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좌수영이 서해안 쪽에 있는 걸로 아는 사람이 많음. 현대지도를 볼 때 서해 쪽이 왼쪽이기 때문에 서해를 좌측, 동해를 우측으로 생각함.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반대임. 그래서 전라좌도와 전라우도, 경상좌도, 경상우도, 평안동도, 평안서도 등의 경계선을 추가했음.
조선시대 주요 역도를 표시. 조선시대에는 41개 역도에 524개 속역, 13만 명의 역리졸, 5,380마리의 말을 관리했음. 이 중 주요 중심역에는 찰방이 파견되었기에, 찰방역은 주역 역참로 및 지방의 중심. 찰방역을 다 표시할 수는 없지만, 소설 쓸 때 참고할 만한 주요 찰방역은 표시했음.
참고로 영변대도호부에 있는 어천역의 경우 역리졸이 664명이었음. 군인 301명, 잡무 역리졸 363명으로 구성되었음.
문파는 지도 안에 표시하기는 했지만 한눈에 안 들어와서 표로 따로 만들어 추가했음.
(중국무협 9파1방이 허구지만 중국무협 세계관 만들어 사용하는 것처럼, 조선무림도 8문1관의 형태로 만들어서 조선무협 쓰는 중. 조선무림만 자작이고, 나머지 행정 지도 등은 고증해서 만든 것. 탄마홈페이지의 모든 자료 및 조선무림 설정은 상업적 이용 포함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해도 됨.)
탄마조선무림전도 V1.3(클릭하면 4000x6000 픽셀 큰지도로 볼 수 있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