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신가(安東申家)

URL: https://tanma.kr/korea/andongsinga.html

1. 개요


5대세가의 하나로 검의 명문.


(1) 위치

안동.


(2) 역사

고려 초의 장수 신숭겸의 후손으로 알려진 가문. ‘공산 전투’에서 고려 왕건이 견훤과 일대 격전을 벌였는데, 이때 왕건 대신 죽은 신숭겸이 죽었다. 이때 살아남은 신숭겸의 후손이 안동에 터를 잡은 것이 안동신가의 유래라는 설이 있으나 안동신가는 신숭겸의 후손이라는 사실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있다.


(3) 문화

안동의 꽃인 매화를 상징으로 사용한다. 흰색 무복에 분홍색 매화를 수놓은 복식이 안동신가임을 나타낸다.


(4) 조직

가주 밑에 장로와 호법이 있으며, 여러 개의 당과 하부조직이 운영되고 있다.


(5) 구조와 건물

무림세가임에도 집은 안동의 양반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다만 무공을 익히는 수련장이 있는 것만 다르다.


2. 무공


검을 사용하는 세가로 검법으로는 조선 최고를 자랑한다. 도법이 있기는 하지만 검법을 도법으로 변화한 것에 불과해 익히는 사람은 적다.


심법(心法)
- 매화신공(梅花神功)
- 홍운신공(紅雲神功)
- 혼원심법(混元心法)


검법(劍法), 도법(刀法)
- 매화검법(梅花劍法)
- 화풍검법(花风剑法)
- 홍화십이식(紅花十二式)
- 홍운검(紅雲劍)

권법(拳法), 장법(掌法)
- 매화권(梅花拳)
- 홍운연환장(紅雲連環掌)

수법(手法), 지법(指法), 각법(脚法) 등
- 호접금나(蝴蝶擒拿)
- 쌍접수(雙蝶手)
- 매화지(梅花指)
- 매화만개수(梅花滿開手)

경신보법(輕身步法)
- 용비홍운행(龍飛紅雲行)
- 호접비(蝴蝶飛)
- 쌍접보(雙蝶步)
- 암접표(暗蝶飄)

진법(陳法)
- 홍매화검진(紅梅花劍陳)
- 육합매화검진(六合梅花劍陳)

기타(其他)


* * *



• 5대세가 • TANMR.KR • 매화 • 무공 • 무협 • 무협사전 • 문파 • 신숭겸 • 안동신가 • 조선무림 • 조선무림전도 • 탄마 • 팔문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