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흥황가(咸興黃家)

URL: https://tanma.kr/korea/hamheunghwangga.html

1. 개요


5대세가의 하나로 활과 창, 방패의 명문.


(1) 위치

함흥.


(2) 역사

고려 후기 황상의 자손이 세운 가문으로 알려졌다. 고려 말 활을 가장 잘 쏘는 장수로 알려진 황상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진 것이 없는데, 황상의 후손 중에서 한 명이 태조 이성계의 측근이 되었고, 이성계의 고향인 함흥에 뿌리를 내린 것이 함흥황가의 시초라고 알려졌다.


(3) 문화

목란꽃을 상징으로 사용한다. 회색 무복에 하얀 목란꽃을 수놓은 복식이 함흥황가를 나타낸다.


(4) 조직

가주 밑에 장로와 호법이 있으며, 여러 개의 당과 하부조직이 운영되고 있다.


(5) 구조와 건물

거의 성벽에 가까운 건물이 특징이다. 북방 민족의 침입이 잦은 위치라는 점 때문에 외세의 침공에 대비한 튼튼한 건물을 지었으며, 높은 망루 및 방어용 옹성 등으로 된 건물을 갖고 있다.


2. 무공


말을 많이 타는 북방지역 답게 말에서 사용 가능한 창을 주무기로 사용하며, 활과 방패 등도 기본무기로 사용한다. 창과 활은 조선에서 최고의 가문이다. 특히 방패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특이하다.


심법(心法)
- 목련신공(木蓮神功)
- 백운신공(白雲神功)
- 백련대심법(白蓮大心法)
- 육합조화신공(六合造化神功)

검법(劍法), 도법(刀法) 창법(槍法), 방패법(防牌法)
- 목련검법(木蓮劍法)
- 백엽육창(白葉六槍)
- 육합신창(六合神槍)
- 백련육식(白蓮六式)
- 백운검(白雲劍)
- 백엽방패공(白蓮防牌功)
- 철갑방패공(鐵甲防牌功)
- 목화신궁(木花神弓)
- 대력강궁(大力强弓)
- 극탄시(極彈矢)

권법(拳法), 장법(掌法)
- 백련권(白蓮拳)
- 육엽장(六葉掌)

수법(手法), 지법(指法), 각법(脚法) 등
- 목화금나(木花擒拿)
- 육엽수(六葉手)
- 백엽탄지(白葉彈指)
- 목련육수(木蓮六手)

경신보법(輕身步法)
- 궁탄행(弓彈行)
- 풍엽비(風葉飛)
- 육합비화보(六合飛花步)

진법(陳法)
- 육합방창진(六合防槍陳)

기타(其他)


* * *



• 5대세가 • TANMR.KR • 목란 • 목란꽃 • 무공 • 무협 • 무협사전 • 문파 • 방패 • 조선무림 • 조선무림전도 • 창 • 탄마 • 팔문일관 • 함흥황가 •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