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피아 구독료인상 관련 전후동향(탑코미디어 탑툰 합병, 노벨피아 흑자전환)

URL: https://tanma.kr/data/novelpia_fee_increase.html

노벨피아 관련 글을 몇 개 썼는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노벨피아는 창립 후 2년 차에 ‘매출 241억 - 정산금 200억 = +41억’을 기록하며, 매출로 이미 작가 정산금을 줄 수 있는 수준을 넘겼다.
(2) 적자는 마케팅비, 인건비 등에서 발생하는데, 이 두 가지를 줄이면 적자폭을 크게 줄일 수 있다.
(3) 노벨피아가 매출만으로 작가정산금을 줄 수 있음에도 작가정산금을 깎은 이유는 탑코미디어 재팬에 투자할 현금마련을 확보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최근에 노벨피아는 독자구독료를 50% 인상한다고 발표를 했다. 작가정산금은 51~300위까지만 소폭 올린 것이라 회사 차원에서 정산금 지출의 변화는 미미한 수준이다. 지출 변화는 거의 없고 매출만 50% 향상되는 변화가 생긴 것이다. 구독료 인상으로 독자가 얼마나 이탈할지 모르겠지만, 아마 이탈율에 크게 신경 쓰지 않을 것이다.

노벨피아 정책 변화를 이야기할 때는 노벨피아만 이야기할 수 없고, 모기업과 관계를 늘 따져야 한다.

(1) 모기업인 탑코와 계열사인 탑코미디어(=자회사 탑툰재팬), 메타크래프트(노벨피아) 세 회사의 사실상 지배 주주는 유정석 대표다.
(2) 2017년의 탑코 IPO는 실패했다.
(3) 탑코미디어를 통해 탑코를 상장하는 합병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덩치가 큰 탑코를 합병할 경우 우회심사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유정석 대표는 탑코 상장을 위한 몇 가지 시나리오를 준비했다. 가장 유력한 것은 탑코를 탑코미디어의 지주회사로 만들고, 지주회사를 유정석 대표가 지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탑코, 탑코미디어, 메타크래프트의 대표이사를 모두 유정석으로 교체하여 세 기업의 경영이 한 몸처럼 이루어진 상태에서 지배구조 변경을 시도했다.

2022년말에 유정석 대표가 소유하던 탑코미디어 주식 168만주를 (주)탑코에 매도함으로써, 탑코미디어 최대 주주는 (주)탑코가 되었다. 그리고 탑코 최대 주주는 50%를 가진 유정석 대표다. 다시 말해서 ‘유정석 - 탑코 - 탑코미디어 - 메타크래프트’의 지배구조로 개편을 한 것이다.

[탑코미디어 지배구조 현황. 2024년 1Q기준]
1. 유정석 대표 : (주)탑코 지분 50.4%, (주)탑코미디어 지분 4.5%, 메타크래프트 지분 69.3%(특관자 포함) 보유.
2. (주)탑코 : (주)탑코미디어 지분 29.8%, 메타크래프트 지분 11.7%, 탑코인터내셔널 지분 100% 보유.
3. (주)탑코미디어 : 탑코JAPAN 지분 100% 보유.

2024년 1분기 지배구조 현황을 보면 알겠지만 유정석 대표가 (주)탑코 최대주주, 탑코가 (주)탑코미디어 최대 주주, 탑코미디어가 탑코JAPAN 최대 주주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한 가지 시나리오는 이미 상장된 탑코미디어의 볼륨을 키운 뒤에 탑코를 합병하는 것이다. 탑코미디어에서 탑코를 인수하기 위해서는 자산총계, 자본금, 매출액 중 두 가지 이상이 탑코보다 커야 하는데, 매출액은 당분간 어렵기 때문에 탑코미디어는 자산총계와 자본금 두 개를 탑코보다 키우는 노력을 해왔다.

그럼에도 탑코를 탑코미디어에서 인수할 경우 최대주주변경이 발생하는 문제 때문에 여전히 두 기업의 인수합병은 어려움이 많다.

결국 유정석 대표 입장에서는 탑코보다 탑코미디어 크기를 더 키우는 것이 주요 과제가 될 수밖에 없고, 탑코미디어 지분을 탑코에 매각한 것으로 볼 때, 인수합병보다는 지배구조 변경으로 전환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이 상황에서 탑툰재팬이 성장함으로써 탑코미디어를 키울 실마리를 얻게 되었다.

탑툰재팬은 2022년 7월 론칭 이후, 2023년 3월 50만에서 8월에 100만을 돌파하며 미친 듯이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시기에 노벨피아는 정산금 개편을 실시했다.

∞ Link 노벨피아는 왜 정산금을 깎았을까

모든 역량을 탑툰재팬에 쏟아부었다고 할 수 있다. 광고비가 매출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퍼부은 결과, 2024년 3월에는 200만, 2024년 10월에 300만 가입을 돌파했다. 1년 반 만에 50만 회원이 300만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매출도 대폭 증가한 것이다.

그 결과 탑코미디어는 2024년에 284억 매출에 흑자전환을 예상하고 있다. 2023년 탑코미디어의 영업이익은 -27억 원을 기록했다.(지배주순이익은 -119억 원으로 큰 적자를 기록했다. 지배주주 당기순손실이 -119억 원인 이유는 STB사업 양도 관련 건 때문이고, 매출 문제는 아니다.) 그런데 1년 만인 2024년에는 흑자전환이 예상될 정도로 경영이 호전되었다. 탑코미디의 매출은 콘텐츠 유통이 70%, 플랫폼(탑툰JAPAN) 매출이 30%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점에 노벨피아 구독료인상이 이루어진 것이다.

탑코미디어가 볼륨을 키운 상태에서 흑자로 전환하는 것에 맞추어 내실 위주의 흑자경영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메타크래프트 역시 더 이상 회원증가를 통한 덩치키우키가 한계에 도달했다는 판단에 따라 내실 위주의 흑자경영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한다.

탑툰JAPAN은 ‘온천숙박의 대번성’이라는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는 등 일본에서 오리지널 콘텐츠를 확대하면서, 드라마 굿즈 등의 OSMU에 장기목표를 두고 경영 중이다.

결산이 나와 봐야 알겠지만 탑코미디어나 메타크래프트의 2024년 경영은 흑자 또는 소폭의 적자로 큰 변화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만약 두 기업이 흑자경영으로 돌아선다면 이후 두 기업의 행보는 다양한 IP사업 및 비즈니스모델의 확대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 추가 : 메타크래프트(노벨피아) 2024년 매출 등 추가 정보

본문은 2024년 12월 3일에 쓴 글인데, 이후 몇 달 동안 노벨피아에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따로 글을 적기에는 부담스러워, 본문에 추가로 작성한다.


1. 탑코미디어가 탑툰을 합병

진짜 큰일이 벌어졌는데, 탑코미디어가 탑툰을 인수했고, 탑툰은 소멸되었다.
아래 링크에 합병보고가 있다.

∞ Link 탑코미디어의 탑툰 합병보고공고

탑코미디어가 탑툰을 흡수합병하여 탑코가 존속하고, 탑툰은 해산한다. 합병비율은 1:27 이고, 2025년 1월 21일 계약, 2월 28일 합병승인 주주총회, 4월 1일 합병 및 합병종료보고, 4월 2일 합병등기로 진행되었다.

꽤 큰 사건이지만 웹툰업체 관련 이야기라 새 글을 파서 쓰지는 않고 결과만 적어둔다.


2. 노벨피아가 흑자로 전환함

(1) 2024년 메타크래프트(노벨피아) 흑자 전환
2024년 노벨피아는 매출 239억 원, 영업이익 8.6억, 당기순이익 -10억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91.7억(2023년)에서 흑자로 전환하면서 100억이나 차이를 보였다. 당기순이익도 -132억(2023년)에서 +122억이나 되었다. 실로 엄청난 실적을 거둔 것이다.

(2) 노벨피아 매출액은 정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100억 근처의 변화를 보인 것과 달리 매출은 2023년의 226억에서 239억으로 12억만 증가했다. 즉 구독자 증가나 매출 증가 없는 정체기를 1년 가졌다는 뜻이다.

(3) 매출정체를 구독료인상으로 돌파
노벨피아가 더 이상 회원증가를 통한 덩치키우키가 한계에 도달했다는 판단에 따라 내실 위주의 흑자경영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본문에 적었는데, 실제로 회원증가가 없었다.
2023년 대비 2024년 매출변화가 없는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구독자수의 증가 없는 정체기에 들어서자 노벨피아는 구독료를 50% 인상했다. 산술적으로 계산하자면 구독의 3분 1이상이 이탈하지 않는다면, 2025년 매출은 구독료 인상분만큼 증가하게 된다.
노벨피아는 구독자 이탈이 3분의 1을 넘기지 않을 거라 생각하고 구독료인상을 결정했을 것이다.

지금까지 쓴 글과 추가내용으로 탑코미디어와 메타크래프트(노벨피아)의 2025년은 예상되기에 따로 새글을 게시하지 않고, 본글에 추가만 했다.


* * *



• 구독료 • 구독료인상 • 노벨피아 • 노벨피아흑자 • 메타크래프트 • 영업양도 • 웹소설 • 웹소설산업 • 웹소설작가 • 웹툰 • 유정석 대표 • 이벤트금액 • 자금 • 작가 • 적자 • 정산금 • 탑코 • 탑코미디어 • 탑코재팬 • 탑툰 • 탑툰 인수합병 • 흑자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