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k 아미산 이름의 유래는 산 모양이 나방눈썹을 닮아서
아미파 권법의 유래는 덕원 장로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남송(南宋)시대에 흰눈썹을 가진 덕원(德源) 장로가 산원숭이의 움직임을 본뜬 원숭이권법(猴拳)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고 한다. 덕원 장로는 후에 [아미파권술(峨眉派拳术)]이라는 책을 저술한다.
원숭이권법에 관한 기록은 명나라 장군 당순지(唐順之)의 기록에도 나온다. 당순지는 [아미도인권가(峨嵋道人拳家)]라는 시를 남겼는데, 여기에 ‘백원권법(白猿拳法)’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한 도인이 나타나서, 심산의 흰 원숭이에게 받은 신기를 펼쳐 보였다. 말하기를 묘당의 가을기운처럼 높고, 늙은 느티나무처럼 고요하다고 했다. 홀연 한 발을 들어 걷어차니 암석이 부숴져 모래가 되어 흩날렸다."
실제로 아미산 8대 사찰 중 하나로 복호사가 지금까지 존재한다.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호랑이를 제압해서 지은 이름이 아니라, 산의 형세를 따서 지은 이름으로 나온다.
아미산지(峨眉山志)에 의하면 아미산 복호사는 진(晋) 나라 때 심암화상(心庵和尚)이 처음 창건했으며, 호랑이가 웅크린 모양의 능선 모양을 따서 ’복호사‘로 지었다고 한다. 그러니까 복호사는 처음 지을 때부터 복호사로 지은 것이다. 이후 당(唐)나라 때 운안선사(云安禅师)가 중건하여 커졌다. 이후 복호사는 청나라 순치(顺治) 연간에 20년 동안 재건하여 아미산에서 가장 큰 사찰 중 하나가 되었다.
남송(南宋) 소흥(绍兴) 3년(1133년)에 호랑이가 들끓자 이를 진압하기 위해 승려들이 존성당(尊胜幢)을 건설한다. 존성당은 탑 모양에 범어 진언을 새긴 것으로 불당 앞 개울가에 세웠다. ’승려가 호랑이를 진압해서 이름이 복호사‘라는 이야기는 이 존성당 이야기가 와전된 것이다.
아미파는 여승 사찰로 무협에 나오는데, 김용이 아미파를 등장시킬 때 사용한 사찰은 복호사가 아니라 여승 사찰인 보국사(報國寺)다. 보국사는 아미산 5대 비구니 사찰 중 가장 큰 사찰로 여승으로 이루어진 아미파의 근본으로 나온다. 그러나 정작 김용의 소설에서 아미파는 비구니 사찰이 아니라, 도가 쪽 문파로 나온다.
기록만으로 볼 때 아미라는 이름은 산의 모양에서, 아미권법의 유래는 덕원 장로의 후권에서, 비구니 문파 아미파는 보국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아미파의 창법에 관한 기록은 청나라 강희 원년(1662년)에 와서 오수가 적은 [수비록(手臂錄)]에 부록으로 붙여둔 정직여(程直如)의 [아미창법(峨嵋槍法)]이 있다.
정직여의 말에 의하면 그는 이 창법을 아미산의 보은선사(普恩禪師)에게서 배웠다고 하는 창법으로, ’아미창법‘은 치심(治心), 치신(治身), 의정(宜靜), 공수(攻守), 심세(審勢), 형세(形勢) 등 13번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정직여와 오수는 명말청초 때 사람으로 당시 아미파는 권법이 중심이지만 창법도 독보적이었음을 알 수 있는 기록이다. 이런 이유로, 소림의 곤(棍), 무당의 검(劍), 아미의 창(槍)이 대표 병장기가 된 것이다.
사천성 정부가 발행한 [사천무술대전]에 따르면 사천성 내에 67개 권파 중 사천 고유의 것은 28개이며, 41.79%를 차지하는데 이 28개 권파는 모두 아미권계를 기본으로 삼고 있다고 한다.
아미파 무공은 역사적 기록과 현재 사천성 내의 권파를 통해서도 계승되고 있으며, 북경체육학원출판사에서 출간한 [아미임제기공(峨嵋臨濟氣功)]에도 아미십이장(峨嵋十二 ), 아미경기공 등이 수록되어 전한다. 아미12장은 천(天), 지(地), 심(心), 지(之), 룡(龍), 학(鶴), 풍(風), 운(雲), 대(大), 소(小), 유(幽), 명명(明冥)의 12가지로 분류되며, 동공(動功)보다는 정공(靜功)을 지향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한 번 움직이고, 특정한 자세를 유지하다가 다시 움직이는 특정한 투로를 갖는다고 한다.
현재 한국의 무협에서 아미파는 불교 여승(비구니) 문파로 등장하지만, 김용의 [의천도룡기]에서는 도가의 문파로 나온다. 이 때문에 의천도룡기의 아미파 여제자는 긴머리다. 사마령의 작품에도 도가 문파로 나온다.
와룡생을 비롯한 일부 작가의 작품에는 불가로 나오며 남승(비구)가 주축인 문파로도 묘사된다. 지금은 아미파 하면 여승들의 문파로 어느 정도 자리 잡은 상태다.
비구니 문파로 설정되기 때문에 험한 꼴을 자주 당하는 역할로 나오는데, 아미파가 여승의 문파로 자리 잡은 이유는 김용의 소설에서 아미파를 개파한 조사가 곽양이라는 여자였고, 그 이후로 장문인의 조건이 무공이 강한 여제자로 내려왔기 때문에 그 이미지가 강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정작 김용의 작품에서 여자로만 이루어진 문파는 [소오강호]에 등장하는 항산파로, 여승으로만 이루어진 비구니 문파다.
무협영화나 소설에서 아미파 출신 여주인공은 정숙하면서도 세상물정을 모르거나 당찬 여걸로 등장하는 경향이 많으며, 비구니는 결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아미파 속가제자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아미의 무술에는 ’하나의 나무에 다섯 개의 꽃, 다섯꽃에 여덟 개의 잎‘이 있다고 한다. 아미파의 조직은 ’1수5화8엽‘이라는 것이다.
1수는 아미무술을 말하며, 5화는 다섯 개의 지구를 말한다. 즉 봉도(丰都)의 청우(青牛),통강(通江)의 철불(铁佛),개현(开县)의 황릉(黄陵),부능(涪陵)의 점역(点易),관현(灌县)의 청성(青城)을 말한다.
8엽은 ’승(僧), 악(岳), 두(杜), 조(赵), 홍(洪), 회(会), 자(字), 화(化)‘의 8대문파(八大门派)를 말한다. 8대문파 중에서 ’승(僧)‘은 가장 눈에 뜨이며 팔문 중 수장에 해당한다.
’멸절사태‘의 영향이 커서 아미파의 장문인이나 장로급 여승은 ’사태‘라는 호칭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무술(中國武術)]이라는 책에는 권법 계열이 위맹하여 남소림권(南少林拳)과 함께 남권(南拳)의 2대 권계 중 하나로 인정되는 곳이라고 나온다. 북권의 2대 권계는 소림권(少林拳)과 태극권(太極拳)이다. 또한 역사적으로 아미파는 창법이 독보적으로 나오지만, 무협소설에서는 창법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아미파 무공에 ’복호‘가 많이 등장하는 이유는 아미산의 ’복호사‘ 때문이고, ’금정‘이 많이 등장하는 이유는 아미산의 정상이 ’금정봉‘이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는 소림, 무당, 아미가 중국 무술의 3대 원류지만 여성 문파라는 이미지 때문인지 소설에서는 무공이 약한 문파로 나온다.
심법(心法)
- 관음금정신공(觀音金頂神功)
- 금강선공(金剛禪功)
- 금정신공(金頂神功)
- 금정천룡신공(金頂天龍神功)
- 나한복호신공(羅漢伏虎神功)
- 대정신공(大靜神功)
- 무상금광신공(無想金光神功)
- 번천육합공(飜天六合功)
- 불혼패엽공(佛魂貝葉功)
- 아미구음신공(峨嵋九陰神功)
- 적하신공(赤霞神功)
검법(劍法), 도법(刀法)
- 금광도(金光刀)
- 금정검(金頂劍)
- 난피풍검(亂披風劍)
- 대라수미혜검(大羅須彌慧劍)
- 멸절검(滅絶劍)
- 무상검식(無想劍式)
- 복호대라검(伏虎大羅劍)
- 복호도(伏虎刀)
- 비룡검(飛龍劍)
- 소양검(少陽劍)
- 소청검법(小靑劍法)
- 수미혜심검(須彌慧心劍)
- 일자수미검(一字須彌劍)
- 천불계도(千佛戒刀)
- 태청검법(太淸劍法)
- 포옥검(抱玉劍)
- 항마불도(降魔佛刀)
창법(槍法)
- 비봉창
- 칠살창
권법(拳法)
- 복호권(伏虎拳)
- 복호금강권(伏虎金剛拳)
- 청상권(靑桑拳)
- 파공대비권(破空大悲拳)
- 항룡복호권(降龍伏虎拳)
장법(掌法)
- 금정면장(金頂綿掌)
- 나운장(拿雲掌)
- 녹옥장(綠玉掌)
- 불광보조장(佛光普照掌)
- 사상장(四象掌)
- 요공추혼장(瑤孔追魂掌)
- 적성장(摘星掌)
- 적하신장(赤霞神掌)
- 절수장(切手掌)
- 천봉장(天鳳掌)
- 표설천운장(飄雪穿雲掌)
지법(指法)
- 공공일지선(空空一指禪)
- 복호지(伏虎指)
- 이지선(二指禪)
- 일지금(一枝金)
- 탄금지(彈琴指)
수법(手法), 각법(脚法)
- 금정대구식(金頂大九式)
- 금정산수(金頂散手)
- 복호살수(伏虎煞手)
- 절수구식(截手九式)
- 항룡모니인(降龍牟尼印)
- 항룡복마인(降龍伏魔印)
경신보법(輕身步法)
- 구전환영보
- 구전환영보(九轉幻影步)
- 금정신법(金頂身法)
- 등천능운십팔식(騰天凌雲十八式)
- 보법영활선변
- 부동명왕보(不動明王步)
- 신행미종보
- 신행미종보(神行迷踪步)
- 한매보(寒梅步)
진법(陳法)
- 항마팔진(降魔八陳)
- 항마복룡진(降魔伏龍陳)
기타(其他)
- 대복마불장(大伏魔佛杖) : 장(杖)
- 복호대력신장(伏虎大力神杖) : 장(杖)
- 조핵정(棗核釘) : 암기술(暗器術)
- 항마후(降魔吼) : 음공(音功)
- 구음신조(九陰神爪) : 조법
- 금광회선강기 : 강기
- 철나한강기 : 강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