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인 유점사(楡岾寺)의 말단 사찰인 백합암이 모태가 된 문파다. 유점사는 장안사, 신계사, 표훈사와 함께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이며, 금강산에서 가장 오래된 절이다. 유점사는 신라 시대에 지어져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크게 융성했고, 금강산의 많은 절과 암자를 관리하는 절이다.
유점사에서 비구와 비구니가 함께 수련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 하여 비구니만을 위한 수련 공간으로 만들어진 것이 백합암으로, 유점사 말단사찰인 백합암에서 시작한 문파라 백합문이라 한다.
불교 여승(비구니) 문파로 백합문 제자는 결혼할 수 없다. 단 속가제자는 결혼이 가능하며 머리를 기를 수 있다. 깊은 산속에 있는 문파라 세속적인 일에는 좀 둔감한 편이다.
장문인과 장로는 사태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백합암은 금강산에 존재하는 수 많은 비구니 암자의 수장격이다. 백합암 외에도 32암이 존재하며 이들 암자의 수장을 32백합승이라고 한다.
백합전이라는 하나의 건물만 있다. 그런데 그 건물이 꽤 크다. 역사적으로 계속 확장되면서 건물 하나에 의식을 보는 대중방을 비롯하여 숙식을 하는 요사와 부엌, 찬마루, 장문인이 업무를 보는 백합루, 참선을 하는 백선방, 경전 등이 있는 장경재 등이 다양한 부속 공간이 포함되어 있다.
심법(心法)
- 금정관음신공(金頂觀音神功)
- 관음선공(觀音禪功)
- 백합선공(百合禪功)
- 무상백합신공(無相百合神功)
검법(劍法), 도법(刀法)
- 천수천안도(千手千眼刀)
- 천수관음검(千手觀音劍)
- 백합만개검법(百合滿開劍法)
- 관음혜검(觀音慧劍)
창법(槍法)
- 백합창(百合槍)
권법(拳法)
- 백합육화권(百合六花拳)
- 금정천수권(金頂千手拳)
- 백화권(百花拳)
장법(掌法)
- 백화장(百花掌)
- 천수장(千手掌)
- 금정관음장(金頂觀音掌)
- 금강천수장(金剛千手掌)
지법(指法)
- 백화지(百花指)
- 관음지선(觀音指禪)
- 금강탄금지(金剛彈琴指)
수법(手法), 각법(脚法)
- 금정관음수(金頂觀音手)
- 백합만화수(百合滿花手)
- 금강관음족(金剛觀音足)
- 화선풍각(花旋風脚)
경신보법(輕身步法)
- 화비행(花飛行)
- 관음신법(觀音身法)
- 부동관음보(不動觀音步)
진법(陳法)
- 백합개화육진(百合開花六陳)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