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문(眞仙門)

URL: https://tanma.kr/korea/jinseonmoon.html

1. 개요


고조선의 천부인에서 유래한 문파로 8문1관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문파다. 삼청문이 중국 도교의 맥을 잇는다면, 진선문은 한국 전통 도교의 맥을 잇는 문파다. 삼청문과는 경쟁관계이자 협력관계다. 삼청문이 세속의 일에 관심을 끊고 은일한 문화를 지향하는 것과 달리 진선문은 세속의 일에 적극적으로 나서 백성들의 구사를 돕는다.


(1) 위치

계룡산(鷄龍山)


(2) 역사

고조선의 종교인 선도(仙道)에서 유래한 문파다. 선도의 역사를 기록한 [선사(仙史)]에 의하면 한이 5만 육군과 7천 수군을 동원해 위만조선을 침공해 왕검성이 함락되고, 4개의 군을 설치하자 많은 수의 고조선인들이 남으로 내려가 삼한사회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고조선에서 비류수(沸流水) 유역에 있었던 비류나부(沸流那部)는 ‘영성사직(靈星社稷)’과 ‘종묘(宗廟)’, 즉 농업신과 지역수호신 및 조상신에 대한 제사를 독자적으로 행하며 선도를 이끄는 주요 부족이었다. 이들은 왕검성이 함락되자 근처에서 수복을 노리는 파와 남쪽으로 이주하자는 파로 갈라지게 된다. 수복을 노리는 파에서 송양송양왕(松壤王)이 나와 고구려의 초기 집권세력을 형성한다. 소노부 해씨는 스스로 ‘선인(仙人)’의 후예라고 칭하면서 신인(神人)의 후예임을 내세웠으나 계루부에 의해 밀려나면서 한강 지역으로 이주한다.

이들 해씨 일족보다 먼저 이주한 비류나부 출신들이 계룡산에 터를 잡고 세운 문파가 바로 진선문이다.

이런 이유로 8문1관 중에서는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고구려의 벽화에 그려진 대조를 타고 하늘로 날아가는 인물이 진선문의 선도비선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신라의 사소성모와 대세, 구칠, 김가기, 김암 역시 진선문의 후예이며, 김유신을 비롯한 많은 인물이 진선문의 무공을 배운 사람이라고 전해진다.


(3) 문화

선인(仙人)사상과 신인(神人)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백성을 위한 구사와 부록에 치중한다. 삼청문과 마찬가지로 도사와 여관(여자도사)이 함께 수련하며 결혼도 자유롭다.


(4) 조직

장문인과 장로가 있고 제자가 있는 기본 구조의 조직을 갖고 있다.


(5) 구조와 건물

의식을 거행하는 진선궁이 가장 중요한 건물이고, 회의실로 사용하는 비선궁, 조사들의 위패를 모아놓은 조사전, 수련을 하는 곳인 진도관, 진무원 등이 있다.


2. 무공


애초 무공보다는 선도를 바탕으로 한 종교적인 색채가 짙어 구사와 부록에 치중한 문파다. 이런 이유로 도술을 뛰어나지만 무공은 뛰어난 편이 아니며, 무공의 수도 많지 않다.


심법(心法)
- 천부신력(天符神功)
- 삼인공(三印功)
- 진선신공(眞仙神功)
- 비류진공(沸流眞功)

검법(劍法), 도법(刀法)
- 양진도법(兩眞刀法)
- 비류검법(沸流劍法)
- 삼선삼검(三仙三劍)
- 진선십이검(眞仙十二劍)
- 천부삼검(天符三劍)
- 삼인검법(三印劍法)

권법(拳法)
- 승룡권(昇龍拳)
- 파벽권(破劈拳)

장법(掌法)
- 천부삼장(天符三掌)
- 삼인장(三印掌)
- 비류장(沸流掌)
- 선인팔장(仙人八掌)

지법(指法)
- 용조지(龍爪指)

수법(手法), 각법(脚法)
- 두견화산수(杜鵑花散手)
- 삼인수(三印手)
- 월영각(月影脚)
- 승룡각(昇龍脚)

경신보법(輕身步法)
- 월영표(月影飄)
- 화접신보(花蝶神步)
- 천류보(川流步)

진법(陳法)
- 천부검진(天符劍陳)
- 진선육합검진(眞仙六合劍陳)
- 두견명진(杜鵑鳴陳)


* * *



• 8문1관 • TANMR.KR • 仙人 • 仙史 • 仙道 • 沸流水 • 沸流那部 • 眞仙門 • 神人 • 鷄龍山 • 계룡산 • 구사 • 김유신 • 도사 • 무공 • 무협 • 무협사전 • 문파 • 부록 • 비류나부 • 비류수 • 선도 • 선사 • 선인 • 선인사상 • 소노부 • 신인 • 신인사상 • 여관 • 여자도사 • 웹소설 • 유불선 • 조선무림 • 조선무림전도 • 중국 • 중국무협 • 진선문 • 천부인 • 탄마 • 팔문일관 • 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