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인종 19년(1141년)에 황명에 의해 세워진 [묘향산보현사기(妙香山普賢寺記)]라는 비문에 따르면, 탐밀(探密)과 굉확(宏廓) 두 승려가 처음 보현사를 창건하였다고 언급하고 있다.
보현사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워 공을 세운 서산대사 휴정과 그 제자 사명대사 유정(惟政)의 연고가 있는 절이기도 하다.
휴정은 보현사의 사리탑이 낙성되고 선조 36년(1603년)에 다시 묘향산으로 돌아와 이듬해 묘향산의 금강굴에서 입적하였다.
승병을 일으킨 휴정 서산대사와 유정 사명대사의 일화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호국불교의 문화가 있다.
보현사의 장문인(掌門人)은 방장(方丈)이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보현사가 북쪽 불교의 총림이며 선불교의 대사찰이기 때문이다.
방장 밑으로 방장을 호위하는 4대호원(八大護院)이 있고, 4천왕과 16나한이 있다.
보현사 건물은 여느 산사와 같이 남북 종축선상에 놓여진 조계문, 해탈문, 천왕문 등의 산문이 잇고, 산문들을 잇는 축선상에 만세루와 대웅전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축선과 직교하여 그 동쪽으로 관음전, 영산전, 수충사 등의 건물을 횡으로 배열하고 있으며, 조계문을 들어서면 왼편에는 보현사비를 비롯한 많은 수의 석비가 가득히 세워져 있다. 이곳을 비석림이라 부른다.
해탈문 서쪽에는 진상전을 비롯해 여러 채의 요사용 건물들이 별도의 영역을 이루고 있다.
대웅전 좌측에는 수월당, 우측에는 요사채인 심검당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웅전 좌측에는 명부전과 응향각이 있다.
대웅전 우측에는 관음전, 만수각, 대장전, 영산전 등이 병렬하여 있으며, 영산전의 북쪽에는 산신당, 칠성각, 보련대 등 3채의 건물이 놓여 있다. 대장전과 영산전의 전면 약간 동쪽에는 복잡한 지붕형태를 한 건물인 극락전이 있고, 극락전의 서쪽에는 서산, 뇌묵, 사명대사의 영전을 모신 조사전이 있다. 이 영역에서 동쪽으로 한참 떨어진 곳에 비각 건물 2동이 있다.
보현사 무공은 중국에서 불교와 함께 들어오면서 소림사 무술을 이었다. 때문에 소림사 무술을 기본으로 하며, 후에 한반도의 고승들이 창안한 무공이 추가된 형태다.
심법(心法)
- 금강반야신력(金剛般若大神力)
- 금강수미범천공(金剛須彌梵天功)
- 금광수미공(金光須彌功)
- 만법귀일공(萬法歸一功)
- 만법역천공(萬法逆天功)
- 무상보리신공(無相菩提神功)
- 범천신공(梵天神功)
- 부동심신공(不動心功)
- 사천왕공(四天王功)
- 천룡팔신공(天龍八神功)
권법(拳法)
- 금강나한권(金剛羅漢拳)
- 유운신권(流雲神拳)
- 수미금강권(須彌金剛拳)
- 천룡권(天龍拳)
- 벽후공권(壁後攻拳)
장법(掌法)
- 금강나한장(金剛羅漢掌)
- 대라나한장(大羅羅漢掌)
- 벽통장(壁通拳)
- 보리신장(菩提神掌)
- 천룡팔신장(天龍八神掌)
- 항마금강장(降魔金剛掌)
지법(指法)
- 금강불영지(金剛佛影指)
- 일엽지(一葉指)
- 용조신지(龍爪神指)
- 무영탄지(無影彈指)
조법(爪法)
- 무영조(無影爪)
- 용호조(龍虎爪)
- 천룡팔조공(天龍八爪功)
인법(印法)
- 금불무영인(金佛無影印)
- 천룡인(天龍印)
수법(手法)
- 천수관음수(千手觀音手)
- 천룡팔해(天龍八解)
- 보리신(菩提神手)
- 무영수(無影手)
각법(脚法)
- 관음족(觀音足)
- 무상선풍각(無上旋風脚)
- 천룡연환퇴(天龍連環腿)
곤법(棍法)
- 보현십이곤법(普賢十二棍法)
- 묘향곤법(妙香棍法)
검법(劍法), 도법(刀法)
- 보현십이검(普賢十二劍)
- 항마계도(降魔戒刀)
- 항마도(降魔刀)
- 금강반야검(金剛般若劍)
장법(杖法)
- 천룡장(天龍杖)
- 보리선장(菩提禪杖)
저법(杵法)
- 반야저(般若杵)
- 금강보리저(金剛菩提杵)
경신보법(輕身步法)
- 유운보(流雲步)
- 부동신보(不動神步)
- 일엽답보(一葉踏步)
의법(衣法), 수법(袖法)
- 불영수(佛影袖)
- 금강수(金剛袖)
- 철판수(鐵板袖)
음공(音功)
- 범천후(梵天吼)
- 천룡음(天龍音)
진법(陳法)
- 금강나한진(金剛羅漢陳)
- 사천왕진(四天王陳)
- 천룡팔진(天龍八陳)
(1) 영약 및 신물
• 황옥불장(黃玉佛杖) : 향문 장문인의 신물로 황옥(黃玉)으로 만든 지팡이(불장)이다.
(2) 영약 및 신물
보현사의 영약으로는 무림 최고의 영단으로 알려진 ‘보리신단’을 비롯하여 ‘대향단’ ‘소향단’ 등이 있다.
• 보리신단 : 복용 시 30년 내공 증진
• 대향단 : 복용 시 20년 내공 증진
• 소향단 : 복용 시 10년 내공 증진
휴정
서산대사로 알려진 승병의 수장
유정
사명대사로 알려진 승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