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파(武當派)

URL: https://tanma.kr/china/moodang.html

1. 개요


소림사와 함께 무림 문파의 양대산맥을 이룬다. 소림이 불가 문파의 대표라면 도가의 대표문파는 무당이다. 힘 있고 강맹한 소림 무공과 달리 부드러움을 위주로 하는 무공을 쓰며, 특히 검법에 뛰어나다.


(1) 위치

호북성(湖北省) 균현(均縣) 남쪽에 있는 무당산(武當山)에 있다. [삼재도회무당산도고]에는 ‘무당산은 양양부 균주성에 위치해 있다.’라고 적혀 있다.


(2) 역사

소림사에서 나온 장삼봉(張三峰)이 문을 연 문파로 알려졌지만, 이는 설화에 가까운 이야기다.
∞ Link 장삼봉, 장상품? 그는 무당파 조사일까?

역사적으로는 당나라 정관 연간(627~649)부터 도교사원을 건설하면서 등장하기 시작하여 북송, 원나라, 명나라를 거치면서 성쇠를 거듭하면서 건축물을 증축하고 세력을 확장했다.

원나라 말기에 전란에 의해서 파괴되었다가, 명나라 성조 영락제에 의해서 부흥되었다. 영락 10년(1412년)에 칙령을 내려 삼십여 만명을 동원하고 막대한 비용을 지원했다. 현천옥허궁(玄天玉虛宮), 흥성오룡궁(興聖五龍宮), 대성남엄궁(大聖南巖宮), 태현자소궁(太玄紫巖宮) 등 네 도관 외에 다섯 도관을 건립했으며, 이들 도관에는 많은 전답을 하사하고, 면세특권이 주어졌다.

무당파는 성조 영락제의 지원에 힘입어 경제적 기반이 다져지고, 도교의 관리를 맡은 관청인 도록사의 한 자리에 무당의 도사가 임명되는 등 일정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또한 이때부터 전진교와 정일교의 영향을 받게 되며, 전진교 계통의 세가 강하다고 한다.

무당산에 있던 적지 않은 도가 건물은 문화혁명 때 홍위병들에 의해 꽤 많이 파괴되었다. 현재는 장문인도 있고, 여도사도 있는데 이는 현대에 와서 만들어낸 것이다.

무술적으로는 장삼봉이라 부르는 도사가 무당산에 있었고, 장삼봉이 내가권인 태극권을 창시했다고 알려졌다. 물론 이 역시 전설일 뿐으로, 태극권의 원형은 진가구에 전해지던 가전무예 '진식 태극권'이 원형이며, 진식 태극권에서 파생한 '양식 태극권'이 널리 퍼지면서 유명해졌다는 설이 정설이다. 무당산에 있는 무술학교들은 대부분 양식태극권을 가르치는데, 사범들부터 진가 태극권사에게 가서 배워오는 수준이다.

하남성 정부가 소림사를 통해 관광수익을 올리자 호북성에서도 무당파를 밀어서 무술 마케팅을 하는 중이다. 역사적 진위에 상관 없이 무협에서 무당의 위치가 인기를 끌자 소림사처럼 무공의 산실로 마케팅하는 것이다.


(3) 문화

무당파는 연단과 구사(驅邪)를 본령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인들 사이에서 꽤나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영종 때부터는 환관이 무당산을 관리하게 되어 그들에 의해 이용을 당하기도 했다.


(4) 조직

장문인과 장로가 있고 제자가 있는 기본 구조의 조직을 갖고 있다.


(5) 구조와 건물

무당산 전체에 적지 않은 건물이 남아 있다. 현재 무당산에는 8궁 2개 36암당 72암묘 39교량 등이 있다. 이 건물들은 400평방킬로미터에 걸쳐 분포되어 있고 직선으로는 70킬로미터나 뻗어 있다.

무당산의 건물들은 균주성(均州城) 정락궁(淨樂宮)에서 금정(金頂)에 이르는 길을 중심선으로 놓고 한 마리의 승천하는 용처럼 건물이 배치되어 있다고 한다. 정수리나는 표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금정이 용의 머리에 해당되며, 우진궁(遇眞宮)에서 태화궁(太和宮)에 이르는 건물은 용의 몸통, 정락궁에서 현악문(玄岳門)에 이르는 곳은 용의 꼬리, 팔선관(八仙觀)을 포함해 건물들은 용의 왼쪽 발톱, 호구교(蒿口橋)를 비롯하여 다른 건물은 용의 오른쪽 발톱에 해당된다고 한다.

무당산에서 가장 유명한 건물은 자소궁과 태화궁이다. 자소궁은 3층 높이의 석대 위에 건축되었으며,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되었다. 태화궁은 천주봉 정상에 있으며, 자금성과 금전 옆에 있다. 태화궁과 무당산 자금성, 금전 모두 영락제가 민심을 얻기 위해 지원한 사업이다.

∞ Link 영락제가 무당산에 세운 자금성



[설명1] 자소궁(紫霄宮)은 1121년 북송 때 처음 건축되었으며, 이후 1412년 명나라 영락11년에 전체를 손본 형태가 지금까지 남아 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중건을 했으나 옛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자소궁 중에서도 본전인 자소전(紫霄殿)은 황궁처럼 웅장한 건물이다.

[설명2] 무당산의 첫 번째 관문은 현악문(玄岳門)이다. 무당산의 북쪽에 면한 산길에 위치하고 있는 이 건물은 명의 가정(嘉靖) 31년(1552년)에 세워졌다. 물고기와 학의 조각이 새겨진 석조건물로, 지붕 마룻대에 팔선(八仙)의 인물상이 조각되어 있다.

[설명3] 금전(金殿)은 영락 14년(1416)에 건설된 건물이다. 목조 건물처럼 보이지만 청동으로 만든 건물이다. 중국에서 높이 5.5M, 너비 5.8M, 길이 4.2M 크기로 중국에서 가장 큰 청동 건축물이다. 금전 안의 왕좌(王座), 공기(供器) 등이 모두 금으로 도금되어 화려하고 우아하다. 왕좌에는 동으로 만든 진무(眞武)의 동상이 있다. 좌우에서 시중을 들고 있는 금동(金童) 옥녀(玉女)와 전면의 수장군(水將軍) 화장군(火將軍)은 명 나라의 복식을 따르고 있다.


현존하는 무당파 건물명칭

8궁(8宮)
정동궁(淨東), 영은궁(迎恩), 우진궁(遇眞), 옥허궁(玉虛), 자소궁(紫巖), 남암궁(南岩). 오룡궁(五龍), 태화궁(太和)

2관(2觀)
원화관(元和), 복진관(復眞)

36암당(36庵堂)
진부암(秦府庵), 옥봉암(玉峰庵), 준제암(准提庵), 맹진암(孟津庵), 주부암(周府庵), 오진암(悟眞庵), 신부암(申府庵), 보부암(普府庵), 목부암(沐府庵), 만수암(万壽庵), 회진암(會眞庵), 양부암(襄府庵), 자양암(紫陽庵), 자재암(自在庵), 충허암(沖虛庵), 노부암(路府庵), 서부암(瑞府庵), 숭부암(崇府庵), 명진암(明眞庵), 흡로암(吸露庵), 복부암(福府庵), 자연암(自然庵), 접대암(接待庵), 연수부암(延壽府庵), 월암(月庵), 백운암(白雲庵), 운굴암(雲窟庵), 회림암(檜林庵), 불이암(不二庵), 석고암(石鼓庵), 시방당(十方堂), 노군당(老君堂), 정동궁황경당(淨東宮皇經堂), 옥허궁황경당(玉虛宮皇經堂), 남암궁발당(南岩宮鉢堂), 태화궁황경당(太和宮皇經堂)

72암묘(72岩廟)
자소암묘(紫巖岩廟), 은선암묘(隱仙岩廟), 선려암묘(仙侶岩廟), 와룡암묘(臥龍岩廟), 윤희암묘(尹喜岩廟), 옥허암묘(玉虛岩廟), 오룡암묘(五龍岩廟), 옥청암묘(玉靑岩廟), 황후암묘(皇后岩廟), 천마암묘(天馬岩廟), 삼공암묘(三公岩廟), 장운암묘(藏雲岩廟), 은사암묘(隱士岩廟), 백선암묘(柏仙岩廟), 침선암묘(沈仙岩廟), 뇌암묘(雷岩廟), 풍암묘(風岩廟), 적수암묘(滴水岩廟), 집운암묘(集雲岩廟), 사천지암묘(謝天地岩廟), 장춘암묘(長春岩廟), 상흑호암묘(上黑虎岩廟), 백룡암묘(白龍岩廟), 승진암묘(升眞岩廟), 벽봉암묘(碧峰岩廟), 선룡암묘(仙龍岩廟), 호이암묘(虎耳岩廟), 청양암묘(靑羊岩廟), 불자암묘(佛子岩廟), 태자암묘(太子岩廟), 칠성암묘(七星岩廟), 삼두암묘(參斗岩廟), 백화암묘(百花岩廟), 진선암묘(眞仙岩廟), 옥청암묘(玉淸岩廟), 삼청암묘(三淸岩廟), 상청암묘(上淸岩廟), 태청암묘(太淸岩廟), 삼금암묘(三金岩廟), 운모암묘(雲母岩廟), 주사암묘(朱砂岩廟), 북두암묘(北斗岩廟), 벽사암묘(碧紗岩廟), 남암묘(南岩廟), 북암묘(北岩廟), 동암묘(東岩廟), 서암묘(西岩廟), 화양암묘(華陽岩廟), 사화암묘(沙華岩廟), 태상암묘(太上岩廟), 운무암묘(雲霧岩廟), 하흑호암묘(下黑虎岩廟), 복마암묘(伏魔岩廟), 정응암묘(定應岩廟), 구도암묘(九渡岩廟), 자개암묘(紫盖岩廟), 양운암묘(陽雲岩廟), 보주암묘(寶珠岩廟), 천선암묘(天仙岩廟), 천일암묘(天一岩廟), 백운암묘(白雲岩廟), 낙백암묘(落魄岩廟), 삼성암묘(三星岩廟), 복성암묘(福星岩廟), 녹성암묘(祿星岩廟), 수성암묘(壽星岩廟), 비단암묘(非斷岩廟)

39좌교량(39座橋梁)
영은교(迎恩橋), 심진교(尋眞橋), 교교교(絞絞橋), 중교(中橋), 중화서교(中和西橋), 중화중교(中和中橋), 중화동교(中和東橋), 춘화교(春和橋), 원화서교(元和西橋), 원화중교(元和中橋), 원화동교(元和東橋), 집선교(集仙橋), 선도교(仙都橋), 유선교(游仙橋), 선원교(仙源橋), 서천문교(西天門橋), 서산교(西山橋), 북산교(北山橋), 동산교(東山橋), 등선교(登仙橋), 동래교(東萊橋), 풍화교(豊和橋), 호구교(蒿口橋), 보복교(普福橋), 은선교(隱仙橋), 취선교(聚仙橋), 마침동교(魔針東橋), 우적교(禹迹橋), 통회교(通會橋), 천진교(天津橋), 흑호교(黑虎橋), 복진교(復眞橋), 천을교(天乙橋), 보운교(步雲橋), 적성교(摘星橋), 회선교(會仙橋), 사교(斜橋), 백운교(白雲橋), 새공교(賽公橋)

[무협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건물]
- 해검지(解劍池) : 산문 입구에서 무당파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검을 풀어놓고 올라간다는 해검지가 제일 유명하다.
- 괘검수(掛劍樹) : 해검지에서 풀어놓은 검을 걸어놓는 나무
- 상청궁(上淸宮) : 무당파의 본문에 들어가면 있는 무당파의 중심 건물로 묘사된다.


2. 무공

소림사의 역근경과 더불어 무당의 태극권이 유명하다. 즉 무당 무공은 무당도인 서본선이 쓴 [무당비공]이라는 책에 그 종류와 연공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천화포접공, 구궁장공, 건곤구공, 야행술공, 현무공, 유골공, 연경공, 차장공, 태극구공, 면장공 등이 기록되어 있다.

∞ Link 무당비공에 기록된 무공


심법(心法)
- 순양무극공(純陽無極功)
- 육양신공(六陽神功)
- 자허풍뢰공(紫虛風雷功)
- 적양신공(赤陽神功)

검법(劍法)
- 구궁검(九宮劍)
- 구궁신행검(九宮神行劍)
- 구궁연환검(九宮連環劍)
- 구혼탈백검(勾魂奪魄劍)
- 귀운검(歸雲劍)
- 대라검(大羅劍)
- 대환검(大幻劍)
- 사상류검(四象流劍)
- 삼재검(三才劍)
- 삼절황검(三絶荒劍)
- 선풍검(旋風劍)
- 소청검(少淸劍)
- 신문십삼검(神門十三劍)
- 양의문검(兩儀紋劍)
- 연환탈명검(連環奪命劍)
- 오행검(五行劍)
- 요지유검(繞指柔劍)
- 유운검(流雲劍)
- 유운검(柔雲劍)
- 조양검(朝陽劍)
- 청운검(淸雲劍)
- 칠성검(七星劍)
- 태극혜검(太極慧劍)
- 태청검(太淸劍)
- 태청풍뢰검(太淸風雷劍)
- 할운쇄월검(割雲碎月劍)
- 현천검(玄天劍)
- 현천칠성검(玄天七星劍)

도법(刀法)
- 육합절명도(六合絶命刀)
- 현허도(玄虛刀)
- 회선도(回旋刀)

권법(拳法)
- 무극권(無極拳)
- 무극현공권(無極玄功拳)
- 배운신권(排雲神拳)
- 장권(長拳)
- 천강복마권(天罡伏魔拳)
- 칠성권(七星拳)
- 태극권(太極拳)

장법(掌法)
- 구궁신행장(九宮神行掌)
- 면장(綿掌)
- 비장(飛掌)
- 사상풍뢰장(四象風雷掌)
- 진천철장(震天鐵掌)
- 폐목환장(閉目換掌)
- 현천칠성장(玄天七星掌)
- 회풍장(廻風掌)

지법(指法)
- 건원지(乾元指)
- 건천태을지(乾天太乙指)
- 오행지(五行指)
- 천운신지(穿雲神指)
- 태극십절지(太極十絶指)

수법(手法), 각법(脚法)
- 구궁적양수(九宮赤陽手)
- 대솔비수(大率碑手)
- 무영신나수(無影神拿手)
- 십단금(十段錦)
- 운수(雲手)
- 접기타기술(接器打器術)
- 첨의십팔질(沾衣十八跌)
- 칠성수(七星手)
- 태청산수(太淸散手)
- 호조수(虎爪手)
- 호조절호수(虎爪絶戶手)

경신보법(輕身步法)
- 연청십팔비(燕靑十八飛)
- 유운신법(流雲身法)
- 제운종(梯雲縱)
- 제종술(提縱術)
- 현천보(玄天步)
- 호종보(虎縱步)

진법(陳法)
- 구궁검진(九宮劍陳)
- 대천강검진(大天罡劍陳)
- 오행검진(五行劍陳)
- 진무칠절진(眞武七絶陳)
- 천강칠두진(天罡七斗陳)
- 칠성검진(七星劍陳)

기타(其他)

부용금침(芙蓉金針) : 암기술(暗器術)


3. 물건


(1) 신물


• 자반죽간(紫斑竹簡) : 무당파의 신물로 자색 반점이 있는 대나무 조각이다.


(2) 영약 및 영단

• 자소단(紫巖丹) : 소림사 대환단에 버금간다는 영약


* * *



• 9파1방 • 上淸宮 • 均縣 • 張三峰 • 掛劍樹 • 武當山 • 紫巖丹 • 紫斑竹簡 • 紫霄宮 • 解劍池 • 金殿 • 金頂 • 괘검수 • 균현 • 금전 • 금정 • 무당 • 무당비공 • 무당산 • 무당파 • 무당파조사 • 삼재도회무당산도고 • 상청궁 • 서본선 • 신물 • 영락제 • 우진궁 • 자금성 • 자반죽간 • 자소궁 • 자소단 • 장문인 • 장삼봉 • 정락궁 • 조사 • 청동건축물 • 태극권 • 태화궁 • 해검지