜ 돌아간 호적

복전 [覆轉] 〖축산〗 ➜ 배면

복접 [腹椄] 〖임업〗 ➜ 허리접

복종 [服種] 〖패션〗 ➜ (옷) 종류, (옷) 품목

복종하다 [服從-] 〖행정〗 = 따르다

복지 [服地, ふくじ] 〖생활외〗 ➜ 양복감, 양복천

복지리 [鰒じる(河豚汁)] 〖생활외〗 ➜ 복국, 복싱건탕

복진 〖행정〗 ➜ 선로 밀림 〖철도〗

복토 [覆土] 〖임업〗 ⇨ 흙덮기

복통 [腹痛] 〖행정〗 = 배앓이

복판 [複辦] 〖미술사〗 ⇨ 겹꽃잎

복편 [復便] 〖행정〗 ⇨ 오는 편

복포 [覆布] 〖행정〗 ➜ 포장

복합아 [複合芽] 〖임업〗 ➜ 겹눈

복항 [復航] 〖행정〗 = 귀항(歸航)

본 [本] 〖행정〗 ➜ 그루 〖나무〗

본(부‧국‧처‧청) 〖행정〗 ➜ 우리 (부·국·처·청)

본가 [本家] 〖행정〗 ➜ 본집, 친정

본가 상속 [本家相續] 〖행정〗 ⇨ 큰집 상속

본건 [本件] 〖행정〗 ➜ 이 사건, 이 일

본교 [本校] 〖행정〗 ➜ 우리 학교

본권 [本權] 〖행정〗 ➜ 이 권리, 본래 권리

본도 [本道] 〖행정〗 ➜ 우리 도

본드 [bond] 〖미술〗 〖행정〗 = 접착제

본딩 패드 [bonding pad] 〖전기〗 ⇨ 연결 전극(連結電極)

본래 [本來] 〖행정〗 = 본디

본무 [本務] 〖전철〗 ⇨ 주무, 〖행정〗 ➜ 본 업무, 맡은 일

본범 [本犯] 〖행정〗 ⇨ 본래의 범인

본법은 [本法-] 〖행정〗 ➜ 이 법은

본색 [本色] 〖행정〗 = 바탕

본수 [本數] 〖행정〗 ⇨ 개수, 개비 수, 뿌리 수, 그루 수

본엽 [本葉] 〖임업〗 ⇨ 본잎

본인은 [本人-] 〖행정〗 ➜ 나는, 자신은, 저는

본인표 [本人票] 〖행정〗 ⇨ 본인 확인증

본절 [本節] 〖행정〗 ➜ 이 절

본제 [本堤] 〖임업〗 ➜ 본둑

본죄 [本罪] 〖행정〗 ⇨ 본래의 죄

본지 [本旨] 〖행정〗 ➜ 본뜻

본질 [本質] 〖행정〗 = 본바탕

본필 [本筆] 〖미술〗 ⇨ 버들붓

본헤드 플레이 [bonehead play] 〖야구〗 ➜ 큰 실책

볼 [ball] 〖행정〗 ⇨ 공

볼 랙 [ball rack] 〖볼링〗 ⇨ 공 준비대

볼 리프팅 [ball lifting] 〖축구〗 ➜ (공) 튀기기

볼 카운트 [ball count] 〖야구〗 ⇨ 타자 볼 수, 볼 셈

볼 컨트롤 [ball control] 〖야구〗 ➜ 공 다루기, 제구력

볼륨 [volume] 〖생활외〗 ⇨ 부피감, 음량, 소리크기 ¶머리 가운데에 볼륨을 주었다. 〖미술〗 〖언론〗 ⇨ 양감

볼륨 레이트 [volume rate] 〖행정〗 ➜ 화물량 비율 운임

볼마크 [ball mark] 〖신문〗 ➜ 야구공표

볼밀 [ballmill] 〖미술〗 ⇨ (잿물) 갈개, (유약) 갈개

볼트 [bolt] 〖행정〗 ➜ 수나사

볼트 시스템 [bolt system] 〖축구〗 ➜ 빗장 수비

봉군 [蜂群] 〖잠업〗 ⇨ 벌떼

봉두 [鳳頭] 〖건축사〗 ⇨ 봉황머리 ※ornamental wooden sculpture with phoenix-head design

봉목선 [縫目線] 〖행정〗 ➜ 꿰맴줄

봉밀 [蜂蜜] 〖잠업〗 ⇨ (벌)꿀

봉부 [縫付] 〖행정〗 ➜ 꿰매 붙임

봉부자 [棒浮子] 〖임업〗 ➜ 막대 부표

봉부표 [棒浮漂] 〖임업〗 ➜ 막대 부표

봉비 [縫飛] 〖봉제〗 ➜ 뜀땀

봉상 [蜂箱] 〖행정〗 ➜ 벌통

봉상 온도계 [棒狀溫度計] 〖전기〗 ➜ 막대 온도계

봉서 [封書] 〖행정〗 ⇨ 봉함 편지

봉쇄 [封鎖] 〖행정〗 = 막음

봉승 [縫繩] 〖행정〗 ➜ 꿰맴 새끼

봉연 [封鉛] 〖행정〗 ➜ 봉함납

봉연끈 [縫鉛] 〖행정〗 ➜ 봉함끈

봉인 [封印] 〖행정〗 ⇨ 봉함 도장, 도장 찍어 봉함

봉입 [封入] 〖행정〗 ➜ 넣고 봉함, 봉투넣기

봉입 [捧入] 〖행정〗 ➜ 바침

봉입 전위 [封入電位] 〖전기〗 ➜ 발생 (저지) 전위(發生沮止電位) ※built-in potential

봉절 [封切] 〖행정〗 ➜ 개봉

봉착 [封着] 〖행정〗 ➜ 싸붙이기, 봉하기

봉착하다 [逢着-] 〖행정〗 = 부닥치다

봉침 [蜂針] 〖잠업〗 ➜ 벌침

봉칭 [棒秤] 〖행정〗 ➜ 대저울

봉토분 흙 무덤 [封土墳] 〖고고학〗 ⇨ 흙 무덤 ※grave mound

봉하다 [封-] 〖행정〗 = 막다, 붙이다

봉합 이개 [縫合 離開] 〖법의학〗 ➜ 뼈 짜임 열림 ※stitch widen

봉합흔 [縫合痕] 〖법의학〗 ➜ 꿰맨 자국 ※stitch trace

뵤우치 [鋲打ち] 〖건설〗 ➜ 리벳치기, 버섯 못치기

뵤코 [鋲孔, びょうこう] 〖건설〗 ➜ 리벳 구멍, 버섯못 구멍

부가 [附加] 〖행정〗 ➜ 덧붙임

부가카리 [步掛り] 〖건설〗 ➜ 품셈

부가하여 [附加-] 〖행정〗 ➜ 덧붙여

부각 [俯角] 〖임업〗 ➜ 내림각

부각 [浮刻] 〖행정〗 ➜ 드러남

부검 [剖檢] 〖행정〗 = 해부하여 검사함

부고 [敷藁] 〖축산〗 ➜ 깔짚

부과 [賦課] 〖행정〗 = 매김

부과하다 [賦課-] 〖행정〗 = 매기다, 부담시키다

부곽 [副槨] 〖고고학〗 ⇨ 딸린 덧널, 부곽 ※subordinate outer coffin

부관 [附款] 〖행정〗 ⇨ 제한 사항

부교 [浮橋] 〖행정〗 ⇨ 배다리

부극 [負極] 〖행정〗 ➜ 음극

부근 [附近] 〖행정〗 = 가까이

부기 [附記] 〖행정〗 = 덧적기

부기하다 [附記-] 〖금융〗 〖행정〗 ⇨ 덧붙여 기재하다, 덧붙여 쓰다.

부단급여 [不斷給與] 〖축산〗 ➜ 대먹임

부단한 [不斷-] 〖행정〗 = 끊임없는, 꾸준한

부담 [負擔] 〖행정〗 = 짐

부당 염매 [不當廉賣] 〖행정〗 ➜ 막팔기, 싸게 팔기

부당한 [不當-] 〖행정〗 = 옳지 않은

부대 [附帶] 〖행정〗 = 딸림, 덧붙임

부대 시설 [附帶施設] 〖행정〗 = 딸린 시설

부대 항소 [附帶抗訴] 〖행정〗 = 딸림 항소

부대기 [火田] 〖민속〗 ⇨ 화전 ※shifting cultivation

부대되다/하다 [附帶-] 〖행정〗 = 딸리다

부대 수입 [附帶收入] 〖정치〗 ⇨ 딸린 수입

부도 [浮屠] 〖미술사〗 ⇨ 부도, 사리탑 ※funerary stupa

부도 [附圖] 〖정치〗 ⇨ (딸린) 그림

부도 대전 [不渡 代箋] 〖금융〗 ➜ 부도 대금 청구서

부도체 [不導體, insulator] 〖전기〗 ⇨ 절연체(絶緣體)

부동 [不同] 〖행정〗 = 다른 치 〖수산〗

부동 축전지 [浮動蓄電池, floating battery] 〖전기〗 ⇨ 완충 축전지(緩衝蓄電池)

부동표 [浮動票] 〖정치〗 ⇨ 떠돌이 표, 떠도는 표

부득불 [不得不] 〖행정〗 = 하는 수 없이, 어쩔 수 없이

부득이 [不得已] 〖행정〗 = 할 수 없이

부라시 [ブラシ, brush] 〖생활외〗 ➜ 솔, 브러시

부라자 [ブラジャー, brassiere] 〖생활외〗 ➜ 가슴띠, 브래지어

부라치 [ブラチ, branch] 〖행정〗 ➜ 부가 접속

부락 [部落] 〖행정〗 = 마을

부란자 [フランジ, flange] 〖생활외〗 ➜ 테두리, 플랜지

부랑인 [浮浪人] 〖행정〗 = 떠돌이

부럭 골매기 [block-] 〖임업〗 ➜ 블록 골막이

부럭 유토공 [block 留土工] 〖임업〗 ➜ 블록 흙막이

부럭 장공 [block 張工] 〖임업〗 ➜ 블록 붙이기

부럭 적공 [block 積工] 〖임업〗 ➜ 블록 쌓기

부레즈 [brace] 〖신문〗 ➜ 중괄호

부레키 [ブレーキ, ←brake] 〖생활외〗 ➜ 제동기, 브레이크

부로카 [ブローカー, broker] 〖생활외〗 ➜ 중개인, 거간, 브로커

부록 [附錄] 〖행정〗 = 딸림책

부롯쿠 [ブロック, ←block] 〖생활외〗 ➜ 벽돌, 블록

부류제 [附流堤] 〖임업〗 ➜ 날갯둑

부르마 [ブルマ―, bloomers] 〖패션〗 ➜ 블루머

부르주아 [프.bourgeois] 〖행정〗 ➜ 유산자, 유산 계급

부르텔 배색 [-配色] 〖패션〗 ➜ 털 배색

부를리에 [프.bourrelier] 〖사이클〗 ⇨ 경계 주머니

부리키 [ブリキ, 네.blik] 〖생활외〗 ➜ 양철, 함석

부리하다 [附利-] 〖경제〗 ➜ 이자를 주다

부망 [敷網] 〖행정〗 ➜ 들그물

부모도시 [ぶもどし] 〖행정〗 ➜ 장려금

부목 [附木] 〖행정〗 = 덧댐 나무

부묘 [浮苗] 〖농업〗 ➜ 뜬모

부물 [附物] 〖행정〗 ➜ 부속물, 딸린 것

부벽준 [斧劈齧] 〖미술사〗 ⇨ 도끼자국준법 ※axe-cut texture strokes

부보 [附保] 〖행정〗 ➜ 보험들기

부보하다 [附保-] 〖경제〗 ➜ 보험에 들다

부본선 [副本線] 〖전철〗 ⇨ 부선로

부분 [部分] 〖행정〗 = 한쪽

부분 재사 [部分再寫] 〖행정〗 ⇨ 일부 다시 찍음

부비 프라이즈 [booby prize] 〖골프〗 ➜ 행운상

부상하다 [浮上-] 〖행정〗 = 떠오르다

부생 [復生] 〖행정〗 ➜ 다시 생겨남, 다시 태어남

부생 [附生] 〖행정〗 ➜ 더부살이

부석 [浮石] 〖임업〗 ⇨ 뜬돌

부선 연락 [浮船連絡] 〖행정〗 ⇨ 배편 연락

부설 [敷設] 〖행정〗 ⇨ 시설

부속실 [附屬室] 〖행정〗 = 딸림방, 딸린방

부수하는 [附隨-] 〖행정〗 ⇨ 따르는

부숙 [腐熟] 〖농업〗 ➜ 썩힘

부숙도 [腐熟度] 〖농업〗 ➜ 썩은 정도

부숙퇴비 [腐熟堆肥] 〖농업〗 ➜ 썩은 두엄

부스러기돌 [石屑] 〖고고학〗 ⇨ 부스러기 ※spall

부스터 증폭기 [-增幅器, booster amplifier] 〖전기〗 ⇨ 부가 증폭기(附加 增幅器)

부시 [負視] 〖임업〗 ➜ 전시(前視)

부식 [腐蝕] 〖행정〗 = 삭음, 썩음

부식토 [腐植土] 〖농업〗 ⇨ 썩은 흙

부신 [副腎] 〖행정〗 = 곁콩팥

부실 기재 [不實記載] 〖행정〗 ⇨ 건성 적음

부심하다 [腐心-] 〖행정〗 = 애쓰다, 힘쓰다

부싱 가이시 [bushing がいし] 〖전기〗 ➜ 부싱 애자, 부싱 뚱단지

부아 [副芽] 〖임업〗 ➜ 덧눈

부아립 [腐芽粒] 〖행정〗 ➜ 눈썩은 알

부양 [浮揚] 〖행정〗 ⇨ 돋움

부언하다 [附言-] 〖행정〗 = 덧붙여 말하다

부여하다 [賦與-] 〖행정〗 = 주다

부연 [浮椽, 付椽, 婦椽] 〖건축사〗 ⇨ 뜬서까래, 덧서까래 ※flying rafter, extension rafter

부연승 [敷延繩] 〖행정〗 ➜ 뜬주낙

부연하다 [敷衍-] 〖행정〗 = 덧붙이다

부외 거래 [簿外 去來] 〖금융〗 ⇨ 장부 외 거래

부용 [芙蓉] 〖행정〗 ⇨ 연(꽃)

부유하다 [浮遊-] 〖행정〗 ➜ 떠돌다, 떠다니다

부응하다 [副應-] 〖행정〗 = 따르다

부의 안건 [附議案件] 〖행정〗 ➜ 토의 안건

부의편차 [負-偏差] 〖임업〗 ➜ 음의 편차

부의하다 [附議-] 〖행정〗 ⇨ 토의에 부치다

부이 [buoy] 〖행정〗 ⇨ 띄움찌, 부표

부이 계류 [buoy 繫留] 〖행정〗 ⇨ 부표 정박

부자 [浮子] 〖임업〗 ➜ 부표(浮漂)

부작위 [不作爲] 〖행정〗 ⇨ 일부러 안 함

부잔교 [浮棧橋] 〖행정〗 ⇨ 뜬다리, 선창, 발판 〖건설〗

부장 [副葬] 〖고고학〗 ⇨ 껴묻기, 부장 ※buring with the corpse

부장 [部長] 〖행정〗 ➜ 교사(矯査) 〖교도소〗

부장품 [副葬品] 〖고고학〗 ⇨ 껴묻거리, 부장품 ※funerary object

부재자 [不在者] 〖행정〗 ⇨ (집에) 없는 사람, 집 떠난 사람

부재중에 [不在中-] 〖행정〗 ⇨ 없을 때에

부적합한 [不適合-] 〖행정〗 = 알맞지 않은

부전지 [附箋紙] 〖행정〗 ⇨ (붙임) 쪽지

부정 행사 [不正行使] 〖행정〗 ⇨ 그릇된 짓

부정규 침식 [不定規浸蝕] 〖임업〗 ➜ 가속 침식

부정근 [不定根] 〖임업〗 ➜ 막뿌리

부정아 [不定芽] 〖임업〗 ➜ 막눈

부정형견 [不定型繭] 〖잠업〗 ➜ 못생긴 고치

부제 [副堤] 〖임업〗 ➜ 예빗둑

부조 [浮彫] 〖미술사〗 ⇨ 돋을새김, 부조 ※relief

부족하다 [不足-] 〖행정〗 = 모자라다

부종 [浮種] 〖농업〗 ➜ 뜬씨

부종상 [浮腫狀] 〖법의학〗 ⇨ 부은 상태 ※swollen condition

부종하여 [附從-] 〖행정〗 ➜ 따라 붙어, (‧‧와) 함께

부주지 [副主枝] 〖임업〗 ➜ 버금가지

부지 [敷地] 〖행정〗 ⇨ 대지, 터

부지 [敷芝] 〖임업〗 ➜ 바닥떼

부지불각 [不知不覺] 〖행정〗 ➜ 엉겁결에

부지불식간 [不知不識間] 〖행정〗 ⇨ 모르는 사이

부지정 [不指定] 〖행정〗 ➜ 지정하지 않음

부진 [不振] 〖행정〗 ⇨ 제자리

부진자류 [浮塵子類] 〖임업〗 ➜ 멸구매미충류

부착저류 [附着貯留] 〖임업〗 ➜ 모관 저류(毛管貯留)

부착하다 [附着-] 〖행정〗 = 붙이다

부채 [負債] 〖행정〗 = 빚

부채 도끼 [扇形銅斧] 〖고고학〗 ⇨ 부채 모양 도끼 ※fan-shaped axe

부책 [簿冊] 〖행정〗 ⇨ 장부

부책하다 [負責-] 〖행정〗 ➜ 책임지다

부체 [斧體] 〖축산〗 ➜ 도끼형, 도끼 모양

부초 [敷草] 〖농업〗 ➜ 풀덮기

부촌 [富村] 〖행정〗 = 부자 마을

부츠 [boots] 〖생활외〗 〖패션〗 ⇨ 목(긴)구두 ¶올 겨울에는 부츠의 인기가 덜 한 편이다.

부케 [프.bouquet] 〖행정〗 ➜ 꽃다발

부킹 [booking] 〖생활외〗 ➜ 예약 ¶주말에는 부킹이 몰리고 있다.

부토 [浮土] 〖임업〗 ⇨ 뜬흙, 푸석흙

부패 [腐敗] 〖행정〗 ⇨ 썩음

부패망 [腐敗網] 〖법의학〗 ➜ 부패 무늬 ※putrefaction striation

부패성 변색 [腐敗性 變色] 〖법의학〗 ➜ 부패 변색 ※putrefaction discoloration

부표 [附表] 〖행정〗 ⇨ 붙임표

부하 [負荷] 〖행정〗 ⇨ 힘걸림

부하다 [附-] 〖행정〗 ➜ 붙이다

부하 불능 [負荷不能] 〖행정〗 ➜ 끌지 못함, 출력 불능

부합 계약 [附合契約] 〖행정〗 ➜ 딸림 계약

부합하다 [符合-] 〖행정〗 ➜ (들어)맞다

부화 [孵化] 〖행정〗 = 알깨기

부화약충 [孵化若蟲] 〖잠업〗 ➜ 갓깬 애벌레

부화하다 [附和-] 〖정치〗 = 곁붙다

부활 [復活] 〖금융〗 ➜ 효력 회복

부활하다 [復活-] 〖행정〗 = 되살아나다

부후 [腐朽] 〖임업〗 ➜ 썩음

북단 [北端] 〖행정〗 = 북녘 끝, 북쪽 끝

북 디자인 [book design] 〖생활외〗 ➜ 책 도안/디자인 ¶북 디자인이 책 판매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북 마스터 [book master] 〖언론〗 ➜ 책 길잡이 ¶보험 업계엔 라이프플래너(→생활 설계사), 대형 서점엔 북 마스터, 우유 업체엔 밀크 마스터가 있다.

북마크 [bookmark] 〖언론〗 ➜ 바로찾기 ¶인터넷을 할 줄 아는 사람 중에 ‘북마크’ 기능을 써 보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북엔드 [bookend] 〖행정〗 ➜ 책 버티개

북 카드 [book card] 〖행정〗 ➜ 책 목록표

북 컨베이어 [book conveyor] 〖언론〗 ➜ 책 운반 장치 ¶눈길을 끄는 방식은 4층 폐가실 서고에서 대출 장소까지 책을 나르는 북 컨베이어와 대기 시간 표시 장치이다.

북 클럽 [book club] 〖언론〗 ➜ 독서 모임 ¶각종 북클럽을 중심으로 열띤 독서 토론이 벌어지고 있다.

분 [糞] 〖행정〗 ➜ 똥

분계된 [分界-] 〖행정〗 ➜ 분리된, 나누어진

분구 [焚口] 〖행정〗 ➜ 아궁이

분근 [分根] 〖임업〗 ➜ 뿌리나눔

분근묘 [分根苗] 〖행정〗 ➜ 뿌리모(종)

분기기 [分岐器] 〖전철〗 ⇨ 선로 바꿈틀

분기초망 [焚寄招網] 〖행정〗 ➜ 불빛채 그물

분기하다 [分岐-] 〖행정〗 ⇨ 갈라지다, 나누어지다

분납하다 [分納-] 〖행정〗 ⇨ 나누어/분할 납부하다, 나누어 내다

분뇨 [糞尿] 〖행정〗 = 똥오줌

분니 [噴泥] 〖전철〗 ⇨ 진흙 물뿜기, 진흙 물차기, 〖행정〗 ➜ 진흙탕

분담 [分擔] 〖행정〗 = 나누어 맡음

분담하다 [分擔-] 〖행정〗 = 나누어 맡다

분량 [分量] 〖행정〗 = 부피, 수량

분류제 [分流堤] 〖임업〗 ➜ 가름둑

분리기 [分離器] 〖행정〗 = 고름틀

분립되다 [分立-] 〖행정〗 ➜ (의견 따위가) 나뉘다, 갈리다

분립하다 [分立-] 〖행정〗 ⇨ 나누다

분말 [粉末] 〖행정〗 ⇨ 가루

분말 소화기 [粉末消火器] 〖행정〗 ⇨ 가루 소화기

분망하다 [奔忙-] 〖행정〗 ⇨ 바쁘다

분묘 [墳墓] 〖행정〗 ⇨ 무덤

분무 [噴霧] 〖행정〗 = 뿜기

분무기 [噴霧器] 〖행정〗 = 뿜개

분무법 [噴霧法] 〖미술〗 ⇨ 뿜기

분박 [分箔] 〖잠업〗 ➜ 채반가름

분분하다 [紛紛-] 〖정치〗 = 다양하다, 어지럽다

분비선 [分泌腺, ぶんぴつせん] 〖생활외〗 ⇨ 분비샘

분산하여 [分散-] 〖행정〗 = 흩어져, 퍼뜨려

분상질소맥 [紛狀質小麥] 〖농업〗 ➜ 메진 밀

분쇄하다 [粉碎-] 〖행정〗 ⇨ 부스러뜨리다, 쳐부수다

분수 [分收] 〖행정〗 ➜ 수익 분배

분수림 [分收林] 〖임업〗 = 이익나눔숲, 수익분배림(收益分配林)

분시 [分施] 〖축산〗 ➜ 나누어주기

분식 [粉食] 〖식생활〗 = 가루 음식

분실하다 [紛失-] 〖행정〗 = 잃어 버리다

분양하다 [分讓-] 〖행정〗 = 나눠(팔다)

분얼 [分蘖] 〖행정〗 ➜ 새끼치기

분얼경 [分蘖莖] 〖임업〗 ➜ 새끼 친 줄기

분얼기 [分蘖期] 〖임업〗 ➜ 새끼 칠 때

분얼비 [分蘖肥] 〖임업〗 ➜ 새끼 칠 거름

분얼수 [分蘖數] 〖임업〗 ➜ 새끼 친 수

분얼절 [分蘖節] 〖농업〗 ➜ 새끼 마디

분얼최성기 [分蘖最盛期] 〖임업〗 ➜ 새끼치기 한창 때

분열되다 [分裂-] 〖정치〗 = 갈라지다

분음하다 [分飮-] 〖행정〗 ➜ 나누어 마시다

분장 [扮裝] 〖행정〗 = 꾸밈

분장하다 [分掌-] 〖행정〗 ⇨ 나누어 맡다, 나누어 맡아(서) 처리하다

분쟁 [紛爭] 〖행정〗 = 다툼

분주 [分株] 〖행정〗 ➜ 포기 나눔

분주묘 [分株苗] 〖행정〗 ➜ 포기모

분주하다 [奔走-] 〖행정〗 = 바쁘다

분지 [分枝] 〖임업〗 ➜ 가지 벌기

분지각도 [分枝角度] 〖임업〗 ➜ 가지 벌림새

분지수 [分枝數] 〖임업〗 ➜ 번 가지 수

분지장 [分枝長] 〖임업〗 ➜ 가지 길이

분진 [粉塵] 〖행정〗 ⇨ 먼지

분책 [分冊] 〖행정〗 ⇨ 책가름

분철 [分綴] 〖행정〗 ⇨ 나눠매기

분철하다 [分綴-] 〖행정〗 ⇨ 나누어 철하다

분청조화 [粉靑彫花] 〖미술사〗 ⇨ 분청음각

분총 [分蔥] 〖농업〗 ➜ 쪽파

분토 [墳土] 〖행정〗 ➜ 무덤흙

분토 [糞土] 〖행정〗 ➜ 거름흙

분파이 (←분빠이) [分配, ぶんぱい] 〖미술〗 ➜ 분배, 노늠, 노느매기, 나누기, 〖행정〗 ➜ 나눔, 분배

분할 납품 지시서 〖행정〗 ⇨ 분할 납품 요청서

분할하다 [分割-] 〖행정〗 = 나누다

분합 [分合] 〖정치〗 ⇨ 분할과 통합

분화 [焚火] 〖임업〗 ⇨ 모닥불

불가 [不可] 〖행정〗 = 안 됨

불가 제어암 [不可制御-] 〖전기〗 ⇨ 비제어 암

불가결한 [不可缺-] 〖행정〗 = 없어서는 안 될

불가능 [不可能] 〖행정〗 = 할 수 없음

불가피하게 [不可避-] 〖행정〗 = 어쩔 수 없이

불가항력 [不可抗力] 〖행정〗 = 어쩔 수 없음

불고 [不告] 〖행정〗 ⇨ 안 알림

불고테 (←불고데) [-鏝, -こて] 〖생활외〗 ➜ (머리) 인두 〖미용〗

불구 [不具] 〖행정〗 = (신체) 장애

불균일 [不均一] 〖행정〗 ⇨ 고르지 않음

불납 [不納] 〖행정〗 ➜ 안 냄

불도 [拂渡] 〖행정〗 ➜ 내줌

불량한 [不良-] 〖행정〗 ⇨ 좋지 못한

불릿론 [bullet loan] 〖금융〗 ➜ 일시 상환 대출

불망 [佛網] 〖패션〗 ➜ 프랑스 망사, 프랑스 레이스

불매 [不買] 〖행정〗 = 사지 않음

불매 운동 [不買運動] 〖행정〗 = 안 사기 운동

불면잠 [不眠蠶] 〖잠업〗 ➜ 못 자는 누에

불명 [不明] 〖법의학〗 ⇨ 알 수 없음, 불명 ※unknown

불명한 [不明-] 〖행정〗 ⇨ 알 수 없는, 명확하지 않은

불문곡직 [不問曲直] 〖행정〗 ⇨ 옳고 그름을 묻지 않고

불문하고 [不問-] 〖행정〗 ⇨ 묻지 않고

불미스러운 [不美-] 〖행정〗 ⇨ 좋지 못한

불방 [不放] 〖행정〗 ➜ 안 팔기

불배달 사유 [不配達事由] 〖행정〗 ⇨ 배달 못한 사유

불변 GNP [不變-] 〖경제〗 ➜ 실질 GNP

불변가격 [不變價格] 〖경제〗 ⇨ 기준(년) 가격

불복이 있는 사람은 [不服-] 〖행정〗 ➜ 이의 있는 사람은

불복종하거나 [不服從-] 〖행정〗 ⇨ 복종하지 아니하거나

불부합 [不符合] 〖행정〗 ⇨ 맞지 않음

불분명한 [不分明-] 〖행정〗 = 분명하지 아니한

불비 [不備] 〖행정〗 ➜ 못 갖춤

불비하다 [不備-] 〖금융〗 ⇨ 갖추지 못하다

불비한 [不備-] 〖행정〗 ➜ 갖추어지지 아니한, 못 갖춘

불사하다 [不辭-] 〖정치〗 ⇨ 마다하지 않다, 각오하다

불상 [不詳] 〖법의학〗 ⇨ 불상, 알 수 없음 ※undetermined

불소 [弗素] 〖생활외〗 = 플루오르

불수리하다 [不受理-] 〖행정〗 ➜ 받아들이지 아니하다

불시에 [不時-] 〖행정〗 = 느닷없이

불시 재배 [不時栽培] 〖농업〗 ➜ 때없이 가꾸기

불시 출수 [不時出穗] 〖농업〗 ➜ 때없이 (이삭) 패기

불식하다 [拂拭-] 〖행정〗 ⇨ 씻어 버리다

불신 [不信] 〖행정〗 = 못 믿음, 못 믿는

불심자 [不審者] 〖행정〗 ➜ 수상한 사람

불연 재료 [不燃材料] 〖행정〗 = 타지 않는 재료

불연성 [不燃性] 〖행정〗 = 타지 않는 성질

불연이면 [不然-] 〖행정〗 ➜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불완전 의사 [不完全 縊死] 〖법의학〗 ➜ 불완전 목 맴 ※incomplete hanging

불요불급한 [不要不急-] 〖행정〗 ⇨ 급하지 않은, 긴요하지 않은

불요품 [不要品] 〖행정〗 ➜ 필요없는 물품

불요하다 [不要-] 〖행정〗 ⇨ 필요없다, 쓸데없다

불용 [不用] 〖행정〗 ⇨ 못 씀

불용성 [不溶性] 〖농업〗 ➜ 안 녹는

불용액 [不用額] 〖행정〗 ⇨ 안 쓴 돈

불용품 [不用品] 〖행정〗 ➜ 못 쓰는 물건, 안 쓰는 물건

불우한 [不遇-] 〖행정〗 ➜ 어려운

불원 [不遠] 〖정치〗 ➜ 머지않아

불원간 [不遠間] 〖행정〗 ⇨ 머지않아

불응하다 [不應-] 〖행정〗 = 따르지/응하지 아니하다/않다

불응하면 [不應-] 〖행정〗 = 따르지/응하지 않으면

불의에 [不意-] 〖행정〗 = 뜻밖에

불의의 [不意-] 〖행정〗 = 뜻밖의

불임립 [不稔粒] 〖행정〗 ➜ 쭉정이

불입 [拂入] 〖금융〗 〖행정〗 ⇨ 납입, 치름

불입 자본 [拂入資本] 〖행정〗 ➜ 납입 자본

불입하다 [拂入-] 〖경제〗 ➜ 내다, 납입하다

불참하다 [不參-] 〖행정〗 ⇨ 참가하지 아니하다

불철주야 [不撤晝夜] 〖행정〗 = 밤낮없이

불출 [拂出] 〖행정〗 ➜ 내줌

불출수 [不出水] 〖행정〗 ➜ 물 안 나옴

불치 [不治] 〖행정〗 = 못 고침

불탈견아 [不脫繭蛾] 〖잠업〗 ➜ 못 나온 나방

불특정 [不特定] 〖정치〗 ⇨ 임의의

불편부당 [不偏不黨] 〖정치〗 = 공정함, 편들지 않음

불폭발성의 [不爆發性-] 〖행정〗 ⇨ 폭발하지 않는

불하 [拂下, はらいさげ] 〖생활외〗 ⇨ 매각, 팔아 버림

불허 [不許] 〖행정〗 ➜ 허락하지 아니함

불허하기로 [不許-] 〖행정〗 ➜ 허락하지 않기로

붉은 간 토기 [紅陶] 〖고고학〗 ⇨ 붉은 간 토기, 홍도 ※burnished red pottery

붐 [boom] 〖생활외〗 〖언론〗 〖패션〗 ⇨ 대유행, (대)성황 ¶가을을 맞이하여 추억의 영화를 다시 감상해 보는 붐이 일어났다. 〖행정〗 ➜ 대유행, 벼락 경기, 대성황

붕괴 [崩壞] 〖행정〗 = 무너짐

붕괴지 [崩壞地] 〖행정〗 ➜ 무너진 땅

뷰티 살롱 [beauty salon] 〖패션〗 ⇨ 미용실

뷰티 스폿 [beauty spot] 〖패션〗 ➜ 장식점

뷰티 케어 [beauty care] 〖언론〗 ➜ 미용법, 미용 관리 ¶24시간 뷰티 케어, 집에서 만들어 선물하기 좋은 음식….

뷰티 트레이닝 [beauty training] 〖언론〗 ➜ 미용 훈련 ¶신체에 콤플렉스가 있는 일반인 4명에게 뷰티 트레이닝을 실시하는 ‘클럽 슈퍼 소라’ 코너가 제일 애착이 간다는 그녀는….

브라운 [brown] 〖패션〗 ➜ 갈색

브라이트 슈붕 [독.Breit Schwung] 〖스키〗 ➜ 간격 스키, 간격 평행 활강

브래시 [brassie] 〖골프〗 ➜ 2번 나무채

브래시 앤드 레일즈 [brash and rails] 〖승마〗 ➜ 싸리울 (장애물)

브래킷 램프 [bracket lamp] 〖전기〗 ⇨ 벽 전등, 브래킷 전등

브랜드 [brand] 〖생활외〗 〖언론〗 〖패션〗 〖행정〗 ➜ 상표 ¶올 겨울 양복값은 브랜드에 따라 저마다 다르다.

브랜드 네이밍이스트 [brand-namingist] 〖언론〗 ➜ 상표 작명사, 상표 작명가 ¶브랜드네이밍이스트는 상표 이름 짓기 전문가를 말한다.

브러시 [brush] 〖미술〗 〖패션〗 ⇨ 솔

브러싱 [brushing] 〖생활외〗 〖패션〗 ➜ 빗질, 솔질 ¶브러싱을 많이 하고 코팅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브레이드 [braid] 〖패션〗 ➜ 장식끈

브레이슬릿 [bracelet] 〖패션〗 ➜ 팔찌

브레이크 [brake] 〖언론〗 ➜ 제동 (장치), 멈춤 장치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 운전 학원. 〖야구〗 ➜ 굽은/변화 각도, 〖골프〗 ➜ 구부러짐, 〖언론〗 ➜ 휴식(기) ¶오늘부터 정상 훈련 … 올스타 브레이크 이전 등판 계획.

브레이크 다운 [break down] 〖전기〗 ⇨ 파괴(破壞)

브레이크 슈즈 [brake shoes] 〖행정〗 ➜ 멈추개

브레이크 스루 [break through] 〖전기〗 ⇨ 비정상 통전(非正常 通電)

브레이크 오브 볼 [break of ball] 〖야구〗 ➜ 변화구(變化球)

브레이크 타임 [break time] 〖전기〗 ⇨ 차단 시간(遮斷時間)

브레이크 포인트 [break point] 〖테니스〗 ➜ 수비 게임점

브레이킹 스로 [breaking throw] 〖핸드볼〗 ➜ 수비 돌파 (던지기)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언론〗 ⇨ 난상 토론, 발상 모으기 ¶황 교사의 지도 아래 브레인스토밍을 했고, 저녁 때도 공작실에서 밤늦게까지 작품을 만들었다.

브레인 풀제 [brain pool制] 〖생활외〗 ➜ 두뇌 은행제 ¶지금 시작하려는 연구는 브레인 풀제 방식으로 인력 운용을 해나갈 작정이다.

브레일 커튼 [brail curtain] 〖연극〗 ➜ 주름막

브로드밴드 [broadband] 〖언론〗 ➜ 광대역(廣帶域) (통신망) ¶그는 그때보다 지금 한국의 브로드밴드 기반 시설은 더 확장되고 이미 일상화돼 있다며 놀라움을 나타냈다.

브로마이드 [bromide] 〖언론〗 ➜ 사진 ¶‘스타 캠프’에서는 연예인 브로마이드 등을 싼 가격에 구할 수 있다.

브로슈어 [brochure] 〖행정〗 ➜ 안내서

브로커 [broker] 〖생활외〗 〖경제〗 〖행정〗 ➜ 중개인, 거간 ¶서울에서 브로커들이 거짓말도 많이 했다.

브로케이드 [brocade] 〖패션〗 ➜ 금, 금란, 양단

브론즈 [bronze] 〖패션〗 ➜ 청동

브루클린 [brooklyn] 〖볼링〗 ➜ 빗맞히기, 넘겨치기

브리더 [breather] 〖행정〗 ➜ 통기 장치

브리지 [bridge] 〖볼링〗 ⇨ 작은 구멍 간격, 〖행정〗 ➜ 운항 지휘실, 선교(루) (船橋樓)

브리지론 [bridge loan] 〖언론〗 ➜ 가교 대출 ¶이 회사에 대해 브리지론과 부채 만기 연장을 추진 중이다.

브리치스 [breeches] 〖패션〗 ⇨ 반바지

브리프 [brief] 〖패션〗 ➜ 짧은 팬티

브리핑 [briefing] 〖생활외〗 〖언론〗 ⇨ 요약 보고, 간추린 설명 ¶국방 문제에 대한 브리핑이 특히 뛰어난 사람이다.

브릭 스티치 [brick stitch] 〖패션〗 ➜ 벽돌수

브림 [brim] 〖패션〗 ➜ 차양

브이 네크라인(←브이넥) [V neckline] 〖패션〗 ⇨ 브이(V) 목둘레선

브이아이피 [VIP] 〖생활외〗 ➜ 귀빈, 요인 ¶브이아이피들에게 주차 특권을 주었기 때문이다.

블라인드 [blind] 〖생활외〗 ➜ 가리개 ¶블라인드를 걷어 올리고 창 밖을 보았다.

블라인드 스티치 [blind stitch] 〖패션〗 〖봉제〗 ⇨ 공그리기

블라인드 트러스트 [blind trust] 〖언론〗 ➜ 백지 위임 ¶미국 대통령에게 적용되는 ‘블라인드 트러스트’ 제도도 있다. 이것은 공직자가 재임 중 재산을 공직과 무관한 대리인에게 맡기고, 절대 간섭하지 못하게 하는 제도다.

블라인드 홀 [blind hole] 〖골프〗 ➜ 가려진 홀

블랙 [black] 〖패션〗 ➜ 검정(색)

블랙리스트 [black list] 〖언론〗 〖행정〗 ➜ 감시 대상, 요주의자 명단 ¶산재(産災) 블랙리스트 기업 특검.

블랙 마켓 [black market] 〖언론〗 ➜ 암시장 ¶공급 물자가 부족한 상황에서 형성될 수밖에 없었던 블랙 마켓의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는 점.

블랙 먼데이 [black monday] 〖언론〗 ⇨ 검은 월요일 ¶주가 대폭락 ‘블랙 먼데이’.

블랙 북 [black book] 〖언론〗 ➜ 기밀 문서 ¶그 뒤 일선 부대에 배포된 ‘블랙 북’에는 다른 내용은 모두 지워지고 ‘단순 침범’만 남게 됐다.

블랙 슈트 [black suit] 〖패션〗 ➜ 검정색 정장

블랙아웃 [blackout] 〖언론〗 ➜ 일시(적) 기억 상실 ¶특히 전체의 46%는 음주 후 기억이 끊어지는 ‘블랙아웃’ 현상을 경험했다고 말했으며…. 〖연극〗 ⇨ 불 끄기

블랙 타이 [black tie] 〖패션〗 ➜ 검정 넥타이, 정장 차림

블랭킷 스티치 [blanket stitch] 〖패션〗 〖봉제〗 ⇨ 담요 땀(수)

블랭킹 타임 [blanking time] 〖전기〗 ⇨ 공백 시간(空白時間)

블로킹 [blocking] 〖핸드볼〗 ⇨ 막아서기, 〖연극〗 ⇨ 동선짜기

블록 [block] 〖행정〗 ➜ 구역, 〖봉제〗 ⇨ 기본옷본, 〖핸드볼〗 ➜ 방어, 〖경제〗 ⇨ 부문, 〖생활외〗 ⇨ 집단, 구역 ¶세계는 지금 블록으로 나뉘어 서로 경쟁하고 있다.

블록 다이어그램 [block diagram] 〖전기〗 ⇨ 블록 선도(block 線圖), 구성도

블록버스터 [blockbuster] 〖언론〗 ➜ 흥행 대작(興行大作), 초대형 영화(超大型映畵) ¶미국과 홍콩의 블록버스터가 12월 초 비디오 시장에서 한판 승부를 펼친다.

블록 세일 [block sale] 〖언론〗 ➜ 주식 일괄 매각 ¶정부는 당초 ○○은행 지분을 기관 투자가 대상의 블록세일이나 해외 DR 발행을 통해 분산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블록 패턴 [block pattern] 〖패션〗 ⇨ 기본 옷본

블루 [blue] 〖패션〗 ➜ 파랑(색)

블루벨트 [blue belt] 〖행정〗 ➜ 청정 수역, 근해 보호 지역

블루 진 [blue jean] 〖패션〗 ⇨ 청바지

블루칩 [blue chip] 〖경제〗 ➜ (대형) 우량주

비 러프 [B rough] 〖골프〗 ➜ 긴 잔디 지역, 중간 풀 지역

비가공의 [非加工-] 〖행정〗 ➜ 가공 않은

비개방성 손상 [非開放性 損傷] 〖법의학〗 ➜ 닫힌 손상 ※non-open injury

비견하다 [比肩-] 〖행정〗 ⇨ 나란히 하다, 견주다, 겨루다

비계 [飛階] 〖임업〗 = 발판

비고 [備考] 〖행정〗 = 참고

비교하다 [比較-] 〖행정〗 = 견주다

비구 폐색 [鼻口閉塞] 〖법의학〗 ➜ 코입 막힘 ※smothering

비구 폐색성 질식사 [鼻口 閉塞性 窒息死] 〖법의학〗 ➜ 코입 막힘 질식사 ※smothering

비근한 [卑近-] 〖행정〗 = 가까운

비기 [誹譏] 〖행정〗 ➜ 헐뜯기

비까번쩍하다 [ぴか-] 〖생활외〗 ➜ 번쩍번쩍하다

비까비까하다 [ぴかぴか-] 〖생활외〗 ➜ 번쩍번쩍하다

비농가 [非農家] 〖행정〗 ⇨ 농사짓지 않는 집

비니루 [ビニール, vinyl] 〖생활외〗 〖패션〗 ➜ 비닐

비닐하우스 [vinyl house] 〖생활외〗 ⇨ 비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가 큰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

비단 [非但] 〖행정〗 ⇨ 다만

비대기 [非待機] 〖행정〗 ⇨ 비상 대기 기관차

비대생장 [肥大生長] 〖축산〗 ➜ 살찌기

비드 [bead] 〖패션〗 ➜ 구슬

비등하다 [沸騰-] 〖행정〗 = 끓어오르다, 물 끓듯 하다

비등함 [比等-] 〖행정〗 = 비슷함

비디오 [video] 〖생활외〗 ⇨ 녹화(기) ¶비디오 붐이 일어난지도 꽤 오래 되었다.

비디오 아티스트 [video artist] 〖언론〗 ⇨ 비디오 예술가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씨가 피카소 모네 등 세계적인 예술가 25명과 함께 교과서에 게재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비디오케 [←video ochestra] 〖생활외〗 ➜ 영상 반주 ¶비디오케집도 늘어만 가고 있다.

비디오 폰 [video phone] 〖언론〗 ➜ 영상 전화 ¶이 밖에 청각 장애인을 위한 비디오 폰 등도 조만간 선보일 예정이다.

비딩 [beading] 〖언론〗 ⇨ 구슬 장식, 구슬 처리 ¶또 골드 등의 화려한 자수나 크리스털 등의 장식품을 이용한 비딩 처리로 우아하면서도 화려함을 강조한 웨딩드레스가 많이 애용되고 있다는 것.

비로도 (←블루드) [天鵝絨ビロード, 포.veludo] 〖패션〗 ➜ 벨벳

비료 [肥料] 〖행정〗 = 거름

비루 [ピール, beer, 독.Bier] 〖생활외〗 ➜ 맥주

비리 [非理] 〖행정〗 ⇨ 이치 벗어남

비림 [備林] 〖행정〗 ➜ 비축림

비립 [秕粒] 〖행정〗 ➜ 쭉정이

비목 [費目] 〖정치〗 = 비용 명세

비밀리에 [秘密裏-] 〖행정〗 = 남모르게

비방 [誹謗] 〖행정〗 = 헐뜯다

비배 [肥培] 〖행정〗 ➜ 거름주기

비번 [非番] 〖행정〗 ⇨ 근무 아님, 당번 아님, 난번

비비드 컬러 [vivid color] 〖패션〗 ➜ 원색

비빔면 〖식생활〗 = 비빔국수

비사 [飛沙] 〖행정〗 ➜ 날리는 모래

비사표 〖행정〗 ➜ 확인표

비산하다 [飛散-] 〖행정〗 ➜ 흩날리다

비상 〖미술〗 ➜ 곰보정 〖조각〗

비상 [飛上] 〖행정〗 ➜ 날아 오름

비상 [飛翔] 〖임업〗 = 날기

비상 정호 [非常井戶] 〖농업〗 〖행정〗 ➜ 비상 우물

비상 제동 [非常制動] 〖전철〗 ⇨ 응급 제동, 비상 제동

비상식 [非常識, ひじょうしき] 〖생활외〗 ➜ 몰상식

비석 [飛石] 〖임업〗 ➜ 징검돌

비소 [費消] 〖행정〗 ➜ 소비

비속 [卑屬] 〖행정〗 ⇨ 손아래 (항렬)

비스 [프.bis. ←screw bolt] 〖전기〗 ➜ 나사못(螺絲-)

비스론 〖패션〗 ➜ 열림지퍼

비스코스 레이온 [viscose rayon] 〖패션〗 ➜ 인견(人絹)

비승비강 [飛乘飛降] 〖행정〗 ⇨ 뛰어 타고 내림

비어 [beer] 〖식생활〗 ➜ 맥주

비엔날레 [이.biennale] 〖미술〗 = 격년 (미술) 잔치

비엘 [B/L, bill of lading] 〖행정〗 ➜ 선하 증권, 뱃짐 증권

비옥 [肥沃] 〖행정〗 = 걸기

비외상성 [非外傷性] 〖법의학〗 ⇨ 비외상 ※atraumatic

비외상성 뇌실질 내출혈 [非外傷性 腦實質 內出血] 〖법의학〗 ➜ 비외상 뇌 속 출혈 ※nontraumatic intracerebral hemorrhage

비외상성 지주막 하출혈 [非外傷性 蜘蛛膜 下出血] 〖법의학〗 ➜ 비외상 거미막 밑 출혈 ※non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비용/시간이) 소요되다 [所要-] 〖행정〗 = (비용이) 들다, (시간이) 걸리다

비우다 [←distributor] 〖전기〗 ➜ 배전기(配電器)

비운문 [飛雲紋] 〖고고학〗 ⇨ 구름 무늬 ※cloud design

비월 [飛越] 〖승마〗 ➜ 넘기, 〖행정〗 ➜ 뛰어넘기

비위 [非違] 〖행정〗 = 그름

비유 [泌乳] 〖축산〗 ➜ 젓나기

비유출량 [比流出量] 〖임업〗 ⇨ 비유량(比流量)

비육 [肥育] 〖행정〗 ➜ 살찌우기

비육돈 [肥育豚] 〖농업〗 ⇨ 살퇘지 기르기

비육우 [肥肉牛] 〖행정〗 ➜ 고기소

비음 [庇蔭] 〖행정〗 ➜ 그늘

비익 [秘匿] 〖행정〗 ➜ 감추기, 감춤

비일비재하다 [非一非再-] 〖행정〗 = 한둘이 아니다

비자 [visa] 〖행정〗 = (입국) 사증

비장 [脾臟] 〖행정〗 ➜ 지라

비전 [vision] 〖생활외〗 〖언론〗 ⇨ 이상(理想), 전망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후보가 많다.

비전형적 의사 [非典型的 縊死] 〖법의학〗 ➜ 비전형 목 맴 ※atypical hanging

비전형적 익사 [非典型的 溺死] 〖법의학〗 ➜ 비전형 익사 ※atypical drowning

비정상류 [非正常流] 〖임업〗 ⇨ 부정류(不定流)

비조 [尾錠] 〖봉제〗 ➜ 조름단

비조 [鼻祖] 〖행정〗 = 시조

비조칸 [尾錠, びじょうかん] 〖패션〗 ➜ 조름단 장식

비주거용 [非住居用] 〖행정〗 = 주거용이 아닌

비주사 방식 [非走査方式] 〖임업〗 ⇨ 사진 영상 방식

비주얼 마케팅 [visual marketing] 〖생활외〗 〖패션〗 ➜ 진열 판매 ¶백화점의 경우 비주얼 마케팅 전략이…….

비주얼 머천다이징 [visual merchandising] 〖패션〗 ➜ 시각(적) 상품 전략, 시각(적) 상품 기획

비주얼화 [visual化] 〖언론〗 ⇨ 시각화 ¶편집에 우선 순위를 두고, 지면의 개선과 비주얼화에 모든 노력과 정성을 쏟았다.

비즈니스 (←비지니스) [business] 〖생활외〗 ⇨ 사업 ¶바쁜 비즈니스의 틈을 이용해 온 가족이 모처럼 함께 나들이를 했다. 〖경제〗 ➜ 업무, 사업

비즈니스맨 [business man] 〖생활외〗 〖언론〗 ⇨ 실업가, 사업가, 직장인, 기업인 ¶비즈니스맨들의 최대의 관심은 승진일 것이다.

비즈니스 셔츠 [business shirt] 〖패션〗 ➜ 사무 셔츠

비즈니스 슈트 [business suit] 〖언론〗 ⇨ 정장 ¶부드러운 실루엣과 가벼운 착용감, 다양한 디자인의 평상복이 딱딱하고 권위적인 비즈니스 슈트를 대신하게 될 것이다.

비즈니스 웨어 [business wear] 〖패션〗 ➜ 사무복

비즈니스 캐주얼 [business casual] 〖언론〗 ➜ 간이 사무복 ¶비즈니스 캐주얼 정장이 확산되면서 필수 품목으로 떠오른 것이 재킷이다.

비지터 피 [visitor fee] 〖골프〗 ➜ 비회원 사용료

비진동 임펄스 전압 [non-oscillating impulse voltage] 〖전기〗 ⇨ 비진동 충격 전압(非振動衝擊電壓)

비차 [費差] 〖금융〗 ➜ 사업비 차이

비체절 [非締切] 〖행정〗 ➜ 승무원 앞 우편물

비축하다 [備蓄-] 〖행정〗 = 저축하다, 모아 두다

비치 가운 [beach gown] 〖패션〗 ➜ 해변 가운

비치 드레스 [beach dress] 〖패션〗 ⇨ 해변 옷

비치 샌들 [beach sandal] 〖패션〗 ⇨ 해변 샌들

비치 웨어 [beach wear] 〖패션〗 ⇨ 해변 복

비치 파라솔 [beach parasol] 〖생활외〗 ⇨ 큰양산

비치하다 [備置-] 〖행정〗 = 갖추어 두다

비타민 컬러 [vitamin color] 〖패션〗 ➜ 비타민색

비토 [肥土] 〖행정〗 ➜ 기름진 땅

비토 [veto] 〖행정〗 ➜ 거부(권) ¶의회의 보수 세력이 아직 비토 세력으로 남아 있다.

비트 [pit] 〖행정〗 ➜ 작업 구덩이, 홈 파인 작업대

비트크로스 [bitcross] 〖언론〗 ➜ (반도체) 세대 교체 ¶반도체 D램 업계에 벌어지는 ‘비트크로스’ 현상이 업계 구조 조정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비파형 창끝 [琵琶形銅矛] 〖고고학〗 ⇨ 비파 모양 창끝 ※bronze violin-shaped spear

비표 [秘標] 〖행정〗 ⇨ 비밀 표시

비행 [非行] 〖행정〗 = 못된 짓, 잘못

비헤이비어 아트 [behaviour art] 〖미술〗 ➜ 몸짓 예술, 행위 예술

비호하다 [庇護-] 〖행정〗 ➜ 감싸 주다, 두둔하다

비환 [鼻環] 〖축산〗 ➜ 코뚜레

비효 [肥效] 〖행정〗 ➜ 거름 효과

빅딜 [big deal] 〖경제〗 ⇨ 사업 맞교환, 대기업 간 교환

빅뱅 [big bang] 〖언론〗 ➜ 대폭발, 대변혁 ¶2000년대를 앞두고 국내에서는 가히 ‘인터넷 빅뱅’이라 부를 만큼 급격한 변화의 소용돌이가 일고 있다.

빅 보어 라이플 [big bore rifle] 〖사격〗 ➜ 300m/대구경 소총

빅 카드 [big card] 〖언론〗 ➜ (주) 관심거리 ¶이들 경기 중 화려한 공격 축구를 선보이고 있는 브라질과 나이지리아의 맞대결이 빅 카드로 꼽힌다.

빅토리 [victory] 〖생활외〗 ⇨ 승리, 이겨라!

빅 파이브 [big five] 〖볼링〗 ⇨ 둘셋 퍼진 핀

빅 포 [big four] 〖볼링〗 ⇨ 황금문

빅 필 [big fill] 〖볼링〗 ⇨ 나머지 핀 처리

빈곤 [貧困] 〖행정〗 = 가난

빈도 [頻度] 〖행정〗 = 잦기

빈독우 [牝犢牛] 〖축산〗 ➜ 암송아지

빈발하다 [頻發-] 〖행정〗 = 자주 생기다, 자주 일어나다

빈번하다 [頻繁-] 〖행정〗 = 잦다

빈볼 [bean ball] 〖야구〗 ➜ 위협구

빈사 상태 [瀕死狀態] 〖행정〗 = 다 죽은 상태

빈우 [牝牛] 〖행정〗 ➜ 암소

빈지 [濱地] 〖행정〗 ➜ 물가, 바닷가

빈티지 룩 [vintage look] 〖언론〗 ➜ 중고풍, 거지풍 ¶90년대 후반 외환 위기 때부터 실용 패션으로 자리잡은 빈티지 룩이 경기와 관계없이 유행이 돼 버렸다.

빈티지 클로딩 [vintage clothing] 〖패션〗 ⇨ 재고 의류

빈티지 패션 [vintage fashion] 〖언론〗 ➜ 중고 패션, 골동 패션 ¶30대 이하 패션 민감 세대 사이에 ‘빈티지 패션’이 대인기다.

빌 [bill] 〖언론〗 ➜ 계산서

빌딩 [building] 〖행정〗 ⇨ (고층) 건물

빌리버빌러티 [believability] 〖연극〗 ➜ 개연성

빌링 [billing] 〖언론〗 ➜ 요금 납입 ¶빌링 시스템(→방식)도 문제.

빌트인 (가구) [built-in (家具)] 〖언론〗 ➜ 붙박이 (가구), 설치형 (가구) ¶붙박이장이나 빌트인 가구, 가전 제품들은 이미 보편화됐다.

빌트인 [built-in] 〖언론〗 ➜ 설치형 ¶‘빌트인’이란 가구나 주방 기기를 건설사나 집주인이 미리 설치해 주는 형태를 말한다.

빔 [beam] 〖미술〗 ⇨ 도투마리

빔 스플리터 [beam splitter] 〖전기〗 ⇨ 빔 분할기

빔 프로젝터 [beam projector] 〖연극〗 ⇨ 빔 투사기

빗 천장 [斜天障] 〖고고학〗 ⇨ 경사 천장 ※slant ceiling

빙괴 [氷塊] 〖행정〗 ➜ 얼음덩이

빙렬 [氷裂] 〖미술〗 ⇨ 식은태

빙부 [聘父] 〖행정〗 = 장인 (어른)

빙식 [氷蝕] 〖임업〗 ⇨ 빙하 침식

빙자 [憑藉] 〖행정〗 ⇨ 핑계

빙자하다 [憑藉-] 〖행정〗 ⇨ (‧‧을) 핑계삼다

빙점 [氷點] 〖생활외〗 ⇨ 어는점

빠꾸 [バック, ←back] 〖생활외〗 ➜ ①뒤로, 후진 ②퇴짜

빠꾸오라이 [バックオーライ, ←back all right] 〖생활외〗 ➜ 뒤로, 후진

빠다 (←바타) [バター, ←butter] 〖생활외〗 ➜ 버터

빠데 [パテ, ←putty] 〖건설〗 ➜ 땜풀, 퍼티, 〖미술〗 ➜ 메움밥, 땜풀, 퍼티〖조각〗

빠루 [バール, ←bar] 〖미술〗 ➜ 노루발 못뽑이

빠우 〖미술〗 ➜ 윤내기, 광내기

빠우치다 〖미술〗 ➜ 광내다

빠이롯트 [pilot] 〖생활외〗 ➜ 조종사, 파일럿

빠찌 [バッジ, ←badge] 〖생활외〗 ➜ 휘장, 표장(標章), 배지

빠타 [barter] 〖생활외〗 ➜ 맞바꾸기

빤쓰 [pants, pantaloons] 〖생활외〗 ➜ 속잠방이, 팬티

빵꾸 [パンク, ←puncture] 〖생활외〗 〖미술〗 ➜ 구멍(내기/나기), 흠구멍, 펑크〖조각, 목공예〗

빵카 [バンカー, ←bunker] 〖생활외〗 ➜ 진지, 벙커

빽바지 [←tight pants] 〖패션〗 ➜ (꼭) 낀 바지

뻬빠 [ペーパー, ←sandpaper] 〖미술〗 〖생활외〗 ➜ 사포, 속새

뻰찌 [ペンチ, ←pinchers] 〖생활외〗 ➜ (자름)집게, 펜치

뼁끼 [paint] 〖생활외〗 〖건설〗 ➜ 페인트

뼁끼칠 [ペンキ柒, paint-] 〖미술〗 ➜ (페인트)칠

뼈연모 [骨角器] 〖고고학〗 ⇨ 뼈뿔 연모 ※bone and shell made tool

뼈활촉 [骨鏃] 〖고고학〗 ⇨ 뼈화살촉 ※bone arrowhead

뽀록나다 [←ぼろ-] 〖일본어투〗 ➜ 드러나다, 들통나다

뽀뿌라 [ポプラ, ←poplar] 〖생활외〗 ➜ 포플러

뽀뿌린 [ポプリン, ←poplin] 〖생활외〗 ➜ 포플린

뽐뿌 [ポンプ, ←네.pomp, pump] 〖생활외〗 〖건설〗 ➜ 펌프

뿌라그 [プラグ, ←plug] 〖생활외〗 ➜ 꽂개, 플러그

뿌라야 [←pliers] 〖생활외〗 ➜ 틀집게, 플라이어

뿌로카 [ブローカー, ←broker] 〖생활외〗 ➜ 중개인, 거간, 브로커

뿌리 나래 활촉 [有莖兩翼鏃] 〖고고학〗 ⇨ 뿌리 날개 화살촉 ※tanged arrowhead with two wings

뿌리 없는 활촉 [無莖鏃] 〖고고학〗 ⇨ 뿌리 없는 화살촉 ※arrowhead without tang

삐라 [bill] 〖행정〗 ➜ 전단

삐빠 [ペーパー, ←sandpaper] 〖미술〗 〖생활외〗 ➜ 사포, 속새

삔봉 〖패션〗 ➜ 바늘꽂이

삥 [포.pinta] 〖생활외〗 ➜ 일(1)〖화투〗

삥바리 〖패션〗 ➜ 핀꽂이

삥뽕 [ピンポン, ←pingpong] 〖생활외〗 ➜ 탁구, 핑퐁


* * *



• 국어순화 • 국어순화합본 • 외래어 • 외래어표기법 • 우리말 • 일본말투 • 일본어투용어 • 잘못된표기 • 표기법 • 표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