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로는 무당과 항상 천하제일검문과 천하제일도문을 경쟁하는 구도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같은 섬서성 안에 있는 종남파와 서안의 패권을 두고 경쟁하는 구도로 그려진다. 이런 이류로 종남파와는 대립 관계나 숙적관계로 많이 설정된다.
화산은 내단을 수련해 신선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는 특징이 무당파, 모산파와 다른 점이다.
화산파에서 시조로 섬기는 사람은 춘추시대 말기의 도가 학자이자 노자의 제자인 관윤자(關尹子) 윤희다. 이는 화산파 측의 주장이고 역사적으로는 원나라 때 전진교의 전진칠자(全眞七子) 중 한 명인 학대통(郝大通)이 개창했다고 하는 설과 송나라 때 도사 진단(陳摶, 871-989)이 화산파를 개창했다는 설이 있다. 도교사전에는 이 두 가지 창시설을 동시제 수록하고 있다. 이 중에서 학대통이 개창했다는 설 쪽이 유력하다.
화산은 불교 사찰이 없고 도관만 있는 도교의 성지인데, 그 이유는 자미두수와 수공법으로 유명한 도사 진단이 화산에서 송 태조 조광윤과 내기바둑에서 이긴 대가로 면세 혜택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전한다.
진단은 [지현편(指玄篇)], [무극도(無極圖)], [선천도(先天圖)] 등을 저술했으며, '내단성선설(內丹成仙說)', 즉 내단을 수련하면 신선이 된다는 사상의 대표적인 주장자로 알려졌다. 이 내용은 전설에 불과할 지 모르지만 모르지만 화산파의 성격을 규정하는 주요 근거가 된다. 무당파가 무술과 주법(呪法)을 주로한다면 모산파는 부적과 술법을, 화산은 양생(養生)과 연단(鍊丹), 즉 내단을 수련하는 것을 주로 하여 신선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화산의 13대 장문인의 제자인 관사이홍에 의하면 화산의 도사들이 신선이 되는 것은 오로지 ‘양생, 운동, 채식(菜食), 조식기공(調息氣功), 그리고 명상을 통한 심신의 정화에 의해서만 얻어진다고 믿었다’고 말하고 있다.
도교는 크게 남북(南北) 양종으로 나뉘기도 하는데 북종(北宗)은 전진교(全眞敎), 남종(南宗)은 정일교(正一敎, 현재의 천사도天師道)다. 화산파는 이중 북종 전진교 계통에 들어가며 그 중에서도 천주궁파(天柱宮派)에 속한다.
장문인과 장로가 있고 제자가 있는 기본 구조의 조직을 갖고 있다.
김용의 소설에 등장한 ‘검기이종지쟁’ 사건 때문에 화산파 안에는 두 조직의 내분이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 무협이 많다.
화산에는 도교 동굴 72개와 도관 20여 곳이 곳곳에 있다. 화산 남봉 입구의 남천문(南天門)이 있고, 남천문 앞에 방이 하나 있는데, 총천일문(總天一門)이다. 총천일문이 천계(天界)의 경계라고 부른다.
주요 봉은 동봉 조양봉(朝陽峰, 朝陽臺), 서봉 연화봉(蓮花峰 혹은 부용봉芙蓉峯), 남봉 낙안봉(落雁峰), 북봉 운대봉(雲臺峰), 중봉 옥녀봉(玉女峰)으로 화산 전체가 하나의 통바위다. 서봉과 남봉 사이는 서로 이어졌는데, 폭1미터에 길이 300여 미터의 산등마루는 용척(龍脊)과 흡사하다 하여 ‘굴령(屈嶺)’ 또는 ‘창룡배(蒼龍背)’로 부른다.
서봉에는 서봉정전(西峯正殿)으로 부르는 취운궁(翠雲宮)이 자리 잡고 있다. 화산의 주봉은 남봉인데, 남봉에는 금천궁(金天宮)이 자리 잡고 있다. 그외 옥천원(玉泉院)과 진무궁(眞武宮) 등이 유명한 건물이다.
검법 말고 경신보법이 뛰어난 것으로 묘사된다. 이는 화산의 화산의 험악한 지형 때문에 경공이 뛰어나지 못 하면 산을 오르는 일조차 어렵기 때문으로 보인다.
왜 9파1방 중에서 화산만 지형에 대해 예민한지 알고 싶거나, 화산파가 얼마나 험한지, 왜 경공을 못 하면 화산 오르는 일조차 힘든지 알고 싶다면 아래 화산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자.
∞ Link 화산파 제자들이 경신술에 뛰어나야 하는 이유
[설명2] 우아하고 화려한 매화검법으로 묘사되는 화산파 검술과 달리 중국무협소설에는 화산파의 검법이 기奇), 험(险)을 핵심으로 삼는다. 그 이유는 화산의 산세가 기묘하고 위험한 형태를 띠는 것에서 유래된다.
심법(心法)
- 광한음공(廣寒陰功) : 이 신공에 당하면 얼음굴에 떨어진 것처럼 음독한 내상을 입으며, 언제 발작할 지 모른다고 한다.
- 냉천한월공(冷天寒月功)
- 옥함신공(玉函神功)
- 자하신공(紫霞神功)
- 포원경(元功)
- 혼원공(混元功) : 일반 심법과 달리 밖에서 안으로 익히는 독특한 수련 방식의 심법으로,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대성하면 매우 강한 위력을 발휘한다.
[설명2] 자하신공은 화산파 최고 무공으로 한국무협과 중국무협 모두 장문인만 배울 수 있는 무공으로 나온다.
검법(劍法), 도법(刀法)
- 광풍쾌검(狂风快剑)
- 금룡검범(金龙剑法)
- 뇌전검(雷電劍)
- 대라검(大羅劍)
- 반양의도법(反兩儀刀法)
- 배운검(排雲劍)
- 삼달검(三达剑)
- 삼선검(三仙劍)
- 양오검(養吾劍)
- 옥녀검(玉女劍) : 옥녀검십구식(玉女劍十九式)이라고도 한다. 여자용 검법이다. 여제자들이 팔힘이 약하기 때문에 변화의 기묘함을 가진 옥녀검십구식을 통해 상대방을 현혹시킬 수 있다.
- 옥녀검(玉女劍)
- 육합검법(六合劍法) : 화산파의 진산검법으로 36수로 이루어져 있는 검법.
- 이십사수매화검법(二十四手梅花劍法)
- 천류검(天流劍)
- 청풍십삼식(清风十三式)
- 탈명연환삼선검(夺命连环三仙剑) : 화산파 검종의 무예. 검종의 제자들이 기종의 고수들을 죽이는데 사용한 검법.
- 태악삼청봉(太岳三青峰) : 전광석화 같으며 강맹하고 폭풍 같은 검법.
- 태을검(太乙劍)
- 현천검(玄天劍)
- 호접쌍비(蝴蝶雙飛) : 화산파의 검술 중 가장 익히기 어려운 검법. 반드시 공력이 비슷한 두 사람이 동시에 시전해야 하며, 한 사람은 오른손 한 사람은 왼 손으로 검을 쓴다.
- 홍주검(紅蛛劍)
- 화산검법(华山剑法)
- 화운검(火雲劍)
- 희이검(希夷劍)
권법(拳法)
- 매화권(梅花拳)
- 벽석파옥권(劈石破玉拳) : 화산파 절학으로 익히기 어려운 권법이다. 벽석과 파옥으로 나누어 익힌 후, 모두 익히면 하나로 합쳤다.
장법(掌法)
- 낙화추영장(落花追影掌)
- 매화청심장(梅花淸心掌)
- 장권십단금(長拳十段錦)
- 태을미리장(太乙迷離掌)
- 혼원장(混元掌) : 장법의 형식과 내공 수련의 혼합. 손바닥을 단련하여 내경을 익히고 혼원공을 대성하면 더욱 강한 위력을 발휘함.
지법(指法)
- 매화오품지(梅花五品指)
수법(手法), 각법(脚法)
- 난화수(亂花手)
- 매화산수(梅花散手)
- 산화무영수(散花無影手)
- 응사생사박(鷹蛇生死搏)
- 응조공(鷹爪功)
- 적심수(摘心手) : 화산의 4대 장문인 날수선자 화비봉이 만든 무공. 심장을 꺼내는 수법이 너무 악랄하다는 평이 있다.
- 천응조(天鷹爪)
- 표미각(豹尾脚) : 발기술
경신보법(輕身步法)
- 암향표(暗香飄)
- 오행매화보(五行梅花步)
진법(陳法)
- 매화검진(梅花劍陳)
- 반양의도진(反兩儀刀陳)
- 십방매화검진(十方梅花劍陳)
- 육합검진(六合劍陳)
기타(其他)
- 마운부(摩雲斧) : 도끼무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