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녀문(俠女門)

URL: https://tanma.kr/korea/hyeobnyeomoon.html

1. 개요


여자들로만 이루어진 문파. 여성들의 문파라 억울한 어려운 여성을 돕는 일에 적극 나선다.


(1) 위치

공주.


(2) 역사

몽골이 침략해 고려의 여인을 난폭하게 폭행하고 잡아갈 때 놀라운 무공으로 여인들을 구해준 무인이 나타나니, 바로 비연검제 현설연이다. 그녀는 자신이 구해준 여인들이 스스로 몸을 보호할 수 있도록 무공을 가르쳐 주었는데, 이렇게 비연검제에게 무공을 배운 제자들이 모여 만든 문파가 협녀문이다.


(3) 문화

여인들로만 이루어진 문파이기 때문에 문하생도 여인만 받는다. 만약 협녀문의 문하생이 결혼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협녀문의 문내제자에서 문외제자인 속가제자로 신분이 바뀌게 된다. 속가제자가 되는 순간부터 협녀문의 일에 의결권이 상실되나 협녀문과의 관계는 계속 유지된다.


(4) 조직

문주 밑에 장로와 삼 호법이 있으며, 여러 개의 당과 하부조직이 운영되고 있다.


(5) 구조와 건물

문주전을 중심으로, 창천관 비연관이 좌우에 자리잡고 있으며, 문주전 뒤에는 조사전이, 창천과 옆에는 요사채인 작약관이 있다. 그외 각종 부속건물이 있다.


2. 무공


협녀문의 검술이 부드럽고 패기가 부족해 조선 제일검으로 평가받지는 못 한다. 하지만 문하생이 검술에만 매진하는 특성 때문에 평균적인 검술 실력은 상당히 높은 문파다. 협녀문 무공은 대부분 검법에 치우쳐 있으며, 검법은 마치 검무를 추는 것처럼 부드럽고 화려하다. 여성에게 맞는 무기인 검만 사용하기 때문에 도법이나 기타 병장기 무공이 존재하지 않는다.


심법(心法)
- 창천비연신공(蒼天飛燕神功) : 협녀문 최고의 내공심법.
- 비연심법(飛燕心法) : 협녀문 고수들의 심법.
- 작약신공(芍藥神功) : 협녀문 제자들의 입문 내공심법.

검법(劍法), 도법(刀法)
- 비연창천신검(飛燕蒼天神劍) : 제비가 푸른 하늘을 나는 것 같은 협녀문 최고의 검법.
- 비연검(飛燕劍法) : 제비의 움직임을 본뜬 검법.
- 작약만화사검(芍藥滿花四法) : 협녀문 제자들의 기본 검법.
- 작약개화팔검(芍藥開花八劍) : 협녀문 제자들의 입문 검법.
- 비연쌍검무(飛燕雙劍舞) : 두 마리 제비가 움직이는 것처럼 쌍검을 가지고 펼치는 검법. 춤을 보는 것처럼 아름답다.
- 작약단검팔수(芍藥短劍八手) : 단검으로 펼칠 수 있는 검범.

권법(拳法)
- 연비권(燕飛拳)
- 작약개화권(芍藥開花拳)
- 작약만화권(芍藥滿拳)

장법(掌法)
- 연익장(燕翼掌)
- 작약장(芍藥掌)

지법(指法)
- 연탁지(燕啄指)
- 탄화지(彈花指)

수법(手法), 각법(脚法)
- 비연잔수(飛燕䎒手)
- 선화각(旋花脚)

경신보법(輕身步法)
- 만리비연신법(萬里飛燕身法)
- 화류행(花流行)

진법(陳法)
- 비연진(飛燕陣)


* * *



• 8문1관 • TANMR.KR • 俠女門 • 공주 • 무공 • 무협 • 무협사전 • 문파 • 신녀검제 • 여인 • 여자무사 • 웹소설 • 조선무림 • 조선무림전도 • 중국 • 중국무협 • 탄마 • 팔문일관 • 현설란 • 협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