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청문(三淸門)

URL: https://tanma.kr/korea/samcheongmoon.html

1. 개요


향문과 함께 무림 문파의 양대산맥을 이룬다. 향문이 불가 문파의 대표라면 도가의 대표문파는 삼청문이다. 힘 있고 강맹한 향문 무공과 달리 부드러움을 위주로 하는 무공을 쓰며, 의식에 검을 사용하는 관계로 특히 검법에 뛰어나다.


(1) 위치

개성 송악산.


(2) 역사

고려 예종 때 청하자(靑霞子)이중약(李仲若)이 세운 복원궁(福源宮)에서 유래한 문파다. 이중약의 본관은 경주(慶州)로 자는 자진(子眞), 호는 청하자(靑霞子)다. 어머니 이씨(李氏)가 꿈에 도사를 나타내는 노란색의 관을 보고 임신하였다. 어려서부터 유학을 닦는 한편 도장(道藏)을 탐독하고 도풍(道風)을 섬겼다. 후에 출가하여 가야산에 은거하며 스스로 청하자라 칭하고 수련을 쌓다가, 처사(處士) 은원충(殷元忠)과 선사(禪師) 익종(翼宗)의 주선으로 월출산으로 옮겨 일재(逸齋)를 짓고, 연단수련(鍊丹修鍊)을 하였다. 1108년(예종 3) 송나라에 다녀온 후 귀국 후 상소하여 국가 재초소(齋醮所)로 도관 복원궁(福源宮)을 건립하였다. 고려 도교의 총본산인 이 복원궁을 중심으로 도교를 전파했다.

이후 인종이 즉위하고 조정이 권신 이자겸(李資謙)의 세력에 의해 장악 당하자 도교 인사인 한안인(韓安仁)과 이중약이 축출 당한다. 이중약은 한안인 일파 축출시에 연루되어 1122년 유배지로 향하던 도중에 살해당했다.

인종 9년(1131) 3월에 노장학의 수업을 금한 조치까지 내려지자 이중약의 아들 이윤수는 도교를 지키기 위해 1133년 송악산에 삼청문을 열고 삼청문의 개파 조사가 된다. 이후 이중약의 손자이자 이윤수의 아들인 이담지(李湛之)가 삼청문을 계승하게 되었고, 이담지의 친구인 임춘(林椿)에 의해 이중약의 사적을 적은 [일재기]가 만들어진다.

이후 삼청문은 강좌칠현(江左七賢)을 배출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강좌칠현은 이담지와 이담지의 친구인 임춘(林椿)을 비롯하여 오세재(吳世才), 이인노(李仁老) 함순(咸淳), 조통(趙通), 황보항(皇甫沆)의 일곱 명을 말한다.

그러나 한안인과 이중약의 살해사건을 계기로 삼청문 개파조사인 삼청자 이윤수가 정치권에 나서는 것을 금함으로써 은일사상이 고조되었고, 왕실의 일이나 세속의 일에서 벗어나 이중약이 추구했던 연단사상에 집중하게 된다.

이후 조선이 개국되고 국가 지정 도관이 한성의 소격서(昭格署)가 됨으로써, 고려의 복원궁은 마침내 유명무실하게 된다. 하지만 이미 왕조와 인연을 끊은 삼청문은 한성으로 옮기지 않고 송악산에 남아 도가를 이었다.


(3) 문화

왕실이나 관부와는 거리를 두는 것이 가르침으로 전해지며, 연단과 구사(驅邪)를 본령으로 하고 있어 일반 백성에게는 인기가 많은 문파다.
도사와 여관(여자도사)가 함께 수련하며, 개파조사인 이윤수와 2대조사인 이담지가 결혼을 해서 자손을 낳은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도사들의 결혼이 자유롭다.


(4) 조직

장문인과 장로가 있고 제자가 있는 기본 구조의 조직을 갖고 있다.


(5) 구조와 건물

송악산 삼청문에는 복원궁을 본뜬 복원궁이 있는데, 이 건물은 의식을 행하는 건물로 사용한다. 회의 및 업무는 대청관(大淸觀)에서 하며, 실무자들이 근무하는 소청관, 조사 신위를 모신 삼청전(太淸殿), 그외 도사들이 머무는 정사색(淨事色)이라는 건물과 수련을 하는 구요당(九曜堂)을 비롯해 많은 건물이 있다.


2. 무공


이중약이 송에 입송했을 때 송나라의 도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당나라 때 개파한 무당과 교류하게 된다. 이때 무당파의 무공을 흡수하게 되며, 이후 강좌칠현에 의해 고려 무공이 혼합된 무공으로 발전한다.


심법(心法)
- 금운신공(金雲神功)
- 비취신공(翡翠神功)
- 삼청무극심법(三淸無極心法)
- 청하신공(靑霞神功)
- 소청심법(小靑心法)

검법(劍法)
- 금운검(金雲劍)
- 복원궁신검(福源宮神劍)
- 삼청무극검(三淸無極劍)
- 소청팔검(小靑八劍)
- 청하십삼검(靑霞十三劍)
- 태청칠검(太靑七劍)
- 현천칠현검(玄天七賢劍)

도법(刀法)
- 구요당도(九曜堂刀)
- 금운현도(金雲玄刀)

권법(拳法)
- 무극현천권(無極玄天拳)
- 삼청무극신권(三淸無極神拳)
- 청하신권(靑霞神拳)

장법(掌法)
- 청하장(靑霞掌)
- 현천칠현장(玄天七賢掌)

지법(指法)
- 금운탄지(金雲彈指)
- 청하지(靑霞指)
- 현천칠현지(玄天七賢指)

수법(手法), 각법(脚法)
- 청하십수(靑霞十手)
- 금운수(金雲手)
- 태청수(太淸手)

경신보법(輕身步法)
- 청하신법(靑霞身法)
- 금운비(金雲飛)
- 삼청보(三淸步)

진법(陳法)
- 삼청검진(三淸劍陳)
- 삼청무극검진(三淸無極劍陳)
- 복원궁진(福源宮陳)
- 칠현검진(七賢劍陳)

기타(其他)
- 천봉척법(天蓬尺法) : 천봉척(자)를 이용한 무공


3. 물건


(1) 신물

• 삼청변리음양(三淸變理陰陽) : 삼청문의 의식에 사용하는 신물로 벼락 맞은 만년대추목으로 만든 변리음양이다.
• 청옥불진(靑玉拂振) : 삼청문의 장문인 신물로 만년청옥이라는 단단한 옥으로 손잡이를 만들고, 천년지주사의 실로 만든 불진이다. 청옥은 무쇠보다 훨씬 단단하며, 천년지주사는 질겨서 끊어지지 않는 실이다.
• 태청천봉척((太淸天蓬尺) : 삼청문의 의식에 사용하는 신물로 천년도목으로 만든 천봉척이다. 천년 이상의 복숭아 나무가 번개를 맞아서 금속처럼 단단한 재질로 만든 천봉척이라 무기로도 사용이 가능한 신물이다.


(2) 영약 및 영단

• 팔선신단 : 향문의 보리신단에 버금가는 영약. 복용 시 30년 내공 증진.
• 태청단 : 복용 시 20년 내공 증진.
• 소청단 : 복용 시 10년 내공 증진.


* * *



• 8문1관 • TANMR.KR •  태청천봉척 • 三淸門 • 九曜堂 • 大淸觀 • 李仲若 • 李湛之 • 江左七賢 • 福源宮 • 靑霞子 • 강좌칠현 • 구요당 • 무공 • 무협 • 무협사전 • 문파 • 복원궁 • 삼청문 • 삼청변리음양 • 소청단 • 웹소설 • 이담지 • 이윤수 • 이중약 • 조선무림 • 조선무림전도 • 중국 • 중국무협 • 천봉척 • 청옥불진 • 청하자 • 탄마 • 태청관 • 태청단 • 팔문일관 • 팔선신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