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진교(全眞敎)

URL: https://tanma.kr/china/jeonjin.html

1. 개요



김용의 무협소설 [사조영웅전]과 [신조협려]에는 꽤 중요한 문파로 등장한다. 명문정파이며 무학의 정종으로 여겨질 정도로 무공이 높은 문파로 묘사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무협소설에서는 잘 나오지 않지만, 나오더라도 모산파와 비슷하게 무공보다는 도술에 주력하는 문파로서 가끔 등장한다. 이름이 종교이름인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무림문파보다는 종교적 성향이 짙게 나오며, 대개는 멸문 당한 문파로 나온다.


(1) 위치

산둥성(山東省)의 곤유산(昆崳山). 김용 소설에서는 종남산(終南山)에 있는 중양궁(重陽宮)으로 나오지만, 역사적으로는 금나라 때 왕중양(王重陽, 1112~1170)이 곤유산에 땅굴을 파고 그 속에서 정좌하여 도교 전진파를 만들었다.

∞ Link 왕중양이 전진교를 창시한 곤유산


(2) 역사


도교에서 갈라져 나온 교단. 팔선 중의 하나로 일컬어지는 여동빈이 기초를 세웠고, 왕중양에 의해 시작되었다. 전진교는 도교의 문파로서 도문의 종주라고 일컬어졌던 문파이다. 송나라말 도사 왕철(호는 중양자)이 창시했다. 화북지방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큰 세력을 가진 종교다.

남송 초기에서 원나라 시대까지 흥했는데 원나라 때 전진칠자들에 의해 용문파, 우선파, 남무파, 수산파, 윤산파, 화산파, 청정파로 분리된 후 쇠퇴 몰락했다. 쇠퇴한 이유는 교단 소유 재산 싸움으로, 서로 공격하고 헐뜯으며 백성의 외면을 받아 몰락의 길을 걸었다.

도가의 내단사상을 깊이 연구하여 체계적인 수행법으로 정리했는데, 내단사상의 핵심을 정리한 여동빈의 [태을금화종지]는 대표적인 경전이다. 이 경전은 참동계, 황정경 등과 함께 도교의 대표적인 수행서다.


(3) 문화

좌선과 수행을 중시하며 유교, 불교, 도교를 조화시킨 실천적이고 서민적인 종교색을 가졌다. 불교의 영향을 받은 까닭에 기존 도교의 약이나 부적에 의한 불로장생법 등 주술적인 개념을 배척하고 주색재기(酒色財氣)의 네 계율을 엄격히 따졌다.


(4) 조직


(5) 구조와 건물


2. 무공

무협소설 속에서는 검법이 독보적인 정파로 묘사되고 있다.


축기술(蓄氣術) : 심법(心法), 신공(神功) 등
- 금관옥쇄24결(金關玉鎖二十四決)
- 선천공(先天功)
- 현문정종내공심법(玄門正宗內功心法)

무기술(武器術) : 검법(劍法), 도법(刀法), 창법(槍法) 등
- 동귀검법(同歸劍法)
- 일기화삼청(一氣化三淸)
- 전진검법(全眞劍法)
- 중양검법(重陽劍法)

용체술(用體術) : 권장수지각법(拳掌手指脚法), 경신보법(輕身步法) 등
- 금안공(金雁功) : 경공
- 상천제(上天梯) : 경공
- 이상파빙장(履霜破氷掌)

법등술(法等術) : 진법(陳法), 전음술(傳音術), 방술(方術) 등
- 븍두대진(북斗大陣)
- 천강북두진(天罡北斗陣)
- 칠성취회(七星聚會) : 진법


* * *



• 9파1방 • TANMR.KR • 全眞敎 • 山東省 • 昆崳山 • 王重陽 • 酒色財氣 • 重陽宮 • 곤유산 • 구파일방 • 김용 • 도술 • 무공 • 무림전도 • 무협 • 무협사전 • 무협소설 • 문파 • 사조영웅전 • 산둥성 • 신조협려 • 여동빈 • 왕중양 • 웹소설 • 전진교 • 전진칠자 • 주색재기 • 중국 • 중국무협 • 중양궁 • 탄마 • 태을금화종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