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 초기에서 원나라 시대까지 흥했는데 원나라 때 전진칠자들에 의해 용문파, 우선파, 남무파, 수산파, 윤산파, 화산파, 청정파로 분리된 후 쇠퇴 몰락했다. 쇠퇴한 이유는 교단 소유 재산 싸움으로, 서로 공격하고 헐뜯으며 백성의 외면을 받아 몰락의 길을 걸었다.
도가의 내단사상을 깊이 연구하여 체계적인 수행법으로 정리했는데, 내단사상의 핵심을 정리한 여동빈의 [태을금화종지]는 대표적인 경전이다. 이 경전은 참동계, 황정경 등과 함께 도교의 대표적인 수행서다.
좌선과 수행을 중시하며 유교, 불교, 도교를 조화시킨 실천적이고 서민적인 종교색을 가졌다. 불교의 영향을 받은 까닭에 기존 도교의 약이나 부적에 의한 불로장생법 등 주술적인 개념을 배척하고 주색재기(酒色財氣)의 네 계율을 엄격히 따졌다.
무협소설 속에서는 검법이 독보적인 정파로 묘사되고 있다.
축기술(蓄氣術) : 심법(心法), 신공(神功) 등
- 금관옥쇄24결(金關玉鎖二十四決)
- 선천공(先天功)
- 현문정종내공심법(玄門正宗內功心法)
무기술(武器術) : 검법(劍法), 도법(刀法), 창법(槍法) 등
- 동귀검법(同歸劍法)
- 일기화삼청(一氣化三淸)
- 전진검법(全眞劍法)
- 중양검법(重陽劍法)
용체술(用體術) : 권장수지각법(拳掌手指脚法), 경신보법(輕身步法) 등
- 금안공(金雁功) : 경공
- 상천제(上天梯) : 경공
- 이상파빙장(履霜破氷掌)
법등술(法等術) : 진법(陳法), 전음술(傳音術), 방술(方術) 등
- 븍두대진(북斗大陣)
- 천강북두진(天罡北斗陣)
- 칠성취회(七星聚會) : 진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